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직침묵의 원인에 관한 메타분석

        고대유(Dae-Yoo Go) 한국지방행정학회 2021 한국지방행정학보 (KLAR) Vol.18 No.2

        이 연구는 지난 12년간 국내 조직침묵 원인 분석 연구를 종합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조직침묵 관련 선행연구의 한계점은 3가지다. 첫째, 유사변수들이 반복 검증되고 있다. 둘째, 개인적 특성(연령, 학력, 직위 등)에 따른 침묵태도 차이를 규명한 연구가 부족하다. 셋째, 민간과 공공 조직 간 침묵현상의 차이를 규명한 연구가 지극히 제한적이다.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단위는 2009년~2020년 2월까지, 학술 논문 중 메타분석 요건을 갖춘 63편이다. 연구 내용은 첫째, 조직침묵 원인연구의 효과크기를 종합하고, 영향력을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Milliken, Morrison, & Hewlin(2003)의 모형을 교차 검증하고, 한국적 차원의 조직침묵 발생 모델을 제시하였다. 둘째, 개인적 특성에 따른 침묵의 발생 차이를 살펴보았다. 끝으로, 메타회귀분석을 통해 민간과 공공을 구분하여 조직침묵의 발생 양상 차이를 비교하였다. 주요 분석결과, 첫째, 상사와의 관계가 조직침묵을 저감하는 핵심요인이었다. 둘째, 직위가 높을수록 체념적・방어적 침묵을 감소시키고, 학력이 높을수록 체념적 침묵이 감소했다. 셋째, 조직침묵 발현은 민간과 공공의 차이가 없었다. 이상 분석결과를 토대로 8가지 함의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performed meta-analysis by synthesizing research on the causes of silencing in Korea for the past 12 years. There are three major limitations of previous research. First, similar variables are being repeatedly verified; Second, there is a lack of research to identify differences in silent attitudes according to individual characteristics (age, educational background, position, etc.), and third, study identifying differences in silence between private and public organizations is extremely limited. Meta-analysis was perform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The unit of analysis is from 2009 to February 2020, 63 of the academic papers with meta-analysis requirements.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size of the study on the cause of silence was synthesized, and the influence was compared and analyzed. Through this, the model of the cause of silence by Milliken, Morrison, & Hewlin(2003) was cross-validated, and a model of the occurrence of silence at the Korean level was visually presented. Second, the difference in the occurrence of silence according to personal characteristics was examined. Finally, through meta-regression analysis, the differences in the patterns of organizational silence were compared by distinguishing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organizations. As a result of major analysis, first, the relationship with the boss was identified as a key factor in reducing organizational silence.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osition, the less acquiescent and defensive silence, and the higher the education, the less acquiescent silence. Third,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private and public in the manifestation of organizational silence.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eight implications were propose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감염병 재난 거버넌스 비교연구 - 사스와 메르스 사례를 중심으로 -

        고대유 ( Dae Yoo Go ),박재희 ( Jaehee Park ) 한국정책학회 2018 韓國政策學會報 Vol.27 No.1

        이 연구는 사회적·학문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 동안 연구가 소홀했던 감염병 재난 거버넌스에 주목하였고, 사스와 메르스 감염병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사스와 메르스 모두 공과를 논할 수 있으나 본 연구는 두 사례별, 공통적 문제점과 대비되는 사항을 중심으로 분석을 수행하였다. 감염병 재난거버넌스 협력에 영향을 주는 요소(기획, 리더십, 상호의존성, 멤버십, 자원, 정보, 학습)들을 중심으로 살펴본 바, 사스와 메르스 사례 모두 법 제도 기반, 인력 및 예산, 재난 종결이후 학습이 충분하게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사스와 메르스 사례를 통해 대비되는 사항들은 대비 및 대응단계 리더십, 거버넌스 참여기관들 간 상호의존성, 정보를 제공하는 정부의 태도 등이다. 연구결과의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비단계에서의 감염병의 징후 포착, 정보수집, 대응단계에서의 리더십, 그리고 인력과 예산의 확보에 따라 감염병 재난 거버넌스는 그 양상이 달라질 수 있다. 둘째, 거버넌스 내 참여기관들 간 파트너십 구축을 위해서는 현실적인 매뉴얼이 필요하며, 훈련의 정례화를 통해 기관들간의 연계성을 강화시켜야 한다. 셋째, 국제사회와 재난 경험을 공유하고 협력하는 것이 필요하며, 빅데이터에 기반하여 중앙정부, 지방자치단체, 의료기관간 정보공유 및 의사소통체계를 강화해야 한다. 넷째, 감염병 재난 거버넌스는 선제적 투자와 과잉대응의 기조 하에 추진되어야 한다. In spite of its social and academic importance, infectious disease governance has not been well examined. This study has analyzed common problems and contrasts of governance figthting against the 2003 SARS and the 2015 MERS. By applying the attributes of network theory- interdependence, membership, resource, information, learning, and planning - to the explanation of collaborative capacity in fighting pandemic crises (SARS and MERS), we argue that leadership and planning in the preparation and response phase, interdependence between participating organizations, and the attitude of the government to deal with information might determine governance capacit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fectious disease governance capacity can be changed depending on the capture of infectious diseases in the preparation stage, information sharing, the leadership in the response stage, and the securing of manpower and budget. Second, realistic manuals are needed to build partnerships between agencies, and the collaboration should be strengthen through training programs. Third, it is necessary to share experience and cooperate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n fighting infectious disease, and to strengthen information sharing and communication system driven by big data. Fourth, future governance against infectious disease should be activated under the assumption of preemptive investment and excessive response.

