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건부 Value-at-Risk와 Expected Shortfall 추정을 위한 준모수적 방법들의 비교 연구

        김민조,이상열,Kim, Minjo,Lee, Sangyeol 한국통계학회 2016 응용통계연구 Vol.29 No.1

        Basel committee suggests using Value-at-Risk (VaR) and expected shortfall (ES) as a measurement for market risk. Various estimation methods of VaR and ES have been studied in the literature. This paper compares semi-parametric methods, such as conditional autoregressive value at risk (CAViaR) and conditional autoregressive expectile (CARE) methods, and a Gaussian quasi-maximum likelihood estimator (QMLE)-based method through back-testing methods. We use unconditional coverage (UC) and conditional coverage (CC) tests for VaR, and a bootstrap test for ES to check the adequacy. A real data analysis is conducted for S&P 500 index and Hyundai Motor Co. stock price index data sets. 바젤 위원회는 시장위험의 측정 도구로 Value-at-Risk(VaR)와 expected shortfall(ES)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여러 문헌에서 VaR와 ES의 다양한 추정 방법들이 연구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준모수적인 방법인 conditional autoregressive value at risk(CAViaR), conditional autoregressive expectile(CARE) 방법들, 그리고 Gaussian 준최대가능도 추정량(QMLE)를 이용한 방법을 사후 검정을 통해서 비교하고자 한다. 각 방법의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 VaR에 대한 사후 검정은 unconditional coverage(UC)와 conditional coverage(CC) 검정을 사용하고 ES에 대한 검정은 붓스트랩 방법을 사용한다. S&P500 지수와 현대 자동차 주식가격 지수에 대하여 실증 자료 분석이 수행되었다.

      • KCI등재
      • KCI등재

        ‘새로운 미국 학교(NAS)’ 학교개혁 추진 사례의 특징과 시사점

        김민조(Kim, Min-Jo),박효정(Park, Hyo-Jung) 한국비교교육학회 2010 比較敎育硏究 Vol.20 No.2

        본 논문은 미국에서 ‘새로운 미국 학교’(New American Schools, 이하 ‘NAS)’를 중심으로 추진된 학교개혁 추진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학교컨설팅 활성화를 위한과제 탐색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학교컨설팅이 범학교차원 접근방식을 취하는 것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컨설팅 실행기관이 다양화되고 특성화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컨설팅은 궁극적으로 단위학교의 역량 강화에 목적을 두어야 한다. 넷째, 학교컨설팅 활성화 추진 과정은 3~4개년에 거친 단계적이고 장기적인 전략 속에서 진행되는 것이 필요하다. 다섯째, 학교컨설팅 실행기관과 의뢰인의 비용 확보를 위한 공적 자금 뿐만 아니라 민간기금의 활용을 적극적으로 검토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섯째, 학교컨설팅 체제 구축에 있어 다양한 기관들의 역할과 기능이 보다 명확히정립되어야 한다. 일곱째, 학교컨설팅의 활성화에 요구되는 여러 요인들과 여건들을 잘 조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This study aims at implications for making strategy to disseminate ‘school consulting’ by an analysis of the overall school reform from the cases of ‘New American Schools(NAS)’ in the U.S. As a result, the following implications are to be suggested. First, school consulting needs to take a school-wide approach. Second, it requires to have executive organizations which become diverse and specialized. Third, the purpose of school consulting ought to be empowering individual school’s competence. Fourth, school consulting dissemination asks for more step-by-step actions with a plan longer than 3-4 years. Fifth, more positive utilization of private investment as well as public funds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for organizations and clients to secure costs for school consulting. For the last, roles and functions of school consulting organizations needs to be clearly set while building a system of school consulting.

      • KCI등재

        학교문화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김민조(Kim Min Jo),이현명(Lee Hyun Myoung) 한국열린교육학회 2015 열린교육연구 Vol.23 No.4

