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전쟁과 가사문학

        고순희 ( Soon Hee Ko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이 연구는 한국전쟁 당시의 경험을 서술한 가사 작품을 대상으로 한다. 현재까지 확인된 가사는 총 7편으로, <회심□> <원한가> <고향 □난 회심곡> <피란사> <나라의 비극> <추월감> <셋태비감> 등이다. <추월감>을 제외한 모든 자료는 학계에서 다루어지지 않은 것이다. 먼저 각 가사 자료의 확인된 소재지를 정확하게 밝혔다. 그리고 작품 내용의 분석을 통해 각 가사가 한국전쟁과 관련한다는 점, 가사의 창작연대, 작가의 성별, 창작 당시 작가의 나이 등을 고증했다. 다음으로 한국전쟁을 직면한 작가의 입장을 분석했다. 국군과 인민군 중어느 한 편의 입장을 벗어나 전쟁 자체에 대한 반감에 초점을 두고 서술한 가사는 <회심□>, <나라의 비극>, <피란사> 등이다. 국군의 입장에서 서술한 가사는 <원한가>와 <고향 □난 회심곡>이다. 그리고 좌우갈등의 문제를 서술한 가사는 <추월감>과 <셋태비감>이다. 마지막으로 이들 가사 작품의 문학사적 의미를 규명했다. 가사문학이 한국전쟁 당시까지도 장르적 생명력을 유지하고 있었음을 보여주는 전형적인 예라는 점, 한국전쟁 당시 한국인의 경험과 입장들을 다양하게 반영하는 다큐멘터리로 기능한다는 점, 한국전쟁 당시 동족상쟁의 비극성을 한탄하고 전쟁 자체를 강하게 거부하는 한국인의 일반적 정서를 대변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이들 가사 작품의 문학사적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This article researched the texts of Gasa which describe the experience of the writer in the period of Korean War. To obtain the texts of Gasa which describe the experience of the writer in the period of Korean War, I have extensively investigated the collections of manuscrips and printing books. As a result, seven pieces of Gasa were corrected until now. These are <hoesimsa>, <Wonhanga>, <Gowhyang-dduhnan-hoesimgok>, <Peeransa>, <narayi-beeguk>, <Chuwolgam>, <Setebigam>. Until now the academia did not pay attention to these texts of Gasa except <Chuwolgam>. First of all, I presented the texts of Gasa which describe the experience of the writer in the period of Korean War. And through the analysis on the contents of work I proved the writer, writing age, the fact that each work was related to The Korean War, and whether the writer is a woman or a man. Next, I analyzed the position of each writer facing the Korean War. Gasa which describe the antipathy to the war itself are <hoesimsa>, <narayi-beeguk>, <Peeransa>. Gasa which describe in the position of Southern soldiers are <Wonhanga>, <Gowhyang-dduhnan-hoesimgok>. Gasa which describe the ideological conflict of one woman are <Chuwolgam>, <Setebigam>. Finally, I probed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these Gasa works. These Gasa works has the significance as a documentary literature which typically reflect the tragedy of war and the life of our ordinary people in the period of Korean War. And these Gasa works shows us that traditional features of poetry existence was maintained until recently.