      • KCI등재

        한국의 조직침묵 연구에 관한 메타분석

        고대유 ( Go Dae-yoo ) 한국행정연구원 2017 韓國行政硏究 Vol.26 No.1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조직침묵 연구들을 체계적으로 수집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조직침묵의 중복연구를 방지하고 일반화를 시도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조직침묵의 실증연구가 지속되기 시작한 2009년부터 2016년 11월까지, 누적된 전국 규모의 학술 논문 31편을 대상으로 Hedges-Olkin(1985)의 효과크기 모형을 적용하여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침묵의 원인 및 결과에 대한 효과크기를 종합적으로 도출하였고, 침묵의 유형별 영향력의 크기를 비교하였으며, 민간조직과 차별되는 공공조직의 침묵 특징을 메타회귀분석으로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로 침묵의 대표 원인과 결과에 대한 11개 영향요인들은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확인되었고 가장 영향력이 큰 요인은 상관의 비인격적 감독(침묵원인-유발효과), 절차공정성(침묵원인-억제효과)이며, 인지적 냉소주의(침묵결과-유발되는 효과), 조직몰입(침묵결과-억제되는 효과)이다. 둘째로, 체념적 침묵이 방어적 침묵보다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침묵을 억제하는 효과군(침묵의 원인: 분배공정성, 절차공정성, 상호작용공정성)에서 공공이 민간에 비해 덜 억제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이 연구결과를 종합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integrate organizational silence studies in Korea through meta-analysis in order to prevent duplication and to generalize. We carried out a study on 31 national academic papers accumulated from the past and up to present (2009 to November 2016). For the meta-analysis, the effect size model of Hedges-Olkin (1985) was applied. Specifically, the effect size of the causes of silence and its results were comprehensively derived, the influence of each type of silence was compar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ilence among public organizations that differentiate from private organizations were confirmed through meta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analysis first confirmed that all 11 influential factors on the representative causes and results of silence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are abusive supervision(cause of silence-inductive effect), procedural justice(cause of silence-inhibitory effect), cognitive cynicism(silence result-inductive effect), Organizational commitment (silence result - suppressed effect). Second, acquiescence silence was more influential than defensive silence. Third, it is analyzed that the public sector is less suppressed than the private sector in the silence suppressing effect group(causes of silence: distributive justice, procedural justice, interactional justice). Finally, implications and research direc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공무원의 공직가치 인식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대유(Dae Yoo Go) 경인행정학회 2021 한국정책연구 Vol.21 No.4

