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소아천식에서 천식 조절 상태 평가 도구의 유용성

        김환수 ( Hwan Soo Kim ),윤희 ( Yoon Hee Kim ),이희선 ( Hee Seon Lee ),한윤기 ( Yoon Ki Han ),박영아 ( Young Ah Park ),경원 ( Kyung Won Kim ),손명현 ( Myung Hyun Sohn ),규언 ( Kyu Earn Kim ) 대한천식알레르기학회 2015 Allergy Asthma & Respiratory Disease Vol.3 No.4

        Purpose: The goal of asthma control is to maintain well-controlled state.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whether childhood asthma control test (C-ACT) may reflect lung function and whether fractional exhaled nitric oxide (FeNO) can be used to improve the accuracy of C-ACT in reflecting the asthma control level. Methods: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155 patients with asthma underwent lung function tests and C-ACT upon visiting our outpatient clinic. We compared lung function test results according to the C-ACT score stratified by atopy and also examined FeNO according to C-ACT and the Global Initiative for Asthma (GINA) guidelines. The diagnostic accuracy of well-controlled asthma by C-ACT, FeNO, and C-ACT+FeNO was examined. We also calculated the cutoff value of FeNO and C-ACT for well-controlled asthma. Results: Peak expiratory flow (PEF)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C-ACT score. Stratified by atopy, PEF, and forced expiration in one second (FEV1)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C-ACT score in the atopic asthma group. There was no difference in FeNO between subjects with C-ACT≥20 and <20, but FeNO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uncontrolled asthma according to the GINA guidelines. The diagnostic accuracy of well-controlled asthma was higher when FeNO was combined with the C-ACT score than C-ACT or FeNO. Our study showed that the cutoff values of C-ACT and FeNO 19 and 18.3 ppb (parts per billion), respectively, for well-controlled asthma. Conclusion: C-ACT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EF, and atopic asthma group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EF and FEV1. A combination of C-ACT with FeNO might reflect asthma control status more accurately. (Allergy Asthma Respir Dis 2015;3:261-266)

      • KCI등재후보

        하시모토 갑상샘염에 치료에 기인한 만성 매일 두통 1례

        김환수(Hwan Soo Kim),신선희(Seon Hee Shin),황일태(Il Tae Hwang),이건희(Kon Hee Lee) 대한소아신경학회 2007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5 No.1

        저자들은 12세 여아에서 하시모토 갑상샘 염에 기인한 두통이 적절한 갑상샘 호르몬 치료로 호전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We present a case of Hashimoto's thyroiditis accompanied by chronic daily headache which was relieved by levothyroxine therapy. A 12-year-old girl was referred to our hospital complaining of continuous, bilateral, and non-pulsatile headache which had begun 9 months before. After 2 weeks of appropriate levothyroxine therapy, headache markedly improved. After 4 months of follow-up, she had no new episode of headache.

      • KCI등재후보

        경련지속증 환자의 임상경과와 국제치료기준의 비교

        김환수(Hwan Soo Kim),성구(Sung Koo Kim),황일태(Il Tae Hwang),이건희(Kon Hee Lee) 대한소아신경학회 2008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16 No.1

