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법과 개발(Law and Development)과 동북아시아 발전국가론의 전개에 관한 고찰

        조혜신(趙惠信 )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17 法學論叢 Vol.39 No.-

        한국법에 대한 연구는 주로 실정의 법률을 단위로 여기에 국한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고, 그 목적 또한 실정법의 입법, 해석, 집행 등에 맞춰져 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한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을 아우르면서, 과거와 현재의 법 현실과 법의 상호관계를 거시적으로 또한 학제적으로 규명해 나가는 것은 한국법의 중요한 한 축을 이루는 것이라 할 것이다. 비록 단편적인 측면이 없지 않으나 이러한 관점에서의 한국법에 대한 연구가 외국의 연구자들에 의해서 시도되어 왔다는 점은 흥미롭다. 한국의 경제적 및 정치적 발전의 성과 및 과정에 대한 관심에서 비롯된 한국법에 대한 외국의 법·정책 연구자 및 실무자들의 연구는 꽤 오래 전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법과 발전’의 관계는 ‘현재’라는 새로운 맥락에서 끊임없이 규명되어 나가야 할 문제이며, 상당한 경제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또 다시 발전의 진정한 의미를 묻지 않을 수 없는 한국의 상황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특히 법과 개발에 있어서 최근의 흐름이라 할 수 있는 ‘신발전국가론(New Developmentalism)’ 은 한국법에 대한 연구에도 시사하는 바가 적지 않으리라 생각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법과 개발, 그리고 그 한 흐름으로 등장하고 있는 발전국가론의 전개를 고찰하면서 그 과정에서 도출된 방법론적 통찰을 살펴보고, 각각의 이론적 전개에 있어서 한국법은 어떠한 의미로 이해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결론으로서 그간의 이론적 및 실무적 시행착오를 통하여 도달한 새로운 의미와 방법론의 수용을 전제로, 한국법 연구의 방향성을 간략하게 제시하고자 한다. 사실 그간의 법과 개발에는 법과 발전의 관계에 관한 ‘하나의 일반적인 규준(reference)’이 있다는 방법론적 전제, 즉 ‘연역적 접근방법’을 취한 것에서 비롯된 한계를 보여 왔다. 이러한 점에서 최근의 신발전국가들에 대한 연구에서 목도되는 경향인 각론적 접근은 상당히 의미 있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법과 개발에 관한 전통적 이론들은 적어도 동북아시아의 발전국가들에 대해서만큼은 분명한 한계를 드러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법에 대한 연구도 일반적으로 일정한 결과를 산출하는 처방으로서의 과학적 이론이 아니라, 구체적으로 설명가능한 분석체계로서의 연성적(soft) 이론을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는 비단 한국과 한국법의 성과를 널리 인정받기 위해서만은 아니고, 통합적·거시적 관점에서의 한국법 연구를 통하여 그간의 분절적·미시적 법학 연구의 한계를 다소간 극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서 그 가치가 있다 하겠다. 그리고 이러한 연구는 오늘날 한국 사회가 당면하고 있는 어려운 문제들을 정확히 인식하고 대안을 찾는 데 혜안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한국이라는 고유한 맥락을 충분히 고려한 발전국가론의 전개를 위해서는 실정법을 너머서서 법현상에 대한 사회과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정치적·경제적·사회적 측면을 고루 파악하는 통합적·입체적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Study on ‘Korean Law’ is a sociological research to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reality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nd law. The Korean Law has been studied since quite long ago by researchers of law and policy as well as practitioners. This paper aims to assert the need for Korean Law studies through presenting the significance from the perspective of ‘Law and Development’, and its appropriate methodology. The law and development studies has shown its methodological limitation of ‘deductive approach’ that assumes there is one general reference for the relation between law and development. Recent researches on New Developmental States, however, indicates meaningful improvement by adopting inductive and caseby-case methodology. The traditional theories of law and development seems to have failed in explaining the cases of Northeast Asian Developmental States. In this sense, Korean Law studies need to purse a soft and descriptive theory rather than a scientific and prescriptive one. Not for being praised by other countries in the world but for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segmented and microscopic legal researches, it is worthy of studying. Furthermore it could contribute in finding out the exact sources of a variety of social problems and their solutions. In order to establish Developmental States Theory that properly considers the unique context of Korea, it is needed to conduct integrated and multi-dimensional studies comprehensively covering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aspects based on social-scientific analysis.