      • KCI등재

        조선전기 "무등산권 赤壁" 공간의 문학작품 연구

        김대현 ( Dae Hyun Kim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이 논문은 ‘문학 공간’으로서의 ‘무등산권 적벽문학’을 다루고 있다. ‘적벽’이란 동아시아의 대표적인 문학 공간을 가리키는 이름이다. 따라서 ‘적벽’은 중국을 비롯하여 한국이나 일본 등에 많이 남아 있다. 전통시대에는 山水가 아름다운 곳에 누정과 원림 등을 건축하면서 특별한 문학 공간을 만들기도 하였다. 그래서 무등산권 적벽 지역이 위치하였던 同福縣에는 많은 누정이 건립되었음을 여러 기록들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적벽의 자연 공간을 그린 문학작품과 더불어, 勿染亭 등 그 적벽 지역에 있던 많은 누정들의 문학을 포괄하여 ‘적벽문학’이라고 부를 수 있다. 특히 화순의 ‘무등산권 적벽’은 한국의 대표적인 ‘문학공간으로서의 적벽’이라고 할 수 있다. 이곳에는 누정과 같은 많은 문화적인 유적이 있었고, 셀 수 없는 작품들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 글은 한국 적벽문학의 대표적인 공간인 전라도 화순의 ‘무등산권 적벽’ 공간에 대한 개괄적 연구의 한 가지이다. 그 내용은 조선 전기의 무등산권 적벽문학으로 한정시켜서 다루고 있다. 조선 전기 신재 최산두 선생은 자연공간의 적벽을 인문공간의 적벽으로 인식하여 나갔다. 그 후로 신재의 한시부터 석천 임억령, 제봉 고경명의 한시 등은 적벽 공간의 아름다움을 잘 그리고 있다. 다른 한편 제봉 고경명의 <遊瑞石錄>이나 학봉 김성일의 <遊赤壁記> 등 산문 작품은 조선 전기 대표적인 적벽 遊記이다. 그러나 일부 작품은 은둔사상이 나타나고 있지만, 대개는 관인들의 문학이었기에, 경관의 아름다움을 주로 그리면서, 유가적인 학문자세 등이 잘 드러나 있기도 하다. This article addresses ``Jeokbyeok literature in Mt. Mudeung area`` as ``the literary space``. ``Jeokbyeok`` refers to the representative literary space in East Asia. A number of ``Jeokbyeok`` remain in China, Korea and Japan. In the past, special literary spaces such as Nujeong, 樓亭 and Wonrim, 園林 had been built in sites of scenic beauty. It is reported that many Nujeong had been built in Dongbokhyeon, 同福縣 which was in the same location of Jeokbyeok in Mt. Mudeung area. The literary works regarding natural space of Jeokbyeok and Nujeong such as Mulyeomjeong, 勿染亭 are generally called ``Jeokbyeok literature``. Especially, ``Jeokbyeok in Mt. Mudeung area`` in Hwasun, 和順 is the most representative ``literary space`` in Korea. There are plenty of cultural sites such as Nujeong and literary works. This paper is one of the studies on Jeokbyeok in Hwasun in Jeollanam-do province as the Korean representative literary space. The content is mainly concerned with Jeokbyeok literature in Mt. Mudeung are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In the early Joseon Dynasty, Sinjae Choi San-du, 新齋 崔山斗 recognized Jeokbyeok in natural space as a literary space. Classical Chinese poetry by Sinjae, 新齋, Seokcheon Yim Eok-ryeong, 石川 林億齡, and Jebong Go Gyeong-myeong, 霽峯 高敬命 illustrates the beauty of Jeokbyeok. <Yuseoseokrok>, 遊瑞石錄 by Jebong Go Gyeong-myeong, 霽峯 高敬命 or <Yujeokbyeokgi>, 遊赤壁記 by Hakbong Kim Seong-il, 鶴峰 金誠一 is the typical prose in the early Joseon Dynasty. Every piece of the literary works represents the beauty of Jeokbyeok. However, many pieces show the Confucian, 儒家的 academic attitude rather than the secluded spiritual world.