        목 적 : 경련지속증은 소아에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응급 상황이다. 경련지속증은 조기에 치료하므로 사망률을 낮추는 것이 중요하나 국제치료기준에 얼마나 부합되게 치료 하는가에 대한 조사는 부족하여 경련지속증의 임상 양상과 치료를 국제치료기준과 비교하였다. 방 법 : 2002년 1월부터 2007년 12월까지 6년간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과 강동성심병원을 방문한 경련지속증 환아 36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연령, 내원 전 경련시간, 내원 후 지속시간, 경련의 원인, 치료 시작 시기와 방법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경련 지속증 환아의 평균 연령은 35.6±30.6개월이었으며 남녀 비율은 1.1:1였다. 경련지속증의 원인은 열성 경련에 의한 경우가 15례로 가장 많았다. 9례가 특발성, 6례가 원격 증후성, 4례가 급성 원인이 동반된 원격 증후성, 1례가 급성 증후성, 1례가 분류 불가였다. 평균 경련 지속시간은 82.1±70.8분이었고 응급실 내원 전 평균 경련 시간은 52.5±64.2분, 응급실 내원 후 평균 경련 시간은 37.7±29.3분이었다. 응급실 도착 후 항경련제를 투여하는데 걸린 평균 시간은 일차 로라제팜이 4.6±6.7분, 이차 로라제팜 10.2±8.2분, 페니토인 24.5±14.9분이었으며, 페노바르비탈이 57.4±45.1분이었다. 경련이 지속되어 미다졸람을 투여한 경우가 4례 있었으며 약물 투여까지의 평균 시간은 114.0±141.2분이었다. 일단계 로라제팜을 투여해야 하는데 18.2%에서 10분 이상 지체되었고, 1례에서 페니토인이 투여되었다. 73.3%에서 10분이 경과하기 전에 이차 로라제팜을 투여를 하였고, 10.0%에서는 다른 항경련제가 투여되었으며 3.3%에서 20분이 경과한 후에 투여하였다. 이단계에서 로라제팜 투여 후 10분 경과 후에도 경련이 지속되는 경우 40.0%에서 페니토인 혹은 페노바르비탈 외의 다른 항경련제가 투여되었고, 36%에서는 10분 전에 항경련제를 투여하였고 24%에서는 20분 이상 경과 후 항경련제가 투여되었다.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은 경우가 11.1% 있었으며 평균 인공호흡기 치료 기간은 2.3±1.3일 이었다. 입원 후 경련이 반복된 경우가 6례(16.7%)였으며 사망한 경우가 2례(5.6%) 있었다. 신경학적 후유증 이 남아 재활 치료를 받은 경우가 2례(5.6%) 있었다. 결 론 : 경련지속증의 치료를 조기에 시행하는 것이 중요하며 일부에서 다양한 원인으로 기준을 벗어나서 치료하는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한 좀 더 광범위한 조사와 개선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Status epilepticus(SE) is a common neurological emergency in childhood. SE is defined as a seizure or series of seizures without recovery of consciousness between seizures lasting at least 30 minutes. We investigated treatment modalities and clinical courses of patients with SE and tried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international standards. Methods :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36 cases of SE who visited our hospitals from January 2002 to December 2007. We analyzed age, duration of seizures before and after arrival at hospital, time taken for administration of antiepileptic drugs(AED) and compared them with APLS guideline(3rd edition). Results : There were 32 cases in which lorazepam was used as the first AED and the mean time needed for administration was 4.6±6.7minutes. Thirty cases needed a second dose of lorazepam and the mean time needed for administration was 10.2±8.2 minutes. Seven patients(21.1%) received inappropriate treatment at the first step and 25 patients(83.3%) and 21 patients(84.0%) at the second and the third step respectively. There were 15 cases in which phenytoin or phenobarbital was used as the second line AED and the mean time needed for administration was 25.8±61.8 minutes. Conclusion : Early treatment of SE is important in reducing mortality and morbidity associated with SE. In this study we found that a large number of patients were not treated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guideline. Further study is needed to understand the reasons for such differences.

      • KCI등재후보

        방사선학적 악성이나 조직학적으로 양성을 보인 신경절교종 -증 례 보 고-

        김환수 ( Hwan Soo Kim ),정세헌 ( Se Heun Joung ),허원 ( Weon Heo ),이동열 ( Dong Youl Rhee ) 대한뇌종양학회 대한신경종양학회 2014 Brain Tumor Research and Treatment Vol.2 No.1

        Gangliogliomas are rare tumo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composed of neoplastic ganglion cells and neoplastic glial cells. They are characterized by slow growing, low incidence of malignancy, surgically curable, and usually occurred in children and young adults. We report a case of ganglioglioma occurred in 21 year-old male which radiological findings were compatible with the malignancy but histologically diagnosed as benign, with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불교적 식민지화?

