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민안전교육 훈련 증진을 위한 재난안전체험관 활성화 방안

        김아연 ( Kim A Yeon ) 한국정책연구원 2017 한국정책논집 Vol.17 No.-

        Education and training is the immediate activity for response to disaster and for minimizing the secondary damag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Disaster and Safety Experience Center is increasing and the center provides the education and training experiences for individuals to ensure the national safety. Based on the increasing need for national safety education, this study researched on the importance of awareness toward a safety education. This study also analyzed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Safety Experience Center, target, and educational program to suggest implications and utilization plan for becoming the representative institute for the national safety education. First, the person in charge of safety education should be professional. Secondly, the development of safety education contents considering the regional environment should be enhanced. Third, the source of revenue should be arranged for effective operation. The safety education should go beyond the theoretical education and provide a space for active experience education to accomplish effective education performance.

      • KCI등재

        홍언의 ‘도산의 꽃동산’ 소재 시가 연구

        김아연 ( Kim A Yu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 Vol.- No.80

        일제강점기 미국에서 독립운동가·언론인·작가로 활동한 홍언(洪焉, 1880∼1951)은 1911년부터 안창호(安昌浩, 1878∼1938)와 동지로서 교유하였다. 홍언은 캘리포니아 주 로스엔젤레스 노스 피규어 가 106번지 안창호의 집에 조성된 ‘도산의 꽃동산’을 소재로 시가 8편을 창작하였고, 이를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 기관지인 < 신한민보(新韓民報, The New Korea) >에 발표하였다. 홍언의 ‘도산의 꽃동산’ 소재 시가를 논구한 이 글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도산의 꽃동산’ 소재 시가 8편 중 안창호의 생전에 발표한 5편은 갈래상 가사이고, 작자의 동지이자 ‘도산의 꽃동산’ 주인인 안창호의 국내 체류로 적막한 ‘도산의 꽃동산’, 조국 광복의 기원을 표현한다. 안창호의 사후에 발표한 3편은 갈래상 가사 1편, 시조 2편이고, 망자가 된 ‘도산의 꽃동산’ 주인에 대한 애도, 생자의 슬픔을 담고 있다. 한편, ‘도산의 꽃동산’ 소재 시가는 신문의 공공성에 기대어 안창호의 소재, 고매한 인격 및 독립운동가다운 면모를 재미한인 사회의 구성원이자 <신한민보> 독자들과 공유한다는 점, 홍언이 화목(花木) 소재 시가를 지속적으로 발표하는 문학 활동으로 이어진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Hong Eurn was an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 a journalist and an author in the United States. He had kept company with Ahn Changho since 1911. Ahn’s house was located at 106 North Figueroa Street in Los Angeles, CA, and was equipped with Dosan’s Garden at the front of the house. Hong wrote eight pieces of poetries about Dosan’s Garden and released them in The New Korea (Sinhanminbo) which was founded on February 10, 1909.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Hong Eurn’s Poetries about Dosan’s Garden.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ve pieces of poetries among a total of eight ones singing Dosan’s Garden, published during Ahn’s lifetime, were the gasa-style poems in terms of a genre, and presented a deserted Dosan’s Garden that had a desolate look because Ahn stayed in Korea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and that symbolized the p eople’s w ish f or Korean in depen dence. The other three pieces about Dosan’s Garden published after Ahn’s death could be categorized into two genres (gasa and sijo), and expressed the lamentation over the dead and the grief of a survivor who had lost Ahn. Moreover, Hong Eurn’s poetries about Dosan’s Garden have two significances; the poetries shared Ahn’s whereabouts, noble character and the presence of an independence movement activist with the Korean-American community and The New Korea readers based on newspaper publicity, and let him continue the publication of poetries about flowers and trees.

