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인문학적 객관성과 현상학적 방법론

        박승억 ( Park Seung Ug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 Vol.0 No.74

        최근 호킹이나 도킨스와 같은 자연과학 연구자들이 인문학의 전통적인 문제들에 대해 대답을 시도하는 일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는 한 편으로 영역의 경계를 뛰어넘는 전위적 탐구라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지만, 다른 한 편으로는 인문학적 탐구 영역의 위축이라는 부정적인 효과를 갖고 있기도 하다. 사회적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사회과학 역시 자연과학의 방법론을 따르고 있다. 자연과학적 탐구 방식은 학문 탐구 방식에 있어 표준이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인문학적 탐구의 본성과 역할의 문제를 제기한다. 근대 이래로 자연과학이 성공적이었던 까닭은 그 탐구의 객관성에 있었다. 그렇다면 인문학적 탐구에 있어서도 객관성을 말할 수 있을까? 있다면 인문학적 탐구의 객관성은 무엇을 의도할까? 이 논문은 인문학적 탐구의 객관성이 어떻게 가능한지를 주로 현상학적 방법론에 의지하여 해명하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논의를 통해 이른바 사회적 딜레마와 같은 사회적 문제들에 대해 인문학적 탐구가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보일 것이다. Recently, it is not strange to see that the famous natural scientists have tried to answer the old metaphysical questions. It is good to see, on a positive side, the collaboration between research of natural science and humanities research, but at the same time it negatively means the shrinkage of the research territory of humanities. Social science, originally aimed at seeking for the solutions of the social problems, has also adopted the methodology of scientific research. Scientific research becomes the standard of every academic research. This situation raised a question about the nature and role of humanities research. Since the Scientific Revolution, the key to the success of natural science is the objectivity of their methodology. Then, could we request for objectivity in humanities research? I have tried to argue in this paper the objectivity of humanities research with the help of the phenomenological methodology. And it shows which role humanities research has in the research about the so-called social dilemmas.

      • KCI등재

        인문학적 노년학의 관점에서 본 『나빌레라』 -한국 만화에 재현된 새로운 노년관-

        김경화 ( Kim Kyung Hwa ),고봉만 ( Ko Bong Man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9 人文科學 Vol.0 No.73

        본 연구는 2017년에 출판된 한국 만화 『나빌레라』를 인문학적 노년학의 관점에서 분석하면서 한국사회에 등장한 새로운 노년관을 알아보고자 한다. 더불어 서구 노년학 연구 동향을 살피고 한국 사회의 역동적인 변화를 반영하는 노년학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자 한다. 노년학 전개 과정에서 인문학적 노년학의 위치를 파악하고, 한국에서 그 적용 가능성을 『나빌레라』의 주인공, 덕출이 쓰는 ‘되기의 서사(narratives of becoming)’를 통해 점검해 보고자 한다. ‘되기의 서사’는 노년의 자기실현을 지향하는 서사 방식으로, 한느 레슬레(Hanne Laceulle)에 의해 주창되었다. 인간은 자신에 관한 이야기를 하면서 자기 정체성을 구성하기 때문에 서사는 노년 연구에 특히 중요하다고 레슬레는 주장한다. 그녀는 인문학적 노년학의 핵심을 신체적·정신적 쇠퇴를 경험하면서도 성장의 서사를 멈추지 않는 노년의 삶에서 찾고 있다. 서구의 인문학적 노년학은 주류 노년학이 인간실존이라는 기본적 질문을 도외시했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 노년을 관리의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삶의 주체로서 바라보고자 한다. 노년 연구가 사회학적 연구 대상에서 벗어나 인간적 관점에서 연구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아직 체계적인 이론을 수립하지는 못했다. 본 논문은 『나빌레라』의 분석을 통해 인문학적 노년학의 정립에 기여하고 국내 노년학 연구에도 미력하나마 도움을 주고자 한다. The aim of the paper is to explore a new perspective on the elderly in a Korean comic book Nabillera, published in 2017, in the light of humanistic gerontology. We also examined the trends in gerontology studies in the West and raised the need for the development of a new methodology of aging studies that can reflect the dynamic changes in Korean society. After determining a brief history of aging studies of the modern West, we explained the recent definitions of humanistic gerontology, and then analyzed how Deok-chul, the main character of Nabillera, grows up to search for the self-identity through the “narratives of becoming”. The narratives of becoming, coined by Hanne Laceulle, is a term serving as a prelude to the idea of self-realization. According to her, human beings answer the question who they are by telling the stories about themselves. Stories are thus granted a constitutive function in personal identities. Researchers of humanistic gerontology regard the elderly as the co-equal members of society not as social refugees, criticizing that mainstream gerontology doesn’t ask the fundamental questions of human existence. They suggest that older age needs to be explored without losing sight of the individual persons concerned. Humanistic gerontology is in a process that is yet to be fully established as a theory. This study helps expand humanistic gerontology to be a comprehensive and accurate theory through the analysis of Nabillera, the struggle for affirmation in old age.