        김환수(Kim, Hwan Soo) 한국불교연구원 2012 불교연구 Vol.36 No.-

        일본이 한국을 합방한지 46일 뒤, 1910년 말 한국 원종과 일본 조동종간의 연합은 근현대 한일불교사에서 있어서 가장 악명높은 사건중 하나이다. 이 사건에 연루된 일본승려들은 자국 제국정부를 위해 한국불교를 병합하려 했던 식민주의자, 제국주의자들로 간주되었고, 반대로 이 연합운동을 주도한 한국 승려들은 반역자, 친일주의자, 한국불교 매종자로 치부되었다. 결국 근대 한일불교사에서 다케다 한시(1863-1911), 이회광(1862-1933), 원종과 조동종 승려들, 그리고 식민정부 관료들과 같은 모든 주요 인물들은 악인들로 묘사되고 있다. 그러나, 극히 정치화되어버린 연합운동에 대한 이러한 역사기술은 두 가지 중요한 점을 간과하고 있다. 첫번째, 이회광과 다케다 이면에, 연합운동을 주도했던 일본 유학승 김영기(1878-?)가 있었다는 사실이다. 두번째, 조동종은 이 연합운동에 대해 그다지 열정적이지 않았고, 세번째로, 이는 곧 다케다의 연합에 대한 입장이 조동종 종단 지도자들의 입장과 일치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논문은 지금까지 공개되지 않은 기초 자료를 토대로 연합에 연루된 유력자들, 한일 종단의 상충된 이익관계, 또한 식민지정부의 대응을 분석함으로써, 연합시도를 둘러싼 복잡한 역학 관계와 담론을 밝히고자 한다. One of the most infamous events in modern Japanese and Korean Buddhist history was the alliance attempted between the Japanese Sōtōshū(Sōtō Sect) and the Korean Wŏnjong(Complete Sect) in late 1910, forty six days after Japan annexed Korea. The Japanese Buddhist priests involved have been characterized as colonialists and imperialists trying to conquer Korean Buddhism on behalf of their imperial government while the Korean monks orchestrating the initiative have been cast as traitors, collaborators, and sellers of Korean Buddhism. All the key figures-Takeda Hanshi(1863-1911), Yi Hoegwang(1862-1933), clergy from the Wŏnjong and Sōtōshū, and colonial government officials-are portrayed in historiographies as villains. But the politicized narrative of the alliance has neglected two crucial points among others. First, behind Yi and Takeda was a bilingual Korean monk named Kim Yŏnggi(1878-?) who played a key role in this movement. Second, the Sōtōshū was not enthusiastic about the alliance, which, thirdly, reveals that Takeda’s vision for the alliance was at odds with that of the heads of his sect. This article draws upon these two findings in overlooked primary sources-about the influential players, the Japanese and Korean sects’ conflicted motives, and the governments’ responses-to draw out the complex power relationships and discourses surrounding the attempted alliance.

      • 절제 불가능한 4기 위암에서 예방적 위 공장 우회술의 의의

        김환수,종석,종한,목영재,박성수,박성흠,장유진,승주,Kim, Hwan-Soo,Kim, Chong-Suk,Kim, Jong-Han,Mok, Young-Jae,Park, Sung-Soo,Park, Seong-Heum,Jang, You-Jin,Kim, Seung-Joo 대한위암학회 2009 대한위암학회지 Vol.9 No.4

        목적: 진행성 위암 중 수술 소견에서 복강 내 원격전이가 존재하거나 주위 장기에 침윤이 심하여 절제가 불가능한 경우에 위 배출구 폐색을 동반하지 않더라도 예방적 위공장 우회술을 시행하는 경우가 있어, 단순 개복술 시행과 비교하여 그 의의를 알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4년부터 2007년까지 고려대학교 의료원에서 수술을 시행 받은 진행성 위암 환자 중 위 배출구 폐색이 없고 절제 불가능한 4기 위암 환자 167예를 대상으로, 후향적 방법을 이용하여 임상병리학적 특성 및 치료성적, 그리고 예후 인자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위 공장 우회술을 시행과 단순 개복술 시행을 비교한 결과, 나이, 성별, 간 전이 여부, 술 후 재원일, 재입원 횟수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없었지만, 병소의 위치(P$\leq$0.014), 복막 파종(P=0.001)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예후 인자 분석에서는 위 공장 우회술을 시행한 군의 생존기간이 1~35.7개월(6.3개월), 시행하지 않은 군이 1~33.4개월(median 4.3개월)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031), 복막전이가 있는 경우 1~31.0개월(median 3.4개월), 없는 경우 1~33.3개월(median 5.8개월)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다변량 분석을 통한 독립적 예후 인자로는 복막 전이 여부만이 의미가 있었다(P=0.002). 결론: 절제 불가능한 4기 위암 환자에서 폐색 증상이 없는 경우, 예방적 위 공장 우회술은 생존기간의 연장에서 큰 의의를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ignificance of palliative gastrojejunostomy for treating patients with unresectable stage IV gastric cancer, and as compared with laparotomy for treating patients with incurable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studied 167 patients who could not undergo resection without obstruction at Korea University Hospital from 1984 to 2007. They we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that underwent palliative gastrojejnostomy (the bypass group, n=62) and one that underwent explo-laparotomy (the O&C group, n=105), and the clinical data and operative outcomes were compared according to the groups. Results: For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age, gender and liver metastasis between the bypass group and the explo-laparotomy group,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t for the presence of peritoneal metastasis (P=0.001).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for the postoperative mortality and morbidity. For the postoperative outcomes, the duration of the hospital stay (29.25 vs 16.67) and the frequency of re-admission were not different, but the median overall survival (4.3 months vs. 3.4 months, respectively)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multivariate analysis, the presence of peritoneal metastasis was identified as the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 for incurable gastric cancer. Conclusion: A prophylactic bypass procedure is not effectiv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prolonging the life expectancy of unresectable stage IV gastric cancer patients without obstruction.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