      • KCI등재

        EU 경쟁법에 대한 현대화(Modernization)의 절차적 및 실체적 측면에 대한 고찰

        조혜신 ( Hye Shin Cho ) 한국경쟁법학회 2012 競爭法硏究 Vol.26 No.-

        The modernization in EU Competition Law was procedurally and institutionally motivated by restructuring of enforcement system with the expansion of EU. Responding to this challenge, Commission intended to decentralize the enforcement system and adjust the substantive laws to decentralized enforcement system. Namely, in order to apply EU Competition Law uniformly, the objective of Law should be unitary so that it is not dispersed to other objectives other than competition itself. Furthermore, the criteria for each regulation in Law should be abstract and general to keep consistency even when they are applied by many competition national authorities. It is the economic analysis that is expected to be the proper measure to maintain the uniformity and consistency in EU Competition Law. In this way the modernization originating from the problems in procedure and institutional aspects naturally continued to substantive aspects, with influences of Neo-classical economics and experts and scholars in US being added on. Reflecting on the process of substantive modernization, the demand for consistency in each regulation in Law has been the powerful motivation. However, the consistency rationale of Commission which is the premise for substantive modernization is questionable when we consider there have been quite different responses to modernization for each regulation in EU. In this sense, we need to understand more accurately and deeply each regulation`s intrinsic purpose and function within the whole system of Competition Law. So to speak, it might be necessary to admit that more economic approach could be used more comprehensively in some areas, but not in other areas. The modernization in EU Competition Law is currently underway. We, as a third party, should observe this process carefully focusing on the response of EU Courts from now on, having in mind that we had better relativize their discussion and results rather than accept uncritically.

      • KCI등재

        경쟁정책과 중소기업정책의 조화를 위한 독점규제법의 과제

        조혜신 ( Hye Shin Cho ) 한국경쟁법학회 2014 競爭法硏究 Vol.29 No.-

        Although competition policy and SMEs policy have overlapping goals and methods, and are capable of being in conflict or harmony, thorough examin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two policies does not seem to be enough. Considering the realities that the competitiveness of SMEs has not been improved substantially in spite of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evelopment of laws and policies for SMEs, as well as that the difficulties for SMEs in competing with large companies has not been getting better in spite of the enforcement of competition laws and policies, we might assume that those two laws and policies have not been enforced harmoniously with encroaching each other`s effects. If referring to Germany, policy means for protecting and nurturing SMEs ultimately aim to create the best environment for ‘competition’, and try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 powers of competitors through increasing the level of competition in markets. Also, it is necessary to satisfy the requirement of ‘market conformity’ meaning that all the policy means should not distort competition. Reflecting on the relation between SMEs policy and competition policy, we come to realize that the Korean competition law has several clauses for protecting SMEs, though it does not explicitly aim at it in Article 1. Among them, the important ones are, first, the exemption for cooperatives comprising of small companies in Article 60 and, second, cartel approval for competitiveness of SMEs in 2nd clause of Article 19, both of which are meant to support the competitiveness and countervailing power. However, those two have not been actively utilized so far, and questioned in terms of not only usefulness but also interpretation. Fundamentally, it is doubtful whether the former is proper mean which minimizes the distortion of competition, and it needs to be considered that the latter should be constrained not to restrain competition. Next, the regulations against abuse of market dominant position in Article 3-2 and unfair practice in Article 23, which can be said that the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protect SMEs through regulating large companies, should be highlighted in that they are the best ways to correct SMEs` disadvantages for now. Furthermore, the assumption of substantial restraint of competition in 4th clause of Article 7 with similar purpose would be useful in protecting SMEs` business area against large companies` aggressive expansion.