      • KCI등재

        1823년 풍덕부·개성부 합병과 현실비판가사 「숭양별곡(崧陽別曲)」

        김아연 ( Kim A-yun ) 한민족어문학회 2020 韓民族語文學 Vol.0 No.90

        「숭양별곡(崧陽別曲)」의 창작 배경, 작품 성격을 구명하는 이 글의 요지는, 다음과 같다. 작자 미상의 「숭양별곡」은 표면상 숭양(崧陽), 곧 개성(開城) 유람을 재현한 기행가사, 개성 성균관 유생과 자하동(紫霞洞)·채하동(彩霞洞) 선비에게 입신양명(立身揚名)을 위해 학문을 권장한 권학가사를 표방한다. 하지만 「숭양별곡」은 1823년(순조 23) 7월 25일 개성부(開城府) 예산을 보용하기 위한 풍덕부(豐德府)·개성부(開城府) 합병, 여기에서 파생된 사건인 1824년(순조 24) 2월 풍덕향교(豐德鄕校) 철폐를 배경으로 하며, 풍덕부·개성부 합병을 주도한 영의정 남공철(南公轍), 개성유수 김이재(金履載)를 비판한 19세기 현실비판가사이다. 「숭양별곡」의 이러한 독특한 성격은 넓게는 사유(士儒), 좁게는 풍덕향교 복설운동 참여 유생(儒生)으로 추정되는 작자의 정치 참여의식, 비판의식 및 작자가 전면에 나설 수 없었던 정치적·사회적 분위기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creation background and the nature of Sungyangbyeolgok.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genre of Sungyangbyeolgok without any known author is like Travel Gasa and Education Gasa on the surface, it compose about experience Sungyang(the old name for ‘Gaeseong’) travel and encourage learning for achieving fame and prestige to student of Confucianism at Gaeseong Seonggyun-gwan Academy and Confucian Scholar at Jaha-dong and Chaha-dong. But it is set in the time of a merger between Poongdeok-bu and Gaeseong-bu(1823) to replenish Gaeseong-bu’s budget and abolition of Poongdeok Confucian School(1824), criticizes prime minister Nam, Gong-cheol and the Gaeseong governor Kim, Yi-jae who led the merger of Poongdeok-bu and Gaeseong-bu as a 19th century Critical Gasa. This unique nature of it is understood as a result of the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riticism of the author, which is believed to be a Confucian Scholar or a student of Confucianism who participated in the Rebuilding Movement of Poongdeok Confucian School.

