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폐경여성에서 호르몬 대체요법의 기간 및 환자의 특성에 따른 골밀도의 변화

        김세련(Sei Ryun Kim),조숙(Sook Cho),윤정묵(Jung Mook Yoon),고승권(Seung Kwon Kho),황성욱(Seong Ook Hwang),이우영(Woo Young Lee)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2

        목적: 폐경여성에서 호르몬 대체요법의 기간과 나이, 폐경후 경과된 기간, 치료전 골밀도값이 요추 골밀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5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인하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하여 2년 동안 호르몬 대체요법을 받고 골밀도 추적 검사가 가능했던 10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환자의 연령, 폐경기간, 치료전 골밀도값과 치료 기간이 요추 골밀도의 변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결과: 호르몬 대체요법을 시행한 전체 환자에서 치료 1년 후에 측정한 때 요추 골밀도는 평균 2.06% 증가하였으며(p=0.0001), 치료 2년째에 측정한 골밀도값은 거의 차이가 없었다(p=0.847). 치료 약제에 따른 골밀도의 변화는 대상군의 나이, 폐경기간, 치료전 골밀도값에 차이가 있어 상호 비교하는 것이 의미가 없는 것으로 보였다. 요추 골밀도는 환자의 연령이 높을수록(r=0.312 ; p=0.002), 폐경기간이 길수록(r=0.209 ; p=0.039), 그리고 치료전 골밀도 값이 낮을수록(r=-0.590 ; p=0.0001) 많이 상승했으며 이들 중 치료전 골밀도 값과 가장 상관관계가 높은 것으로 보였다. 결론: 호르몬 대체요법 시행 1년에 요추 골밀도가 가장 많이 상승하고 호르몬 대체요법으로 인한 골밀도 상승에는 한계가 있으며 골절의 가능성이 여전히 남아있으므로 골밀도가 많이 감소되기 전에 특히 치료 1년째에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s: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to clarify the change of lumbar bone mineral density(BMD)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hormone replacement therapy(HRT) and the other factors such as age, years since menopause(YSM) and initial BMD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From January, 1995 to December, 1998 we measured lumbar bone mineral density in 100 postmenopausal women in the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Inha University Hospital. These women had been followed for 2 years after taking HRT. We investigated whether there were any relation between the duration of HRT, age, YSM, initial BMD and change of BMD. Results: Lumbar BMD was increased 2.06% after one year of HRT(p=0.0001) but there was no change of BMD at the 2nd year of HRT(p=0.847). The response to HRT was greatest in those who were oldest(r=0.209 ; p=0.039) and furthest YSM(r=0.209; p=0.039), and consequently among those who had the lowest BMD(r=0.590 ; p=0.0001). Conclusion: The bone mass was increased upto 2.06% at the 1st year of HRT but no more progressive increase was occurred. It suggest that intensive HRT is needed at 1st year of therapy. The risk of fracture is not decreased to that of the healthy population inspite of HRT, so the earlier therapy is necessary to prevent osteoporotic fracture despite of intervention.

      • SCOPUSKCI등재

        승모판 재수술에서 경침습 술기의 적용

        선경,정택,광호,현태,김세련,이춘수,이우형,Sun, Kyung,Kim, Jung-Taek,Kim, Kwang-Ho,Kim, Hyun-Tae,Kim, Sei-Ryun,Lee, Choon-Soo,Lee, Woo-Hyoung 대한흉부심장혈관외과학회 1998 Journal of Chest Surgery (J Chest Surg) Vol.31 No.3

        최근 심혈관질환 수술에서 경침습 술기가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본 인하대학교 흉부외과에서는 승모판 교련절개술 후 재발한 착증에서 흉골측면 소절개를 이용한 경침습 접근을 통해 판막치환에 성공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Minimally invasive techniques for various cardiac disease are widely accepted in these days. We report a successful case of reoperative mitral valve replacement approached successfully by a small right parasternal incision.