      • KCI등재

        사회적경제에 있어서 ‘사회성’의 법적 의의

        조혜신(Hye-Shin Cho)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9 法學硏究 Vol.61 No.-

        칼 폴라니(Karl Polanyi)에 따르면, 사회적경제는 시장경제체제의 자기조정에 내재한 파괴적 재난에 맞서 스스로를 보호하고자 하는 ‘사회의 자기보호운동’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회적경제를 사회적 목적을 실천하는 경제활동과 그러한 활동을 수행하는 주체로 나누어 볼 때, 사회적경제의 ‘자생성’을 전제로 하는 제도화는 사회적경제활동 그 자체를 유도하는데 목적이 있지 아니하고, 이를 자발적으로 전개해 나갈 주체인 ‘사회적경제조직’이 활발하게 결성되도록 여건을 마련하고 육성하는데 목적을 두어야 할 것이다. 현행 사회적경제 관련 법률에 따른 사회성은 조직의 목적에 있어서 취약계층과 지역주민을 지향하고, 운영에 있어서 민주적 혹은 참여적 의사결정을 추구한다. 한편 최근 마련된 사회적경제 관련 법안은 다양하고 창조적인 활동을 펼칠 사회적경제조직의 등장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여건의 조성에 집중하지 않고, 오히려 사회적경제를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결과 혹은 성과에 치중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에 대해서는 자생성과 운동성이라는 사회적경제의 본질에 어긋난다는 비판이 가능할 것이다. 사회적경제는 근본적으로 그 자생성과 운동성에 힘입어 존재하는 것이지, 국가나 그 어떠한 권력의 작용에 의해서 구성되기는 어려운 것이다. 따라서 시장의 힘에 대응하는 사회의 자기보호를 위한 운동력이 훼손되는 지점에서 제도화의 한계선이 그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앞으로의 제도화는 지역과 민간영역에서 자율적 생태계가 조성되도록 그 여건과 환경을 조성하는데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즉, 현행과 같은 직접지원 방식을 지양하고 사회적경제의 토양을 강화시켜주기 위한 간접지원 방식으로 정책 전환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고, 사회적경제조직이 기존의 금융과는 다른 원리에 따라 운영되는 다양한 자금조달수단을 활용할 수 있도록 제도적으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According to Karl Polanyi, a social economy can be understood as a social self-protection movement that seeks to protect itself against destructive disasters inherent in the self-regulating market economy system. Dividing the social economy into economic activities that serve social purposes and those that carry out them, institutionalization based on the premise of spontaneity of the social economy is not aimed at inducing social economic activity itself, but at preparing and fostering conditions for the active formation of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Sociality’ under current social economy-related laws is directed at vulnerable people and local residents for the purpose of the organization, and seeks democratic or participatory decision-making in operation. Meanwhile, the recently drafted social economy-related bills seem to focus on the outcome or performance that they want to achieve through the social economy, rather than on the creation of conditions where the emergence of diverse and creative economic organizations can actively occur. Regarding this, it will be possible to criticize that it goes against the essence of the social economy of spontaneity and motility. A social economy is essentially one that exists on the basis of its spontaneity and motility, which is difficult to be formed by the function of the state or any power. Thus, the limits of institutionalization should be drawn at the point where the drive for self-preservation of society against the power of the market is undermined. In this regard, future institutionalization should be focused on creating conditions and environments for autonomous ecosystems in the region and in the private sector.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should seek a policy shift to provide indirect support to enhance the soil of the social economy, and it needs to provide institutional support for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to utilize various financing tools operated on different principles than conventional finance.