      • KCI등재

        개화기 시조의 國詩운동 -대한매일신보 소재 시조를 중심으로

        국윤주 ( Yun Ju Kuk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개화기 신문과 잡지 등에서 연희, 항요, 가곡 등 통속적 대중문화의 개량을 주창하는 일련의 흐름들을 가장 체계적으로 정리한 문학사상적 평론 <천희당시화(天喜堂詩話)> 분석을 통해서 국시의 시론을 두 가지로 압축해 보았다. 첫째 국시는 국민언어의 정화(精華)이므로 국자(國字), 국어(國語)로 된 우리말 시체(詩體)여야 한다. 둘째 국시는 문약(文弱)한 개인적 정서를 배격하고 강무(强武)한 상무정신을 바탕으로 시계(詩界)의 국수(國粹)를 보전해야 한다고 했다. 당대 국권회복운동의 가장 전위적인 신문매체에 게재된 시가라는 점에서 국시의 수사학적 특질은 프로파간다(Propaganda, 선전전략)적 기능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극대화되었음을 주목하였다. ‘계몽’이라는 시대적 과제를 실현하는 이성적 교육의 강조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시가의 전파와 향유에서는 시국에 대한 인식과 분노를 이끌어내고 개인의 감정을 충동하여 집단적인 감정으로 구조화하는데 주력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당대 대중들이 향유하던 통속적인 가곡과 민요에 대한 국가주의적 개량과 개혁을 선도적으로 구현한 국시운동의 프로파간다임을 알 수 있다. 또 대중 선전전략으로 독자들의 감정을 격발하고 적극적인 호응을 유도하기 위해 널리 행해진 독자 기고문과 독자 투고 작품을 분석하였다. 독자 투고 작품들의 수사학적 특질은 신문 편집진이 제시한 원 작품에서 2~3개의 핵심적인 관념어를 반복하여 시의(詩意)를 집약하고 효과를 배가시키는 용사(用事)의 방법과 이를 통한 담론의 내면화에 있다는 것을 밝혔다. 한편, 강무한 상무정신의 구현은 새로운 영웅의 형상화와 함께 타자의 설정을 통해서도 그 성격이 드러나는데, 선과 악의 핵심적 특질을 중심으로 단순화와 과장의 방법을 통해서 정형화된다. 특히 매도(罵倒)의 방법으로 타자를 구별하고 적으로서 위치를 규정하는 전략은 은유의 수사가 널리 이용되고 있음을 밝혔다. 1910년 이후 시조는 시대상황의 변화와 대한매일신보의 폐간과 더불어 지위와 역할에서 새로운 변화를 맞이하게 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hetorical characteristics of sijo called Sajo in Daehanmaeilsinbo. Besides, the National Poetry Movement that served as a principle of literary ideologies for these sijo works is explored to determine how the ideological principle was actually realized in sijo, especially in Daehanmaeilsinbo, during the enlightenment time. Most of all, Cheonhidangsihwa, a review based on literary ideologies that was the most systematicsummary of a series of streams that advocated the improvement of vulgar popular culture involving plays, hyangyo, and songs in the then newspapers and magazines, was analyzed to divide the theories of national poetry largely into two categories: First, the national poetry is the essence of national language and should be a verse form of the Korean words and language. Second, the national poetry needs to reject literally effeminate personal emotions and preserve national superiority of poets`` society on the basis of strong martialism. It has been noted that the rhetorical characteristics were maximized to reinforce the function of propaganda in that it was the most avant garde newspaper in the then national sovereignty restoration campaign. Despite the emphasis of rational education to perform the task of the times, enlightenment, it has been found that the focus was given to eliciting awareness and anger at the situations, inciting personal emotions, and structuring them into collective ones in spreading and enjoying new poems. This is a propaganda for the national poetry movement that took the lead in realizing nationalistic improvement and reform of popular and folk songs enjoyed by the then public. Readers`` contributions widely accepted to incite their emotions and induce their positive sympathy as a strategy for public propaganda were analyzed. The rhetorical characteristics of readers`` contributions could be found in the quotation to give intensive poetic meanings and double the effects through repetitive use of two or three key conceptual words from the original work presented by the newspaper editor and in the resultant internalization of discourse. Realization of strong martialism can also be found in embodiment of a new hero and in presentation of others and may be standardized through the methods of simplification and exaggeration based on the key characteristics of good and evil. The metaphor of a war was widely used for the strategy to differentiate others and position them as enemies as a means of condemnation. Since the year 1910, sijo has gone through new changes in its position and roles due to the changes of temporal situations and discontinuation of Daehanmaeilsinbo.

      • KCI등재

        강호가사에 투영된 생태적 사유와 상상력

        박영주 ( Young Ju Park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본고는 강호가사로 통칭되는 자연예찬의 시풍을 구현한 가사 작품에 투영된 생태적 사유와 상상력의 특징적 면모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그리하여 우리 선조들의 사유와 삶의 방식에 깃든 지혜로부터 오늘의 녹색지향적 문화와 생태문학에 전망적 시각을 제시하면서, 우리 고전시가의 의의와 가치를 새롭게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강호가사를 위시하여 자연예찬의 시풍을 구현한 문학작품 속에는 인간과 자연이 조화로운 관계를 이루어 나가는 삶과 가치의식이 투영되어 있다. 이러한 삶과 가치의식은 우주 만물을 ‘서로 화합하는 유기적 총체’로 이해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서, 그 바탕에는 우주 만물은 순환하고 변화하면서도 일정한 질서나 이치가 있어서 서로가 서로를 있게 하고 도우면서 스스로 조화와 균형을 유지한다는 ‘대대적’ 사유, 나아가 ‘자연의 지배자가 아닌 대표자’로서의 인간이 자연의 생명성과 리듬에 합일함으로써 ‘물아일체’라는 이상적 경지에 이르고자 하는 지향의식이 짙게 깔려 있다. 강호가사에서는 이러한 ‘물아일체’의 경지이자 정서가 대상과의 ‘대대적’ 관계맺기를 통해 크게 세 갈래 양상으로 형상화된다. ‘생생불식’하는 자연의 이법과 질서를 성찰하여 자연의 생명성과 조화를 묘사.형용하는 양상으로 술회되기도 하고, 대상과의 교감을 통해 ‘대대공존’의 관계를 일상생활 속에서 자각.체현하는 모습으로 표출되기도 하며, 자연의 경물이 자아내는 흥취에 몰입.동화되어 자연의 생명성과 리듬에 감응함으로써 ‘천인합일’의 삶을 지향하는 태도로 형상되는 것이 그것이다. 강호가사 작품 속에 투영된 이와 같은 사유와 상상력은 자연의 생태적 질서와 원리에 바탕을 둔 삶의 태도 및 현실성을 담보한 실천에 특징이 있다. 이러한 사유와 상상력은 오늘의 녹색지향적 문화와 생태문학에 다채롭고 풍부한 이미지와 상상력을 제공하면서, 정서적 국면에서도 새로운 감각과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다. In the lyrics works(Gang-Ho Gasa) for songs about nature, the life of humans in which nature and humans form harmonious relationships and value consciousness are projected. This paper considered the ecological thoughts and imaginations contained in these lyrics works. The issue of ecology is a universal issue in our lives, which is not limited to a certain period of time. In Gang-Ho Gasa, humans have the status of ‘representatives of nature not rulers’. The lyrics contain humans`` consciousness aiming at reaching the ideal state of ``the oneness of objects and I`` by being united with the liveliness and order of nature. From these works that contain such ecological thoughts and aiming consciousness, we can newly consolidate our sensations and perception of nature and ecology. Furthermore, we can also prepare the prospective view that must be expanded by the ecological view or ecological poetry of today. This paper can be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it studied the modern meanings of classics from a new viewpoints.

