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의 자존감 결정요인: 자기-역량지각과 사회적 지지의 영향

        김순혜 한국인간발달학회 2010 人間發達硏究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self-esteem, self-perceived competence and social supports in regards to adolescents. The basic assumption underpinning of this research exercise is Harter's multifaceted hierarchical model. 2844 middle schoolers and 3349 high schoolers responded to question items corresponding to the same meaning of those contained in the original SSPC(Harter, 1982) instrument.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means of multiple group analysis in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rough SPSSWIN 18.0 and AMOS 18.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high schoolers exhibited a higher perception of self-esteem than middle schoolers. Second, the means of specific domains in perceived competences and social supports differed across both domains and grade. In terms of general tendencies, the two groups indicated higher levels of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than physical appearance. Third,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the sub-factors,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was the most powerful predictor of adolescents' self-esteem. In the case of middle schoolers, the order of predictive power was academic competence> parents' support> teacher's support> social acceptance> physical appearance, respectively. In the case of high schoolers, the order of predictive power was academic competence> parents' support> social acceptance> physical appearance> behavior conduct, respectively. Fourth, only teacher's support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as being a predictors of self-esteem between the two groups. Taking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nto considera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intervention related to self-esteem should be different across the various ages of adolescence.

      • SCIESCOPUS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교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행동간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

        김순혜 한국열린교육학회 2009 열린교육연구 Vol.17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tective factors on the relation between bullied and bullying experiences in elementary school. Four hundred and eighty children from 3 elementary schools were sampled. The protectiv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 including individual(competency, altruistic disposition, locus of control), family(family mood, parents' support), and school(friend's support, teacher's support, positive learning attitude) level.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Results indicated that competency, altruistic disposition, locus of control and friend's support moderated the link between bullied and bullying experiences. However family mood, parents' support, teacher's support and positive learning attitude didn't show any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s. Since all the responces were based on self-report, we need care to interpret the results. Limitations related to questionnaire and sampling were discussed. With the limitations of the present study, the moderating effects of protective factors suggest that the program for school violence prevention in elementary school should be focused on improving individual protective factors and friendly relationship.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학교폭력 피해경험과 가해경험간의 관계에서 보호요인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삼고 수행되었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첫째, 학교폭력 가/피해유 형의 경험별 빈도를 알아보고, 둘째, 피해경험집단의 보호요인들이 가해경험에 어떠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가를 알아보고, 셋째, 피해경험과 가해경험간의 관계에서 개인, 가정, 학교의 보호요 인들의 조절효과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3개 초등학교 480명을 대상으로 피해경험과 가해경험, 그리고 개인요인(유능감, 이타성, 내적통제소재), 가정요인(집분위기, 부모지지), 학교요인(친구 지지, 교사지지, 긍정적 학습태도)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185명(38.5%)의 아동들이 피해경험 집단으로 분류되어 피해경험, 보호요인, 가해경험 간의 관계가 분석되었다. 분석은 빈도분석, 위 계적 회귀분석, 조절회귀분석 방법이 사용되었다. 그 결과, 피해경험이 가해경험을 예측하는데 있어 조절효과가 검증된 보호요인은 유능감, 이타성, 내적통제소재, 친구지지로 나타났고 가정 요인의 집분위기와 부모지지, 학교요인의 교사지지와 긍정적 학습태도는 조절효과가 검증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폭력예방프로그램은 초등학교 대상이어야 하며 개인의 인성교육 을 포함하여 친구관계를 중시하는 내용이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 KCI등재
      • 학교폭력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김순혜(Soon-Hye Kim) 국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8 교육논총 Vol.27 No.2

        본 연구는 학교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알아보기 위해 발달적맥락적 분석을 시도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생태학적 모형을 근간으로 하여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환경에 대하여 공간적인 규모를 기준으로 체계적인 분석을 하기 위한 것이다. 발달적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서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맥락적 분석을 하기 위해 개인적 특성을 비롯해 폭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환경요인으로서 가정, 학교, 사회요인을 포함시켰다. 이러한 4개 예측 요인 안에는 14개의 세부요인이 포함되어 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와 성남시에 위치한 초중고 27개교 835명이었다. 연구결과, 학교폭력의 실태는 가해경험이 27.5%, 피해경험이 37.4% 로 피해경험이 더 많았으며, 학교별로는 초등학생의 폭력경험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해경험 유무별 예측요인 점수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가해경험 집단은 모든 예측요인들에 대해 부정적으로 지각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학교폭력의 가해경험을 예언할 수 있는 요인들 중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은 학교요인이었으며 그 중에서도 친구관계 관련요인이 가장 높은 예언력을 보였다. 다만 초등학생의 경우는 가해경험을 예측할 수 있는 가장 강력한 요인이 폭력매체의 접촉정도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학교폭력의 예방과 개입이 초등학교때부터 시작되어야 하고, 접근 방법 역시 초중고별로 다르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특히 학교폭력에 미치는 친구관계의 높은 영향력으로 비추어볼 때, 학교폭력을 방지하기 위한 상담활동은 개별상담보다는 집단상담의 형태가 더 바람직하다는 것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influencing factors on school violence. For the developmental and contextual analysis, it is necessary to take into account the developmental difference and various environments. The environmental factors were individual/ familial/school/ social characteristics. Data for analysis were collected from 27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eoul and Sungnam city, where 835 students were randomly sampl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two-way ANOVA, zero-order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 descriptive analysis shows that 37.4% of the students had experiences of victim and 27.5% of them had bullied other students. Second, students who had bullying experiences perceived their environment negatively. Third, the powerful predictors of school violence were friend factors. but in elementary school, violent media were most powerful predictor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school violence was affected by various environmental factors. Therefore it seems important to develop the comprehensive intervention program involving all students, parents, school staffs and community staff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