      • KCI등재

        포스트휴먼 조건 또는 인간의 조건

        김응준 ( Kim Eung-ju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7 人文科學 Vol.0 No.67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이 인류의 유토피아를 과학기술적으로 구현하는 새로운 인간 조건을 실현할 수 있는지를 비판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과학기술은 불완전하고 유한한 존재인 인간을 완벽한 인간(Homo Magnus)으로 만들 수 있는 도구적 의미를 갖는다. 또한 과학기술적으로 인간의 한계를 극복하려함은 인간을 위한 새로운 인간 조건 산출을 의미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휴머니즘과 포스트휴머니즘은 질적 차이를 보인다. 휴머니즘이 인간과 과학기술을 분리하면서 인간중심적인 존재조건을 구성한 반면에 포스트휴먼은 과학기술 의존적이며 탈주체적인 인간조건을 구성하기 때문이다. 과학기술적으로 재구성되는 포스트휴먼은 인간이 과학기술과 완전히 연결되고 연동되는 곳으로 과학기술적 합리성과 보편성이 지배하는 곳이며 바로 이곳이 인간의 새로운 유토피아가 될 것이라고 포스트휴머니스트들은 주장한다. 하지만 과학기술과 인간의 상관관계를 고찰하기 위해서는 창의적 인간(Homo Creator)의 생산물인 포스트휴먼적-과학기술적 재구성이 파국적 숙명의 인간(Homo Fatalis)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비판적인 조망이 동반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새로운 인간조건에 대한 포스트휴먼 논의를 비판적으로 검토해 보고자 한다.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to critically evaluate if the Posthuman can set a new human condition that pursues utilitarian universality. Scientifical technology can change the imperfect and finite humankind into a perfect one (Homo Magnus). Overcoming the limits of humankind with technology also means setting a new condition of humankind. Humanism and Post-humanism are qualitative different. The former has set the human-focused condition, while the latter is trying to set a human condition that is dependent on technology. And the individuals are becoming de-subjectificative. The condition of post-human rebuilt with technology is that human is perfectly connected to technology, works together with technology and is ruled by technological accuracy and universality. The posthumanists argue that this generation will be the new Utopia. But the technological human condition has always evolved together with the humankind. So we should realize that the product of Homo Creator, the technological reconstruction, can lead us to Homo Fatalis. In this view, this study covers the blind point of the posthuman discussion about the new condition of human.