      • KCI등재

        한국의 경제개발과 외자 및 외국인투자 관련 법제

        조혜 梨花女子大學校 法學硏究所 2013 法學論集 Vol.17 No.3

        ‘경제개발(Economic Development)’을 추진하는 국가에 있어서 가장 시급하고도 우선적인 과제는 바로 경제개발에 소요되는 자본을 조달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역사적으로 보았을 때 외자의 도입을 통하여 장기적이고도 지속적인 경제발전이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는데 실패한 사례도 없지 않다. 1960년대부터 80년대에 이르는 경제개발기 한국의 외자 운용 방식은 라틴아메리카 개발도상국들의 그것과 비교하여 성공적이었다는 평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개발도상에 있는 국가의 외자 관련 법제에 있어서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은 경제발전이라는 국가적 목표에 부합하도록 외자를 활용할 수 있는 기제를 마련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경제발전에 있어서 국가의 역할과 관련하여 많은 논의가 있을 수 있지만, 한국의 외자 및 외국인투자 관련 법제가 경제발전 과정에서 담당하였던 기능과 그 특징은 경제개발을 위하여 국가가 할 수 있는, 혹은 하여야 하는 역할의 일면을 보여주는 것이다. 경제개발기 한국의 외자 및 외국인투자 관련 법제가 보여주는 몇 가지 특징, 즉 ‘중앙 집중적인 의사결정 및 감독’과 ‘권한당국의 재량적․실질적 판단’ 그리고 ‘외자기업 및 생산수단에 대한 소유권의 국내 유보’ 등은 최대한 국민경제에 유리한 방향으로 외자를 활용하기 위한 효과적인 기제가 될 수 있었다는 점에서, 경제개발을 위한 국가의 적극적인 역할이 어떠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좋은 예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그러한 특징은 오늘날까지 한국의 경제시스템이 운용되는 기제의 일부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외국인투자 관련 법제의 기본적인 성격을 규정하고 있다고 보아도 크게 틀리지 않을 것이다. It is the most urgent and primary task for developing countries to raise capital. However, history proves that not all developing countries have succeeded in obtaining the sustainable economic development. Korea has managed foreign capital with better results, when comparing developing countries in Latin America in 80’s and 90’s. The core objective in foreign capital-related laws and institutions in developing countries is to have the mechanism which enables to use foreign capital according to the national goal, i.e. economic development. While there might be controversies regarding the role of state in economic development, Korean case partly shows what the state can and must do in the course of economic development.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laws on foreign capital and investment, which are ‘centralized decision making and monitoring’, ‘discretionary and substantial judgement by authority in charge’ and ‘national reserves of ownership of foreign enterprise and means of production’, would be the effective mechanism to use foreign capital in the best way for the national economy. It could be a good example which can show the proper and active role of state in economic development. Furthermore, those features form a part of the Korean economic system until today, so it can be said that they still define the basic nature of current laws and institutions of foreign investment.

      • KCI등재

        경쟁법상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문제에 관한 EU 및 회원국 경쟁당국의 동향

        조혜 한국경쟁법학회 2023 競爭法硏究 Vol.47 No.-

        It will be difficult to disagree that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sustainability has now become a goal for mankind that cannot be delayed any longer. However, it is true that the new demand for sustainability raises several difficult problems in the competition law, which has basically distinguished economic and non-economic aspects. And it seems to be a problem that has not yet appeared in Korea. However, each country's economic activities are bound to be closely influenced by each other, which leads to interaction among norms. In this respect, looking at the discussions and trends in the EU and Member States, which are dealing with sustainability issues under competition law, will mean looking ahead to our problem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Korean Competition Act, it is also worth paying attention to the aspect that sustainability issues may highlight the limitations of the system of prohibiting cartel in Article 40. If there is an issue in Korea where environmental public interest is greatly highlighted, such as agreement to achieve sustainability purposes, it will be reviewed in the requirement of unreasonableness, and in light of previous precedents, unreasonableness is possible to be denied. There is no choice but to say that there is considerable uncertainty as of now for both competition authorities and undertakings. For EU and member competition authorities, the sustainability issue is, after all, a task to alleviate or resolve the uncertainty of law enforcement, which seems to be greater for our KFTC or operators, but never less. Overall, looking at how the EU and its Member States address the issue of environmental sustainability, we can see that they are taking a very careful approach to maintaining consistency with the ultimate objectives and systems of competition law, while boldly embracing the challenges of the new era. The question of to what extent to consider non-economic goals or interests in competition law has long been a controversial topic, and the degree of acceptance will inevitably vary depending on the country. In the EU, values from various economic and non-economic aspects have had some role in interpreting and enforcing competition laws, so there was a context to deal with sustainability issues, but this context is relatively weak in other competition legislation, such as the United States and Korea. Nevertheless, sustainability issues are expected to provide an opportunity for in-depth discussions by visualizing issues latent in the existing normative system, such as cartels, merger, and abuse of market dominant position in Korea.