      • KCI등재

        재미작가 홍언의 국화 소재 시조에 나타난 국화의 심상 - <신한민보> 게재 작품을 중심으로 -

        김아연 ( Kim A-yu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4

        재미작가이자 독립운동가인 홍언(洪焉, 1880∼1951)은 1917년부터 1947년까지 295수에 달하는 시조를 대한인국민회 북미지방총회의 기관지인<신한민보>에 발표하였다. 그 가운데 국화를 소재로 하는 시조는 1940년에 2수, 1941년 5수, 1942년에 1수, 1943년에 1수, 1945년에 4수, 1946년에 10수 등 총 23수가 있다. 홍언의 국화 소재 시조에서 국화는 `절개와 인고`, `가을 정취와 풍요로움`, `사멸과 재탄생`을 표상하고 있다. 이에 관한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홍언의 국화 소재 시조에서 국화가 상징하는 `절개와 인고`는 절개를 지키되, 속세를 떠나지 않고 현실에 참여하는 지사의 모습을 추구하고 있다. 둘째, 홍언의 국화 소재 시조에서 국화가 표상하는 `가을 정취와 풍요로움`은 홍언 시대 이전의 국화 소재 시조에 나타난 국화의 계절적 표상을 계승하고 있다. 셋째, 홍언의 국화 소재 시조에서 국화는 홍언시대 이전의 국화 소재 시조와 달리 `사멸`을 상징하는 데 그치지 않고 `재탄생`을 은유함으로써, 그 심상을 외연적으로 확장하고 있다. 이상의 논의를 종합하여,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결론을 도출할 수 있다. 첫째, 홍언은 국화의 표상을 통해 자신의 서정성을 강조하고자 시조 양식을 선택하였다. 둘째, 재미작가인 홍언은 국내 시조문단과 교류가 없는 상태에서 독자적으로 국화 소재 시조를 발표함으로써, 국화 소재 시조의 창작적 전통을 계승하고 국화의 심상을 발전시켰다. 셋째, 홍언이 국화소재 시조를 창작하는 행위는 그가 비록 이민자이지만 한국인의 정체성을 간직하고 한국의 독립을 위해 일제에 저항하는 지사적 삶을 지향하는 태도에서 시도된 것으로 추정된다. When Korea was under Japanese colonial rule in the first half of the 20th century, Hong Eurn (1880∼1951) was a first-generation ethnic Korean in the United States. He worked as a Korean-American writer at The New Korea (Sinhanminbo; founded in 1909), and wrote sijo, gasa, Chinese-letter poems, novels, plays, and literary reviews for The New Korea. This paper has examined Hong Eurn`s sijo based on chrysanthemum dealt with at The New Korea, which reported the chrysanthemum im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ly, this paper has figured out that the chrysanthemum traditionally symbolized “constancy and endurance.” He emphasized that people keep their constancy when they were resisting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and engaging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Through this, constancy and endurance had been incorporated in his experiences with which he fought against Japan for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Secondly, this paper has explored “an autumn flavor and the richness” which is represented by the chrysanthemum. An autumn flower, the chrysanthemum has heightened excitement of season. And the chrysanthemum has co-existed with liquor, the moon, and friends. So “an autumn flavor and the richness” has followed the tradition of Korean sijo. Thirdly, this paper has proved “the death of the chrysanthemum” is converted into “the rebirth of the chrysanthemum.” This paper, thus, has found that “the rebirth” of the chrysanthemum is shown only in Hong Eurn`s sijo. This paper, therefore, has drawn several conclusions from the discussions described above. Firstly, Hong Eurn chose the form of sijo to express his lyricism through the image of chrysanthemums. Secondly, he developed a unique form of chrysanthemum image, he deviated himself from the conventional Korean literary circles. Finally, he wrote sijo based on chrysanthemums in order to preserve his Korean identity and pursue his life of a patriot who fought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ts.

      • KCI등재

        형태주석 코퍼스 구축을 활용한 『대한매일신보』 시평가사의 키워드 추출과 분석 - 1907년 국문판을 중심으로 -

        김아연 ( Kim¸ A-yun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20 역사학연구 Vol.78 No.-

