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경관연구 동향과 주제 분석 - 한국경관학회지 게재 논문을 중심으로 -

        변재상 ( Byeon Jae-sang ),서자유 ( Seo Jayoo ) 한국경관학회 2020 한국경관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한국경관학회지 분석을 통해 과거의 경관연구 동향과 주제를 파악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가늠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경관학회에서 출판하는 한국경관학회지는 총체적인 경관의 조성과 이에 대한 평가 등 종합적인 접근을 주요 관심 분야로 하여 학술적 논문을 모집 및 수록하고 있다. 한국경관학회지는 도시를 비롯한 국토 공간의 경관에 관한 전문학회지로서 2009년 12월 제1권 제1호 발행을 시작으로 2019년 12월 제11권 제2호까지 총 21호 발행하였다. 매년 2회씩 매호 4∼6편의 논문을 발간하여 현재까지 게재된 논문은 총 101편이며, 호당 평균 4.8편의 논문을 게재하였다. 연구방법은 한국경관학회지의 모든 논문의 국문 초록, 영문 초록, 주제어, 서론, 결론을 텍스트 마이닝을 통해 대량의 텍스트로부터 중심을 이루는 키워드를 찾아내 연구의 경향을 찾아내었다. 연구의 동향은 연도별로 주제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내용 분석은 빈도분석과 토픽모델링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이 방법을 통해 연구의 목적, 연구 대상지, 연구 관점을 도출하였다. 이상의 분석을 통해 경관연구의 특성은 다음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한국경관학회지의 성격은 경관의 분석, 계획, 설계, 관리를 위한 실용 연구이다. 둘째, 시기별 연구 동향은 경관법과 제도의 변화와 밀접하게 연계된다. 셋째, 경관학회지 연구는 도시학과 맥을 함께 하는 학문이다. 넷째, 연구 내용을 세부적으로 분석한 결과 연구의 목적은 장소성·인식, 디자인·설계, 평가·보전, 개발·사업, 이미지·선호도 조사로 유형화되었다. 연구 대상지별 연구 관점은 농촌 지역은 보전과 인식, 역사문화 지역과 기반시설은 장소성과 환경 보존, 자연경관은 조망과 변화 관찰, 공원 및 녹지는 경관협정 및 사업, 아파트는 조망과 이미지를 관점으로 하였다. 다섯째, 경관 분야의 과제로서, 경관행정은 공간의 보전, 장소성, 이미지를 위하여야 하며 경관연구는 도시의 이미지를 형성하고 환경을 보존하는 공익적 가치를 추구해야 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는 한국경관학회 태동부터 최근까지 모든 학술 논문들을 텍스트마이닝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몇 가지 과제를 얻었다. 한국경관학회지의 게재 논문의 분량 확대, 비슷한 방식으로 한국경관학회에서 수행한 연구용역의 주제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경관 정책 파악, 앞으로의 경관연구의 방향과 정책적 담론 고찰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trends and topics of landscape research in the past through the analysis of the Journal of Korea Landscape Council(KLC) and to envision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KLC published by the Journal of KLC, recruits and contains academic papers, based on the comprehensive approaches such as the composition of overall landscape and evaluation of it. KLC, a Journal of landscape with respect to the nationwide land space including cities, issued its first edition in 2009, December and published the 11th edition in 2019, December, completing its 21th one in total. KLC publishes 4∼6 papers per issue twice a year, reaching its total sum 101 papers with an average of 4.8 papers per issue. We use the research method of studying Korean abstracts, English abstracts, keywords, introduction, and conclusion in entire KLC, deducing the pivotal keywords from the massive amount of texts through text mining in order to find the research tendency. The trend of the study was observed by year. The analysis of content was conducted by frequency analysis and topic modeling method, which derived research purpose, research area, and research perspective.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KLC study is a practical one for the analysis, planning, design and management of landscape. Second, the research trends by period are closely related to the changes in landscape law and system. Third, KLC study shares the theme of urban studies. Fourt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categorized into place and perception, design, evaluation and preservation, development and business, image and preference as a result of detailed analysis in study. The research point by research subject is as follows; preservation and recognition in rural area, place and preserving environment in historical, cultural and infrastructure area, observing landscape and change in natural scenery, landscape agreement and project in parks and green spaces, view and image in apartment. Fifth, as a task in the field of landscape, it is concluded that landscape administration should conduct in line with preservation of space, placeness and image, and landscape research should follow the public value of formation of city image and preservation of environm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analyzes the research trend, applying text mining method to entire academic journals covering from the very beginning of KLC to the most recent one, and also several assignments can be obtained in the course of it. To creasing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in KCL, to identify landscape policy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the topics of research services conducted by KLC in a similar way, and to review the direction of future landscape and policy discourse is necessary.

