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韓國古詩歌文學會의 硏究活動과 그 成果 - 학회 창립 20주년을 즈음하여

        박준규 한국시가문화학회 201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27

        한국고시가문학회에서는 그 동안 매년에 걸쳐 학술연구 발표대회를 가졌고, 학회지로서 『古詩歌硏究』를 발간하는 등 고시가 연구의 활발한 연구를 꾸준히 계속하여 왔다. 학술 발표대회는 금년까지 23회를 개최하였는데, 그 동안 수행되었던 연구발표의 안건은 총 102건이요, 대회에 임한 학술연구 발표자 수는 56명에 이른다. 또한 회원들의 꾸준한 학문연구로서 추진한 학회지 『고시가연구』는 제27집의 발간을 예정하고 있다. 제25집까지 게재된 논문의 수는 총 316편이요, 그 집필자 수를 헤아리면 112명에 이른다. 이는 학계 절대 다수의 연구진이 참여한 방대한 논문집의 출간이라 하겠다. 한편 학술발표에는 주요 과제를 공동연구의 특별 주제로 내세워 전국대회를 8차에 걸쳐 개최하기도 했다. 특히 송강 정철의 생애와 문학, 사대부가사의 전통과 미학, 고시가의 정체성과 미학, 고시가 연구 방법론의 검토와 모색 등 흥미 있는 주제 논의는 큰 성과를 거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학회지에 발표된 316편의 논문은 고전시가 전반에 걸쳐 심층적으로 연구된 결과이다. 이를 시가 유형별 비중으로 보면 가사와 시조 그리고 한시 등에 대한 논총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그중에서도 가사문학 연구의 업적이 대단하였음을 지적할 수 있다. 특히 송강문학에 대해서는 본격적인 작가론 또는 문학론의 탐색이 다양하게 모색되었다고 하겠는데, 본 학회지에 발표된 정철관계의 다양한 연구들은 ‘송강문학 재인식’의 한국고시가문학회에서는 그 동안 매년에 걸쳐 학술연구 발표대회를 가졌고, 학회지로서 『古詩歌硏究』를 발간하는 등 고시가 연구의 활발한 연구를 꾸준히 계속하여 왔다. 학술 발표대회는 금년까지 23회를 개최하였는데, 그 동안 수행되었던 연구발표의 안건은 총 102건이요, 대회에 임한 학술연구 발표자 수는 56명에 이른다. 또한 회원들의 꾸준한 학문연구로서 추진한 학회지 『고시가연구』는 제27집의 발간을 예정하고 있다. 제25집까지 게재된 논문의 수는 총 316편이요, 그 집필자 수를 헤아리면 112명에 이른다. 이는 학계 절대 다수의 연구진이 참여한 방대한 논문집의 출간이라 하겠다. 한편 학술발표에는 주요 과제를 공동연구의 특별 주제로 내세워 전국대회를 8차에 걸쳐 개최하기도 했다. 특히 송강 정철의 생애와 문학, 사대부가사의 전통과 미학, 고시가의 정체성과 미학, 고시가 연구 방법론의 검토와 모색 등 흥미 있는 주제 논의는 큰 성과를 거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학회지에 발표된 316편의 논문은 고전시가 전반에 걸쳐 심층적으로 연구된 결과이다. 이를 시가 유형별 비중으로 보면 가사와 시조 그리고 한시 등에 대한 논총이 우위를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그중에서도 가사문학 연구의 업적이 대단하였음을 지적할 수 있다. 특히 송강문학에 대해서는 본격적인 작가론 또는 문학론의 탐색이 다양하게 모색되었다고 하겠는데, 본 학회지에 발표된 정철관계의 다양한 연구들은 ‘송강문학 재인식’의 괄목할 성과로 평가된다. 괄목할 성과로 평가된다.