      • KCI등재

        과학과 문화에 대한 니체의 사유

        서광열 ( Seo Kwang Yul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 Vol.0 No.63

        반시대적 사상가로서의 니체(1844-1900)의 모습은 과학에 대한 그의 태도에서도 예외 없이 드러난다. 그는 과학의 성과를 더 이상 거부할 수 없었던 19세기에 태어났고 살다 죽었다. 1870년대의 젊은 니체는 과학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과학서적도 열심히 읽었다. 그러나 그는 과학에 경도되기 보다는 냉정한 비판자의 입장에서 과학을 바라보았다. 그는 과학의 경험적이고 실용적인 지식의 확장을 사실적인 진리로 높이 평가하면서도, 과학이 과거 형이상학처럼 절대시되는 것에는 부정적인 입장을 견지하였다. 간단히 말해 그는 과학이 아니라 `과학주의`에 반대하였다. 그는 과학을 문명화과정의 일부로서는 인정하였으나, 문화로 인정하지는 않으려했다. 그렇다고 그가 과학을 외면했던 것은 아니다. 니체가 왕성한 집필을 시작한 1880년대에 들어 그의 과학서적 구입은 줄어들었으나, 그의 저술에서 과학에 대한 관심과 수용은 오히려 증가하였다. 다윈의 진화론 등은 니체의 `위버멘쉬` 사상에 영감을 제공하였고, 로버트 마이어의 열역학은`힘에의 의지`에, 에너지 보존법칙은 `영원회귀`를 착상하는 계기가 되었다. 자연과학에 대한 니체의 독서경험과 관심은 그의 철학에 창조적으로 수용되었으며, 결과적으로 그의 후기 철학은 문화로서의 과학(학문)을 창조하는 것으로 귀결되었다. 그의 이러한 시도는 과학에 예술적 성격을 불어넣는 것을 통해 비로소 가능해진다. 그의 “즐거운 학문”은 더 이상 좁은 의미의 자연과학이 아니다. 그것은 자연을 설명하지 않고 해석하는 학문이다. 해석의 자유가 곧 니체에게는 학문의 즐거움이며, “즐거운 학문” 이라야 문명이 아닌 문화가 될 수 있다. Nietzsche`s resistance against his times was, without exception, manifested in his attitude toward science. He was born, lived and died in the 19<sup>th</sup> century when men could not deny the outcome of science any more. Young Nietzsche in the 1870s had an interest in science and read science books devoutly. But he was not hooked on science, but understood science from the viewpoint of a critical thinker. On the one hand, he admired the realistic fact and knowledge of science. On the other hand, he rejected absolutization of science like traditional metaphysics. In short, he rejected not science but scientism. He admitted the fact that science was civilization. However, he would not think that natural science was a kind of culture. In the 1880s, Nietzsche wrote many books, and purchased a lesser amount of science books. But his interest and adaptation of scientific ideas increased. His idea of `Overman`, `Will-to-Power` and `eternal recurrence` were influenced by the contemporary science of biology, chemistry and physics. He embraced his own readings of natural science books and reflected them in his later philosophy. As s result, the task of Nietzsche was translated into a creation of `science as culture`. According to Nietzsche, this task can be accomplished only through the union of science and art. His Gay Science was not science in a narrow sense. For Nietzsche, science is an interpretation of the world and the freedom of interpretation was the gaiety of science. This gaiety is a necessary condition of science as culture.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기계 의료 윤리

        전대석 ( Jeon Dae Seok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8 人文科學 Vol.0 No.69