      • KCI등재

        경관숲 조성 기본계획 연구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 2011 한국경관학회지 Vol.3 No.2

        본 계획은 사회적 관심과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경관숲을 조성하기 위한 기본계획이다. 최근 경관숲에 대한 관심과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으나, 대부분이 제도와 관련된 연구에 그치고 있어 실제 경관숲을 조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와 논의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계획은 경관숲 조성을 위한 구체적인 설계 절차와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기존에 수행된 경관숲에 대한 기초 연구와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경관숲 조성을 위한 계획틀을 도출하였다. 계획틀을 도출함에 있어 생태적 측면과 경관미적 측면을 동시에 고려하고자 하였다. 본 계획에서는 경관숲 기본계획을 위해 경관권역을 구분하였고, 경관권역별로 생태적 특성과 시각적 특성을 고려한 경관등급을 구분하였다. 도출된 경관권역별 행위기준을 제안하여 경관계획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아름다운, 인상적인 산'에 대한 이미지를 조사 분석하여 이를 실제 계획안에 적용하기 위한 패턴을 도출함으로써 경관숲 조성을 위한 수목의 종류와 식재 장소 선정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다. 또한,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해 경관숲 조성에 필요한 식재 기법을 도입하였다. The objective of this plan is to establish the method and process for planning and design a landscape forest. Recently the issues related on a landscape forest is under active discussion. But they are almost the researches on the law and the legislation. We need the research and discussion for actual and definite planning methods. We analyzed the established researches and abroad cases and drew a implications. So we made a framework of a landscape forest planning. It was considered ecological and visual esthetic aspects at once. This plan involved classifying the landscape districts oriented watersheds. We evaluated the conservation rating for each a landscape district. And we proposed the permitted actions at each rating. We searched what is the beautiful mountain. We found the planting patterns by analyzing the beautiful mountain pictures and the planting methods by analyzing the abroad cases. We applied them to planning a landscape forest.