      • KCI등재

        북한 가격체계의 원리와 변형에 관한 법정책적 연구

        조혜신 ( Hye-shin Cho )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1 一鑑法學 Vol.- No.50

        북한의 사회주의적 계획경제 체제는 계획과 명령에 의해 경제를 운용한다는 기본 원리를 바탕으로, 상품을 생산하는데 투입된 노동 가치인 가격을 국가가 결정하는 체제이다. 이 가격은 자립적 민족경제의 유지와 공정성이라는 정치적 목적에 따라 결정되는 것으로서, 매우 정교하고 체계적인 조직에 의해 뒷받침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북한의 가격체계는 원칙적으로 이윤을 배제함으로써 교환관계에서의 이해대립을 극복하고 공동체의 결속과 유대를 유지하고자 한다. 한편 북한의 헌법과 법률에서는 사회주의적 계획경제의 이념에 따라서 가격체계를 구체적인 일원화 및 세부화 제도로 구현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체계는 정확하고 빠짐없는 정보, 적기에 이루어지는 보고·결정·집행, 각 단계별 담당자의 명확한 역할과 책임 등과 같이 상당히 어려운 전제와 요건이 충족되지 않으면 작동하기 어려울 것임을 짐작하게 한다. 북한의 가격체제는 90년대 이래, 특히 이른바 ‘고난의 행군’이라 불리는 경제위기와 식량위기 이후 근본적인 변화를 겪었으며, 제도의 관점에서 보았을 때 이는 ‘시장화’라 일컬을 수 있을 것이다. 즉, ‘시장화(marketization)’란 북한에 ‘시장’이 형성되고, 그 시장이 계획의 기능을 점진적으로 대체해 나가는 현상을 의미한다. 현재 북한에는 중앙계획경제와 시장이라는 두 개의 자원배분 메커니즘이 병존한다고 할 수 있는데, 이 두 메커니즘의 관계와 상호작용은 상당히 복잡하다. 최근 국제사회의 지속적인 대북제재와 COVID-19의 발발은 북한의 경제상황을 최악으로 치닫게 만들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북한 경제에 있어서 시장의 ‘불완전한 제도화’는 오히려 권력남용과 부패의 온상이 되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이처럼 북한 경제체제에 있어서 중앙계획적 가격체계의 원형과 붕괴, 그리고 그로 인한 자생적 시장화와 불완전한 제도화를 고려할 때, 향후 북한의 본격적인 체제이행과 남한과의 경제교류·통합을 추진할 때에는 지금까지 진행된 시장화 현상을 공식화하는 동시에 그 과정에서 야기될 수 있는 거시경제적 불안정성을 최소화하는 것이 관건이 될 것이다. 특히 이 과정에서 가장 먼저 가격기제의 공식화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시장가격의 공식화 혹은 가격자유화는 이른바 ‘원에 의한 통제’의 철폐를 의미하는 것이다. 먼저 계획경제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가격통제체제를 일반적으로 폐지하는 동시에, 점진적인 가격자유화를 위한 선별적 가격통제체제로 전환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법제 측면에서는 앞서 살펴본바 북한 가격체계의 법적 근거라 할 수 있는 인민경제계획법, 화폐유통법, 가격법이 폐지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가격자유화 원칙 및 점진적 가격자유화 확대 과정을 담은 대체입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인데, 여기에서 단계적 가격자유화 정책의 근거를 마련하는 동시에 이를 집행할 추진체계를 설립하여야 한다. North Korea’s socialist planned economy system is a system in which the state determines the price that is the labor value invested in producing goods, based on the basic principle of managing the economy by plan and order. This price is determined by the political purpose of maintaining an independent national economy and fairness, and is designed to be supported by a very sophisticated and systematic organization. In addition, North Korea’s price system seeks to overcome conflicts of interest in exchange relations and maintain community solidarity and bonds by excluding profits in principle. Meanwhile, North Korea’s constitution and laws implement the price system according to the socialist planning economy ideology. However, this system is difficult to operate unless quite strict premises and requirements are met, such as accurate and complete information, timely reporting, decision, and execution, and clear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person in charge at each stage. North Korea’s price system has undergone fundamental changes which can be called “marketization” since the 1990s, especially after the food crisis. In other words, "marketization" means a phenomenon in which a “market” is formed in North Korea and gradually replaces the function of the plan. Currently, two resource allocation mechanisms co-exist in North Korea: the central planned economy and the market, and the relationship and interaction between these two mechanisms are quite complex. It is known that the recent continuous sanctions and the outbreak of COVID-19 against North Korea are making North Korea’s economic situation to the worst. In the North Korean economy, the incomplet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market is likely to be a hotbed for abuse of power and corruption. Considering the prototype and collapse of the centralized price system, and the resulting marketization and incomplete institutionalization of the North Korean economic system, it will be important to formalize the marketization that has progressed so far and minimize macroeconomic instability. Formulation of market prices or price liberalization means the abolition of so-called ‘control by Won’. First, the price control system, which can be said to be the core of the planned economy, should be generally abolished, while at the same time switching to a selective price control system for gradual price liberalization. In terms of legislation, the People’s Economic Planning Act, the Money Distribution Act, and the Price Act, which are the legal grounds for the North Korean price system, should be abolished. However, alternative legislation including the principle of gradual price liberalization should be implemented.