        본 연구는 국내에서 수행된 학교문화에 관한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분석 종합하고 성찰하여 향후 학교문화 연구의 과제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설정된 연구문제는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 연구 영역 및 주제, 연구방법의 차원에서 학교 문화 연구 동향은 어떠한가? 둘째, 연구영역과 주제 차원에서 연구동향의 특징과 한계는 무엇인가? 연구 동향 분석 결과를 연구영역과 연구주제를 바탕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조직문화연구가 41편으로 가장 많았으며, 교직(사)문화 연구가 28편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학교 조직문화 연구 영역에서는 문화 측정 및 다른 변인과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가 31편으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교직(사) 문화 연구 영역에서는 문화 특성 분석 연구가 26편으로 가장 많이 수행되었다. 향후 학교문화 연구의 과제를 제안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 연구 영역, 연구 주제 등의 영역에서 연구 범위의 확대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조직문화와 학교문화 개념에 대한 보다 명확한 논의와 연구 접근이 필요하다. 셋째, 교직(사) 문화 연구와 관련하여 직업적 문화뿐만 아니라 개별 교사 집단의 특수성과 독특성을 밝히기 위한 연구 작업이 필요하다. 넷째, 수업문화에 대한 연구 관심의 확대가 필요하고, 교사뿐만 아니라 학생의 관점에서 수업문화를 들여다보는 연구 작업이 필요하다. 다섯째, 한국이라는 문화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만이 공유하는 학교문화의 특성을 드러낼 수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aimed to draw implications for setting direction of school change and researching on school culture by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reflecting the current studies of school culture in Korea. There were two prominent research question regarding school culture. First, what are the research trends of school(organizational)culture, (occupational) culture of teacher, instructional culture in terms of its topics, areas, and methods of research?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and limits of the research trends in terms of its topics and areas of research?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rends in its topics and area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number of studies in the school(organizational) culture was 41 and (occupational) culture of teacher was 28. Second, the correlational analyses of other variables and measuring culture in the (organizational) school culture were 31 and the analyses of cultural attributes in (occupational)culture of teachers were 26. This study proposed that the future study of school culture should be considered as follows. First, researchers need to consider the fact that the range of study of school culture should be extended in terms of participants, areas of study, and research topics. Second,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researcher to make clearer concepts of school organizational culture and school culture and to discuss new approaches to the study of school culture. Third, researchers need to work on identifying particularity and distinctive features of individual teachers groups and occupational culture in relation to (occupational) culture of teachers. Fourth, it is necessary for the researcher to shift their focus on teachers to on students when they are working on studying instructional culture and at the same time to extend the area of research interest in instructional culture. Finally, fifth, researchers need to addres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of school culture for those who share with the cultural identity of Korean

      • KCI등재

        미술치료학 전공 입학생들의 학사과정을 통한 자아상과 진로정체감 변화 연구

        김민조(Kim, Minjo),김지은(Kim, Jee Eun),권수용(Kwon, Su Y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

        목적 본 연구는 미술치료전공 입학생들의 나무그림검사와 진로정체감검사의 반응특성을 분석하여 4년간의 학사과정 동안 진로정체감과 자아상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경기도 C 대학 미술치료전공 입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18년 3월에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졸업을 앞둔 2021년 7월에 사후검사를 실시했다. 측정 도구는 양적연구방법으로 나무그림검사와 진로정체감척도검사를 진행했으며, 추가로 검사참여자 중 자발적 참여의사를 밝힌 5명을 대상으로 질적연구방법인 심층인터뷰를 진행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를 사용하여 각각의 진로정체감과 나무그림검사의 반응특성과 빈도파악을 위해 평균 및 표준편차분석을, 학사과정의 진로정체감과 자아상 영향을 보기 위해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했다. 결과 학생들의 진로정체감 척도의 정서요인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며, 나무그림검사에서 그림의 크기, 수피의 유무, 상흔이나 옹이의 유무에서 긍정적 변화를 나타냈다. 심층인터뷰에서는 2개의 영역, 6개의 주제와 그에 포함되는 14개의 의미범주가 도출되었는데 참여자들은 학사과정을 통해 진로를 확고히 하였고, 자신을 보다 구체적으로 인지하고 성장할 수 있었다고 보고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하여 4년간의 학사과정동안 미술치료학과 입학생들의 진로정체감과 자아상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었던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미술치료학 전공생들의 진로정체감 형성 지지기반 확대와 학문적 발전에 기여하기를 기대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4-year Undergraduate course on career identity and self-image change by analyzing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of art therapy college students’ Tree Test and Career Identity Test. Methods A pre-test was conducted in March 2018, and a post-test was conducted in July 2021 for 30 students entering the art therapy major at Gyeonggi-do C University. As a measurement tool, a tree picture test and a career stagnation scale test were conducted as a quantitative research method. In addit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5 people who voluntarily expressed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For the collected data,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understand the response characteristics and frequency of each career identity and tree picture test using SPSS 19, and a matched-sample t-test was performed to see the influence of career identity and self-image in the undergraduate course. Results The score of the students career identity scale-emotion factor improved significantly, and the tree picture test showed positive changes in the size of the picture, the presence of bark,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scars or knots. In addition, it was reported that two areas, six themes and 14 semantic categories included in the in-depth interview were derived from the in-depth interview.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e effect of 4-year undergraduate course in Art Therapy on career identity and self-imag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the career path and academic development of the undergraduate art therapy course.