        최근 ‘빅 데이터(Big Data)’가 화두로 떠오름에 따라, 전통적 인문학을 확장하려는 움직임의 하나로 디지털 인문학(Digital Humanities)이 대두되고 있다. 이 글은 디지털 인문학적 측면에서 국문판 『대한매일신보』(이하 『신보』) 1907년 시평가사를 살펴보았다. 이 글의 요지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이 글은 고어를 현대어로 정규한 다음, 형태 분석을 통해 고유명사, 일반명사의 빈도에 기반하여 국문판 『신보』 1907년 시평가사의 키워드(keyword)를 추출하였다. 그리고 나서 이 글은 IPTC(International Press Telecommunications Council, 국제언론통신평의회)의 NewsML-G2 권고안, IPCT Subject Codes를 참고하여 국문판 『신보』 1907년 시평가사의 형태주석 코퍼스(morphologically annotated corpus)에서 정치·국제·경제·사회 등 4개 분야의 주제별 키워드를 상위 30개로 선정하였다. 그리하여 이 글은 국문판 『신보』 1907년 시평가사 키워드의 공시적 분석, 워드 클라우드 이미지의 시각화를 통해 키워드 가운데 ‘일본인’에 이어 ‘군수’, ‘인민’, ‘관리’, ‘내각’, ‘국가’ 등 정치 분야 키워드가 높게 나타났음을 알았다. 그중 ‘일본인’은 반일을 담지하는 『신보』의 관심 대상이었고, ‘군수’, ‘인민’, ‘관리’, ‘내각’, ‘국가’는 대한제국이 독립국가로서의 지위를 회복하기 위해 자강·개혁의 대상에 해당하며 동시에 『신보』 논설진, 『신보』 시평가사 독자투고자의 관심사인 것으로 파악하였다. 한편, 이 글은 국문판 『신보』 1907년 시평가사의 키워드를 활용하는 방안을 다음과 같이 네 가지로 모색하였다. 첫째, 국문판 『신보』 1907년 시평가사의 키워드는 웹 서비스(Web Services)를 하여 자료의 정보화에 기여할 수 있다. 둘째, 국문판 『신보』 1907년 시평가사의 키워드는 역사문화 콘텐츠 원형, 기획전시 자료, 의류디자인·제품디자인의 모티프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국문판 『신보』 1907년 시평가사의 키워드는 언어적 자원으로서 사전 편찬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넷째, 국문판 『신보』 1907년 시평가사의 키워드는 교육현장에서 개화기 교수-학습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As The big talking point in recently is Big Data, it has one of those major movements to expend Traditional Humanities, Digital Humanities has come to the fore. This paper is to analyze Korean words for The Comment Gasa of The Korea Daily News(KDN, Daehan Maeil Sinbo; founded in 1904) published in 1907 from the perspective of Digital Humanities.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is paper has substituted modern languages for archaic word, was extracted keywords based on simple appearance frequency of proper noun and common noun throughout morphologically analysis. And then, the keywords are extracted from Morphologically Annotated Corpus, a collection of 142 The Comment Gasas of KDN published in 1907. This paper has analyzed the top 30 keywords for 4 topics and the year 1907. Thus, this paper has explored ‘Japanese(日本人)’ as the most talked-about and important keyword of 1907. And along the top ranks were keywords such as ‘county governor(郡守)’, ‘the public(人民)’, ‘the cabinet(內閣)’ and ‘nation(國家).’ ‘Japanese(日本人)’ had always been intense interest of KDN that it put emphasis on anti- Japan. ‘county governor(郡守)’, ‘the public(人民)’, ‘the cabinet(內閣)’ and ‘nation(國家)’ were objects of reformations and strenuous efforts as the basis for nationhood, and discussing issues of common interest to editors and readers of KDN. Meanwhile, this paper has looking for 4 utilizations of keywords; providing Web services, historical and cultural contents archetype, special exhibitions documents, motives of fashion design, motives of product design, linguistic sources of the compilations of the dictionaries and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 KCI등재

        문학치료적 관점에서 살펴본 『모하당슐회(述懷)』의 자기서사 양상과 자기치유적 성격

        김아연(Kim, A-yun)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2017 전남대학교 한국어문학연구소 학술지 어문논총 Vol.- No.30