      • KCI등재

        문화콘텐츠 원천으로서 <화전가>의 가능성

        백순철 ( Sun Chul Paik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이 연구는 화전가의 문화콘텐츠적 가능성을 전망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고전시가의 주요 작품들이 문화콘텐츠로 활용된 사례를 통해 현재 시점의 대표적 성과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고의 대상인 화전가의 중심인 화전놀이가 현대적으로 계승 활용된 사례를 살펴보고, 화전가 텍스트를 통해 그 놀이의 역사성을 현재에 되살리는 데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의 문제를 거론하였다. 또한 화전가를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확장 전환하는 방향을 검토하였다. 고전시가의 문화콘텐츠화 양상에서는 시조, 가사, 민요, 무가 등의 자료 집성 및 주석과 현대화 등 기초적인 성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고전시가가 현대시, 현대소설, 대중가요 등의 현대적 텍스트로 변용된 사례에서 향가와 속요 갈래의 현대적 계승이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밖에 고전시가가 관광콘텐츠로 활용된 긍정적 사례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고전시가가 문화콘텐츠 원천으로서 적절성과 확장성을 지닌 텍스트임을 제시하였다. 화전놀이의 문화콘텐츠화 양상에서는 유희적 소통으로 이뤄지는 현재의 화전놀이 수용 사례를 성찰하고 화전놀이 문화 본래의 지역성과 역사성을 복원하기 위해 화전가와의 결합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해방과 연대의 치유적 소통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화전가의 콘텐츠적 가능성에서는 교육연구 콘텐츠 구축, 대중매체 콘텐츠로의 변용, 관광이나 전시 등의 산업정보 콘텐츠로의 확장 등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고의 논의는 고전의 현대적 계승과 대중화라는 시대적 과제를 실천하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 깊이 있는 교육연구 텍스트의 구축 못지 않게 대중적 확산과 소통의 노력을 위한 콘텐츠의 활용도 중요함을 제시한 것이다. The purpuse of this paper is to study potentional of Whajeonga as sources of culture contents. To this end, In this paper analyzed usage examples as culture contents in main works of classical poetry. And Whajeonnori includes regional features and historical features, However, Today, this had not just chance of modern succession in classical poetry. This study clarified appropriateness and scalability of Whajeonga as sources of culture contents. Firstly, In Making cultural contents of classical poetry, this study suggested Modernization of Sijo, Gasa, Folk song, and Muga. Besides, Modern change in appearance of classical poetry showed positive examples through of the Koryo-gayo and Hyangga. Next, this study emphasized local examples of festival and exhibition as Tourism contents of classical poetrySecondly, In Making cultural contents of Whajeonnori, this study presents possibility of therapeutic communication by healing and solidarity from combination with Whajeonga. Lastly, In Making cultural contents of Whajeonga, this study emphasized building of education cotents, transition to popular contents and transition to industrial cotents. As a whole, This paper institutes necessity of Making cultural contents of classical poetry. Through potentional of Whajeonga as sources of culture contents, we can identify potential of popular spreads and communic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 KCI등재

        기획특집 : 고전시가와 문화콘텐츠

        나경수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5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6

        개인들의 욕구가 모여 사회적인 문화적 요구로 분출된다. 이 시대는 과거와는 다른 문화적 요구가 나타나고 있다. 이를 충족하기 위해 문화콘텐츠라 는 신개념이 등장한 것으로 볼 수 있다. 고전시가가 겪고 있는 오늘의 문제 중 하나는 그것의 가치에 상관없이 즐기려 하는 사람의 수가 많지 않다는 것이다. 현전화에 실패한 까닭도 그 한 요인일 수 있다. 한 때 근대서사가 개연성을 앞세워 공격했지만, 오늘날 고소설의 특성이라 할 수 있는 환상성이 다시 살아나고 있듯, 서정장르에 속하는 고시가 역시 그것을 재생시키는 현전화의 방식으로서 잃었던 또는 유보해두었던 음악성과 음악을 되살리는 방법이 고안되어야 할 줄로 안다. 다양한 문화콘텐츠적 전략에 따라 우리의 고전시가에 속하는 국문시가, 구비시가, 한문시가의 작품을 현전화하여 오늘날 사람들이 즐길 수 있는, 또는 이용 가능한 문화자원으로 재생시키는 일이 필요하다. 형태의 변화보다는 기능적 전환을 통해 현대인이 필요로 하는 문화로 재생시키는 일이 필요한 것이다.