      • KCI등재

        문화경관으로서의 DMZ 철원 민북마을 일상경관 읽기 - 주민 심층 인터뷰 및 근거이론을 활용하여 -

        서준원 ( Suh Joon Won ),조경진 ( Zoh Kyung-jin ) 한국경관학회 2021 한국경관학회지 Vol.13 No.2

        본 연구는 멈추어 있는 대상으로서의 경관이 아닌, 내부자 관점으로 바라본 일상사 속 변화하는 과정으로서의 경관인 ‘일상경관(Ordinary Landscape)’ 읽기에 대한 시도다. DMZ 접경지역 철원 민북마을 주민 심층 인터뷰를 통해 일상사를 수집하여 근거이론 분석 방법론을 활용한 귀납적 분석을 통해 일상경관 패러다임 모형을 제시하고 문화경관으로서의 일상경관을 분석하여 DMZ 인근 철원 민북마을의 경관적 특성을 밝히는 것이 목적이다. 수집된 구술채록은 근거이론체계를 활용하여 49개의 개념과 19개의 하위범주 및 상위범주로 순으로 정리하여 도출했으며, 각 범주는 ‘인과적 조건’, ‘맥락적 조건’, ‘중심현상’, ‘중재적 조건’, ‘전략과 상호작용’, ‘결과’ 등 여섯개로 구분하고, 이를 DMZ 철원 민북마을 일상경관 패러다임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패러다임 모형의 분석은 잭슨(Jackson)이 주장한 경관 연구의 세 가지 기본 요소인 내부인의 ‘주거지’, 물리적 경관 속에 스며든 ‘경관 문화’, 그리고, 일상생활에 정착된 ‘거주 활동’을 기준으로 한다. 분석은 민북마을 주민들의 일상 속 경관이 지속적으로 변화해온 과정과 상호 관계성을 해석하여, 다음의 다섯 가지 시사점으로 정리하였다. 첫 번째, ‘거시적 역사의 맥락 속 변화하는 미시적 일상과 공간’이고, 두 번째로 ‘원주민과 이주민의 전략적 마을 공동체 형성 및 유지’를 들 수 있으며, 세 번째로는 ‘과거에서 현재로 이어지는 일상적 환경조건 또는 현상’이 있다. 이 세 가지 현상은 DMZ 철원 민북마을의 일상경관을 구성하는 근본 요소로서, 마을의 생성부터 현재까지를 아우르는 경관 속 일상, 또는 일상 속의 경관이다. 네 번째, ‘민간인통제선 기준 내부, 경계, 외부구역 마을의 변화하는 일상경관’은 끊임없는 외부요인에 의한 변화에도 철원평야를 중심으로 한 주민들 삶의 영속에 대한 의지다. 마지막으로, ‘치유와 극복의 과정을 통해 기대하는 지역의 미래’는 지역의 긍정 혹은 부정적 요인에 순응하고 주민들이 주도적으로 극복하며, 지역 애착심과 자긍심을 고취시키는 원동력이다. 이는 척박한 생활환경 조건 속에서도 주민들이 더 나은 미래를 위해 전략적 인내심으로 지역을 일구 어 나가기 위한 중요 요소다. 이 다섯 가지의 공통점은 일상경관을 내부인의 관점에서 바라본 형성 과정과 상호 관계성을 근거이론의 패러다임 모형 분석을 통해 철원 민북마을의 ‘주거지’, ‘경관 문화’, 그리고 ‘거주 활동’ 등 일상경관의 세 가지 특성으로 분석하고 경관적 상호 관계성을 밝히는 것이 가능했다. 본 연구는 문화경관이 명사로서의 경관이 아닌, 오랜 시간에 걸쳐 꾸준히 축적된 내부인의 일상적 활동으로 인해 변화해온 동사로서의 일상경관 가능성을 모색해 보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또한, 일상성이 내재 된 다양한 층위의 문화경관 특성 및 상호 관계성을 발견하기 위하여 일상경관 연구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향후 관련 연구의 초석이 되는 것에 그 의미가 있다. This study is an attempt at reading ‘ordinary landscapes’ from the insiders’ points of view, landscapes as changing processes in history of everyday life, rather as fixed physical objects. The goal is to collect the narratives of history of everyday life of residents by using in-depth interviews in Minbuk Village, Cheorwon, near the DMZ borders. And, it is to propose a paradigm model for ordinary landscapes to analyze ordinary landscapes as important part of cultural landscapes through inductive analysis using grounded theory. The results show that six paradigms of ordinary landscapes by analyzing categories over 19 subcategories based on 49 concepts from the collected oral records are as followings: ‘causal conditions’, ‘contextual conditions’, ‘phenomenon,’ ‘intervening conditions, ‘actions and interactions, and ’consequences’. Based on Jackson’s three elements of interpreting landscapes; ‘insider’s house or dwelling place’, ‘material manifestation of ‘culture’ in the landscape’, and ‘dwelling-activities’ in the practices of everyday life’(Jackson, 1995) to analyze the paradigm model expresses the processes and interrelationships of ordinary landscapes which have been changing constanttly with multi-layered ordinary landscapes in Minbuk Village, Cheorwon. The five interpretations of ordinary landscapes in Minbuk Village represent the following elements; first, microscopic history of everyday life of residents in context of macroscopic history; secondly, creating and maintaining tactical community with natives and migrants in the village; thirdly, ordinary environmental conditions and/or phenomenon throughout decades; forthly, transitions in ordinary landscapes based on the movement order of Civilian Control Line by military authorities that can be called as inner, border, and outer part of CCL; and lastly, expecting a better future through cures and overcomes of difficulties. The first three characteristics imply fundamental elements for ordinary landscapes of DMZ Minbuk Village from its beginnings to presents. And the last two signifies strong will of residents who would adapt to any changes in positive and/or negative environmental circumstances and would lead to progressive overcomes among the hardship life conditions to remain sustainable environments in Cheorwon plain area near DMZ borders. The five interpretations expose that the strategic patience of residents derive place attachment and pride of the village within barren environmental surroundings. Consequentially, the ordinary landscapes can the weaved as residents’ ‘dwelling place’ with ‘culture in the landscape’, as well as ‘dwelling activities’ for the five interpretations from the insiders’ perspectives and its interrelationship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explores the possibilities of ordinary landscapes as a ‘verb’ in progress, not as a ‘noun’. Furthermore, the study is meaningful as it show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research studies on ’ordinary landscapes’ to discover five interpretations from insiders’ perspectives of places, and as a cornerstone for future related research.