      • KCI등재

        韓國古代文人對屈原“美人”意象的接受

        정해령 ( Ding Hai Ling ) 한국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화학회) 2016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8

        원의 부(賦)에서 여러 여성 인물을 형상화하였는데, 그 중 “미인”의 형상은 가장 대표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미인”의 형상은《시경》으로 거슬러 올라가며 현실주의를 지니고 있는《시경》에서 “미인”에 대한 묘사는 현실 생활 속에 진실한 사람과 관련된 것이다. 굴원은 중국 시가(詩歌) 역사상 최초로 “미인”을 의식적으로 아름다운 정치와 밝은 군주의 상징으로 비유하였다. 아름다운 정치와 밝은 군주라는 이상을 추구했던 굴원이 비록 현실 속에서는 여러 번 좌절당하지만, 아름다운 정치를 추구하는 그의 숭고한 정신은 세인들의 경앙을 받아 왔다. 이에 굴원의 “미인” 형상은 후세 및 국내외의 문학에 깊은 영향을 끼쳐 역대 문인들이 본보기로 삼아 학습하는 문학전범이 되었다. 특히 굴원과 그의 작품이《문선(文選)》을 통해 한국 문학계에 들어왔을 때, 한국과 초나라의 정치 환경이 서로 비슷하였는데, 한국의 문인명사들은 불안정하고 부패한 사회 환경 속에서 정신적으로 위로해줄 약을 찾지 않을 수 없었다.《초사》에 나타난 굴원의 충정한 애국심은 특별히 추앙을 받았고, 생사의 선택에서 굴원이 보여준 굴절된 인격의 가치 및 그의 작품에서 향초 미인으로 비유한 군신과 이상에 대한 추구 등에서 드러난 인격적인 매력은 역대 한국의 문인묵객을 감화시켜 그들이 잇따라《초사》와 관련된 내용을 소재로 의소(擬騷), 조소(吊騷) 등 문학 작품들을 저술했다. 고려 시기와 조선 시기에 “미인”의 형상을 소재로 한 작품들이 많이 나타났으며, 이러한 작품들의 출현은 한국 한문학과 시가 문학의 발전을 크게 촉진시켰다. There are many types of women images created in the Fu of Qu Yuan ,in which the image of ‘the beauty’ is the most representative one.This image can be traced back to the ‘the book of songs’,in which it referred to person in real life.Qu Yuan was the first one who consciously compared‘the beauty’ to the good politics and capable and moral monarch in the Chinese poetry history, for which he suffered many setbacks,however,his spirit was highly admired by people.The image of ‘the beauty’ has a profound impact on the literature in later times and at home and abroad, and become the literature model imitated and learned by writers in all ages. When the works of Qu Yuan entered into the Korean literary circles with ‘the selection of literary works’, the political environment in Korea was similar to the Chu country. The writers and celebrities in Korea had to look for some mental consolation under this unrest and corrupt social environment.Qu Yuan’s loyalty and patriotic to his country in his works was highly respected. His personality reflected in his choice of death and his pursuit of good relationship between the monarch and his ministers deeply influenced the Korean writers in all ages. They wrote lots of poems which imitated or paid respect to the works of Qu Yuan. Lots of works used ‘the beauty’ image as their content during the Korea and North Korea periods, which greatly promoted the development of Korean Chinese literature and poetry.