      • KCI등재

        폐경 여성에서 경피적 에스트로겐이 내경동맥 맥동계수에 미치는 영향

        조숙(Sook Cho),김세련(Sei Ryun Kim),이우영(Woo Young Lee),고승권(Seung Kwon Kho),황성욱(Seong Ook Hwang),미영(Mi Young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9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2 No.10

        목적: 폐경 여성에서 경피적 에스트로겐이 동맥의 긴장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고자 함이다. 연구방법: 호르몬 대체요법을 받지 않았던 30명의 폐경 여성의 내경동맥에서 도플러를 이용하여 맥동계수를 측정하였고, 이들 여성에게 하루에 50μg씩 방출되는 에스트라디올 패취를 부착한 후 8주, 12주, 24주 후에 맥동 계수를 반복 측정하여 그 변화를 보았다. 결과: 호르몬 대체요법을 받기 이전에는 수축기혈압 평균이 115.5±9.1mmHg, 확장기혈압 평균이 75.2±8.3mmHg였으며 치료 시작 후 24주까지 특별한 변화가 없었다. 혈청 에스트라디올은 치료 전에는 13.4±13.7pg/ml였으며 치료 시작 후 8주에 55.8±32.8pg/ml로 의미있게 증가하였으며 24주에 74.9±33.5pg/ml를 나타내었다. 내경동맥의 맥동계수는 치료 시작 8주에 0.9±0.1로 감소하여 24주까지 계속 감소하였다(p=0.0001). 결론: 폐경 여성에서 경피적 에스트라디올 투여시 혈청 에스트라디올 값은 증가되고 동맥 긴장도의 감소로 내경동맥의 맥동계수가 감소되므로 심혈관 질환을 예방하는데 기여하리라 사료된다. Objectives: To evaluate the effect of transdermal estrogen on arterial tone. Methods: In 30 postmenopausal women, doppler ultrasound was used to assess blood flow characteristics in internal carotid arteries. As the pulsatility index(PI) represents impedance to blood flow distal to the point of sampling, pulsatility index of internal carotid artery was measured from the flow velocity waveform. Patients were studied pretreatment and at weeks 8, 12, and 24 of treatment with transdermal estradiol 50μg/day. Results: Blood pressure was not changed during transdermal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Serum estradiol was increased from 13.4±13.7pg/ml to 55.8±32.8pg/ml with week 8 of treatment and it was maintained until week 24. The mean pulsatility index was fallen to 0.1±0.1 during week 8 of therapy and a significant reduction in PI was maintained until week 24(p=0.0001). Conclusion: We believe that transdermal estrogen replacement therapy affects on the arterial tone and prevents cardiovascular disease in postmenopausal women.

      • KCI등재

        분만환자와 수술 후 환자에서의 배변조영술과 음부신경 근전도술을 이용한 배변 변화의 비교

        송은섭(Eun Seop Song),김세련(Sei Ryun Kim),박지현(Ji Hyeun Park),오관영(Kwan Young Oh),황성욱(Seong Ook Hwang),임영구(Young Koo Lim),임문환(Mun Hwan Lim),이병익(Byoung Ick Lee),종화(Jong Wha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2000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43 No.2

        목적: 분만환자와 수술 후 환자에서의 배변의 생리의 차이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998년 7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인하대병원 산부인과를 방문하여 분만 및 수술한 환자 31명(부인과 군 8명, 제왕절개 군 9명, 정상분만 군 14명)을 대상으로, 배변조영술과 근전도술로 외항문괄약근의 수축 잠복기를 측정하였다. 결과: 배변조영술에서는 오직 배변을 참을 때의 항문직장각만이 정상분만 군에서 제왕절개 군이나 부인과 군에 비하여 증가된 것으로 나왔고(96.0도, 72.3도, 74.9도, p value<0.01), 안정 상태와 배변시의 각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외항문괄약근의 수축 잠복기는 3 군간에 좌·우 모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왔다. 결론: 우리는 음부 신경총이 분만 과정에서 손상을 받았고 이로 인하여 치골직장근에 대한 조절능력이 저하되고, 이로서 항문직장각이 배변을 참을 때 다른 군에 비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Objectiv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defecation physiology between postpartum and postoperative women. Methods: Between July 1998 to April 1999, we performed defecogram and pudendal nerve motor latency to 31 women, who were 8 postoperative women, 9 post cesarean-section state women, and 14 normal vaginal delivery-state women. Results: According to the defecogram results, only squeezing angles of the anorectal angl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96.0 vs 72.3, 74.9 degree) in normal vaginal delivery-state women compared to post cesarean-section state and postoperative women, but rest and evacuation angles were not. And to pudendal nerve latency,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We concluded that the pudendal plexus was damaged during labor, therefore its ability to control puborectalis muscle was damaged. So, the anorectal angles of squeezing of postpartum women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post cesarean section women or postoperative wome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