      • KCI등재

        경관인식 향상을 위한 어린이 경관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이상민 ( Lee Sang Min ),정수진 ( Chung Soo Jin ),허윤선 ( Hue Yun Sun ),홍지선 ( Hong Ji Sun ) 한국경관학회 2020 한국경관학회지 Vol.12 No.2

        본 연구는 어린이를 대상으로 국토경관의 가치를 인식하기 위해 경관자원을 발굴하고 지역구성원으로써 지역경관에 대한 이해를 향상시키기 위해 경관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시범 적용하였다. 경관교육프로그램은 국내에서 진행 중인 건축, 조경, 국토, 환경 등 관련분야 교육프로그램의 운영사례와 일본과 미국의 경관교육 사례를 조사하고 연구진 회의와 검토과정을 거쳐 우리동네 경관알기, 우리동네 경관찾기, 우리동네 경관자랑하기의 순서로 구성하였으며, 수원시 산의 초등학교에서 시범수업을 진행하였다. 수업 결과는 사전에 경관에 대한 이해와 지식이 없던 어린이들이 수업을 통하여 경관을 인지하고, 경관요소, 경관유형에 대한 인식을 하고 이를 복합적이고 추상적인 경관이라는 개념으로 연계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문가평가는 다른 교과목에 접목 가능하지만 형식이나 내용의 추가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향후 어린이 경관교육의 확산을 위해서는 제도적 근거를 마련하고, 다양한 형태의 연구가 축적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developed a landscape education program and applied a pilot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discovering landscape resources for children to recognize the value of the national landscape, and to improve their understanding of the local landscape as a local member. The landscape education program investigates operational cases in the fields of architecture, landscaping, land, and environment in Korea, as well as cases i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and through a meeting and review process by researchers, knowing the landscape of our neighborhood, finding the landscape of our neighborhood, and proud of the landscape of our neighborhood. It was organized in the order of, and pilot classes were held at Sanui Elementary School in Suwon. The results of the class showed that children who did not have prior understanding and knowledge of the landscape can recognize the landscape through the class, recognize landscape elements and landscape types, and connect them to the concept of a complex and abstract landscape. Evaluation could be applied to other subjects, but it was necessary to further develop the form or content. In order to spread landscape education for children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n institutional basis and accumulate various types of research.

