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영재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영재교육 인식의 차이

        류지영 韓國英才學會 2007 영재교육연구 Vol.17 No.3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교 시절에 영재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대학생들은 영재교육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으며, 이들의 생각은 영재교육을 받지 않은 대학생들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영재교육 유경험 대학생 172명과 영재교육 무경험 대학생 134명을 대상으로 영재교육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영재교육 실시에 대한 태도를 알아보았다. 영재성 발현에 대한 교육의 영향에 대해 대다수의 대학생들은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나, 영재교육 유경험 대학생이 영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고 있었다. 영재교육 무경험 대학생은 조기 영재교육과 특별활동 방식의 영재교육을 선호하였고, 영재교육 유경험 대학생은 초등학교 고학년에서의 영재교육 실시와 수준별 수업 분반의 영재교육을 선호하였다. 이외에도 두 집단은 영재교사의 자격과 영재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서로 다른 시각을 보여주었다. 영재교육 경험 여부에 따른 영재교육의 인식과 태도에 관한 본 연구는 효과적이고 의미 있는 영재교육이 될 수 있도록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college students, who were enrolled in gifted programs during their school days understand gifted education and related issues. The results are compared with those from college students who have not experienced any programs of gifted education. To achieve these goals, 172 colleg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programs of gifted education, "gifted college students", and 134 college students who had not experienced any programs of gifted education, "regular college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ost of the participants agreed to educational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giftedness, but gifted college students considered the necessity of gifted education more seriously than regular college students. While regular college students preferred early gifted education and after-school gifted programs, gifted college students put more weights on gifted education for higher graders(e.g, the one at and after 4th graders) and ability-based, differentiated classes. In addition, these two groups showed different perspectives on requirements of teachers for gifted programs and problems on gifted education. This study on gifted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and attitude on gifted education provides practical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and meaningful gifted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진경산수화의 사상과 해석에 관한 연구 - 미술 감상교육을 위한 시좌 -

        류지영 한국문화교육학회 2019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4 No.5

        In the 18th century, There are new changes in painting in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Jinkyung(眞景) landscape paintings by Jeong Seon(鄭敾) and other painters took the lead in changing the times and has a significant influence in the art history of the Joseon Dynasty. Jinkyung landscape paintings is an attempt to create its own in the context of Shilgyeong(real life) landscape paintings, away from imitating Chinese painting under the influence of China. In this study, I have considered the ideological features and viewpoints of Jinkyung landscape paintings in Jeong Seon by referring to the studies on oriental landscape paintings so far. As a result in this study, it was confirmed that a variety of issues existed around the meaning and concept of the term, the ideological background, and the cause of the occurrence. with the reasons for various interpretations and perspectives of Jinkyung landscape paintings. And I tried concrete works-oriented analyses, looking at the characteristics of Jinkyung landscape paintings and its original expressions as basic studies for art appreciation. 18세기 조선에서 회화의 새로운 변화는 뚜렷하게 나타났다. 특히 정선과 다른 화가들에 의한진경산수화가 18세기 회화에서 큰 역할을 담당하며 시대의 변화에 앞장서게 되었다. 진경산수는중국의 영향을 받아 중국산수를 모방하던 것에서 벗어나 실경산수의 맥락 속에서 나름대로 독창적인 것을 만들어내려는 시도로서, 이후 산수화의 흐름에 크게 영향을 주어왔다. 조선시대 회화사에서만이 아니라 특히 자신의 정체성의 문제가 중시되는 현재, 전통미술의 교육과 관련해서도 진경산수화의 중요성은 크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의 진경산수화에 관한 연구들을 참조하여 정선의 진경산수화에 대한 사상적 특징과 자연관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진경산수의용어의 의미와 개념, 사상적 배경, 발생원인 등을 둘러싸고 다양한 쟁점이 존재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쟁점들에 대해 살펴보면서 진경산수화에 대한 다양한 해석과 관점의 근거들을 찾아보고 구체적인 작품 중심의 분석을 시도하면서 미술 감상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진경산수의 특징과 독창적 표현을 살펴보았다.