        이 논문은 4차 산업혁명과 기계 의료 윤리의 쟁점들을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집약과 분산의 관점에서 4차 산업혁명을 분석할 경우, 빅 데이터 분석 기술의 적용에 따라 개별적인 정보와 같은 것들은 집약되는 반면에 의사결정과 합법적 책임과 같은 것들은 인간으로부터 인공지능과 같은 기계로 분산된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기계 의료 윤리의 논의는 바로 그 지점에서 시작된다고 볼 수 있다. 기계 의료 윤리는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구분해서 생각해볼 수 있다. 우선, 어떻게 인간에게 도움이 되는 기계를 만들어야 하는가에 관한 반성적 고찰이 필요하다. 이와 반대로 인간은 기계를 어떻게 처우해야 하는가에 관한 철학적 논의도 요구된다. 전자는 로봇공학 또는 로봇윤리의 문제이고, 후자는 기계윤리의 문제다. 그리고 기계 의료 윤리는 기계 윤리와 의료 윤리의 융합이라고 말할 수 있다. 무어에 따르면, 인공적인 도덕 행위자는 ‘도덕 영향 행위자, 암묵적 도덕 행위자, 명시적 도덕 행위자 그리고 충분한 도덕행위자’로 구분할 수 있다. 그리고 ‘계산가능성, 자율적인 도덕 행위자로서의 기계 그리고 윤리 이론의 이행의 문제’는 인공적인 도덕 행위자에 관한 핵심 문제다. 컴퓨터 과학자와 공학자들은 ‘하향식, 상향식 그리고 융합식 접근법’으로 그 문제들을 해결하려고 시도한다. 하지만 그러한 접근법은 여전히 해결하기 매우 어려운 문제들을 갖고 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explore the main issues of the 4<sup>th</sup> Industrial Revolution (4th IR) and the Machine Medical Ethics (MME). If we analyze the 4<sup>th</sup> IR and MME in terms of the concept of integration and dispersion, the technology of Big Data integrates personal data in the world but the technolog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disperses decision-making and legitimated responsibility from human to artificial machines. The debate of MME should start from raising two kinds of main questions. The first question is that we require the self-reflective thinking of how we can design an artificial machine that can operate in favor of humans. And the other question is a philosophical discussion of how we can deal with or treat artificial machines. Roughly speaking, the first is a problem of robotics or robot-ethics, and the latter is a problem of the machine ethics. In short, the machine medical ethics combines the two questions mentioned above. According to J. H. Moor, a kind of Artificial Moral Agent (AMA) could be classified according to its competent properties; ethical-impact agent, implicit moral agent, explicit moral agent, and full moral agent. And the main problems of AMA differentiates three questions such as a problem of computability, a machine as an autonomous moral agent, and the implementation of ethical rules. Computer scientists and engineers try to implement AMA by applying ‘Top-Down, Bottom-Up and Hybrid approaches.’ However, it is manifest that finding a settlement through these approaches is as difficult as disentangling the Gordian Knot.