      • KCI등재

        『제국신문』에 수록된 철도 소재 시가 연구

        김아연 ( Kim A-yun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7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0

        『제국신문』에는 철도 소재 시가 7편이 게재되어 있다. 1903년에 발표된 2편, 1906년에 게시된 5편이 그것이다. 이 글은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의 내용을 발표 시기별로 다음과 같이 분석했다. 먼저, 1903년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러일 전쟁(1904 1905) 이전에 열강들이 대한제국 철도부설권을 경쟁적으로 침탈하려던 정황을 형상화하고, 경의철도부설권을 수호 하려는 대한제국 정부와 민간의 의지를 담고 있다. 다음으로, 1906년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한일의정서(1904), 을사늑약(1905) 이후 일본이 대한제국의 철도부설권을 독점 했고, 철도 건설 현장에서 한국인을 철저하게 배제했으며, 역세권의 이점에 주목하여 용산에 일본인 거주지를 구축한 상황을 재현한 한편, 기적 소리를 청각적 심상으로 활용하여 독자에게 계몽의식의 각성을 촉구하고 있다. 한편, 이 글은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의 의의를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조명했다. 첫째,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시대의 흐름과 요구에 맞춰 시가가 변모하는 양상을 보여준다. 둘째,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신문 매체를 통해 대한제국의 철도부설권 및 국가의 자주성 되찾기 여론을 형성하는 새로운 글쓰기 방식이다. 셋째, 한국 철도문학의 계보학적 측면에서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대한매일신보』 철도 소재 시평가사에 선행하며 1907년부터 1910년 한일 병합 조약 이전에 발표된 『대한매일신보』 철도 소재 시평가사와 상호보완 관계를 맺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한 결과, 이 글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제국신문』 철도 소재 시가는 러일 전쟁 발발 전후 대한제국의 정세가 급격하게 변화하고, 이에 따라 외세의 철도부설권 침탈이 국제적·정치적·사회적으로 민감한 문제였음을 말해 준다. 둘째, 『제국신문』철도 소재 시가는 전통 시가의 형식 위에 철도 담론을 공적 영역으로 이끌어냈고 이 계보를 『대한매일신보』철도 소재 시평가사가 계승함으로써, 근대에 전통 시가의 형식이 철도 담론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유효함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omment poetry on current topics of railway in Jekuk Sinmun(founded in 1898). The two of them were composed in 1903, and the five were published in 1906. The contents of poetries are as follows. Firstly, the former represented events in Korea railway history which the powers competed over the railway concession of Korea Empire before the Russo-Japanese War. Secondary, the latter were a realistic depiction of events happened after signing the Japan-Korea Treaty of 1904 and 1905. At that time, Japanese Imperialism monopolized the railway concession of Korea Empire. Meanwhile, 1 poetry of them needed the awakening enlightened consciousness to readers. Based on that, this paper has analyzed the significances of Jekuk Sinmun`s railway poetries. These poetries have shown the changing aspects along with the flow of time, are a new writing to regain railway concession and national independence of Korean Empire through the newspaper, and complement Daehan Maeil Sinbo`s railway gasa composed in 1907, 1908, 1909 and 1910 on genre of Railway Literature in Korea. This paper, therefore, has drawn conclusions from the discussion described above. These poetries have shown a few things: Affairs of Korea Empire was changed at the Russo-Japanese War and the powers competed over the railway concession of Korea Empire was a internationally, politically and socially sensitive issue. In addition, the form of poetry was a medium through which to transfer discussion of railway the modern.