      • KCI등재

        산본신도시와 김포한강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 비교로 본 경관특성 고찰

        하혜경 ( Ha Hye-kyung ),김한배 ( Kim Han-bae ) 한국경관학회 2016 한국경관학회지 Vol.8 No.1

        우리나라는 1980년대 후반에 서울지역 외곽에 1기 신도시 5개를, 2000년대에는 제2기 신도시 12개가 건설되었거나, 현재 건설 중에 있다. 1기 신도시와 2기 신도시간의 개발방식 차이를 보이는데, 전자가 교통·동선계획 후 공원·녹지계획 방식이라면, 후자는 공원·녹지계획을 고려한 교통·동선계획 방식을 보인다. 본 연구는 신도시의 공원·녹지 계획의 차이가 도시의 경관특성에 어떻게 기여하는가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1기 산본신도시와 2기 김포한강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를 비교하여 경관특성을 고찰하였다. 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를 분석하고자 공원녹지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근거로 '공원·녹지체계의 유형', '보행환경 유형', '오픈스페이스 유형' 3가지 분석항목이 도출되었다. 각 분석항목에 따라 산본신도시와 김포한강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공원·녹지체계 유형'으로는 산본신도시는 산본천을 복개하여 교통동선계획의 중심도로로 계획되어 하천경관자원이 활용되지 못한 한계를 지닌다. 수리산을 활용하여 근린공원 위주의 점적인 '분산형'으로 분포하여 연속적이지 못하고 단절적인 경향을 보인다. 그에 비해 김포한강신도시는 운유산, 가현산, 한강 등 자연경관자원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공원과 녹지가 '환상형'과 '원호형'을 보인다. 두 번째는, '보행환경 유형'으로 김포한강신도시는 보행공간 및 보행을 유도하는 공간(소로, 보행자전용도로, 광장)이 많아 보행 접근성과 보행 연계성이 뛰어나 선형적 공원·녹지체계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오픈스페이스 유형'으로 김포한강신도시가 공원 종류가 다양하고, 미관광장이 곳곳에 분산 배치되어 있어 커뮤니티 공간이 많은 것으로 드러났다. 산본신도시는 공원, 녹지, 기타 지역으로 단순하게 세분되는 것에 비해 김포한강신도시는 공원 및 녹지뿐만 아니라, 기타 지역으로 분류되었던 유수지, 하천, 저수지 등이 다양하게 분포하였다. 기존의 자연경관자원을 활용한 오픈스페이스가 많아졌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1기 산본신도시와 2기 김포한강신도시의 공원·녹지체계 비교를 통해 기존 자연경관자원 활용 여부에 따른 신도시의 경관특성의 차이를 고찰하였다. 2기 김포한강신도시는 1기 산본신도시와는 달리 자연경관자원을 공원·녹지계획에 적극적으로 활용하였고, 도시 경관을 고려하여 연결된 공원·녹지체계로 계획관점이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보다 거시적인 경관계획으로서 신도시 공원·녹지계획의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점이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라 하겠다. 앞으로 후속 연구를 통해 실제 거주민들이 생각하는 도시의 경관 이미지가 계획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거주민이 실제 공원·녹지를 활용하는 행태분석을 바탕으로 신도시만의 특화된 선형적인 공원·녹지체계로서 도시 경관의 골격을 유지하는 방안으로 연구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In the late 1980s, 5 newtowns of stage 1 were constructed in the outskirt of Seoul and in 2000s, 12 newtowns of stage 2 were constructed or under construction. The method of development differs between the stage 1 newtowns and stage 2 newtown. The former took 'development first, and then planning' method and the latter took 'planning first, and then development' method. This research aims to compare the park and green system of Sanbon Newtown of Stage 1 and Kimpo Hangang Newtown of stage 2 and observe the townscape characteristics of each town. First, to analyze the park and green systems of newtowns, based on the theoretical study on parks and greens, 3 items of analysis, 'the type of park and green system', 'the type of pedestrian environment' and 'the type of open space', were deducted. 1. The 'park and green system type' is limited because Sanbon Newtown could not capitalize on the townscape resource of Sanboncheon since it was covered and planned as a central road in the traffic movement scheme. It is also not consecutive but disconnected because neighborhood parks were dispersed in 'disparate type' point system using Surisan. In contrary, Kimpo Hangang Newtown actively capitalized on townscape resources and the parks and greens were arranged in 'radial type' and 'circular type'. 2. In terms of 'pedestrian environment type', many pedestrian areas or areas which induce walking exist in Sanbon Newtown, so it can be seen to have a linear park and green system with high pedestrian accessibility and connectivity. 3. Regarding 'open space type', Gimpo Hangang Newtown was revealed to have many community spaces with various kinds of parks and disperse squares with fine views. Parks and greens in Sanbon Newtown are categorized simply as parks, greens, and other areas but Gimpo Hangang Newtown has a variety of other areas such as running ponds, streams, and reservoirs along with parks and greens, which means that open spaces using the existing townscape resources have increased. Follow-up research on how the perception of the citizens of newtowns on the park and green system and townscape images differ from the original scheme and measures to maintain the frame of townscape as a specialized park and green system for newtowns based on behavioral analysis on actual citizens using parks and greens is needed.