      • KCI등재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 형성 및 활성화를 위한 학교문화 측정요소 탐색

        김민조 ( Kim Minjo ),이현명 ( Lee Hyun-myoung ),김종원 ( Kim Jongw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6 교육문화연구 Vol.22 No.6

        본 연구는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 형성 및 활성화 차원에서 학교문화를 들여다보기 위한 학교문화 측정요소를 탐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우선, 교사학습공동체와 학교문화에 대한 이론들을 탐색하고 이를 바탕으로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 형성 및 활성화 차원에서 요구되는 학교문화의 구성요소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둘째, 이론적으로 도출된 학교문화의 측정요소들을 통계적 분석을 토대로 타당화하여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 형성 및 활성화 차원의 학교문화 측정요소를 최종 도출하고자 하였다. 우선, 이론적 탐색을 바탕으로 학교문화 측정을 위한 구성요소를 학생들의 학습경험의 질, 교사의 전문성 지향, 학생들의 요구 충족, 리더십과 학교경영 4개로 설정하였다. 학교문화 측정을 위한 예비문항을 개발하여 연구자들 간의 논의와 현장교사에게 검토를 받아 예비조사 문항을 확정하였다. 본 조사는 초중등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주축요인 추출과 프로맥스 방법을 활용한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실시하여 최종 25문항을 추출하였다. 최종적으로 25개의 측정 문항이 4개 요인 등 1차 요인으로 구성되고, 4개 요인이 상위 요인(학교문화)으로 구성되는지를 확인함으로써 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고차 확인적 요인분석(Second-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학교단위 교사학습공동체 형성 및 활성화를 위한 학교문화 측정요소 및 문항은 학생들의 학습경험의 질, 교사들의 전문성 지향, 학생들의 요구 충족, 리더십과 학교경영 영역 등 4개 요인 2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elements of school culture measurement which addresses school culture in terms of forming and invigorating School-base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PLCs). At first, it explores theories of PLCs and school culture and draws elements of school culture measurement regarding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nd school culture. Second, it also validates theoretically drawn elements of school culture measurement based on statistical analysis and draws the final elements of school culture measurement. The basic elements to measure school culture was set in the theoretical discussion regarding school culture an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The preliminary items of measuring school culture were developed, based on the previous studies. Items of the pilot test was fixed through examining by school teachers and discussing by professional researchers. The final 25 items were extracted by conduct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EFA) using principal axis factor analysis and promax rotation method. These were organized into the first-order confirmatory factor included four factors such as student learning experience, teachers` orientation toward professional development, student satisfaction level, and leadership and school management. The second-orde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validity of a measurement tool by identifying higher-factor(school culture) of four factors. As this result, this school culture measurement tool consisted of 4 factors(student learning experience, teachers` orientation toward professional development, student satisfaction level, and leadership and school management) and 25 items.

      • KCI등재

        학교내 교원간 의사소통 네트워크 분석 : S초등학교 사례

        김민조(Kim, Minjo) 한국열린교육학회 2012 열린교육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S초등학교 내 의사소통 구조와 행위자의 특성을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사회적 네트워크 분석법(Social Network Analysis, SNA)을 활용하여 학교 조직 전체 구성원을 포괄하는 전체 의사소통 네트워크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충북지역 소재 공립 S초등학교 교원이고 설문조사방법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초등학교내 교원간 의사소통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교수·학습영역에 대한 교원들간의 연결 정도가 다른 영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초등학교 교원간 의사소통 네트워크의 구조적 특성을 응집구조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 거의 모든 의사소통 영역에서 학년을 중심으로 응집구조가 형성되고 있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셋째, S초등학교 교원간 의사소통 네트워크에서 행위자의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교수·학습영역에서는 수석교사와 연구부장, 생활지도 영역에서는 수석교사와 윤리교육담당 부장, 학교 경영 영역에서는 교감과 교무부장, 개인영역에서는 연구부장과 수석교사가 학교내 의사소통에서 주요 행위자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비추어 볼 때, 향후 S초등학교 교원들이 학년중심의 당파적 협력관계에서 벗어나 학교차원의 교사학습 공동체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학년간 의사소통 활성화 방안의 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S초등학교 교사전문성 개발체제(S초등학교 PDS) 운영과 학교내 교원간 의사소통 네트워크와의 관계를 분석하는 후속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nduct a systematic analysis of a communication structure and teachers' characteristics in the 'S' elementary school. For the study, Social Network Analysis(SNA) is utilized as a main method to design the research and conduct comprehensive analysis, by which a communication network in ‘A' school in Chung-buk province is viewed and analyzed. Data collection is mainly dependent on a survey method.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the degree of connection among teachers particularly in teaching-learning is comparatively high as the communication network structure among them has been analyzed. Secondly, teachers form a cohesive structure by school grade each is in charge at almost all dimensions with regards to cohesion analysis among teachers. Thirdly, the head teacher and a chief of research in the Teaching-Learning communication network, the head teacher and chief of moral education in the Student Discipline and Guidance communication network, and the vice principal in overall communication network within the school are much more actively taking part in the communication network than other types of teachers. Fourthly, in order to build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Communication network among teachers should be actively promoted instead of focusing on balkanization by the teachers in-charge-of the same graders. In addition, we suggest a further study on analysing PDS operation in the school and the network of communication at school.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