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경 여성에서 경피적 에스트로겐이 내경동맥 맥동계수에 미치는 영향

        조숙(Sook Cho),김세련(Sei Ryun Kim),이우영(Woo Young Lee),고승권(Seung Kwon Kho),황성욱(Seong Ook Hwang),김미영(Mi Young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0

        목적: 폐경 여성에서 경피적 에스트로겐이 동맥의 긴장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호르몬 대체요법을 받지 않았던 30명의 폐경 여성의 내경동맥에서 도플러를 이용하여 맥동계수를 측정하였고, 이들 여성에게 하루에 50μg씩 방출되는 에스트라디올 패취를 부착한 후 8주, 12주, 24주 후에 맥동 계수를 반복 측정하여 그 변화를 보았다. 결과: 호르몬 대체요법을 받기 이전에는 수축기혈압 평균이 115.5±9.1mmHg, 확장기혈압 평균이 75.2±8.3mmHg였으며 치료 시작 후 24주까지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 혈청 에스트라디올은 치료 전에는 13.4±13.7pg/ml였으며 치료 시작 후 8주에 55.8±32.8pg/ml로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며 24주에 74.9±33.5pg/ml를 나타내었다. 내경동맥의 맥동계수는 치료 시작 8주에 0.9±0.1로 감소하여 24주까지 계속 감소하였다(p=0.0001). 결론: 폐경 여성에서 경피적 에스트라디올 투여시 혈청 에스트라디올 값은 증가되고 동맥 긴장도의 감소로 내경동맥의 맥동계수가 감소되므로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데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Objectives: To evaluate the effect of transdermal estrogen on arterial tone. Methods: In 30 postmenopausal women, doppler ultrasound was used to assess blood flow characteristics in internal carotid arteries. As the pulsatility index(PI) represents impedance to blood flow distal to the point of sampling, pulsatility index of internal carotid artery was measured from the flow velocity waveform. Patients were studied pretreatment and at weeks 8, 12, and 24 of treatment with transdermal estradiol 50μg/day. Results: Blood pressure was not changed during transdermal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Serum estradiol was increased from 13.4±13.7pg/ml to 55.8±32.8pg/ml with week 8 of treatment and it was maintained until week 24. The mean pulsatility index was fallen to 0.1±0.1 during week 8 of therapy and a significant reduction in PI was maintained until week 24(p=0.0001). Conclusion: We believe that transdermal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affects on the arterial tone and prevents cardiovascular disease in postmenopausal women.

      • KCI등재

        폐경여성에서 호르몬 대체요법의 기간 및 환자의 특성에 따른 골밀도의 변화

        김세련(Sei Ryun Kim),조숙(Sook Cho),윤정묵(Jung Mook Yoon),고승권(Seung Kwon Kho),황성욱(Seong Ook Hwang),이우영(Woo Young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2

        목적: 폐경여성에서 호르몬 대체요법의 기간과 나이, 폐경후 경과된 기간, 치료전 골밀도값이 요추 골밀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5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인하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2년 동안 호르몬 대체요법을 받고 골밀도 추적 검사가 가능했던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환자의 연령, 폐경기간, 치료전 골밀도값과 치료 기간이 요추 골밀도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행한 전체 환자에서 치료 1년 후에 측정한 때 요추 골밀도는 평균 2.06% 증가하였으며(p=0.0001), 치료 2년째에 측정한 골밀도값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p=0.847). 치료 약제에 따른 골밀도의 변화는 대상군의 나이, 폐경기간, 치료전 골밀도값에 차이가 있어 상호 비교하는 것이 의미가 없는 것으로 보였다. 요추 골밀도는 환자의 연령이 높을수록(r=0.312 ; p=0.002), 폐경기간이 길수록(r=0.209 ; p=0.039), 그리고 치료전 골밀도 값이 낮을수록(r=-0.590 ; p=0.0001) 많이 상승했으며 이들 중 치료전 골밀도 값과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보였다. 결론: 호르몬 대체요법 시행 1년에 요추 골밀도가 가장 많이 상승하고 호르몬 대체요법으로 인한 골밀도 상승에는 한계가 있으며 골절의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으므로 골밀도가 많이 감소되기 전에 특히 치료 1년째에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change of lumbar bone mineral density(BM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HRT) and the other factors such as age, years since menopause(YSM) and initial BMD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1998 we measured lumbar bone mineral density in 100 postmenopausal women in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nha University Hospital. These women had been followed for 2 years after taking HRT. We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any relation between the duration of HRT, age, YSM, initial BMD and change of BMD. Results: Lumbar BMD was increased 2.06% after one year of HRT(p=0.0001) but there was no change of BMD at the 2nd year of HRT(p=0.847). The response to HRT was greatest in those who were oldest(r=0.209 ; p=0.039) and furthest YSM(r=0.209; p=0.039), and consequently among those who had the lowest BMD(r=0.590 ; p=0.0001). Conclusion: The bone mass was increased upto 2.06% at the 1st year of HRT but no more progressive increase was occurred. It suggest that intensive HRT is needed at 1st year of therapy. The risk of fracture is not decreased to that of the healthy population inspite of HRT, so the earlier therapy is necessary to prevent osteoporotic fracture despite of intervention.