        『모하당슐회(述懷)』는 임진왜란 개전 초기에 투항한 항왜 사야가 김충선(金忠善, 1571~1642)이 70세에 자신의 삶을 반추하기 위해 지은 자전적 서사가사이다. 이 글은 모하당슐회 를 문학치료적 관점에서 고찰하기 위해 『모하당슐회』의 자기서사 양상과 자기치유적 성격을 분석하였다. 이 글의 요지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모하당슐회』의 자기서사는 제1단 ‘상처1 들추어내기’, 제2단 ‘상처1 덮기’, 제3단 ‘상처2 들추어내기’, 제4단 ‘대안 모색하기’, 제5단 ‘상처1 다시 들추어내기와 치유하기’ 등 전체 5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처1은 서술자 ‘김충선’이 모하의 뜻에 전일하기 위해 고국 및 고국 가족과의 이별한 데서 기인한 심리적 상처이고, 상처2는 서술자 ‘김충선’이 병자호란에 의한 소중하의 상실에서 기인한 심리적 상처이다. 이처럼 『모하당슐회』 는 5단 구성을 통해 서술자 ‘김충선’이 내면화된 상처, 고뇌, 치유 과정을 통합적으로 재현하는 자기치유의 서사이다. 둘째,『모하당슐회』의 자기치유적 성격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먼저, 『모하당슐회』는 스스로를 위로하고 모하의 뜻을 강화시켜 서술자 ‘김충선’의 상처1, 2를 치유하는 기능을 한다. 다음으로,『모하당슐회』는 서술자 ‘김충선’으로 하여금 가훈을 모색하고 후손과 더불어 가훈을 실천하면서 여생을 보낼 것을 계획하게 함으로써 상처2를 극복하는 대안을 마련하게 한다. Kim, Chung-seon(金忠善), a Japanese Surrendered General Sayaka (沙也加及沙也可) composed Mohadangsulhoe(慕夏堂述懷) in Late Chosun Dynasty Period. Mohadangsulhoe is self-narrative Gasa(歌辭)- Gasa is one of the traditional Korean Poetry Genre. This paper has found that aspect and nature of self-healing narrative in Mohadangsulhoe. As a result of analysis, firstly, this paper has analyzed that Mohadangsulhoe is composed of 5 paragraphs; Disclosing a Scar 1(paragraph 1), Covering up a Scar 1(paragraph 2), Disclosing a Scar 2(paragraph 3), Finding an alternative(paragraph 4), and Reopening a Scar 1 and Healing(paragraph 5). A Scar 1 is caused by farewelling to his family and the native land for Moha(慕夏). Moha means admiration for Sinocentrism(中夏), and is an aim of Kim, Chung-seon’s life. A Scar 2 is from Minor Sinocentrism(小中夏) ruin. Thus, this paper has concluded that Mohadangsulhoe is self-narrative for self-healing, and represents Kim, Chung-seon’s scars, anguish and the healing process. Secondly, this paper has explored nature of self-healing Narrative in Mohadangsulhoe. Mohadangsulhoe is self-narrative for healing scars and emphasizing Moha. Meanwhile, Mohadangsulhoe suggests family motto as an alternative, Kim, Chung-seon tried to practice family motto with descendant and found his new look as a country aristocrat in Wurokdong(友鹿洞).

      • KCI등재

        소고당 고단 <88올림픽찬가(讚歌)>의 내용과 작가의식

        김아연 ( Kim A-yun ) 한국시가문화학회 2021 한국시가문화연구 Vol.- No.48

        소고당(紹古堂) 고단(高端, 1922~2009)은 제24회 서울 올림픽 경기대회(Games of the XXIV Olympiad Seoul 1988, 이하 88올림픽)를 소재로 하여, 1988년 가을에 172행 분량의 가사 <88올림픽찬가(讚歌)>를 지었다. 이에 <88올림픽찬가>는 시기상 현대가사, 작가상 여성가사, 내용상 행사가사, 분량상 장편가사에 해당한다. <88올림픽찬가>의 내용은 88올림픽의 기본 이념, 참가 규모, 서울 유치, 준비 과정, 개회식, 경기 결과, 에피소드, 이슈, 폐회식, 성과 및 제25회 바르셀로나 올림픽 대비에 대한 의지로 파악된다. <88올림픽찬가>의 작가의식은 사실 지향적 기록의식, 국제화 의식 및 세계시민 의식, 민족의식 및 남북통일에의 염원, 국가주의 세계관 등 네 가지로 대별된다. Sogodang Godan(高端, 1922~2009) composed on The 1988 Olympic Games Anthem, Games of the XXIV Olympiad Seoul 1988(The 1988 Olympic Games) in the fall of 1988, 172 lines of Gasa < The 1988 Olympic Games Anthem >. Accordingly, it is a Modern Gasa in terms of time, Women’s Gasa in terms of author, Event Gasa in terms of content, and long-length Gasa in terms of volume. It has represented the basic ideology of the 1988 Olympic Games, the scale of participation in the Olympic Games, Seoul’s bid to host the 1988 Olympic Games, preparation process, opening ceremony, first half game results, episodes, issues, closing ceremony, achievements of the 1988 Olympic Games and preparation for the 25th Barcelona Olympics understood as a will. The author's consciousness of it can be divided into four main categories: fact-oriented recording consciousness, internationalization and global citizenship, national consciousness and aspiration for the unification of South and North Korea, and pride in the success of the 1988 Olympic Games.