      • KCI등재

        소리내어 생각하기' 프로그램이 ADHD 성향 아동의 문제행동 및 사회기술에 미치는 효과

        조혜,성현란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7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ink Aloud program on problematic behaviors of children with ADHD tend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lso to evaluate the effect of Think Aloud(TA) program on children's attention, social behavior and problem solving response to hypothetical conflict situation. The subjects were 1st grad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and selected on the basis of Abbreviated Conners Rating Scale(ACRS) scores. Sixteen children who had higher scores of upper 20% in ACRS scores were selected as subjects. Teacher's form of the Matson Evaluation of Social Skills for Youngsters, the Self Control Rating Scale and the Parent's Form of the K-CBCL were administered to children, teachers and parents appropriately and children were measured problem solving response to hypothetical conflict situation before and after training respectively. TA group(8 children) was trained through TA program, and control group (8 children) was trained through art activiti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Self-control and social skills increased in TA group. Inattention and aggression were decreased in TA group. Moreover TA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problem solving response to hypothetical conflict situation. Finally,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소리내어 생각하기’ 프로그램의 ADHD 성향이 있는 아동의 주의집중문제와 문제행동 감소, 갈등상황에 대한 문제해결적 반응의 증가, 그리고 사회적 행동의 변화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는데에 그 목적이 있다.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ADHD 아동을 평가하는 단축형 코너스 평가척도를 실시하였고, 상위 20%이내에 해당하는 아동 16명을 선발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8명씩 무선적으로 할당하였다. 실험집단에게는 ‘소리내어 생각하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에게는 미술 활동을 실시하였으며, 훈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아동, 교사, 부모가 각각 프로그램의 전후에 “나는 어떻게 할까” 질문지, 교사용 사회 기술 평가 척도, 자기통제검사, 부모용 아동 행동평가척도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로서, ‘소리내어 생각하기’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의 아동들은 통제집단보다 자기통제능력과 사회기술능력이 향상되었고, 주의집중 문제와 공격성은 감소하였다. 그리고 ‘소리내어 생각하기’ 프로그램 집단은 사후평가에서 갈등상황에 대한 문제해결적 반응을 더 많이 생각해 낼 수 있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