      • KCI등재

        기행가사 기반의 전자문화지도 구축과 그 활용 방안

        이형대 ( Hyung Dae Lee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이 논문은 한국고전시가의 학술적, 대중적인 지식정보 자원화 방안의 일환으로 기행가사의 전자문화지도 구축과 그 활용 방안에 대하여 논의한 것이다. 소프트 파워의 영향력이 갈수록 증대되고 있으며, 지식기반사회로의 전환이 뚜렷해지고 있는 우리 사회의 변화 추세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고전시가 분야의 연구자들도 텍스트의 현대적 활용을 위한 지혜를 모으지 않을 수 없다. 전자문화지도는 시간, 공간, 주제라는 다차원의 구조를 지니고 있으며, 이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학제간 연구가 불가피하다. 따라서 융합학의 새로운 학문적 탐색을 다채롭게 시도해볼 수 있는 연구방법론의 차원에서도 그 활용 가능성이 적지 않다. 뿐만 아니라, 기행가사 전자문화지도는 일반 대중들로 하여금, 모바일 앱을 통해 여행정보는 물론 인접 문화자원에 대한 정보, 그리고 다채로운 멀티미디어 텍스트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전자문화지도는 여행지에 대한 가상 체험과 상상력을 공유할 수 있게끔 한다는 점에서 무척이나 유용하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기행가사 전자문화지도 설계와 구축에 대한 실질적인 방안들을 제시하였다. 즉 자료대상 범위 확정, 베이스 맵의 설계, 교통로 복원의 방안, 지명데이터베이스, 텍스트 및 참조데이터베이스의 설계 및 가공, 타임맵의 구현 방안들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기행가사 전자문화지도는 정전 중심의 근대적 문학주의에 대한 비판과 문화론적 전환이 모색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연구시야를 확대할 수 있다는 이점을 지닌다. 또한 연간 국민의 약 70%가 국내관광에, 약 30%가 해외관광에 참여하고 있는 현실을 감안할 때, 여행정보 제공뿐만 아니라 여행지에 대한 새로운 발견과 심미적 인식에 크게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This thesis discusses design and utilization method of cultural atlas with a theme of Travel Gasa among various subjects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There is much attention to Travel Gasa these days due to change into knowledge information society and development of tourism industry. The reason is that it will be easy to have public utilization of knowledge information and to conduct a interdisciplinary research if it is established as electronic cultural atlas. Therefore, this thesis reviews concept of electronic cultural atlas, building method of Travel Gasa- based electronic cultural atlas, utilization of research method, methodology of public cultural contents, virtual actualization phase and etc.

      • KCI등재

        가사문학의 창의적 가치

        김은희 ( Eun Hee Kim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6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7