      • KCI등재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입원환자의 간호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아연 ( Ay-eon Kim ),묘연 ( Myo-youn Kim ),오단비 ( Dan-bi Oh ),정상이 ( Sang-yi Jung ),이미준 ( Mi-joon Lee ) 한국병원경영학회 2020 병원경영학회지 Vol.25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factors affecting patient satisfaction for the nursing service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 in Tertiary hospital Methods: This study employed a descriptive survey to investigate the nursing satisfaction and the study data was collected from 74 patients among 83 patient who were admitted to the nursing care integration service ward of an tertiary hospital for 10 days from May 9, 2018 to May 19, 2018. Data was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using SPSS 21 program. Results: The average with nursing satisfac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marriage type and KPCS level. It was found that physical factor and educational factor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nursing satisfaction. As physical care increase by one unit, patient satisfaction increase by 0.226(95% CI; 0.061-0.390) and also satisfaction increase by 0.443(95% CI; 0.070-0.816) as education care increase by one unit. Conclusions: As a result of study, it was found that it is necessary to provide patients with more careful nursing service in phys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 in order to improve the service quality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unit.

      • KCI등재

        이병기 「제주(濟州)ㅅ길에」에 재현된 공간의 양상과 의미

        김아연 ( Kim A Yun ) 전남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8 용봉인문논총 Vol.- No.52

        시조작가이자 문화민족주의자인 이병기(李秉岐, 1891~1968)는 박한영(朴漢永, 1870~1948), 권덕규(權悳奎, 1890~1950)와 더불어 1924년 7월 31일부터 8월 12일까지 제주에 다녀왔다. 이병기는 이때의 체험을 재현한 시조 「濟州ㅅ길에」를 지어 1924년 8월 25일자 『동아일보(東亞日報)』에 발표했다. 「濟州ㅅ길에」를 개괄적으로 검토하고 「濟州ㅅ길에」에 재현된 공간의 양상과 의미를 고구하는 이 글의 요지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이병기 일행의 제주 기행은 1920년대 문화운동의 일환이며, 목적지는 민족의 성지 중 하나인 한라산이다. 「濟州ㅅ길에」는 이병기의 제주 기행 체험을 투영한 『가람日記』 삽입시조를 초고로 하여 9개 부제 아래 20수로 완정되어 있으므로, 그 갈래를 내용상 기행시조, 형식상 연작시조로 분류할 수 있다. 「濟州ㅅ길에」의 내용은 이병기의 제주 기행 체험을 시간순으로 재현하고, 이병기가 체득한 영산강 유역-제주의 인문지리 정보를 소개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濟州ㅅ길에」는 이병기가 현재의 관점에서 관찰한 조선의 자연 공간, 역사적 공간, 신성 공간 및 조선인의 일상 공간을 담고 있다. 이 공간들은 과거와 현재를 관통하며, 영산강 유역-제주를 중심으로 지리적 상상력에 의해 재구성된, 새로운 조선의 국토의 표상을 독자적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로써 이병기는 자신과 독자들이 새로운 조선의 국토의 표상을 통해 조선인으로서 자아를 재발견하고, 조선인의 민족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했을 것이다. Yi Byeung-gi(李秉岐) traveled to Jeju Island with Park Han-yeung(朴漢永) and Gwon Deok-gyu(權悳奎) from 31 July to 12 August 1924. He composed 「On the Road to Jeju」 on the experiences for part of the travel and published in 『Donga Ilbo(東亞日報)』 on 25 August 192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of spaces in 「On the Road to Jeju Island」.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purpose of their travel was as a cultural movement during the 1920s. The travel destination was Mt. Halla, sacred mountain on Jeju Island. Comparing 「On the Road to Jeju Island」 with insertion Sijo works in 『Garam's Diary(가람日記)』, this paper has been estimated that a first draft of 「On the Road to Jeju Island」 is insertion Sijo works. 「On the Road to Jeju Island」 consisted of 20 Sijo works below 9 subtitles. Accordingly, the genre of 「On the Road to Jeju Island」 is Travel Sijo and Series Sijo. The contents of 「On the Road to Jeju Island」 have represented experiences of his travel and Human Geographic Information of Yeungsan River-Jeju Island district. The characteristics of spaces in 「On the Road to Jeju Island」 are analyzed natural space, historic space, sacred space in Korea and Korean living space. The meanings of spaces in 「On the Road to Jeju Island」 are represented image geographies of Yeungsan River-Jeju Island district. The image geographies of 「On the Road to Jeju Island」 let Korean share and discover national identity.

