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컴퓨터 지원 시스템을 이용한 협대역 확대 대장내시경 판독 방법은 대장폴립의 조직학적 진단 예측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가?

        강현우 ( Hyoun Woo Kang ) 대한장연구학회 2012 Intestinal Research Vol.10 No.2

        협대역(narrow-band imaging, NBI) 대장내시경은 간단하게 내시경의 조작 버튼을 사용하여 대장 점막 표면층의 미세혈관을 관찰하는 검사법으로, 종양성(neoplastic) 병변과 비종양성(nonneoplastic) 병변의 실시간 조직학적 감별진단에 유용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다른 관찰자 사이의 오차(interobserver variation)와 동일 관찰자의 반복 관찰 사이의 오차(intraobserver variation)로 인하여 대장 병변의 분류에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협대역 대장내시경 검사에서는 병변의 판독에 있어 검사자의 주관이 개업되기 쉬우며, 특히 초보자의 경우에는 그 정확도가 숙련된 검사자에 비하여 낮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American Society for Gastrointestinal Endoscopy (ASGE)에서는 Preservation and Incorporation of Valuable Endoscopic Innovations (PIVI) initiative를 통해 실시간으로 협대역 대장내시경 등을 이용하여, 미세 대장폴립의 조직학적 소견을 내시경으로 판단하고 치료방침을 정할 것을 강조하였다. 또한, 협대역 내시경 영상의 훈련이 된 내시경 의사의 경우에도 PIVI intiative의 권고 하에서 검사를 시행하였을 때, 가파른 학습 곡선을 보인다고 보고하였다. 임상적 훈련과 경험을 통하여 조직학적 예측과 확인을 하는 것이 현실적인 접근법이지만, 컴퓨터에 의한 평가방법을 도입하는 것은 폴립의 내시경적 분류에 대한 객관적인 기준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객관적인 진단과 경험이 적은 내시경 의사들의 진단 정확성을 높이므로, 대장내시경 중 폴립이 발견될 경우 치료 방법의 결정에 있어 “second opinion”으로서의 도움을 줄 수 있다. 이 연구는 대장폴립에서 컴퓨터를 이용한 협대역 확대 내시경적 분류가 어떠한 유용성과 한계를 가지는지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일본의 Hiroshima 대학병원에서 조직학적으로 확인된 371개의 대장 병변의 협대역 내시경 사진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으며, 두 명의 경험있는 내시경 의사의 협대역 내시경 소견과 조직학적 검사 결과를 컴퓨터를 이용한 협대역 확대 대장내시경 분석프로그램의 결과와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371개 병변의 병리학적 결과는 염증성(n=3), 과증식성(n=44), 선종(n=188), 점막내암(n=66), 점막하 침윤암(n=70)이었으며, 비종양성 병변 47개, 종양성 병변 324개였다. 협대역 내시경 소견은 10년 이상의 대장내시경 경험이 있는 2명의 내시경 전문의가 조직검사 결과를 모르는 상태에서 Hiroshima classification system에 따라 형태학적으로 분류하였다. 각 협대역 영상은 100x300에서 900x800 픽셀로 광학적 확대를 통해 병변 부위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컴퓨터를 이용한 협대역 확대 대장내시경 분류 프로그램은 연구자들이 개발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HuPAS version 3.1; Hiroshima University, Hiroshima, Japan)으로, 이의 원리는 “bag-of-feature (BOF)”를 통해 영상을 나타내는 방법이었다. BOF란 화상내의 벡터의 출현빈도를 계산하여 특징을 뽑아내고, 이에 따라 이미지를 분류(clustering)하는 방법이다. 먼저, training image 1,519개를 사용하여 모든 협대역 이미지를 visual word의 히스토그램화를 통해 계층적 클러스터링을 수행한 후, scale-invariant feature transform (SIFT) 특정을 추출하여 각 이미지의 분류에 대해 프로그램화하였다. 이후 Support vector machine (SVM)을 통하여 형태(type)를 결정하였으며 결과를 도출한 후에 프로그래밍하였다. 이번 연구에 사용된 HuPAS version 3.1의 개발을 위하여 1,519개의 영상을 training image로 입력하였는데, 이를 454개의 type A 병변과 1,065개의 type B-C3 병변의 두 그룹으로 구분 하여 분석하였다(Fig. 1). HuPAS version 3.1에 따른 분류와 조직학적 분류의 결과를 분석하면, 컴퓨터를 이용한 분석평가 방법은 진단 정확도 97.8% (363/371), 민감도 97.8% (317/24)로 나타났으며, 종양성 병변의 진단을 위한 type B-C3 병변에 대한 진단 특이도는 97.9% (46/47)로 나타났다. 또한, 두 명의 숙련된 내시경 의사에 의한 판독과 HuPAS 프로그램을 통한 결과의 일치율은 98.7% (366/371)이었으며 이는 통계적으로 큰 차이가 없었고, 관찰자 간의 일치율도 kappa 지수 0.944로 아주 우수하였다.