        이 글에서는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가사문학의 창의적 가치를 서술하였다. 여기서 창의적 가치는 보다 본질적이고 근원적인 가치, 인간다운 성장과 자아실현에 지향점을 둔 것이다. ‘창의성 계발의 원리’를 전통적이며 현대적인 창의성 개념 및 특성들을 기반으로 고찰 정리하였고, ‘가사의 문학적 특성과 창의적 가치’가, 언어 구조물로서의 가치, 문학으로서의 가치, 고전시가-가사로서의 가치가 상호연관 중첩되어 실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역사적 집적물로서 가사의 양식적 특성에 내재한 창의적 가치 중심의 접근을 시도함으로써, 가사문학이 창의성을 계발하는 데 유용함을 살폈다. 창의성은 결국 사물이나 세계를 새롭게 보는 능력을 말하며, 여기서 ‘새롭다’는 세상을 긍정적으로 변화 발전시키는 능력과 그것의 구체적 산출을 의미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창의성 계발’은 인간성에 내재한 창의성을 일깨워서 인간적으로 성장시키며, 구체적으로는 자율과 공존의 가치를 알고 실천하는 힘, 자기 주도의 학습 기획력, 공동체 관계적 사고, 리더십, 협동심, 책임감 등 인성적 요소의 획득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는 곧 자아와 세계가 조화롭게 균형을 이루고 살아갈 수 있는 시각의 획득, 그것을 만들어내고 질서화 하는 능력의 발현, 공존과 공생을 도모하는 능력의 계발이라고 볼 때,문학만큼 적합한 대상은 없으며, 특히 고전시가-‘가사문학’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가사문학의 교육적 가치 및 창의적 가치에 대한 접근은 ① 이해 및 감상의 측면 : 전통가사의 특성 및 전승과 연결되는 지점, ② 창작 및 자기화의 측면: 현대화, 현대적 계승과 연결되는 지점, 두 축으로 확인할 수 있다. 즉 ①과 ②의 이원적 통합적 체험으로 완성되는 바, 현대사회의 문화를 선도하는 기반으로서, 문화콘텐츠의 저변확대에도 기여할 것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통합적 경험은 문학 본연의 가치인 치유 기능까지 가능하게 한다. 즉 가사읽기와 창작이 정서적 안정과 자아성찰, 나아가 자아실현을 가능케 하는데, 이는 창의적 가치의 궁극적 지향점이기도 한 것이다. 특히 고전문학은 오랜세월, 수많은 경우들에 나타나는 온갖 심리적 정신적 장애들과 이 장애극복을 위해 필요했던 문학적 장치들을 총체적으로 간직하고 있기에 더욱 현재적가치가 있다. 이처럼 가사의 이해와 감상, 그리고 창작 체험은 궁극적으로 삭막하고 개인적인 현대사회에서, 고전을 통한 치유와 공감의 회복→자기 본성의 회복을 거쳐 자아실현에 이르게 하는 가치를 지니고 있음이다. In this paper, on the basis of former researches, I describe the creative value of Gasa literature. The creative value is aimed for the essential and fundamental values, growth of human and self-realization. I have reviewed and organized ‘A principle of the edification of creativity`` with the contemporary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creativity. It was confirmed that the values as a language structure, literature and classical poetry especially Gasa had been interrelated, amassed and realized as ``literary characteristics and the creative value of Gasa literature``. By attempting to approach from the value of the literary characteristics of Gasa as a historical accumulation, it is investigated that the Gasa literature is worth in order to cultivate the creativity. The creativity ultimately means the ability to see things and the world newly. It could be comprehended that ‘Newly’ means the ability of changing and developing the world positively and its specific producing. Therefore the ``edification of creativity`` is standing for what enlightens creativity inherent in humanity and grow them humanly. It also enables the acquisition of characteristic elements such as the power to practice and know the value of coexistence and autonomy, learning planning ability of self-led, community relations of thinking, leadership, teamworkand responsibility, etc. If we regard it as a acquisition of a view that can be to live in balance between the ego and the world, manifestness of the ability to produce it orderly and edification of the ability to promote harmonious coexistence, literature is the most effectual means, especially classical poetry - Gasa literature is confirmed to be more effective. The value of Gasa literature as a text of an edification of creativity could be confirmed in two axes, ① a side of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 the point where connected to the trad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ditional Gasa and ② a side of creation and self-application : the point where connected to the modernization and modern succession. It is completed through dualistic and integrative experiences of ① and ②. As a base which led the culture of modern society, it also can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cultural content. On the other hand, this kind of integrative experience has a function of healing which is the natural value of literature. In other words, reading and creating Gasa can make emotional stability and self-reflection, and even self-realization in addition. This would also an ultimate oriented point of creative value. Especially classical literature has a current value because it has kept the many literary devices that was needed in order to overcome the psychological and mental disorders for many years. Thus understanding, appreciating and the writing experience of Gasa has a value that leads to self-realization through restoring a healing and empathy → restoring his nature by classics in a individual modern society.