      • KCI등재

        안좌도의 경관이미지와 경관잠재력 제고를 통한 문화 경관의 형성에 관한 연구 ― 신안군 안좌도의 경관 테마 공원을 사례로

        이춘홍 ( Lee Choon-hong ) 한국경관학회 2012 한국경관학회지 Vol.4 No.1

        본 연구는 일상적으로 대하는 자연경관의 다름과 차이를 이해, 분석하고, 경관이미지와 경관의 잠재력을 도출하여 자연경관과 조화를 이루는 경관형성 계획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계획대상지가 입지한 전라남도 신안군은 국내에서 유일하게 아파트가 전무한 지역으로 도서지방의 원형경관이 보전되어 있는 지역이다. 이와 같이 원형경관을 고려한 새로운 경관의 형성이 이루어져야만 지역 고유의 경관미를 지속적으로 보전할 수 있고, 이는 지역의 정체성으로까지 발전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신안군 안좌도 원형경관에 대한 이해와 분석을 통해 경관의 특성을 파악, 의미의 재구성을 통한 문화 인프라, 즉 경관테마공원을 조성하고자 했다. 특히 안좌도가 지닌 인물 콘텐츠인 수화 김환기 화백의 명성과 예술세계를 차별화된 문화경관자원으로 이해, 계획에 반영하고자 안좌도 자연환경의 경관미와 그 잠재력을 재해석, 경관이미지를 도출하고, 개념정립과 설계전략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 계획대상지를 경관구역으로 나누어 각 특징을 기술하고, 경관 조망점과 경관 변이점을 설정, 동선 및 경관의 연속적인 체험이 가능하도록 하였을 뿐만 아니라, 인근의 자연경관과 시각적 충돌이 이루어지지 않고 조화를 이루어 부지 내외부가 하나의 경관으로 인지되도록 하여 경관의 조화를 꾀하고자 한 것이 연구의 주요 내용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시도는 일상적인 자연경관이 미래지향적인 가치를 가지는 자원으로서의 역할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경관계획을 통해 자연경관의 보전 및 관리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landscape planning which harmonize with the existing natural landscape through the drawing landscape image and the deducing landscape potential. Accordingly the difference and diverseness of natural landscape must be analysed. The planning site is located in the province Shin-an, which has none of the high rise appartment houses and as a result the landscape prototype in islands is preserved. It must be considered landscape formation and development with the prototypal landscape in order to preserve the landscape identity and original landscape beauty sustainedly. In this study we make an on-site survey of the Anjwa island and the landscape of island is analysed. There by the understanding of the characteristic landscape grants the reformation of landscape meaning and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theme park as a culture infra structure. Especially the Artist Kim, Whanki is the unique personal contents in Anjwa island, who has his world of art and world wide fame. His personal and artistic character is symbolized in Anjwa culture landscape. By the landscape image and landscape potential in Anjwa islands the planning concepts and design strategies are deduced. The main issue in this study is to avoid the visual impact with the natural landscape and to provide the harmonized sceneries with natural landscape.

      • KCI등재

        다차원척도분석을 이용한 거주민의 아파트 경관 이미지 특성에 관한 연구

        (사)한국경관학회 한국경관학회 2012 한국경관학회지 Vol.4 No.1

        본 연구는 '살기 좋은 아파트 상'을 수상한 수도권 내 아파트를 대상으로 실제 거주하고 있는 거주민들이 아파트 경관 이미지에 대해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 2차에 걸친 설문분석 및 요인분석을 통해 경관평가 형용사 쌍을 도출하였고, 이를 이용해 거주민들의 아파트 단지 경관과 조경 경관에 대한 이미지를 설문조사하였으며, 거주민들의 인식을 분석하기에 앞서 건설사들이 해당 아파트에 대해 지향한 이미지를 조사하였다. 설문결과는 MDS 기법을 활용하여 다각적으로 분석하여 그 이미지의 차별 정도를 해석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 첫째, 단지경관 및 조경경관을 평가할 수 있는 각 9개의 형용사 쌍을 도출할 수 있었다. 둘째, 연구 대상지 아파트에 대한 거주민들이 인식하는 아파트의 이미지는 서로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셋째, 단지경관 이미지는 그 차이가 조경경관에 비해 더욱 크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대부분의 건설사들이 스스로 차별화시키려는 노력을 많이 함에도 불구하고, 그 지향 이미지를 정확히 실현하고 있지 못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현 아파트의 단조로운 이미지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그 한계를 파악하여 보다 다양화하는 전략을 수립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is focused on analysis of the resident's landscape image of the awarded 'the Liveable Apartment Prize' apartment sites in Metropolitan area. For this study, we surveyed the supplier's intended image first, then extracted several pairs of adjectives to estimate the overall apartment landscape and the garden landscape. With these pairs of adjectives, we proceeded the questionnaire survey. Finally, w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 using MDS analysis to verify the differentiation of the image of those landscapes. As a result, fist, we could extract each 9 pairs of adjectives to estimate the overall apartment landscape and the garden landscape. Second, we found out that the resident's recognized images of apartment are not much different to each others, so we concluded that those apartment sites are similar to each other. Third, the overall apartment image is more dully different than the garden landscape, which means that residents recognize the character of garden landscape more distinctive than the overall landscape. These result simply that most suppliers tried to realize their distinctive identities which separate them from others but it is not happened. This study is revealing the fact that the apartment landscape is limited to realize its distinctive image, so is expected to be used for set up a strategy to realize it.