      • KCI등재

        최신 연구 소개 : 대장 게실의 위치는 과민성 장증후군과 관련성이 있는가?

        강현우 ( Hyoun Woo Kang ),이준규 ( Jun Kyu Lee ) 대한소화기학회 2015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5 No.2

        대장 게실을 가지고 있는 환자 중에서 일부는 만성적인 위장관 증상을 호소하며, 과민성 장증후군으로 진단받는다. Jung 등1은 대장 게실증과 설사형 과민성 장증후군과의 연관성을 연구한 바가 있고, Cohen 등2은 대장 게실염의 병 력이 향후 과민성 장증후군의 위험도를 증가시킨다고 하였다. 이러한 연구들은 게실증과 과민성 장증후군 사이의 역학적 인 과 관계를 보여 주었지만, 대장 게실의 위치에 따른 관련성은 알려진 바가 거의 없다. 이에 Yamada 등3은 대장 게실의 위 치에 따른 과민성 장증후군의 위험도를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전향적, 다기관 연구로 진행하였고, 검진 목적으 로 대장내시경을 받는 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게실의 진단은 민감도를 높인다고 알려진 투명후드(transparent hood)를 장 착한 대장내시경을 이용하였고,4 대장 게실증의 진단은 대장 게실이 있거나 게실염의 과거력이 있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좌측 대장은 하행결장, S자 결장, 직장으로 정의하였고, 우측 대장은 맹장, 상행결장, 횡행결장으로 정의하였다. 과민성 장 증후군의 진단은 대장내시경을 받기 전에 ROME III 기준에 대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진단하였다.5 그 외에 설문지를 이용 하여, 나이, 성별, 체질량지수, Short-Form Health Survey (SF-36)를 이용한 정신건강상태(mental health status), 완화제 사용 여부, 담낭절제 여부, 결혼 여부, 흡연력, 음주력, 약물 복용력, 급성 게실염의 과거력 등을 얻었다. 총 1,082명이 연구에 등록되었고, 제외기준에 따라 73명이 제외되어 1,009명이 연구 분석에 포함되었다. 평균 연령은 64.3세였고, 남녀비는 1.62대 1이었다. 이중 76명(7.5%)이 과민성 장증후군으로 진단되었고, 설사형이 19명, 변비형이 9 명, 혼합형이 6명, 비정형이 42명이었다. 대장내시경검사에서 218명(21.6%)이 우측 게실증, 67명(6.6%)이 좌측 게실증, 121 명(12.0%)이 양측 게실증을 진단받았다. 급성 게실염의 과거 력은 52명(5.2%)에서 있었다. 과민성 장증후군 유무에 따라 두 군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과민성 장증후군 환자군에 서 완화제의 사용(p=0.0002), 정신건강상태 저하(mental health status <50) (p=0.0001), 좌측 게실증(p=0.0002), 양측 게실증(p=0.0307) 등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았다. 다변량 회귀분석에서 정신건강상태 저하(OR 3.7, 95% CI 2.0-609, p=0.0001), 좌측 게실증(OR 3.1, 95% CI 1.4-7.1, p=0.0060), 양측 게실증(OR 2.6, 95% CI 0.5-1.9, p=0.007) 이 과민성 장증후군의 독립적 위험인자였지만, 우측 게실증 (OR 0.9, 95% CI 0.5-1.9, p=0.8873)은 그렇지 않았다. 과민 성 장증후군의 세부유형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을 때 좌측 게실증만이 설사형 과민성 장증후군과 비정형 과민성 장증후군의 위험인자로 나타났으며, 이는 이전 연구와 부합되었다.1 결론 으로, 좌측 및 양측 게실증이 과민성 장증후군과 연관되어 있 었다. 이러한 결과는 게실의 위치가 과민성 장증후군의 발생 기전에 관여하며, 이중 좌측 게실증과 관련된 병태생리학적인 변화를 밝히는 것이 과민성 장증후군의 발생기전의 이해에 도 움을 준다는 것을 의미한다.

