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1823년 풍덕부·개성부 합병과 현실비판가사 「숭양별곡(崧陽別曲)」
김아연 ( Kim A-yun ) 한민족어문학회 2020 韓民族語文學 Vol.0 No.90
「숭양별곡(崧陽別曲)」의 창작 배경, 작품 성격을 구명하는 이 글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작자 미상의 「숭양별곡」은 표면상 숭양(崧陽), 곧 개성(開城) 유람을 재현한 기행가사, 개성 성균관 유생과 자하동(紫霞洞)·채하동(彩霞洞) 선비에게 입신양명(立身揚名)을 위해 학문을 권장한 권학가사를 표방한다. 하지만 「숭양별곡」은 1823년(순조 23) 7월 25일 개성부(開城府) 예산을 보용하기 위한 풍덕부(豐德府)·개성부(開城府) 합병, 여기에서 파생된 사건인 1824년(순조 24) 2월 풍덕향교(豐德鄕校) 철폐를 배경으로 하며, 풍덕부·개성부 합병을 주도한 영의정 남공철(南公轍), 개성유수 김이재(金履載)를 비판한 19세기 현실비판가사이다. 「숭양별곡」의 이러한 독특한 성격은 넓게는 사유(士儒), 좁게는 풍덕향교 복설운동 참여 유생(儒生)으로 추정되는 작자의 정치 참여의식, 비판의식 및 작자가 전면에 나설 수 없었던 정치적·사회적 분위기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reation background and the nature of Sungyangbyeolgok.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genre of Sungyangbyeolgok without any known author is like Travel Gasa and Education Gasa on the surface, it compose about experience Sungyang(the old name for ‘Gaeseong’) travel and encourage learning for achieving fame and prestige to student of Confucianism at Gaeseong Seonggyun-gwan Academy and Confucian Scholar at Jaha-dong and Chaha-dong. But it is set in the time of a merger between Poongdeok-bu and Gaeseong-bu(1823) to replenish Gaeseong-bu’s budget and abolition of Poongdeok Confucian School(1824), criticizes prime minister Nam, Gong-cheol and the Gaeseong governor Kim, Yi-jae who led the merger of Poongdeok-bu and Gaeseong-bu as a 19th century Critical Gasa. This unique nature of it is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riticism of the author, which is believed to be a Confucian Scholar or a student of Confucianism who participated in the Rebuilding Movement of Poongdeok Confucian School.
문학치료적 관점에서 살펴본 『모하당슐회(述懷)』의 자기서사 양상과 자기치유적 성격
김아연(Kim, A-yun)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7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0
『모하당슐회(述懷)』는 임진왜란 개전 초기에 투항한 항왜 사야가 김충선(金忠善, 1571~1642)이 70세에 자신의 삶을 반추하기 위해 지은 자전적 서사가사이다. 이 글은 모하당슐회 를 문학치료적 관점에서 고찰하기 위해 『모하당슐회』의 자기서사 양상과 자기치유적 성격을 분석하였다. 이 글의 요지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모하당슐회』의 자기서사는 제1단 ‘상처1 들추어내기’, 제2단 ‘상처1 덮기’, 제3단 ‘상처2 들추어내기’, 제4단 ‘대안 모색하기’, 제5단 ‘상처1 다시 들추어내기와 치유하기’ 등 전체 5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처1은 서술자 ‘김충선’이 모하의 뜻에 전일하기 위해 고국 및 고국 가족과의 이별한 데서 기인한 심리적 상처이고, 상처2는 서술자 ‘김충선’이 병자호란에 의한 소중하의 상실에서 기인한 심리적 상처이다. 이처럼 『모하당슐회』 는 5단 구성을 통해 서술자 ‘김충선’이 내면화된 상처, 고뇌, 치유 과정을 통합적으로 재현하는 자기치유의 서사이다. 둘째,『모하당슐회』의 자기치유적 성격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모하당슐회』는 스스로를 위로하고 모하의 뜻을 강화시켜 서술자 ‘김충선’의 상처1, 2를 치유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모하당슐회』는 서술자 ‘김충선’으로 하여금 가훈을 모색하고 후손과 더불어 가훈을 실천하면서 여생을 보낼 것을 계획하게 함으로써 상처2를 극복하는 대안을 마련하게 한다. Kim, Chung-seon(金忠善), a Japanese Surrendered General Sayaka (沙也加及沙也可) composed Mohadangsulhoe(慕夏堂述懷) in Late Chosun Dynasty Period. Mohadangsulhoe is self-narrative Gasa(歌辭)- Gasa is one of the traditional Korean Poetry Genre. This paper has found that aspect and nature of self-healing narrative in Mohadangsulhoe.