      • KCI등재

        <호남철도가(湖南鐵道歌)>와 호남본선 공간의 심상지리 형성 연구

        김아연(Kim, A-yu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6 한국문학과 예술 Vol.20 No.-

        <호남철도가(湖南鐵道歌)>는 20세기 초 호남본선 공간을 소재로 하는 철도창가이다. 이 글은 <호남철도가>의 이본 6종 가운데 철도박물관도록본을 주 자료로 선정하고 光山郡誌본, 放軒漫錄본, 오덕렬본은 보조자료로 활용하여 호남본선 공간의 심상지리를 고찰했다. 이 글은 구영서(具榮書)가 1926년 또는 1920년대 중반에 전남 광산군 본량면 덕림리 아동들을 교육하기 위해 <호남철도가>를 창작했다는 기록에 의거해 덕림리 동학들을 호남본선의 잠재적 이용객으로 간주했고, 호남본선 공간은 호남본선 잠재적 이용객이라는 특정 공동체에게 공적 장소가 되는 것으로 이해했으며, 이로써 <호남철도가>에 담긴 호남본선 공간의 지리정보가 공적 의미를 획득하는 것으로 파악했다. 그리하여 이 글은 구영서가 공적 장소인 호남본선 공간을 덕림리 동학 등 수용자와 기억 및 공유하고자 호남본선 공간의 과거, 현재를 보여주는 지리정보를 <호남철도가>에 재현한 것으로 보고, 구영서가 호남본선 공간의 지리정보를 통해 ‘호남본선 부설 이전을 회고하는 역사적 · 문화적 공간으로서의 심상지리’, ‘호남본선 부설로 한국인의 삶이 소거된 식민지 공간으로서의 심상지리’를 형성했음을 알았다. The Honam Railraod space at the beginning of 20th century became the source of Honam Railroad Song, one of Railroad Song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image geographies of Honam Railroad space exhibited in Honam Railroad Song. This paper has taken Railroad Museum Catalog Version, the Gwangsan-gun Local Records Version, Oh Deok-ryeol’s Blog Version and Banhunmanrok Version of Honam Railroad Song for the basis of this study. There are several reports about Honam Railroad Song; Honam Railroad Song was written by Koo, Young-seo who was a village school teacher at Deongnim-ri in 1926 or the mid 1920s. Based on that, this paper has regarded the local children as potential passengers using Honam Railroad, and has understood that Honam Railroad is becoming a public space for potential passenger. By doing so, this paper has approached that geographic informations in Honam Railroad Song have public meaning. Then, this paper has considered that Koo, Young-seo presented geographic informations about the past and present of Honam Railroad as a public space to remember and share them with recipients including the local children. This paper, therefore, has concluded that image geographies of Honam Railroad space exhibited ‘looking back before the Honam Railroad as historical-cultural space’ & removing Koreans’ lives as a colonial place’ in Honam Railroad So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