      • KCI등재

        특집: 테크놀로지와 주거의 인문학 : 시스템으로서 사이보그와 디지털 거주

        김연순 ( Youn Sun Kim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6

        사이보그의 일반적인 정의는 인간과 기계의 결합체이다. 이 정의는 첨단과학기술의 가파른 발전으로 생명공학적 변이와 가상공간에서의 인조생명도 사이보그로 언급되면서 갈수록 모호해지고 있다. 이에 본 논문은 인간과 기계의 결합방식을 고려하여 인간과 기계의 직접적인 결합, 인간과 기계의 직접적인 연계 그리고 인간-기계-공간의 통합적 시스템 등으로재구성된 인간을 사이보그로 정의하고, 이 혼성적 유형들 중에서 인간-기계-공간을 시스템으로 통합한 경우를 고찰하고자 한다. 오늘날 일상의 많은 일들이 컴퓨터를 통한 가상세계에서 이루어짐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가상공간에서의 활동을 삶과 별개화 하고 그 의미를 간과하기 때문이다. 컴퓨터와 인터넷 통신망을 통해 가상현실이 열리면서 인간은 실제 공간의 연장으로서 가상공간을 경험하고 있다. 인간은 기계와 자연스럽게 상호작용을 하면서 실제현실과 가상현실을 넘나들게 되었고, 기계를 매개로 자신의 정신과 감각을 연장시켜 가상세계를 경험하는 사이보그가 되고 있는 것이다. 중요한 것은 인간은 기계와 직간접적으로 상호작용하면서 시스템을 이루고, 이를 통해 인공적으로 만들어진 가상세계에서도 자신의 삶을 영위한다는 점이다. 말하자면 인간의 삶은 그 시스템 안에서도 이루어지고 있다. 심지어 기계와의 연계를 통해 살아가는 현대의 인간은 이 시스템을 벗어나서는 살아가는 것 자체가 쉽지 않게 되었다. 그러기에 인간은 이제 직접 자신의 신체에 기계를 결합하지 않았더라도 인간-기계-공간의 시스템에서 벗어날 수 없는 사이보그가 된 것이다. 그러므로 사이보그에게 실제 공간만큼이나 가상공간은 삶에 있어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그렇다면 가상공간에서 인간은 거주할 수 있는가? 자연 공간에서의 거주와 달리 가상공간에서의 거주는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가? 이러한 질문에 답을 제시할 수 있을 때, 디지털 영역에서의 거주는 자연스럽게 삶의 정당한 의미를 부여받게 될 것이다.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형성되는 가상공간의 전자적 환경이 일상생활에서조차 실제와 가상의 구분을 모호하게 하고, 그 속에서 인간의 모든 활동은 실제현실과 가상현실의 탈경계에서 공유되기 때문이다. Cyborg is generally defined as a creature that is part human, part machine. But this definition is ever becoming vague as biotechnological mutation and artificial life in imaginary space are categorized as cyborg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the cutting-edge science and technology. In consideration of the way of combination between human beings and machine, this paper defines cyborg as a reproduced human being based on: a direct combination of man and machine; a direct connection between man and machine; and an integrated system of human being-machine-space. This study focuses on the third, an integrated system of human being-machine-space, among the three hybrid types. It is because the people of today think the activities in virtual space and their life as two different things and disregard the meaning of virtual space even though, in contemporary times, many activities are carried out in the world of virtual reality including computers. With the realization of virtual reality through computers and Internet communications networks, people are experiencing virtual space as an extension of actual space. As man and machines naturally interact with each other, people have crossed the border of reality and virtual reality, and have become cyborgs that experience virtual reality by extending their mind and senses through the medium of machines. More importantly, man has established a unique system with machines in the process of direct or indirect interaction between the two, through which man can lead their lives in the artificially made virtual reality. In short, man leads his life in the system. Furthermore, contemporary man who is living in close connection with machines finds it hard to live outside the system. Although men have not yet combined their bodies with machines, they have naturally become cyborgs that are unable to get out of the “system of man-machine-space.” Therefore, the meaning of virtual space is as significant as actual space for cyborgs. Then, can men reside in virtual space? How can we understand the habitation in virtual space in comparison with the habitation in natural space? Only when we can answer this question can habitation in the digital zone be naturally endowed with the proper meaning of life. It is because electronic environment of virtual space that is formed through computers and the Internet blurs a distinction between reality and virtual reality in our daily lives and all the activities of human beings are being shared outside a border of reality and virtual reality.

      • KCI등재

        일반논문 : 포스트휴먼 유토피아? -공진화와 탈진화 사이의 포스트휴먼 인류-

        김응준 ( Eung Jun Kim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人文科學 Vol.0 No.58

        본 논문은 포스트휴먼 시대의 자연 진화와 과학기술적 진화의 상관관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포스트휴머니스트들은 인간의 자연진화가 과학기술적 유용성과 효율성의 지배를 받게 되며 또한 그 통제권을 벗어나지 못할 것이라고 설명한다. 따라서 포스트휴먼 시대에는 과학기술적 낙관성이 지배할 것이며 인류는 더 이상 자연적 진화 과정을 유지할 필요가 없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문학작품을 사례로 본 논문은 자연 진화의 조율 및 조작 가능성을 한편으로는 과학기술과 인간의 공진화라는 측면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인류의 한계를 극복하는 탈진화라는 측면에서 비판적으로 조망하고자 한다. 다시 말해 기계적 존재와의 공존이 포스트휴먼적 인간의 모습으로 이해될 수 있는지 - 크라흐트의 『나 여기 햇살과 그늘에 살리라』의 경우 - 또는 인위적인 인간 제작이 포스트휴먼적 탈진화로 이어지는지를 - 케르너의 『블루프린트』의 경우 ?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인 두 작품은 인류의 도구수단인 과학기술이 인간을 위한 도구적 의미를 넘어 오히려 인간의 존재론적 의미를 인위적으로 왜곡할 수 있음을 지적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포스트휴먼 인류의 유토피아적 낙관주의에 의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The paper takes a critical approach of examining a correlation between natural evolution and scientific-technological evolution in in the posthuman era. Posthumanists claim that mankind will find it no more possible to maintain the process of natural evolution. They add that natural evolution of mankind will be governed by the scientific-technological utility and efficiency and therefore cannot be free from their control power, suggesting that utopian optimism will prevail in the scientific-technological post-human era. However, Ich werde hier sein im Sonnenschein und im Schatten by Christian Kracht and Blueprint by Charlotte Kerner criticize both the possibilities of coevolution with machines and the possibilities of postevolution of overcoming finality of creatures through reproduction. The two books also maintain that the acquisition of reciprocal identity through coevolution of manhkind and science-technology and the attempt to overcome naturalness and finality through postevolution will ultimately be faced with limitation. This paper examines that the scientific-technological development will not offer posthumanistic optimism and utopia but bring about the future of dystopia where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human being will lose its meaning.