      • KCI등재

        직장으로 투여한 Misoprostol에 의해 조절된 산후출혈 3예.

        이상은(Sang Eun Lee),황성욱(Seong Ook Hwang),고승권(Seung Kwon Kho),조숙(Sook Cho),임문환(Mun Hwan Lim),이우영(Woo Young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8

        Postpartum hemorrhage is an important cause of maternal mortality and morbidity. Especially uterine atony is the most common cause of postpartum hemorrhage. Conventional method to control postpartum uterine atonic bleeding is based on the use of oxytocin and ergot preparations. Prostaglandin F2α analogue such as carboprost can be used to promote contraction when these agents fail to produce uterine contraction. Prostaglandin E1 analogue, misoprostol has uterotonic effect by oral or vaginal administration. They are used to induce labor and first or mid trimester abortion. In postpartum uterine atonic bleeding, misoprostols cannot be used via oral or vaginal route. Recently we have experienced that postpartum uterine atonic bleedings unresponsive to conventional methods were controlled by rectal misoprostols. So we report these cases with a brief review of literatures.

      • KCI등재

        음향자극후 태아심박동의 컴퓨터를 이용한 분석

        정경미(Kyung Mee Jung),배종운(Jong Woon Bae),박문일(Moon Il Park),이재억,김선일(Sun Il Kim),고승권(Seung Kwon Kho)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2

        태아심박동검사에서 음향자극검사(AST)는 기존의 비수축성검사(NST)를 대치할만한 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특히 분만전 산전검사로서 음향자극검사는 여러 금기증 및 합병증의 제약없이 간편하고 비침습적으로 사용되고 있어서 점차 그 사용영역이 넓어져 가고 있다. 또한 음향자극검사는 비수축성 검사시 보일 수 있는 오류, 주로 태아 수면-각성 주기에 기인하는 위양성율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서의 유용성이 널리 인정되고 있다. 그동안 기존의 비수축성 검사와 음향자극 검사의 결과에 대한 여러 가지 비교 논문이 있으나 그 미세한 변화를 컴퓨터를 분석하여 연구한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본 논문에서는 그 변화를 저자등에 의하여 자체개발된 컴퓨터 분석시스템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은, 분만후 정상태아로 확인된 만삭전(preterm pregnancies, 임신 36주이하)임신과 만삭(term pregnancies, 임신37주에서 42주)임신을 대상으로 우선 비수축성 검사를 시행한 후 음향자극검사를 시행하였다. 음향자극전의 10분간의 비수축성 검사 및 음향자극후 10분간의 태아심박동 변화를 컴퓨터 분석(HYFM-I, 및 II) 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 및 결론을 얻었다. 1) 기본태아심박동수는 만삭임신에서 NST시 141±7.1bpm 이었던 것이 AST시 152.7±9.7bpm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며 (p<0.01, paired t-test), 만삭전임신에서도 NST시 144.6±6.8 bpm이었던 것이 AST 156.8±10.2 bpm으로 역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p<0.01, paired t-test). 2) 태아심박동 변이도(amplitude, bpm)는 만삭임신에서 NST시 18.2±6.4 bpm, AST시 22.6±5.0 bpm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며 (p<0.01, paired t-test), 만삭전임신에서도 NST시 17.8±5.5 bpm, AST시 22.7±5.9 bpm으로 의미있게 증가하였다 (p<0.01, paired t-test). 3) 태동수, 기록손실도 및 태아심박동증가수의 분석은, 각 군에서 그 값이 1이상인 산모의 수를 각각 NST시와 AST시를 비교하고, 또 만삭임신군과 만삭전임신군 사이를 비교했을 때 모두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이 항목들에서 AST값에서 NST값을 뺀 수치를 비교했을 때도 만삭암신 군과 만삭전임신군 사이에서 의미있는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미루어 현 단계에서는 음향자극후 기본태아심박동 및 태아심박동변이도가 만삭전임신과 만삭임신에서 각각 의미있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그러나 만삭임신과 만삭전 임신간의 유의한 차이는 아직 발견되고 있지 않은바 이는 향후 지속적인 자료의 축적으로 확인해 볼 예정이다. Objective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fetal heart rate (FHR) variables between preterm and term pregnancies after acoustic stimulation using computerized analysis of fetal heart rate. Methods: Eighty-two normal pre-term and term pregnancies entered to this study after conventional 20-minutes nonstress test(NST) and 10-minutes acoustic stimulation test (AST). Acoustic stimulations were performed using Fetal Acoustic Stimulator (Model 146, Corometrics, US). We analyzed the FHR response after acoustic stimulation using our on-line computerized FHR analysis system, HYFM-I & II software. The changes of loss of signal, baseline FHR, variability, number of fetal movements, and number of FHR accelerations were analyzed numerically. Result: The mean baseline FHR was increased in term pregnancies from 141±7.0bpm to 152.7±9.7bpm, and in preterm pregnancies from 144.6±6.8bpm to 156.8±10.2bpm, respectively. The mean baseline FH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term and preterm pregnancies (p<0.01. paired t-test). The variability of FHR was increased in term pregnancies from 18.2±6.4bpm to 22.6±5.0bpm and in preterm pregnancies from 17.8±5.5bpm to 22.7±5.9bpm, respectively. The variability of FHR wa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term and preterm pregnancies. (p<0.01. paired t-test) Conclusion: The mean baseline FHR and the variability of FHR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oth preterm and term pregnancies. But the difference of each FHR variables between preterm pregnancies and term pregnanci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study.