        공직가치는 공익을 실현하는 공무원이 가져야할 가치이자 내부 지침이다. 그러나 기존 연구는 공직가치가 공무원의 직무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규명하는데 소홀 하였다. 이 연구는 공직가치와 혁신행동의 관계를 분석하고 조직시민행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실증 분석을 위한 자료는 「공직생활에 대한 인식조사 2020년-한국행정연구원」 설문조사이다. 분석단위 표본은 총 4,339개이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직가치는 혁신행동에 직접적인 정(+)적 영향을 미쳤다. 둘째, 공직가치는 조직시민행동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조직시민행동을 통해 공직가치는 혁신행동에 간접적인 정(+)적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공직가치가 혁신행동을 촉진하며, 조직시민행동이 이 긍정적 관계를 더욱 견인하는 것으로 결론 내렸다. 이상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론적·정책적 함의점을 도출하였다. Public service value is an important guideline for public servant. However, existing studies have neglected to investigate how public service value affects public servants job attitudes.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value and innovative behavior. In addition, we inte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analysis data is a survey from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s 2020 「Awareness Survey on Public job」. The total number of samples is 4,339.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ublic service value had a direct positive(+)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Second, public service value had a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ird, it was found that the public service value through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lso had an indirect positive (+) effect on innovative behavior. Through this, public service value promotes innovativ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further strengthens this positive relationship.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erived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 KCI등재

        공공봉사동기가 조직시민행동에 미치는 영향: 공직만족도를 통한 자기효능감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고대유(Go, Dae Yoo),김강민(Kim, Gang Min) 서울행정학회 2021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32 No.2

        공공봉사동기와 조직시민행동은 공무원의 무사안일과 복지부동을 극복하고 공익을 실현하는 중요한 대안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공공봉사동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분석한 연구는 제한적이며, 이 관계를 체계적으로 입증할 다양한 요인들도 강구가 되어야 한다. 이 연구는 공공봉사동기와 조직시민행동의 관계를 분석하고 ‘동기→태도→행동’ 관점에서, 공직만족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개인적 특성의 차이에 주목하고, 모형 변수간의 간 관계를 자기효능감이 조절할 것이라 가설을 설정하여 실증분석하였다.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해, 한국행정연구원의 2019년 「공직생활에 대한 인식조사」데이터를 활용하며, 표본은 총 4,111개이다. 주요 분석결과, 공공봉사동기가 조직시민행동에 직 · 간접적으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간접적 영향력은 공직만족도가 이 둘의 관계를 매개하여 발생한 것이다. 그러나 자기효능감이 높을수록 ‘공공봉사동기→공직만족도→조직시민행동’의 긍정적 효과는 둔화됨을 확인하였다. 이상 분석결과를 토대로 이론적 · 정책적 함의점을 도출하였다.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re important variables for realizing public interest by overcoming Working Attitudes of Civil Servants and Immobility. However, studies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re limited. Variables are also needed to systematically explain this relationship. This stud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and examines the mediating effect of public service satisfaction from the perspective of ‘motivation → attitude → behavior’. It also pays attention to differences in individual characteristics. It is assumed that Self-efficacy will moderate this model. This study utilizes data from the 2019 “Perception Survey on Public Life” by the Korea Institute of Public Administration A total of 4,111 samples were obtained.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Public Service Motivation had a positive effect directly or indirectly on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The indirect influence is that Public Service Satisfaction mediated two variables. However, as the sense of Self-efficacy was higher, the positive effect of ‘Public Service Motivation→Public Service Satisfaction→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 was weakened.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eore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erived.

      • KCI등재
      • KCI등재

        해양경비안전 조직의 문화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고대유(Go Dae Yoo),김영곤(Kim Young Gon),강제상(Kang Je Sang)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15 경찰학연구 Vol.15 No.1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the process of organization culture from pro-socialsilence to turnover intention with structure equation model, based on the survey on 275Korea coast guards.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dicates that both hierarchical culture andrational culture displayed a positive relationship to pro-social silence, and pro-social silencedisplayed a positive relationship to turnover intention. Finally, the indirect mediator effectthrough pro-social silence of organization culture (an independent variable) on turnoverintention(a dependent variable) is shown to be nonsignificant, but with the total effect ofhierarchical·rational·group culture being proved to be significant, it was possible to lookat the influence of pro-social silence in the process of organization culture to turnoverintent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that first, organizational silence, previouslyknown to be a negative concept proved its positive effect, second, hierarchical culture isnot always the element that should be excluded but needs to be in harmony with group,development, rational culture, and third, strategies for organizational change should bedeveloped to inspect current status of Korea coast guard’s organizational culture throughorganizational diagnosis and to realize the desirable organizational culture in the future.