      • KCI등재

        포스트휴먼 딜레마 -인간향상과 포스트-바디에 대한 비판적 고찰-

        김응준 ( Kim Eung-ju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科學 Vol.0 No.63

        본 연구는 몸/육체 그리고 정신/영혼이라는 전통적 인간 이해를 토대로 과학기술시대 테크놀로지와 인간의 몸/육체 또는 정신/영혼의 상호 연관관계를 비판적으로 비교분석하여 소위 포스트휴먼 시대 과학기술지상주의의 한계와 논리적 모순점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인간과 과학기술의 인터페이스뿐 아니라 이 두 이질적 속성의 합체와 융화를 살펴보고자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간의 육체에 대한 의미변화를 유형적으로 구분하여 소위 인간향상기술이 인간의 생물학적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만 이와 동시에 전통적 휴머니즘적 세계관을 붕괴하고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나아가 본 연구는 인간향상기술에 기반을 두고 있는 포스트휴먼이 스스로 자신의 육체(바디)를 잉여적인 것으로 변질시킴과 동시에 과학기술의 대상으로 요구하는 모순적 상황에 있음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한다. This study critically analyzes the modern discussion about body and the posthuman. The discussion about posthuman suggests, on the one hand, the possibility to overcome the natural limit of the human with body and mind. On the other hand, it suggests the appearance of a new type of human. From this point of view, posthuman pursues a disembodied human; a man with body composed of new meanings but not traditional meanings. In this new thinking, science and technology (especially human enhancement and the following appearance of pot-body) are very important. In this study the present writer takes the novel L`Ultime Secret (B. Werber, 2001) and Kopflos (Ch. Kerner, 2008) as examples. The former suggests the formation of the Post-Body through brain-enhancement that strengthens the function of the brain by connecting the brain to electronic network, while the latter describes the meaning of brain-transplant that restructures a new man by connecting a head from a man who has only living brain to a body from a man with only living body. These are two types of transformable post-bodies. This study considers and critically surveys the meaning of human enhancement and the following post-body.

      • KCI등재

        4차 산업혁명과 인문학의 또 하나의 길-독일을 중심으로-

        김연순 ( Kim Younsun ),이종관 ( Lee Jongkwan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0 人文科學 Vol.0 No.76