      • KCI등재

        기초 지방자치단체 경관현황조사 매뉴얼 작성을 위한 연구 - 당진시 경관자원조사 적용사례를 중심으로 -

        신윤지,정필립,주신하 한국경관학회 2020 한국경관학회지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basic principles of the landscape survey manual in order to carry out the landscape resource research more systematically by the local government. We reviewed the guidelines for landscape planning and related research results, and propose the manual for the creation and practical use of landscape research manuals based on the experience of landscape resource research in Dangjin City. Specifically, the landscape resource evaluation and grading methods are proposed to evaluate and grade landscape resources by collecting opinions from various stakeholders such as experts, citizens, and administration. And the landscape survey method to increase relevance by progress, practical issues for improvement of the survey system, and wider use of landscape resource survey results, are also addressed. In particular, because the proposed issues and suggestions in each stage are derived from the experience of pilot study, the results would be useful and practical for an actual application. of local governments. Therefore, this study would be meaningful in providing basic framework to establish the manuals for landscape resource survey by local governments. 본 연구는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경관자원조사를 포함한 경관현황조사를 보다 체계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경관현황조사 매뉴얼 작성에 포함하여야 할 기본사항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기존 지침과 연구결과를 검토하고 당진시 경관자원조사 경험을 토대로 경관현황조사 매뉴얼 작성 및 활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인 연구결과로 전문가, 시민, 행정 등 다양한 주체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경관자원 평가방식과 등급화 방안, 단계별 연관성을 고려한 경관현황조사 체계, 조사단계별 주안점 도출, 조사결과 활용도 제고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특히 조사단계별로 제시한 주안점은 기존 연구를 토대로 구축된 조사방식에 실제 대상지 조사를 통해 얻은 경험을 반영한 것으로 실제 기초 지방자치단체의 경관현황조사 시 유용한 내용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향후 기초자치단체의 경관자원조사를 위한 매뉴얼 작성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경관자원 조사체계 구축에 관한 기초연구- 당진시 경관자원조사 사례를 중심으로 -

        김다영,신윤지,장혜원,이송희,위재송,주신하 한국경관학회 2018 한국경관학회지 Vol.10 No.2

        This study was designed to establish a step-by-step system for the research of the landscape resources and prepare an integrated management plan through a research of all areas in Dangjin. The research method first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and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on landscape resources through prior research and case analysis, and adopted and reorganized the research form to establish basic survey methods and scope. The established system was applied to investigate general landscape resources in the entire jurisdiction of Dangjin. Also, the selection and investigation of important police resources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in order to prepare for the management and utilization of resources that are the most important objective of the survey. The survey system for general landscape resources was the first to collect data such as plans and reports related to the view at the time of Dangjin, and to draw up a list of resources derived through classification by type and area and CODE. Next on based on the prepared list of landscape resources, the government finally selected general landscape resources to investigate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In order to carry out a research survey of selected landscape resources, a preliminary research table was prepared to identify basic information about the resources. Afterwards, a detailed research of resources was conducted to prepare an indicator for selecting important landscape resources. Finally, the residents' workshops were conducted to encourage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research through communicating the cause and purpose of the landscape resources research, and additional landscape resources were excavated, supplemented, and fielded. Althoug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stablishing a step-by-step system through the actual application of the survey, it is deemed that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sses according to the size and characteristics of the target site, so it is deemed as integrated into the integrated into the management. 본 연구는 당진시 관할 전 지역 (2읍, 9면, 3동)의 경관자원조사 사례를 통해 경관자원 조사에 대한 단계별 체계를 수립하고, 통합적 관리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우선 선행연구 및 사례 분석을 통해 현재 경관자원 조사의 현황 파악과 시사점을 도출해 내었으며, 경관자원 조사양식을 도입 후 재구성하여 조사방법과 범위 등 기본적인 조사체계를 구축하였다. 구축한 체계를 적용하여 당진시 전체 관할 구역의 일반경관자원에 대한 조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경관자원조사의 가장 중요한 목적인 자원의 관리 및 활용방안 마련을 위해 중요 경관자원의 선정 및 조사를 향후 추진할 예정이다. 일반경관자원의 조사체계는 첫 번째로 당진시의 경관과 관련된 계획 및 보고서 등의 자료를 수집하여 관련 자원을 도출하였으며, 도출된 자원을 유형과 구역별 분류 및 코드 부여를 통해 리스트를 작성하였다. 다음으로 작성한 경관자원리스트를 바탕으로 선정 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 조사해야 할 일반경관자원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경관자원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를 진행하기 위해 먼저 사전조사표를 작성하여 자원에 대한 기본 정보를 파악하였다. 이후 현장 조사를 통해 자원을 세부적으로 조사하고, 가치판단을 진행하여 중요 경관자원을 선정하는 지표를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주민워크숍을 진행하여 경관자원조사에 대한 경위 및 목적을 전달하여 주민참여를 유도하였고, 추가 경관자원을 발굴과 보완조사 및 현장 확인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경관자원조사의 실제 적용 사례를 통해 단계별 체계를 수립하고, 통합적 관리 방안을 마련하는 데 의의가 있으나, 대상지의 규모 및 특성에 따라 연구방법 및 과정을 동일하게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어 추가 연구를 통해 기초, 광역, 국가 차원으로 경관자원의 통합적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어휘분석을 통한 경관계획 단계별 계획의 일관성에 관한 연구