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ly, this paper has analyzed that Mohadangsulhoe is composed of 5 paragraphs; Disclosing a Scar 1(paragraph 1), Covering up a Scar 1(paragraph 2), Disclosing a Scar 2(paragraph 3), Finding an alternative(paragraph 4), and Reopening a Scar 1 and Healing(paragraph 5). A Scar 1 is caused by farewelling to his family and the native land for Moha(慕夏). Moha means admiration for Sinocentrism(中夏), and is an aim of Kim, Chung-seon’s life. A Scar 2 is from Minor Sinocentrism(小中夏) ruin. Thus, this paper has concluded that Mohadangsulhoe is self-narrative for self-healing, and represents Kim, Chung-seon’s scars, anguish and the healing process. Secondly, this paper has explored nature of self-healing Narrative in Mohadangsulhoe. Mohadangsulhoe is self-narrative for healing scars and emphasizing Moha. Meanwhile, Mohadangsulhoe suggests family motto as an alternative, Kim, Chung-seon tried to practice family motto with descendant and found his new look as a country aristocrat in Wurokdong(友鹿洞).
일반논문 : <대한매일신보> 철도가사와 철도의 표상 -식민지 근대의 표상으로서 철도에 대한 매혹과 부정의 관점에서-
김아연 ( A Yun Kim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4 人文科學 Vol.0 No.55
한국 철도문학의 계보학적 측면에서 접근한 본고는, 개화기에 철도를 논평하는 시평가사(이하 철도가사)가 철도문학의 한 유형임을 밝혔다. 이를 토대로 본고는 철도의 이중성, 곧 철도의 매혹과 부정의 표상을 재현한 <대한매일신보>(이하 <신보>) 철도가사를 다음과 같이 고찰하였다. 먼저, <신보> 철도가사가 근대 문물인 철도의 매혹적 표상을 통해 대중집단의 근대적 경험, 개화·자강·개혁을 위한 각성의 소리와 추진력, 개화·자강·개혁이 실현될 유토피아를 제시하였음을 고찰하였다. 그리하여 철도가 20세기 초 한국인을 근대화된 이상 세계로 인도하는 선각자를 상징임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인의 애환을 담보로 건설된 철도가 일제, 약탈자, 폭력, 공포 및 일제가 건설한 디스토피아 등 철도의 부정적표상을 상징하고 있음을 규명하였다. 철도의 이러한 부정적 표상을 통해식민지 근대에 철도가 한국인과 일본인을 태우고 디스토피아로 폭주하는 일제를 상징하고 있음을 결론 내렸다. 본고는 이상의 논의를 토대로 <신보> 철도가사의 작자인 <신보> 집필진이 철도의 이중적 표상을 활용하여 당대의 현실을 대중 독자에게 이해시키고, 대중 독자와 미래를 모색하며, 일제의 침략 야욕을 폭로하는 공적 효과를 획득하고자 하였음을 짐작했다. 이로써 본고는 철도가사가 개화기에 정치적 지평을 개척, 확장시키고, <신보> 집필진과 대중 독자가 소통할 수 있는 통로를 구축하는 데 일조하였음을 알았다. Having approached the genre of “Railroad Literature” in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genealogy, this paper has found that the comments on current topics in the form of Gasa are one form of railroad literature. Based on that, this paper has examined Railroad Gasa dealt with at The Korea Daily News (Daehan Maeil Sinbo; founded in 1904), which reported the two faces of railroads and featured both the attraction and the negative aspects of railroads. First, this paper has figured out that Railroad Gasa, as the product of modern civilization, represented the voices of the people calling for awakening of modernist experiences, enlightenment, self-cultivation, and reform on one hand, and idealized the establishment of the Utopia where enlightenment, self-cultivation, and reform are realized on the other. Those Gasa said that, by making use of their fascinating features, railroads symbolize a trail-blazer that could lead the Korean people to the Utopia in the early 20th century. Next, the Gasa also suggested that railroads - having been built at the sacrifice of the joys and sorrows of the Korean people - symbolize a negative representation including Japanese colonialism, plunderers, violation, fear, and the Dystopia built by the Japanese aggressors. Based on the debates, this paper has concluded that the editorial writers of The Korea Daily News attempted to produce the public effect of making the general readers understand the reality of the period, seeking for the future with the public readers, and finally, disclosing the aggression of the Japanese colonialists by making use of the two faces of railroads. This paper, therefore, has found that Railroad Gasa helped cultivate and expand the political realms during the enlightenment period and that the writers of The Korea Daily News played a role of establishing a course through which they could communicate with the general readers.