        18세기 중엽 이후 등장한 산업혁명이 디지털 혁명에 힘입어 4차 산업혁명으로 진화하고 있다. 4차 산업혁명으로의 출발점은, 제조업 강국으로서 미래에도 국가경쟁에서 우위를 차지하려는 독일의 하이테크 전략 수립에서 찾을 수 있다. 이를 위해 독일 정부는 2004년부터 오늘날까지 방대한 프로젝트들을 지원하고 있으며, 그 첫 연구 결과는 2006년 8월 ‘하이테크 전략’으로 발표되었고, 2010년에는 ‘인더스트리 4.0’이라는 제조업의 혁신전략으로, 2016년에는 공식화된 ‘4차 산업혁명’으로 이어졌다. 이 일련의 과정들에서 관통하는 핵심은 디지털화이다. 디지털화는 산업 환경의 질적 변화는 물론 노동의 질적 변화를 요구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서 이것은 교육의 질적 혁신으로 실현될 수밖에 없음으로 인식되고 있다. 성공적인 제조업의 혁신을 위해서는 그와 맞물린 다른 사회적 여건들에서도 혁신적인 솔루션이 실현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의 과정에서 노동과 교육 영역에 요청된 혁신의 기반이 디지털화이고 그것에 관련된 인문학의 새로운 방법론 모색에 이르는 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4차 산업혁명의 출현과 독일적 특성에 따른 인더스트리 4.0-노동4.0-직업교육4.0, 더 나아가 인문학의 새로운 분과로 등장한 디지털 인문학에 이르는 일련의 과정이 고찰될 것이다. 이로써 본 논문은 4차 산업혁명과 관련해서 독일의 인문학이 실용화 되는 한 단면을 제시하려 한다. Since the mid-18th century,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evolved in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riven by the digital revolution. The starting poi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an be found in the establishment of Germany’s high-tech strategy, as a manufacturing powerhouse, that will continue to lead the competition in the future. To this end, from 2004 until today, the German government has supported a large number of projects. The results of the first study were announced by Merkel in August 2006 as a “high-tech strategy”, followed by a manufacturing innovation strategy called “Industrial 4.0” in 2010 and a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2016. The key to penetrating this series of processes is digitization. Digitization leads to qualitative changes in the industrial environment, resulting in qualitative changes in labor, and further demands for qualitative changes in education. In order to successfully innovate manufacturing, other social conditions require innovative solutions to be realized. This paper examines what humanities look for in Germany during this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o this end, I would like to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mergence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Digital Revolution, and briefly examine the digital humanities that emerged as a new branch of the humanities and industry 4.0-labor 4.0-vocational education 4.0 reflecting German characteristics. In this way, I would like to suggest an aspect of the practical use of German humanities in relation to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 KCI등재

        모닝 리딩(晨讀), 중국 대학생들의 영어 구두능력 배양 방법

        왕완팅 ( Wang Wanting )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성균관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21 人文科學 Vol.- No.81

        중국에서는 옛날부터 제 2언어를 교육하는 다양한 방법론이 소개됐지 만, 대학에서 모닝 리딩처럼 인기를 끌었던 적은 거의 없었다. 모닝 리딩은 “읽기”보다는 “말하기”에 초점을 맞춘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의미와 다르다. 모닝 리딩은 ‘啞巴英語’ (벙어리 영어)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두 영어 연습 방법이다. 질적·양적 연구 방법을 혼합하여 사용한 이 연구는 중국 대학생들의 모닝 리딩 현상을 보여주기 위해 모닝 리딩 연습 영상 두 개, 인터뷰 하나, 설문지 하나를 수집했다. 본 연구는 최근 몇 년 동안 중국 대학 캠퍼스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는 영어 학습 방법을 보여주기 위하여 일련의 단편을 제공하였다. 그리고, Richards와 Rodgers가 구축한 “방법론의 개념” (“the concept of method”)에 따라 모닝 리딩이라는 독특한 영어 학습법이 정의될 것이다. 이 연구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모닝 리딩이 대학생들의 영어 종합 능력과 다른 능력을 배양할 수 있는 지의 응용 가치에 대해 토론한다. While various language teaching methodologies had been introduced in previous days in China, none of them have gained popularity like Morning-Reading (MR) at colleges. MR differs itself from the traditional meaning in that it focuses on “speaking” rather than “reading”. It is an oral English practice method aimed at solving the problem of so called ‘啞巴英語’ (Dumb English). Having mixed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ith a quantitative one, this study collected two videos of MR practice, an interview, and a questionnaire to show the MR status quo of Chinese college students. This paper presents a series of fragmentary and independent sections on morning-reading in order to present to the audience this learning method. Then the unique English learning/teaching method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the concept of method” established by Jack Richards and Theodore Rodgers would be defined. At the end of this paper, the application values of MR in building college students’ English competence and other abilit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