        신윤지 ( Shin Yunji ),주신하 ( Joo Shin-ha ) 한국경관학회 2015 한국경관학회지 Vol.7 No.1

        본 연구에서는 여러 지방자치단체에서 수립한 경관계획을 내용의 일관성에 주목하여 검토하였으며, 계량적인 수치로 이를 나타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존에 타 분야에서 계획의 연계성 또는 일관성을 검토한 사례를 살펴보았으며, 사례를 통하여 도출한 일관성 평가 방법 및 수식을 본 연구의 특성과 대상에 맞게 변경하여 활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지방자치단체의 규모를 반영한 대구광역시, 대전광역시, 목포시, 의왕시 총 4개의 지방자치단체의 경관계획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선정된 지방자치단체에서 수립한 경관계획의 구성단계를 계획의 개요, 경관자원조사 분석, 기본구상, 기본계획, 경관설계지침, 실행계획 총 6개의 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각 단계별 구성어휘를 MalSem41 프로그램을 통하여 파악하였다. 이어서 본 연구의 평가 수식을 활용하여 이들의 단계별 일관성을 검토하였다. 평가는 지자체별 평가와 단계별 평가를 통하여 이루어졌다. 연구 결과, 4개의 지방자치단체들의 평균 단계별 일관성이 도출되었다. 평균적으로 대전광역시가 가장 높은 일관성을 나타냈으며, 다음으로는 대구광역시가 단계별로 일관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어 목포시, 의왕시 순으로 높은 일관성을 나타냈다. 6개의 단계를 통하여 나타나는 5개의 단계별 평균 일관성을 살펴보면, 경관자원조사 분석과 기본구상 간의 일관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에 비해 계획의 개요와 경관자원조사 분석 사이의 일관성은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와 같이 일관성 평가 결과를 통하여 4개의 지자체가 나타내는 단계별 일관성의 경향을 살펴볼 수 있었다. 현재 여러 연구에서 경관계획 내 연계성 부족, 내용의 불일치성 등 경관계획에 대한 지적이 있었으나, 이를 검토를 실시한 연구는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경관계획의 양적 개수가 증가하는 현 시점에 경관계획의 내용을 내용의 일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정략적인 평가방법으로 연구를 진행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단어의 반복만으로 일관성을 측정하여 경관계획내용의 정성적인 측면까지 충분히 고려하지 못하였고, 4개의 도시만 평가했다는 점에서는 한계가 있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examine the landscape plan especially focused on the landscape plan’s consistency with a quantitative method. To do this it is firstly needed to review other cases related to consistency or consistency of contents. Through other cases, expression is built in considering this study’s character and subject of evaluation in this study. And four municipal corporations such as Daegu, Daejoen, Mokpo and Uiwang are selected the subject for this study. First, a landscape plan is divided into six steps like summary of the plan, landscape resources survey, basic concept, landscape plan, design guidelines, and action plan. For examining, MalSem41 program that can analyze vocabulary and its frequency is used. Also, in this study, it has own expression for evaluation and this tool gives two viewpoint. One is each municipal corporation’s consistency and another is consistency between different steps. As the result, the average consistency index is given and Daejoen has the highest consistency index. Then Daegu shows the second highest index. In succession, Mokpo and Uiwang are appeared by very little. About the consistency between different steps, the consistency between landscape resources survey and basic concept shows the highest but between summary of the plan and landscape resources survey has the lowest. Through these results, it can be expected tendency of consistency in the landscape plan. Until now, there have been some opinion about lack of landscape plan’s consistency, but the research for studying this is not enough. Also, these are not for quantitative so it is hard to comparison of consistency. Therefore, it is meaningful to try to examine landscape plans with quantitative especially about consistency. However it does not cover qualitative method and it treats just four c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