      • KCI등재
      • KCI등재

        월성 원자력 발전소 주변 해역의 장기간 수온관측

        정종률,강현우,신영재,김계영,전호경,Chung, Jong-Yul,Kang, Hyoun-Woo,Shin, Young-Jae,Kim, Kye-Young,Jun, Ho-Kyung 한국해양학회 1998 바다 Vol.3 No.4

        월성 원자력 발전소 주변해역에 대한 장기간 수온관측을 실시하여, 수온의 장기간 변화양상, 수평 수온분포 및 연직 수온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관측기간은 1996년 11월 10일부터 1997년 8월 22일까지 약 280 일간이며, 발전소 인근 10 개 정점에 표층 수온관측기를 설치하고 10 분 간격으로 표층수온의 연속관측을 실시하였다. 또한, 수온의 연직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배수구 인근 2 개 정점에 수심별 수온관측기를 계류하여 20 분 간격으로 표층으로부터 수심 10 m까지 1 m 간격으로 수온을 측정하였다. 관측정점들에 대한 월평균수온의 최저치는 2월의 $12.8^{\circ}C$ 였으며, 최고치는 8월의 $19.6^{\circ}C$였다. 6월~8월에는 냉수가 관측해역에 수시로 출현하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표층수온의 일평균 분포에 따르면, 발전소 미가동 시기였던 1996년 11월과 대조적으로, 발전소 가동이 재개된 1996년 12월 이후에는 발전소 배수구를 중심으로 고수온 영역이 항상 존재했다. 매 시간별 수평 수온분포를 분석한 결과, 고온의 해수가 발전소 배수구를 중심으로 반일주기의 남북이동을 하는 것으로 관측되었으며, 매 시간별 연직 수온분포에서도 표층에 반일주기의 고온수가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스펙트럼 분석결과, 1997년 2~4월의 경우 발전소 배수구에 가까운 정점들에서 반일주기 성분이 우세하게 관측되었으며, 이는 반일주기 조류에 의해 온배수가 이동, 확산된 결과로 해석된다. 1997년 8원에는 발전소 배수구에 가정 가까운 정점 12를 제외한 모든 정점에서 일주기 성분이 우세하게 나타났는데, 이는 온배수에 비해 대양복사에너지가 훨씬 우세하게 작용한 때문으로 사료된다. The long-term observation of temperature in the coastal waters adjacent to the Wolsung Nuclear Power Plant has been carried out from November 10, 1996 to August 22, 1997, for approximately 280 days using a real-time temperature measurement buoy system. The sea-surface temperature was measured at every 10 minute using 10 buoys. The vertical structure of temperature was investigated near the outlet of the plant with two thermistor chains equipped with 10 sensors at 1 m interval The monthly averaged temperature was the lowest with spatial average of $12.8^{\circ}C$ in February and was the highest in August with spatial average of $19.6^{\circ}C$. The extremely low temperature was frequently observed between June and August, which seems to be the consequence of the intrusion of cold water near the southeastern coast of Korea. Distributions of the daily and hourly averaged temperature show that the highest temperature always occurred near the outlet of the plant and the warm-water patch moved along the north-south direction with the semidiurnal period. The semidiurnal fluctuation of temperature was also observed near the surface of the vertical profiles. The spectral analysis of temperature between February and April 1997 shows that the semidiurnal components prevailed near the outlet. It is likely that the semidiurnal components were due to the prevailing semidiurnal tide in this region. In August 1997, the diurnal components were dominant at the surface water of all stations except Station 12, which suggests that the warm water from the outlet of the plant has less effects in summer on the surrounding waters than the strong solar radiation.

      • Determination of Weighting Factor in the Inverse Model for Estimating Surface Velocity from AVHRR/SST Data

        이태신,정종률,강현우,Lee, Tae-Shin,Chung, Jong-Yul,Kang, Hyoun-Woo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1995 韓國海洋學會誌 Vol.30 No.6

        The inverse method has been used to estimate a surface velocity field from sequential AVHRR/SST data. In the model, equation system was composed of heat equation and horizontal divergence minimization and the velocity field contained in the advective term of the heat equation, which was linearized in grid system, was estimated. A constraint was the minimization of horizontal divergence with weighting factor and introduced to compensate the null space(Menke, 1984) of the velocity solutions for the heat equation. The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set up the range of weighting factor and the matrix equation was solved by SVD(Singular Value Decomposion). In the experiment, the scales of horizontal temperature gradient and divergence of synthetic velocity field were approximated to those of real field. The neglected diffusive effect and the horizontal variation of heat flux in the heat equation were regarded as random temperature errors. According to the result of experiments, the minimum of relative error was more desirable than the minimum of misfit as the criteria of setting up the weighting factor and the error of estimated velocity field became small when the weighting factor was order of $10^{-1}$