      • KCI등재

        미술 감상교육에서의 ‘능력’. 포스트모더니즘형 능력의 감상교육에 대한 시좌

        류지영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造形敎育 Vol.0 No.60

        This study is to consider about ‘competence’ of 2015 National Art curriculum in Korea, especially as object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e National Art Curriculum and Art appreciation Education reflect the content and objectiv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At the same time, it is also necessary to consider about Reflectiveness-It means the critical thinking-, as key competence of DeSeCo Project. The research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essence of art education and art appreciation education should reflect thinking ability, as like as education. 2. The competencies of communication, thinking, culture could be utilized with the structure of education in aspects of cognitive & meta-cognitive, materials utilized, the expression of learning, and learning content in art appreciation education. 3. Art appreciation education is to support the whole concept of learning. Through competencies of communication, critical thinking and culture in art appreciation, every learners explore Art world individually, create a meaning and recognition by the inner conversations, make reflective thinking and conversation in social communication, constitute the meaning of the language collectively. This enables the practice of key competence required by the DeSeCo Project. The competency is important to the approach in the need for knowledge, technic and methods in Education because we can provide a reflective questions about the meaning of Art education and learning.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역량 개념을 중심으로 개정되었다. 지금까지의 미술교육 역시 ‘사고력’이나 ‘판단력’, ‘표현력’이나 ‘조형력’ 등을 육성해 왔으며 실제 로는 교육과정에서 말하는 ‘핵심역량’의 이론이나 개념을 이미 다루고 실현해 왔다. 그러나 급변하는 상황에서 미술교육이 교과로서 특히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되는 혁신이나 문제 해결을 위한 자질과 능력 육성에 필수적인 교과라는 것을 보다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역량 중심의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은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중점적으로 도입된 개념으로서 교육을 비롯하여 사회전반에서 능력이 중시되어 온 것과 관련된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미술 감상교육에서의 ‘능력’에 대해 포스트모더니즘 관점에서 그 문제점과 내용, 적용 방안, 과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감상교육은 학습 전체가 능력 개념을 지지한다. 소통력, 사고력, 문화력을 통해 학습자 각자가 미술의 세계를 탐구하고 내적 대화에 의해 의미를 만들고 인식하며 반성적으로 사고하여 대화라는 사회적 커뮤니케이션에 의해 언어를 매개로 집단적으로 의미를 구성하는 경험은 DeSeCo에서 요구하는 핵심역량인 ‘도구의 상호작용적 사용’, ‘이질적 집단에서의 교류’, ‘자율적 활동’, 나아가 핵심역량의 심장인 ‘사고-반성성’의 실현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포스트모더니즘형 능력의 관점에서 감상교육에 대한 인식, 이와 동시에 학습자의 감상 능력 향상을 가능하게 하는 교사의 실천 역량이 요구된다.

      • 「교육적 플랫폼으로서의 참여 미술관」발표에 대한 토론문 2

        류지영 한국조형교육학회 2017 한국조형교육학회 학술대회지 Vol.2017 No.-

        기조발표 ‘교육적 플랫폼으로서의 참여 미술관’은 교육적 관점에서 변모되는 미술 관의 새로운 역할을 보여주며 이에 대해 기대하게 하는 시의적절한 발표이다. 비록 실천의 한 범주로서 미술관 감상 개념이 여전히 유동적이라는 시각이 있더라도 발 표자의 지적대로 미술관을 둘러싼 외적 내적 환경의 변화로 인한 창의 공간으로서 플랫폼, 매개라는 미술관의 새로운 성격은 창조자로서의 감상자, 그리고 이를 위한 미술관의 역할과 인식에 대한 문제 제기를 가능하게 해 왔다.

      • 미술교육에서의 ‘능력’ -포스트모더니즘형 능력의 감상교육에 대한 시좌-

        류지영 한국조형교육학회 2016 한국조형교육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

        2015 개정 교육과정이 ‘창의 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역량 개념을 중심으로 개정되었다. 지금까지 의 미술교육 역시 ‘사고력’이나 ‘판단력’, ‘표현력’이나 ‘조형력’ 등을 육성해 왔으며 실제로는 교육과정 에서 말하는 ‘핵심역량’의 이론이나 개념을 이미 다루고 실현해 왔다. 그러나 급변하는 상황에서 미술 교육이 교과로서 특히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요구되는 혁신이나 문제 해결을 위한 자질과 능력 육 성에 필수적인 교과라는 것을 보다 명확하게 할 필요가 있다. 역량 중심의 미술과 교육과정 개정은 포 스트모더니즘 이후 중점적으로 도입된 개념으로서 교육을 비롯하여 사회전반에서 능력이 중시되어 온 것과 관련된다. 교육에서의 능력, ‘힘’이 과거의 학력(學力- 學歷) 개념이 아니라 다른 능력으로 요 구되어온 것이다. 학교에서 길러지는 ‘힘’이 종래의 ‘학력’으로는 포용할 수 없는 범위까지 확장되었고 이는 지식기반사회, 평생학습사회 등 포스트모더니즘의 현대 사회에서 요구되는 ‘힘’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의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21세기 이후에 학교교육에서 요구되는 새로운 능력을, 기 존의 능력이나 학력 개념과 구별되는 ‘포스트모더니즘형 능력’으로 정의한다.