형태주석 코퍼스 구축을 활용한 『대한매일신보』 시평가사의 키워드 추출과 분석 - 1907년 국문판을 중심으로 -
김아연 ( Kim¸ A-yun ) 호남사학회 2020 역사학연구 Vol.78 No.-
As The big talking point in recently is Big Data, it has one of those major movements to expend Traditional Humanities, Digital Humanities has come to the fore. This paper is to analyze Korean words for The Comment Gasa of The Korea Daily News(KDN, Daehan Maeil Sinbo; founded in 1904) published in 1907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Humanities.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is paper has substituted modern languages for archaic word, was extracted keywords based on simple appearance frequency of proper noun and common noun throughout morphologically analysis. And then, the keywords are extracted from Morphologically Annotated Corpus, a collection of 142 The Comment Gasas of KDN published in 1907. This paper has analyzed the top 30 keywords for 4 topics and the year 1907. Thus, this paper has explored ‘Japanese(日本人)’ as the most talked-about and important keyword of 1907. And along the top ranks were keywords such as ‘county governor(郡守)’, ‘the public(人民)’, ‘the cabinet(內閣)’ and ‘nation(國家).’ ‘Japanese(日本人)’ had always been intense interest of KDN that it put emphasis on anti- Japan. ‘county governor(郡守)’, ‘the public(人民)’, ‘the cabinet(內閣)’ and ‘nation(國家)’ were objects of reformations and strenuous efforts as the basis for nationhood, and discussing issues of common interest to editors and readers of KDN. Meanwhile, this paper has looking for 4 utilizations of keywords; providing Web services,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archetype, special exhibitions documents, motives of fashion design, motives of product design, linguistic sources of the compilations of the dictionar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김아연 ( Kim A-yun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7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0
『제국신문』에는 철도 소재 시가 7편이 게재되어 있다. 1903년에 발표된 2편, 1906년에 게시된 5편이 그것이다. 이 글은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의 내용을 발표 시기별로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먼저, 1903년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러일 전쟁(1904 1905) 이전에 열강들이 대한제국 철도부설권을 경쟁적으로 침탈하려던 정황을 형상화하고, 경의철도부설권을 수호 하려는 대한제국 정부와 민간의 의지를 담고 있다. 다음으로, 1906년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한일의정서(1904), 을사늑약(1905) 이후 일본이 대한제국의 철도부설권을 독점 했고, 철도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을 철저하게 배제했으며, 역세권의 이점에 주목하여 용산에 일본인 거주지를 구축한 상황을 재현한 한편, 기적 소리를 청각적 심상으로 활용하여 독자에게 계몽의식의 각성을 촉구하고 있다. 한편, 이 글은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의 의의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조명했다. 첫째,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시대의 흐름과 요구에 맞춰 시가가 변모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둘째,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신문 매체를 통해 대한제국의 철도부설권 및 국가의 자주성 되찾기 여론을 형성하는 새로운 글쓰기 방식이다. 셋째, 한국 철도문학의 계보학적 측면에서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대한매일신보』 철도 소재 시평가사에 선행하며 1907년부터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이전에 발표된 『대한매일신보』 철도 소재 시평가사와 상호보완 관계를 맺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한 결과, 이 글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러일 전쟁 발발 전후 대한제국의 정세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이에 따라 외세의 철도부설권 침탈이 국제적·정치적·사회적으로 민감한 문제였음을 말해 준다. 