      • SCOPUSKCI등재

        다른 시기에 식도와 위를 침범한 원발성 점막 연관 림프종

        변승주 ( Seung Joo Byun ),강현우 ( Hyoun Woo Kang ),차주경 ( Joo Kyoung Cha ),류수령 ( Soo Ryeong Ryoo ),이정현 ( Jeong Hyeon Lee ),김도연 ( Do Yeon Kim ),김어진 ( Eo Jin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1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7 No.5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lymphoma is found in various organs as extranodal B cell lymphoma. The gastrointestinal tract is the most commonly involved extranodal site in MALT lymphoma. However, primary esophageal MALT lymphoma is very rare. In addition, few cases with metachronous gastric involvement have been reported. A 55-year-old man was diagnosed with MALT lymphoma by surveillance esophagogastroduodenoscopy. A 5 cm esophageal submucosal tumor-like lesion was incidentally revealed by screening esophagogastroduodenoscopy two years prior. Esophagogastroduodenoscopy showed a cylindrically elongated submucosal mass with normal overlying mucosa in the mid esophagus. He underwent surgery to confirm the diagnosis. The pathologic diagnosis was esophageal MALT lymphoma. He was treated with radiation, which achieved complete remission. Esophagogastroduodenoscopy and chest computed tomography were performed every three to six months, with no evidence of recurrence for 18 months. After 21 months, several elevated gastric erosions were found on the great curvature and posterior sides of the midbody and confirmed as MALT lymphoma pathologically. Here we report a case with MALT lymphoma metachronously involving the esophagus and stomach. (Korean J Gastroenterol 2016;67:257-261)

      • SCOPUSKCI등재
      • SCOPUSKCI등재
      • 동시성 및 이시성 5중 원발암의 증례 보고

        이정현,조혜기,장동기,강현우,김재학,임윤정,이준규,Jung Hyeon Lee,Hye ki Cho,Dong Kee Jang,Hyoun Woo Kang,Jae Hak Kim,Yun Jeong Lim,Jun Kyu Lee 대한소화기암연구학회 2018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ports Vol.6 No.1

        Multiple primary cancer is defined as two or more malignant neoplasms in a single individual. The incidence of multiple primary cancer is likely to increase due to earlier and accurate diagnosis and prolonged life span. Above all, the incidence of quintuple primary malignant tumors is reportedly extremely rare. Herein, we present a case of 65-year-old who had quintuple primary cancers of the liver, rectum, nasopharynx, oropharynx and hypopharynx.

      • SCOPUSKCI등재

        점막하 종양으로 발현한 원발성 식도 점막 연관 림프조직 림프종 1예

        정재규 ( Jae Gu Jung ),강현우 ( Hyoun Woo Kang ),한석재 ( Suk Jae Hahn ),최종순 ( Jong Sun Choi ),김응중 ( Eung Joong Kim ) 대한소화기학회 2013 대한소화기학회지 Vol.62 No.2

        We report a case of primary mucosa-associated lymphoid tissue (MALT) lymphoma in the esophagus that manifested as a large submucosal tumor (SMT). Primary esophageal lymphoma is very rare, occurring in less than 1% of all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lymphoma. Only a few cases of MALT lymphoma in the esophagus have been reported in the English literature. A 53-year-old man was referred to Dongguk University Ilsan Hospital (Goyang, Korea) in July 2012 for further evaluation and treatment of an esophageal SMT. Endoscopy showed a cylindrically elongated submucosal mass with normal overlying mucosa in the mid esophagus, 25-30 cm from the incisor teeth. He underwent surgery to confirm the diagnosis. Pathologic findings showed diffuse small atypical lymphoid cells which were stained with Bcl-2, CD20, but not with CD3, CD5, CD23, Bcl-6, or cyclin D1. These cells showed a positive monoclonal band for immunoglobulin heavy chain gene rearrangement. Based on the pathological, immunohistochemical, and molecular biological features, the esophageal mass was diagnosed as extranodal marginal zone B-cell lymphoma of the MALT type. (Korean J Gastroenterol 2013; 62:117-121)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