      • KCI등재후보

        한국사회 정치균열의 변화 : 2005년, 2010년 및 2015년 조사결과 비교

        류지영,윤광일 중앙선거관리위원회 2018 『選擧硏究』 Vol.1 No.9

        This paper aim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acro-level approaches focusing on party system or the stability of the democratic system in the literature on political cleavage research. It attempts to identify the implications of political cleavage at the micro-level, focusing on the individual’s party support, political ideology, and policy preferences by taking advantage of nationally representative voter survey collected every five years from 2005 to 2015. Specifically, the study empirically identified changes in the regional cleavage that has defined Korean politics as the full-cleavage, the concept of which is developed by Bartolini and Mair and later elaborated on by Deegan-Krause. The study finds that the regional cleavage, which has defined Korean politics as the only full cleavage after democratization, has been basically maintained in terms of political attitudes and identity. Honam natives are more likely to consider themselves more progressive than Youngnam natives. Honam and Youngnam natives strongly prefer the party that has been exclusively supported in each region. In addition, they each strongly support policies—such as policies toward North Korea—that have been deeply linked to their regional party. However, the most recent survey shows that support for regional parties is weaker than before and political preferences begins to diverge among Daegu/Kyungpook and Busan/Ulsan/Kyungnam natives. We may infer that the regional cleavage as full cleavage is likely to evolve based on new structure and institution. The relatively low cross-pressure scores and solid policy preferences associated regional party among Honam and Daegu/Kyungpook natives seem to support this conjecture. 이 글에서는 정당 체계 형성과 민주주의 체제 안정성에 초점을 둔 기존 균열 연구의 거시적접근 편향의 한계를 극복하고 정당, 정치이데올로기, 그리고 정책선호 등을 중심으로 개인 수준의 균열에 대한 함의를 파악하고자 했다. 구체적으로 이 글에서는 바르톨리니와 마이어와 디건-크라우스의 구조-태도-조직을 핵심 요소로 하는 완전한 균열 개념을 원용하여 민주화 이후한국 정치를 규정해 온 완전한 균열인 지역균열의 변화 여부를 2005년부터 2015년까지 5년단위로 세 차례에 걸쳐 수집한 대표성 있는 유권자 설문 자료를 이용하여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 민주화 이후 유일한 완전한 균열로서 한국 정치를 규정해 온 지역균열은 개인수준의 태도와 정체성 측면에서 기본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호남 출신은 영남출신에 비해 자신을 진보적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영호남 출신 모두 각 지역에서 배타적 지지를받아 온 정당에 매우 높은 지지를 보내고 있으며, 각 지역정당과 한국적 상황에서 정치이데올로기와 깊이 연계되어 있는 정책에 서로 다른 방향으로 선호를 드러내고 있다. 다만, 가장 최근조사에서는 이전에 비해 지역정당에 대한 지지가 약화되고 있으며, 대구/경북과 부산/울산/경남출신의 정당 및 정치적 선호의 분화도 일어나고 있다는 점에서 완전한 균열로서 지역균열이 새로운 구조와 조직에 기반 한 형태로 변화하고 있는 중일 가능성도 있다. 호남과 대구/경북 출신이 겪는 교차압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과 이들의 지역정당 및 연계 정책에 대한 지지가 상대적으로 견고하다는 점은 이 같은 추론을 뒷받침한다.

      • KCI등재

        미술교육에서의 ‘빅 아이디어’ 설정과 가능성 탐색 - TETAC의 ‘영속적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

        류지영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0 미술교육연구논총 Vol.6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art class plan based on the concept of 'big idea' in art education and analyze it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lass design. In the process, I look at the significance of the concept of epistemological integration and the fundamental view of the teaching that embodies the purpose of the big idea, focusing on the concept of enduring ideas by the TETAC project in the U.S. Examples and possibilities in teacher education are explored through enduring ideas and examples of class design. Through the concept of enduring understanding in the national and state core art standards of the United States based on the concept of enduring ideas, I look at the applicability of the big idea concept in the curriculum. As a curriculum education, I explore ways to set up big ideas for reviewing the purpose and contents of art education and explore the significance of art and its application in class design. 본 연구는 미술교육에서 ‘빅 아이디어’ 개념을 중심으로 미술과 교육과정 설정 방안을 탐색하고 이를 분석하여 수업설계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 과정에서 미국의 TETAC 프로젝트에서 다루는 영속적 아이디어 개념을 중심으로 간학문적 통합 개념 및 빅 아이디어의 취지를 살리는 교과의 근본적 관점으로서의 의의를 살펴보고, 영속적 아이디어 및 수업 설계의 예시를 통하여 교사교육에서의 사례와 가능성을 살펴본다. 영속적 아이디어 개념을 바탕으로 하는 미국의 국가 및 주 핵심 예술 표준에서의 영속적 이해 개념을 통해 교육과정에서의 빅 아이디어 개념의 적용 가능성, 교과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의 관점 및 방향성 재검토를 위한 빅 아이디어 방안을 탐색하고 이를 통해 미술과 수업설계에서의 적용 방안과 가능성을 모색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미술교육에서 빅 아이디어의 구현에 의한 교육 연구의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KCI등재