둘째, 『제국신문』철도 소재 시가는 전통 시가의 형식 위에 철도 담론을 공적 영역으로 이끌어냈고 이 계보를 『대한매일신보』철도 소재 시평가사가 계승함으로써, 근대에 전통 시가의 형식이 철도 담론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유효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mment poetry on current topics of railway in Jekuk Sinmun(founded in 1898). The two of them were composed in 1903, and the five were published in 1906. The contents of poetri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ormer represented events in Korea railway history which the powers competed over the railway concession of Korea Empire before the Russo-Japanese War. Secondary, the latter were a realistic depiction of events happened after signing the Japan-Korea Treaty of 1904 and 1905. At that time, Japanese Imperialism monopolized the railway concession of Korea Empire. Meanwhile, 1 poetry of them needed the awakening enlightened consciousness to readers. Based on that, this paper has analyzed the significances of Jekuk Sinmun`s railway poetries. These poetries have shown the changing aspects along with the flow of time, are a new writing to regain railway concession and national independence of Korean Empire through the newspaper, and complement Daehan Maeil Sinbo`s railway gasa composed in 1907, 1908, 1909 and 1910 on genre of Railway Literature in Korea. This paper, therefore, has drawn conclusions from the discussion described above. These poetries have shown a few things: Affairs of Korea Empire was changed at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powers competed over the railway concession of Korea Empire was a internationally, politically and socially sensitive issue. In addition, the form of poetry was a medium through which to transfer discussion of railway the modern.
소고당 고단 <88올림픽찬가(讚歌)>의 내용과 작가의식
김아연 ( Kim A-yun ) 한국시가문화학회 202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 No.48
소고당(紹古堂) 고단(高端, 1922~2009)은 제24회 서울 올림픽 경기대회(Games of the XXIV Olympiad Seoul 1988, 이하 88올림픽)를 소재로 하여, 1988년 가을에 172행 분량의 가사 <88올림픽찬가(讚歌)>를 지었다. 이에 <88올림픽찬가>는 시기상 현대가사, 작가상 여성가사, 내용상 행사가사, 분량상 장편가사에 해당한다. <88올림픽찬가>의 내용은 88올림픽의 기본 이념, 참가 규모, 서울 유치, 준비 과정, 개회식, 경기 결과, 에피소드, 이슈, 폐회식, 성과 및 제25회 바르셀로나 올림픽 대비에 대한 의지로 파악된다. <88올림픽찬가>의 작가의식은 사실 지향적 기록의식, 국제화 의식 및 세계시민 의식, 민족의식 및 남북통일에의 염원, 국가주의 세계관 등 네 가지로 대별된다. Sogodang Godan(高端, 1922~2009) composed on The 1988 Olympic Games Anthem, Games of the XXIV Olympiad Seoul 1988(The 1988 Olympic Games) in the fall of 1988, 172 lines of Gasa < The 1988 Olympic Games Anthem >. Accordingly, it is a Modern Gasa in terms of time, Women’s Gasa in terms of author, Event Gasa in terms of content, and long-length Gasa in terms of volume. It has represented the basic ideology of the 1988 Olympic Games, the scale of participation in the Olympic Games, Seoul’s bid to host the 1988 Olympic Games, preparation process, opening ceremony, first half game results, episodes, issues, closing ceremony, achievements of the 1988 Olympic Games and preparation for the 25th Barcelona Olympics understood as a will. The author's consciousness of it can be divided into four main categories: fact-oriented recording consciousness,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 citizenship, national consciousness and aspiration for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pride in the success of the 1988 Olympic Games.