      • KCI등재

        광주(光州)향교 관련 문헌자료를 통해서 본 “광주읍성”의 교육과 교화

        한예원 ( Yae Won Han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21세기 문명전환의 시기에 접어들어 광주는‘광주다움’이라 불릴 수 있는 정체성 확립이 요청되고 있다. 본 연구는 ‘광주읍성’이라는 유실된 역사유적에 관한 문헌상의 자료를 가지고, 광주다움의 이미지를 찾아가는 상상력의 작업이다. 광주읍성은 사라진지 100년이 넘는다. ‘사이버 광주읍성 구축을 위한 자료조사 사업’의 성과로 관련 문헌자료를 『광주읍성』이라는 책자로 편집하였다. 필자는 공동연구원으로 참여하면서 광주읍성 관련 많은 시문을 접하게 되었고, 본고는 특히‘향교’관련 문헌자료를 가지고 광주읍성의 삶과 문화 중, 교육에 관한 것을 중심적으로 고찰하였다. 향촌사회에서 ‘교육’은 정치의 일면이다. 향촌사회의 정치는 행정 시스템과 사법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것에서 그치지 않는다. 오히려 향촌민의 교화야말로 중앙정부의 정치적 이상을 향촌사회에 실현하는 정치적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향교라는 교육공간을 어떻게 마련하고 유지시켜 나갔는지를 살펴보는 것은 광주읍성의 향촌교화의 목표 및 내용을 추론해 보는 좋은 기회가 된다. 광주향교의 교육목적은 사환의 길에 나갈 엘리트들에게 유학적 이데올르기를 교육하는 일과, 향촌 공동체의 도덕적 가치를 발양하는 교화에 있었다. 조선의 유학지식인들이 구축하려고 했던 유교적 예교 사회의 모습과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향교교육이 이루어졌다. 광주 향촌 공동체가 추구하는 좋은 사회의 모습은 하.은.주 삼대의 순수한 풍교(風敎)가 실현되는 것이다. Gwangju needs to establishing own identity as cultural aspect in civilization exchange, the twenty-first century. This study is one of ideal work for building own identity image utilizing data of lost Gwangju fortress. Gwangju fortress have been lost for over 100 years. The literature materials of Gwangju fortress was studied before and the result was edited as <Gwangju fortress>. Especially, this paper includes life style, culture and education of Confucian temple in Gwangju fortress using many poem literaturesEducation of Confucian society was politics as administrative and judicial role but it is very small part. However, Edification of people in the society was main political activity of the central government, so how to make and maintain this local school is good chance for interpretation of their proposal and contents.

      • KCI등재

        <정과정(鄭瓜亭)>의 성립 과정 -악곡 구조와 가사 배열을 통하여 봄

        윤덕진 ( Dug Jin Youn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정과정>이 향가와 관련을 가진다는 추정은 11단의 시행 배열과 결구 차사 수반에서 말미암았다. 시가사의 흐름으로 보아 이런 추정이 불가하지는 않지만 명확한 단서가 되는 자료의 부족으로 확증에는 미치지 못하였다. 일본에 남아있는 고중세 가악 가운데에 도래 양식으로 보이는 <최마악>은 악곡 구조를 대비해본 결과 한국 가곡 계통인 것이 밝혀졌다. 또한, <정과정>에 남아 있는 악곡 정보를 통하여 <정과정>이 가곡의 선행 양식임을 확증할 수도 있었다. 이에 향가-<최마악>-<정과정>의 통서 수립이 가능다는 기대를 가질 수 있고, 본 논문은 이 통서 규명의 시발점이 되고자 시도되었다. 통서 규명의 도달점은 향가의 악곡 형식이 되어야 할 터인데 우선, <최마악>과의 관련이 더 깊이 맺어져야 한다. 이 관련은 고중세 동아시아 가악 교류라는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터이므로 여러 분야의 연구 업적이 통합됨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목표 설정을 확고히 하기 위하여 기존 <정과정> 연구의 여러 분야를 통합의 시각에서 다루었고, 문학과 국악의 연계선상에서 논지를 확보함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정과정>의 악곡 구조에 관한 연구는 『大樂後譜』악보를 근거로 하여 상당한 진전을 이루었지만, 이 작품이 계면조의 원류라는 사항에 대하여는 직접적인 관심이 베풀어지지 않았다. 본고에서 가악 풍도형용이나 시조계의 관습을 원용하여 이 문제에 접근하여 보았으나, 여전히 악조의 인상을 확인하는 선에 머물렀다. 선율 분석이나 다른 작품이나 다른 갈래와의 대비를 통한 구체적인 규명이 더 가해져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악곡 구성 방식상으로 보아 <정과정>이 무악 계통의 악곡이리라는 지적도 사회정치사적인 맥락에서 <정과정>의 음악적 바탕을 무속적인 것으로 보는 견해와 연계하거나 무악의 일반적인 특징을 대입시켜 보거나 하는 구체적인 작업을 통하여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이런 작업은 결국에는 삼국시대의 가악을 무악 성향이 강한 것으로 보는 국악계의 연구 성과와 결합될 것이므로 향가와의 관계 규명에도 크게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This study aims at the restoration of HYANGGA``s musical mode. There is very few data on HYANGGA’s performance, and only a handful of musical scores remains. Would we ever be able to sing HYANGGA again? Can we only read works of HYANGGA with the help of borrowed Chinese characters? Fortunately, Japan has preserved the old songs from the 7th~8th centuries, SAIBARA, which was originated from Korea. SAIBARA has the same characters as GAGOK, the classical song of CHOSUN dynasty. SAIBARA has very slow tempo and its dominant mood is gentle. The scholar-officials (sadebu) were the main audience of the GAGOK. The officials enjoyed the songs accompanied by geomungo, and the majority of GAGOK pieces were accompanied by geomungo. <CHEONGKWACHEONG> is also a song accompanied by geomungo. The close relation between GAGOK and <CHEONGKWACHEONG> was demonstrated by CHOSUN dynasty scholar-officials who were enthusiasts of geomungo. They testified that the modes of singing GAGOK, slow-moderate-fast THAEYUPs, came from <CHEONGKWACHEONG>. We can infer the relation between SAIBARA and <CHEONGKWACHEONG> from the clear association between SAIBARA and GAKOK. The common factor between SAIBARA and <CHEONGKWACHEONG> may be the type of performance, and this factor can be determined by the geomungo. In this study I try to clarify the common factors between the three singing modes by examining the historical records and musical scores from CHOSUN dynasty. Further studies should involve investigation of the equivalent resources from Japan and China.