      • KCI등재

        조직침묵의 결과에 관한 메타분석

        고대유(Dae Yoo Go),조정현(JungHyun Cho) 경인행정학회 2020 한국정책연구 Vol.20 No.3

        이 연구는 지난 12년간의 조직침묵의 결과 분석 연구를 종합하여, 메타분석을 하였다. 기존 연구의 한계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사변수들을 대상만 바꾸어, 중복검증하는 경향이 강하다. 둘째, 조직침묵의 영향모형을 구조화한 Morrison과 Milliken(2000)의 내용을 체계적으로 검토한 연구가 없다. 셋째, 민간과 다른 공공조직 내 침묵현상을 규명하려는 시도가 지극히 제한적이다. 이상 선행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대상은 2009년부터 2020년 2월까지의 국내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이다. 자료수집 결과 메타분석 요건을 갖춘 연구는 47편이다. 주요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침묵과 결과변수 간의 효과크기를 검증하고, 비교분석한다. 이를 통해 유사연구를 봉합하고 새로운 변수나 이슈를 제안하였다. 둘째, Morrison과 Milliken(2000)의 조직침묵의 영향모형을 교차 검증하고, 향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함으로써, 조직침묵 연구의 지속성 확보에 기여한다. 끝으로, 조직침묵의 발생과정에서 민간과 구분되는 공공의 차별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메타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직침묵의 가장 큰 결과는 반사회적 과업행동의 증가와 조직시민행동의 감소이다. 둘째, 현재까지의 분석결과는 Morrison과 Milliken(2000)의 모형과 부합하며, 일부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재정립 하는데 기여하였다. 셋째, 조직침묵이 유발(+)하는 부정적 영향은 민간이 공공보다 더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상기 분석결과를 토대로, 일곱 가지 연구 함의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performed meta-analysis of ‘organizational silence’ researches which have published for 12 years. Past studies have limitations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trong tendencies of redundant analysis by changing subjects of similar variables. Second, there was no research that has structured theory of ‘organizational silence’ by Morrison and Milliken (2000) and applied on organizations to identify its impact. Third, cases of identifying ‘organizational silence’ on both private and public sectors were highly scarce. To overcome previous studies’ limitations, this study performed meta-analysis. Journal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from January 2009 to February 2020. Qualified articles for the analysis were 47. This study explores as below. First, effect size between ‘organizational silence’ result variables was tested. Through this test, this study suggested new variables and issues. Second, a cross sectional analysis was performed on Morrison and Milliken’s ‘organizational silence’ to suggest further study and to contribute persistence of study of ‘organizational silence’. Finally, different impacts between private and public sector when occurrence of ‘organizational silence’ were analyzed. Results of the analysis are follows. First, ‘organizational silence’ induced antisocial behavioral tendency was increased, yet organizational citizenship behavioral tendency was decreased. Second, results of analysis were in consist of Morrison and Milliken model, furthermore some of results actually reinforced the model. Third, ‘organizational silence’ caused more negative effect on private sector than public. All in all, basing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even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y.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재난안전네트워크 구축에 관한 연구: 의정부시를 중심으로

        황범순 ( Hwang Beom-soon ),고대유 ( Go Dae-yoo ),김종수 ( Kim Chong-soo ) 단국대학교 분쟁해결연구센터 2020 분쟁해결연구 Vol.18 No.3

        대부분의 재난은 일차적 대응주체는 지방정부이다. 이 연구는 지방정부의 재난안전관리 방안을 제고하기 위해, 의정부시의 재난안전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의정부시 재난안전 주요 79개 기관을 행위자로 설정하고, 행위자별 연결관계와 중심성, 군집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집권화와 분권화가 극단에 치우침 없이 조화를 갖춰야 한다. 둘째, 의정부시 차원의 권역별·위계별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셋째, 재난안전관리 협의채널의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안전관리 기본계획 수립 과정에 민간과 제 3섹터의 참여를 활성화해야 한다. 끝으로, 지속적 재난안전 인프라 구축이 요구된다. In the event of a disaster, the primary responder is the local government. This study explores disaster safety management methods of local governments. The main methodology is the disaster safety network analysis of Uijeongbu City. First of all, the main actors are 79 institutions in Uijeongbu City. Next, the connection relationship, centrality, and clustering pattern of each actors were analyzed. The main findings and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centr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need harmony.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network for each region and hierarchy at the level of Uijeongbu City. Third, disaster safety management consultation channels must be improved. Fourth, the participation of the private sector and the third sector should be strengthen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safety management plan. Finally, the establishment of disaster safety infrastructure must be continu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