공동주택단지 실외놀이환경을 주제로 한 어린이 참여디자인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김아연(Kim, Ah-Yeon),조한별(Jo, Han-byul) 한국도시설계학회 2014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5 No.4
어린이의 발달에 있어 주거환경과 어린이의 상호작용은 매우 중요하다. 우리나라의 지배적인 주거유형이 아파트로 변화하고 있지만, 성인 중심의 단지계획 관행 속에서 어린이들을 주거환경계획의 주체로 인정하기란 쉽지 않은 일이다. 본 연구는 아파트 단지의 입주자 그룹 중 유치원생을 대상으로 주거 및 놀이 환경에 대한 유아들의 인지와 요구사항을 파악할 수 있는 참여디자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적용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아들의 환경에 대한 인지가 일반적인 공간에서 구체적인 장소로 변화하기 시작했으며, 다양한 성격의 오픈스페이스가 연계되고 구조화되어있지 않은 열린 공간을 선호하였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또한 생활환경 속의 놀이공간을 디자인하는 프로그램은 유아들에게 다양하고 균형있는 발달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공동주택단지 전체를 어린이의 관점에서 재조명해야하며 시설물 위주의 어린이 놀이터에 대한 중대한 태도 변화가 필요하다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린이들은 더 이상 환경의 수동적인 소비자가 아니라 환경을 주체적으로 인지하고 재구성하는 능동적 이용자이자 생산자로 변화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주거단지 내의 생활환경을 직접 디자인하는 참여 프로그램은 어린이의 신체적, 정서적, 인지적, 언어적, 사회적 발달을 촉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경험은 성인으로 자라는 과정 속에서 자아의 정체성과 커뮤니티의 소속감을 형성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The interaction between children and their neighborhood environments is very important in their early childhood development. Children are the foremost user group in apartment complexes, but they are not considered to be stakeholders in planning and managing their own environments. Through a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with five-year-old kindergarten children, this study tries to find out how children perceive their neighborhood environment and the changes they want to make. There are three major findings in terms of the cognitive changes about their neighborhood, their preferred spaces, and the developmental aspect of participation. Findings from the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have two implications: a planning and design aspect and a pedagogical aspect. The engagement in a participatory design program can help children empower themselves as significant users and constructors of the environment. The design experiences can also help children recover and reconstruct the meaning of home and neighborhood in their childhood, and provide a platform on which to form individual identities as well as a sense of belonging to a community.
국민안전교육 훈련 증진을 위한 재난안전체험관 활성화 방안
김아연 ( Kim A Yeon ) 한국정책연구원 2017 한국정책논집 Vol.17 No.-
Education and training is the immediate activity for response to disaster and for minimizing the secondary damag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Disaster and Safety Experience Center is increasing and the center provides the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s for individuals to ensure the national safety. Based on the increasing need for national safety education, this study researched on the importance of awareness toward a safety education.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afety Experience Center, target, and educational program to suggest implications and utilization plan for becoming the representative institute for the national safety education. First, the person in charge of safety education should be professional. Secondly, the development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considering the regional environment should be enhanced. Third, the source of revenue should be arranged for effective operation. The safety education should go beyond the theoretical education and provide a space for active experience education to accomplish effective education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