      • KCI등재

        송순 한시 연구의 현황과 과제

        백숙아 ( Suk Ah Baek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이 글은 송순의 한시 연구에 대한 현황과 전망을 살핀 글이다. 국문시가를 대표로 하는 「면仰亭歌」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던 기존의 논의를 계승하면서 더불어 송순 한시와 관련된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기존의 한시 연구의 성과와 앞으로의 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송순 한시의 경향은 자연을 소재로 한 논의를 중심으로 크게 세 가지로 파악할 수 있다. 첫째 자연을 대상으로 하여 창작된 것, 둘째 자연에서 ‘道’의 발현을 읊은 것, 셋째 자연 속에 누정과 기행을 담은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밖에도 자연시 다음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輓詩를 비롯하여 이별시와 교유시에 대한 연구들을 살펴보았다. 먼저 송순 한시 연구에 있어 주제별 분류에 따른 각 작품의 문학적 의미 파악과, 미적 특성에 대해 보다 면밀히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그의 자연 소재 한시에 나타난 ‘道’의 발현에 대해 살펴보기로 하자. ‘道’의 발현이 드러난 작품들은 주로 자연 소재나 사회비판적 한시 등에서 추출할 수 있었기에, 그 의미에 대해 새로운 모색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를 위해 각각의 한시 작품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그 성격과 미의식의 면모를 적절히 지적해내는 작업이 요구된다. 다음은 기행시 · 누정시 등에 대한 주제별 분류에 따른 논의의 필요성을 살폈다. 그리고 자연시 다음으로 비중이 높은 만시를 비롯한 이별시와 교유시에 대한 논의가 빈약하기에 이에 대한 관심의 환기가 요구된다고 여겨진다. 아직까지 송순의 만시나 이별시의 경우엔 따로 논의된 바가 거의 없는 실정이며, 간혹 자연 소재의 시나 교유의 시에 포함되어 다루어지고 있는 편이다. 이러한 실정에 대하여 연구자들이 더욱 관심을 갖고, 다양한 자료의 확보를 통해서 꾸준한 논의를 이어가야할 것이다. 이러한 작업이 함께 이루어졌을 때, 송순 한시 연구의 흐름을 제대로 파악할 수 있는 하나의 반성적 모색이 될 수 있으며, 아울러 그의 작품에 대한 관심을 보다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and prospect of research on Song Soon’s Sino-Korean poems. Mainly with regard to previous discussions centering on gasa Myeonangjeongga (면仰亭歌), this study reviewed the outcomes of research related to Song Soon’s Sino-Korean poems. This is for closer inquiry into his literary world, and for this purpose, we studied previous research on Sino-Korean poems. Previous studies largely categorized discussions on nature into three groups: first, Sino-Korean poems written on nature; second, poems describing the manifestation of ‘Dao道’ in nature; and third, poems on pavilions and travels in nature. Besides, we reviewed studies on Song Soon’s requiems(輓詩), farewell poems, and friendship poems, which were fewer than nature poems but still occupied an important position in Song Soon’s Sino-Korean poems. First, it was found necessary to recognize the literary meaning and aesthetic characteristic of each poem classified by theme in research on Song Soon’s Sino-Korean poems. With regard to the manifestation of ‘Dao道’ observed in his Sino-Korean poems on natural theme, poems in which ‘Dao道’ was manifested were mostly Sino-Korean poems on natural themes or for social criticism and therefore there should be renewed efforts to find the meaning. For this, each Sino-Korean poem needs to be classified by theme and its character and aesthetic consciousness need to be pointed out adequately. Next, we discussed the necessity for discussing travel poems and pavilion poems classified by theme. In addition, given insufficient discussions on poems other than nature poems such as requiems, farewell poems, and friendship poems,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call people’s attention to them. Song Soon’s requiems and farewell poems have been little discussed separately so far, and occasionally they were covered together with nature poems or friendship poems. In this situation, researchers need to take interest in these types of poems and continue discussions steadily based on various materials. When these research tasks are conducted, they may achieve a reflective search for the proper understanding of trend in research on Song Soon’s Sino-Korean poems, and enhance people’s interest in his poetry.