      • KCI등재

        면앙정 송순 문화자산의 문화콘텐츠 활용 가능성

        박기수 한국시가문화학회 202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7

        This paper is written in attempt to revitalize and thus enjoy the cultural assets of Myeonangjeong Song Soon in various ways by seeking the usability of it as a cultural content. Cultural assets discussed in this paper refer to every assets that can consistently create value through culture, which must possess uniqueness, differentiation, and nowness. In this context, cultural assets of Song Soon must be found on integrated point of view that includes not only his literary asset but also Damyang that embodied it and diverse factors that give body to the cultural ecosystem of the region. Song Soon’s cultural assets can be divided into ① Song Soon’s life itself that contains the source story, ② heritage of korean classic poetry, ③ genealogical legacy of scholastic and literary mantles, ④ Damyang as place assets. Purpose of developing cultural contents based on Song Soon’s cultural assets is not only focused on cultural value creation that cultural assets of Song Soon should be excavated and promoted but also on economic value creation. Considering the nature of these purposes and characteristic of cultural assets, it must be discussed based on the specific spacial assets of Damyang. 5W1H that decides the direction and identity of cultural contents is very useful in building an implementation strategy. When we examine the assets that Damyang already secures with 5W1H, it is furnished with ‘When’ and ‘Where’ to a degree, but falls short of ‘Who’, ‘What’, and ‘How’. This essay inspects the use of Song Soon’s cultural assets as cultural content by each part of 5W1H and suggests the factors that must be considered from a strategic point of view. Both value of Song Soon’s cultural assets and assets that Damyang holds as space of implementation are clear. However, effort to implement and consist it as a cultural content should be developed stage by stage in macro perspective, and it is most important to occupy the identity and aim of the business in differentiated ways. 본고는 면앙정 송순의 문화자산을 기반으로 문화콘텐츠로의 활용 가능성을 모색함으로써, 송순의 문화자산을 현재로 소환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향유하기 위한 것이다. 본고에서 말하는 문화자산이란 문화를 매개로 가치를 지속적으로 창출 하고 있거나 창출 할 수 있는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고유성, 차별성, 현재성을 가지고 있는 일체의 자산을 말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송순의 문화자산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그의 문학적 자산뿐만 아니라 그것을 구현했던 담양과 지역의 문화생태계를 구현하는 다양한 요소까지 통합적인 관점에서 규명해야 한다. 송순의 문화자산은 크게 ① 원천스토리를 지니고 있는 송순의 삶 자체, ② 시가문학(詩歌文學)의 유산, ③ 학통(學統)과 문통(文統)의 계보학(系譜學)적 유산, ④ 면앙정(俛仰亭)이라는 유형유산, ⑤ 담양이라는 장소자산으로 나눌 수 있다. 송순의 문화자산을 기반으로 문화콘텐츠를 개발하는 목적은 송순의 문화자산을 발굴하고 선양해야 한다는 문화적인 가치 창출뿐만 아니라 경제적인 가치 창출에도 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목적의 성격과 문화자산의 특성을 고려할 때, 그것은 담양이라는 구체적인 장소자산을 기반으로 논의되어야 한다. 문화콘텐츠의 지향과 정체성을 결정하는 5W1H는 구현 전략을 마련하는데 매우 유용하다. 5W1H로 송순의 문화자산과 상관하여 담양이 이미 확보하고 있는 자산을 살펴보면, ‘언제(When), 어디서(Where)’는 어느 정도 구비되어 있지만, ‘누가(Who), 무엇을(What), 어떻게(How)’의 부분은 상당히 미흡하다. 본고에서는 전략적 차원에서 송순의 문화자산의 문화콘텐츠로의 활용을 5W1H의 각 항목별로 점검하며 전략적 차원에서 반드시 고려해야할 요소에 대하여 제안하였다. 송순의 문화자산이 지닌 가치나 구현 공간으로서 담양이 지니고 있는 자산은 분명하다. 다만, 그것이 문화콘텐츠로 구현하고 지속하기 위한 고민은 거시적 관점에서 단계별로 전개되어야 하며, 무엇보다 사업의 정체와 지향을 차별적으로 선점하는 일이 중요하다.