      • KCI등재

        폐경여성에서 질 상피세포 성숙치와 골밀도에 관한 연구

        지용일(Yong Il Ji),조숙(Sook Cho),윤정묵(Jung Mook Yoon),황성욱(Seong Ook Hwang),고승권(Seung Kwon Kho),이우영(Woo Young Lee),김준미(Joon Mee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2

        목적: 폐경 여성에서 질 상피세포의 성숙치와 골밀도의 관계를 보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93명의 폐경 여성에서 질 상피세포의 성숙지수와 혈청 에스트라디올, 골밀도를 측정하였고, 질 상피세포의 성숙지수에 표면세포에는 1.0, 중간세포에는 0.6, 부기저세포에는 0.2의 값을 주어 질 상피세포의 성숙치를 산정하였다. 골밀도는 DEXA를 이용하여 제2, 3, 4 요추에서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이용하였다. 결과: 평균 질 상피세포의 성숙치는 50.53±20.74였고, 요추의 평균 골밀도는 0.88±0.14g/cm2였다. 질 상피세포의 성숙치는 나이, 요추 골밀도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 질 상피세포의 성숙치는 골밀도에 대한 에스트로겐의 영향을 반영한다. Objective: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vaginal cytology and bone mineral density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In 93 postmenopausal women, vaginal cytology smears were taken for maturation index, serum estradiol level and bone mineral density were also taken. the percentage of each cell type found By vaginal cytology was multiplied to its specific value:superficial cells, 1.0; intermediate cell, 0.6; parabasal cell, 0.2 and modified to maturation value. Bone mineral density was measured at lumbar spine using DEXA. Results: The mean bone mineral density was 0.88±0.14g/cm2. Mean maturation value was 50.53±20.74 and it was related with age and bone mineral density. Conclusion: Maturation value of vaginal epithelial cell represents the influence of estrogen on bone mineral density.

      • KCI등재

        모체혈청표지물질을 이용한 고위험임산부의 선별검진

        임문환(Mun Hwan Lim),한상훈(Sang Hoon Han),박지현(Ji Hyeun Park),오관영(Kwan Young Oh),임영구(Young Koo Lim),송은섭(Eun Seop Song),고승권(Seung Kwon Kho),이병익(Byoung Ick Lee),김종화(Jong Wha Kim),이우영(Woo Young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1

        목적: 최근 임산부 혈청검사가 양성으로 나타나 정밀초음파검사나 양수천자등을 시행한 결과 아무 이상소견이 없는 소위 원인불명의 혈청선별검사 위양성 임산부에서 주산기 예후와 관련된 연구보고가 계속되고 있다. 이에 저자들은 임산부 혈청 alpha-fetoprotein(MSAFP)과 Total beta-human chorionic gonadotropin(hCG)과 uE3을 이용한 삼중검사(triple marker test)에서 위양성으로 검출된 경우의 분만결과에 대하여 정상 대조 군과 비교하여 주산기예후와 임신중 합병증을 분석 관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6년 11월 1일부터 1998년 4월 30일까지 인하대학교 부속병원 산부인과에서 모체혈청표지 물질을 이용한 산전검진프로그램에 참여한 1158명의 임산부 중 양성으로 나온 48예와 age matched 1:3 control법을 이용하여 얻은 정상대조군 임산부를 대상으로 저 체중아, 조산, 전자간증, 양수과소증, 조기양막파열, 전치태반, 태반조기박리, 자궁내 태아사망 등의 고위험임신등을 비교하였다. 통계처리는 SAS를 이용한 chi square test를 이용하였다. 결과: 원인불명 abnormal triple marker군에서 low birth weight가 유의하게 높았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abnormal triple marker가 있는 임산부에서 저 체중아와 같은 불량한 임신예후의 가능성이 높다고 나왔으나, 향후 많은 임산부를 대상으로한 전향적 연구가 추가로 필요하다. Objective: Our purpose was to determine whether abnormal triple marker in the second trimester may be associated with adverse pregnancy outcomes. Methods: Between November 1996 and April 1998, we evaluated 1,158 pregnant women undergoing second trimester triple marker screening tests who delivered at our hospital. The pregnancy outcomes of 48 women with false positive screens were compared with 1,158 screen negative controls. The pregnancy outcomes were obtained from hospital delivery records. Results: Women with abnormal triple marker showed increased risks for low birth weight(P<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study and control groups with respect to preterm labor, pregnancy induced hypertension, oligohydroamnios, 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lacenta previa, abruptio placenta, fetal death in utero. Conclusion: Abnormal triple marker in the second trimester was associated with low birth weigh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