      • KCI등재

        문화콘텐츠 원천으로서 <화전가>의 가능성

        백순철 ( Sun Chul Paik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4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4

        이 연구는 화전가의 문화콘텐츠적 가능성을 전망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이를 위해 고전시가의 주요 작품들이 문화콘텐츠로 활용된 사례를 통해 현재 시점의 대표적 성과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본고의 대상인 화전가의 중심인 화전놀이가 현대적으로 계승 활용된 사례를 살펴보고, 화전가 텍스트를 통해 그 놀이의 역사성을 현재에 되살리는 데 어떻게 기여할 것인가의 문제를 거론하였다. 또한 화전가를 다양한 문화콘텐츠로 확장 전환하는 방향을 검토하였다. 고전시가의 문화콘텐츠화 양상에서는 시조, 가사, 민요, 무가 등의 자료 집성 및 주석과 현대화 등 기초적인 성과를 확인하였다. 또한 고전시가가 현대시, 현대소설, 대중가요 등의 현대적 텍스트로 변용된 사례에서 향가와 속요 갈래의 현대적 계승이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이밖에 고전시가가 관광콘텐츠로 활용된 긍정적 사례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고전시가가 문화콘텐츠 원천으로서 적절성과 확장성을 지닌 텍스트임을 제시하였다. 화전놀이의 문화콘텐츠화 양상에서는 유희적 소통으로 이뤄지는 현재의 화전놀이 수용 사례를 성찰하고 화전놀이 문화 본래의 지역성과 역사성을 복원하기 위해 화전가와의 결합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이를 통해 해방과 연대의 치유적 소통이 가능함을 제시하였다. 화전가의 콘텐츠적 가능성에서는 교육연구 콘텐츠 구축, 대중매체 콘텐츠로의 변용, 관광이나 전시 등의 산업정보 콘텐츠로의 확장 등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본고의 논의는 고전의 현대적 계승과 대중화라는 시대적 과제를 실천하기 위해 기획된 것으로 깊이 있는 교육연구 텍스트의 구축 못지 않게 대중적 확산과 소통의 노력을 위한 콘텐츠의 활용도 중요함을 제시한 것이다. The purpuse of this paper is to study potentional of Whajeonga as sources of culture contents. To this end, In this paper analyzed usage examples as culture contents in main works of classical poetry. And Whajeonnori includes regional features and historical features, However, Today, this had not just chance of modern succession in classical poetry. This study clarified appropriateness and scalability of Whajeonga as sources of culture contents. Firstly, In Making cultural contents of classical poetry, this study suggested Modernization of Sijo, Gasa, Folk song, and Muga. Besides, Modern change in appearance of classical poetry showed positive examples through of the Koryo-gayo and Hyangga. Next, this study emphasized local examples of festival and exhibition as Tourism contents of classical poetrySecondly, In Making cultural contents of Whajeonnori, this study presents possibility of therapeutic communication by healing and solidarity from combination with Whajeonga. Lastly, In Making cultural contents of Whajeonga, this study emphasized building of education cotents, transition to popular contents and transition to industrial cotents. As a whole, This paper institutes necessity of Making cultural contents of classical poetry. Through potentional of Whajeonga as sources of culture contents, we can identify potential of popular spreads and communication of classical literature.