      • KCI등재

        호남의 문화공간과 풍류 그리고 공감장

        조태성 ( Jo Tae-seong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20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45

        이 글은 전통시대 호남의 대표 문화공간으로서 모정과 누정을 다루었지만, 그런 공간들의 상황을 단순히 나열하고 분석하지는 않았다. 오히려 다양한 층위의 공간으로서 그것들이 가 진 원초적 성격을 탐색하고) 어떤 양상으로 계승되어 왔으며, 또한 현대적 관점에서 어떻게 재해석될 수 있는지 등을 살펴보았다. 그리하여 먼저 정치ㆍ문화공간으로서의 모정과 누정에 대해 그 현대적 개념과 성격을 일 별한 다음, 전통시대 모정의 양상에 대해 기록을 통해 천착하였다. 나아가 모정이 누정으로 대체되는 지점과 그 안에서의 풍류의 양상을 살피고) 이를 통해 다층 혹은 중층공감장으로서의 모정에 대한 현대적 해석 가능성에 대해서도 제안해 보았다. 대개 추상적 개념으로 사용 되어 왔던 ‘풍류’의 어떤 지점들을 지금 무리의 삶에 투영할 수 있는지에 관한 가능성을 모정 문화를 통해 살펴보고자 하는 의도였다. This article has studied Mojeong[茅亭]and Pavilion[樓亭]as the representative cultural spaᄑce of Honam in the traditional period. But I did not simply list or analyze the situation in such spaces. Rather, I studied the primitive character of various spaces and how they have been inherited, and how they can be reinterpreted from a modem perspective. Thus, first of all, I examined the modem concept and character as a political and cultural space. And I have learned about aspects of Mojeong[茅亭] in the traditional period Furthermore,I looked at the point where Mojeong[茅亭] is replaced by Pavilion[樓亭] and the pattern of Pungryu[風流] in it. Through this, I also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modem interpretation of Mojeong as a multi-Sympathetic field[共感場]. The intention was to examine through the pavilion culture for the possibility of what points of Pungryu[風流], which has been used as an abstract concept, can now be projected into our lives.

      • KCI등재

        가사문학의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

        고순희 ( Soon Hee Ko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6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7

        이 연구의 목적은 가사문학이 지닌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규명하는 데 있다. 먼저 규방가사를 중심으로 ‘가사 짓기의 문화’가 지니는 문화적의미를 살폈다. 양반가 여성의 ‘가사 짓기의 문화’는 ‘인문학적 정신의 생활화’라는 문화적 의미를 지닌다. ‘글쓰기의 생활화’는 현대인이 잃어버린 소중한 정신적 가치이다. 가사문학이 지닌 정신적 가치를 계승 발전시킨다면 우리 민족성에 대한 긍지를 높일 수 있다. 그리하여 가사문학은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지닌다. 다음으로 가사문학이 관광의 키워드인 ‘장소’로 환원될 수 있는 가능성이많다는 점을 살폈다. 다양한 작품세계를 지닌 엄청난 수의 가사문학은 각각‘장소’로 환원되어 지역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가사문학을 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해보았다. 문화관광자원의 개발은 관광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해 ‘작은 기획’을 필요로 한다. ‘작은 기획’을 통해 지역의 주민이 그 ‘장소’를 우선적으로 즐기고 향유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사문학은 이러한 관광패러다임의 변화에 대응하여 문화관광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아이템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Value of Gasa as a Resource of Culture-Tourism’. First, focusing to female Gasa, I investigated the cultural meaning ‘the culture of writing Gasa’. ‘The culture of writing Gasa’ have the cultural meaning which is the ‘daily life of the humanistic spirit’. The ‘daily life of the humanistic spirit’ is a spiritual value which modern peoples has lost. We need to inherite and develop the humanistic spirit of ‘Gasa’, and need to heighten our pride on the ethnicities. Therefore we must positively exhume ‘Gasa’ as a Resource of Culture-Tourism. Secondly, I investigated the point that ‘Gasa’ have the possibility to connect to the ‘place’. The ‘place’ is a keyword of tourism. ‘Gasa’ has various work-worlds, and huge pieces. If ‘Gasa’ connect to the ‘place’, It can help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the region. Finally, I suggested the ways to conjugate ‘Gasa’ as a Resource of Culture-Tourism. The resource development of culture-tourism need a ‘little planning’ that response to changes in the tourism paradigm. A ‘little planning’ will make preferentially residents to enjoy the ‘place’. ‘Gasa’ is the best item to conjugate as a Resource of Culture-Tourism thatresponse to changes in the tourism paradig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