        초등 예비교사의 동시대 미술 감상 역량을 위한 미술관 경험 연구

        류지영,장연자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3 미술교육연구논총 Vol.72 No.-

        This study aims to strengthen art education as a subject of schools with the aim of improving school art education. In particular, the experience and competency of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are emphasized for human understanding living in the present. To this end,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xperience of art museums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competency of elementary school preliminary teachers to appreciate contemporary art. By examining the results, the direction of contemporary art appreciation and art education is presented. In the consideration of elementary school preliminary teachers, it can be seen that contemporary art has a common perception that individual expressions cannot be alienated from society and focuses on communicating with the audience and society while converging across various fields. And it was found that the museum experience is an essential process for cultivating the cultural sensitivity, convergent thinking ability, creative media use, and the ability to explore social issues of elementary school preliminary teachers to contemporary art. Through the experience study of elementary school preliminary teachers, it is expected that positive effects for the revitalization of school art education in the future. 본 연구는 한국 미술교육 활성화를 위한 거시적 관점에서 학교의 예술교육 강화에 기여하고자, 특히 현재를 살아가는 인간 이해를 위해 동시대 미술 감상 경험과 능력을 중시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의 동시대 미술 감상 역량의 향상을 목적으로 미술관 경험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미술관 관람 경험에 대한 실증적이며 실천적 관점의 연구로서 초등 예비교사의 미술관 경험을 조사하고 그 결과를 고찰하여 동시대 미술 감상 및 미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초등 예비교사들의 고찰에서 동시대 미술은 다원주의적 패러다임 및 사회문제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문제 의식, 예술가의 사회 참여를 공유한다는 것, 새로운 시각과 생각의 힘을 길러 미래 세대를 가르칠 예비 교사 교육에서 중요하게 인식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미술관 경험은 동시대 미술의 사회 참여적 성격의 인식과 융합적 접근의 가능성, 스스로 예술가가 되는 창의적 경험 등 공감각적이고 창의적 사고, 문화적 감성과 역량을 함양하는데 필수적인 과정으로서,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초등 예비교사의 경험 연구를 통해 향후 학교 미술교육 활성화를 위하여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 KCI등재

        소외계층 잠재적 과학영재를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

        류지영,김미진 韓國英才學會 2017 영재교육연구 Vol.27 No.4

        This study describes the educational effects of an academic mentoring program for economically disadvantaged, potentially gifted students in science.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89 students, grade 7 to grade 9 who had been referred by their teachers as potentially gifted in mathematics and sciences. These students participated to 3 days science camp, and 4 hours academic mentoring program every other weekends over 5 months. To find out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mentoring program, the students’ self-esteem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were examined by pre- and post-test. Students show improvement in self-esteem and attitude toward science with statistically significance. Especially 8th grade female and 9th grade male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in self-esteem. All students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attitudes toward sciences after the program. We concluded that this mentoring program had educational effects on students’ self-esteem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science. Recommended practices were suggested in discussion. 소외계층 잠재적 과학영재는 영재성을 발휘할 기회를 갖지 못했거나, 영재선발에서 불리한 지위에 놓여진 집단 중 과학에 재능과 잠재성을 지닌 학생들을 일컫는다. 본 연구는 소외계층 잠재적 과학영재들을 위한 교육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89명의 소외계층 잠재적 영재들을 선발하여, 5개월간 3일간의 융합과학 캠프 프로그램과 13번의 학습멘토링을 실시하였다. 교육프로그램실시 사전과 사후에 자아존중감 검사와 과학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실시하여 차이를 비교한 결과, 모든 학생들 집단에서 자아존중감과 과학에 대한 태도가 교육 프로그램 실시후에 상승하였다. 특히 중학교 2학년 여학생과 3학년 남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많이 상승하였다. 과학에 대한 태도에서는 남학생과 여학생 집단 및 모든 중학교 학년에서 긍정적으로 상승하여, 본 교육 프로그램은 소외계층 잠재 과학영재들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으로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소외계층 영재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지원과 연구, 교육프로그램의 조기 중재, 소외계층 학생들을 위한 정의적, 사회적 지원 및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