      • KCI등재

        북한문학사와 향가

        조규익 ( Kyu Ick Cho ) 한국고시가문화학회(구 한국고시가문학회) 2015 한국시가문화연구 Vol.0 No.35

        『조선문학통사(상)』(1959)·『조선문학사(고대중세편)』(1977)·『조선문학사1』(1991) 등이 본고에서 사용한 텍스트들인데, 전자는 주체사상 등장 이전의 저술, 후2자는 주체사상 정립 이후의 저술들이다. 『조선문학통사(상)』은 맑스-레닌주의적 방법과 역사주의에 기초하여 문학사를 서술했음을 밝혔고, 후2자들은 그와 함께 주체미학적 관점을 강조했다. 향가가 ‘인민대중의 집단적 노동요’ 즉 ‘두레노래’에서 나왔다는 관점은 북한의 모든 문학사들에 공통된다. 사회주의적 리얼리즘의 필수요건인 ‘인민성·당성·노동계급성’ 가운데 인민성과 노동계급성을 강조할 필요 때문이었을 것이다. 노동계급으로서의 인민대중 속에서 불리던 생활가요들이 상당기간 후에 고안된 향찰 書寫法으로 기록되면서 구체적인 시 형식으로 나타난 장르가 향가라는 것이다. 따라서 그 書寫의 과정은 형식적 整齊를 이루어 나가던 加工의 과정이었다. 그리고 노래 즉 ‘읊던 시가’에서 시문학 즉 ‘쓰는 시가’로의 전환을 향가에서 찾아낸 점은 시가사 전개 양상의 합리적 발견이었다. 개별 노래들의 해석에서 이념적 과잉의 모습을 보여준 것은 문학을 ‘사회주의 혁명을 보조하는 수단’으로 인식하던 그들의 입장에서는 당연한 결과였다. 비록 고전시대의 향가라 해도 사회주의적 리얼리즘 이론의 합목적적 기준에 맞도록 해석해야 했고, 그 핵심 내용인 ‘인민성에 기반을 둔 집단성, 계급투쟁, 반외세 투쟁’ 등에도 부합되어야 했다. 주체사상의 시기에도 문학사 서술의 기조는 앞 시기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주체사상 자체가 정치·외교적 현실의 변화를 반영한 삶의 노선이었기 때문에, 그들이 견지해오던 사회주의적 리얼리즘 미학의 근본까지 변화시켜야 할 이유는 없었다. 주체미학을 문학사의 강령으로 내세웠음에도 앞 시기의문학사에 제시한 작품 해석의 경향이 지속된 이유를 바로 여기서 찾을 수 있다. 향가에 대한 북한문학사들의 해석이 비교적 정돈된 느낌을 주는 것은 향가들이 향찰이라는 우리 독자적 표기체계로 정착된 최초의 노래라는 점에서 부정적인 면을 찾기 어렵기 때문이었다. 무엇보다 작품에서 읽어낼 만한 계급이나 이념투쟁 혹은 외세와의 투쟁적 요소 등이 적었기 때문이다. 향가 장르의 역사적 전개나 작품의 해석에서 이념 과잉으로부터 생겨나는 작위성이 적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부분적으로나마 그들 논리의 합리성을 인정하게 되는 이유 또한 여기에 있다. Joseonmunhaktongsa(Sang), Joseonmunhaksa(Godae-Jungse pyeon), Joseonmunhaksa 1 are the texts that I used in this paper. The former is the book written before appearance of Juche Idea, and the latter two are the books written after establishment of Juche Idea. The authors of the former declared that they narrated their literary histories on the basis of Marxism-Leninism and historicism, the authors of the latter two emphasized the aesthetic view of Juche Idea with it. The viewpoint that Hyangga was originated from the people`s collective work folk songs i.e. Dure songs is common in all the literary history books of North Korea. It might be necessary to emphasize the tendency of people and working class of the mandatory requirements of social realism. Hyangga was a genre that emerged as a concrete poetic form, being written in Hyangchal as the writing means created after long time when the working class had sung them as their living songs. Therefore, the process of writing the songs was a process of manufacture that had been refined formally. And, to find out the changeover from song i.e. ‘poem reciting’ to poetry i.e. poem writing was a reasonable discovery of aspect of developing the poetry history. It was a natural result to the people who recognized literature as the means of assistance for socialist revolution that showed the appearance of ideological excess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individual songs. They had to interpret the songs reasonably even in the realm of the Hyangga of Classic age, and the result of interpretation had to coincide with collectivity, class strife, and strife against foreign power on the basis of people tendency. The keynote for narrating literary history was not changed so much even in the time of Juche Idea. There was no reason that they had to change the aesthetic basis of social realism which North Korea have reassured itself for a long time. We can find out the reason that the tendency of interpreting works in the former literary histories held out, despite they rendered Juche aesthetics as their own doctrine. Because it is not easy to find out the negative points in that Hyangga works were the first stage`s songs written in our own writing system i.e. Hyangchal, the interpretation of Hyangga in the North Korea`s literary histories seems to be rather a little neat. And, it is because Hyangga works have a little element of class, ideology strife or strife against foreign power. Despite we can`t deny the mendacity from excess of ideology in Hyangga`s historical development or interpreting works, also there is a reason to recognize their own rationality partly in this poi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