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숙의를 통한 융복합 교육과정의 가능성 탐색 : 미술과-국어과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김선아,이삼형,김시정,이승희,박선희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1

        본 연구는 현재 확산되고 있는 스팀교육과 현행 교육과정이 지나는 구조적 한계에 대한 문제의 식에서 출발하여, 교과 교육과정에 기초한 융복합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에 과학적 합리주의에 기초한 교과 중심 교육과 정의 인식적 한계점을 논의하고, 이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숙의의 개념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미술과와 국어과 전문가로 구성된 집단 숙의과정을 진행하고 그 과정을 상세하게 기술함으로써, 융복합 교육을 위한 숙의 모형이 실제로 교육과정을 재구성하는 데에 어떻게 적용될 수 있으며, 어떤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가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 미술과-국어과 융복합 교육의 가능성과 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본 연구는 융복합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개념적 들을 고찰함과 동시에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안을 제안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Based on the critical reflection on the ongoing augmentation of STEAM Education and the structural limitations of N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attempts to search for the possibility of convergence education based on National curriculum. First, the literature review is conducted so as to ponder upon the limitations of discipline-centered curriculum. which embodies the scientific rationalism. As the alternative approach, the Schwab's concept of Deliberation is thoroughly revisited in regard to its factors and stages. Then, this study represents the whole process of the group deliberation, which demonstrates how the concept of deliberation is actually applied to the curriculum reconstitution for convergence education, and what kind of outcome can be drawn as the resul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not only in the fact that it seeks for the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in convergence education, but also in its implication for practical ways to initiate convergence education in art education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 KCI등재

        정부 인사혁신 핵심가치 도출에 관한 연구 : 제도·사람·문화혁신 요소 분석을 중심으로

        김선아,박성민 한국행정연구원 2016 韓國行政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정부 인사혁신에 있어 각 차원별로 지향해야 하는 핵심 인사혁신 가치는 무엇인가?”라는 연구 질문을 바탕으로 학문적 시각을 반영하기 위한 내용분석과 실무적 시각을 반영하기 위한 초점 집단인터뷰를 통해 인사혁신의 차원 및 단계별 핵심 가치를 통합적 시각에서 탐색해 보았다. 특히 인사혁신이 제도와 사람, 문화 등의 차원을 아우르는 포괄적인 활동임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연구에서는 특정 차원 및 단계에서 강조되는 혁신 가치만을 다루어왔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인사혁신을 제도 혁신, 사람혁신, 문화혁신 등 3개 차원으로 구분하고 이를 각각 기반 조성 단계와 체계화 단계로 구분하여 접근하였다. 연구 결과 제도혁신 기반 조성 단계의 핵심 인사혁신 가치로는 “전략성”과 “체계성”을 선정하였고, 제도혁신 체계화 단계에서 모집?선발 부문의 핵심 인사혁신 가치로는 “외적 다양성”과 “외적 개방성”을, 교육?훈련 부문의 핵심 인사혁신 가치로는 “양적 우수성”과 “질적 우수성”을, 유지?활용 부문의 핵심 인사혁신 가치로는 “내적 다양성”과 “내적 개방성”을, 평가?보상 부문의 핵심 인사혁신 가치로는 “경쟁성”과 “공정성”을, 퇴직관리 부문의 핵심 인사혁신 가치로는 “소극적 관리”와 “적극적관리”를 선정하였다. 그리고 사람혁신 기반 조성 단계의 핵심 인사혁신 가치로는 “공공성”과 “자율성”을 선정하였고, 사람혁신 체계화 단계의 핵심 인사혁신 가치로는 “바른 리더십”과 “바른 팔로워십”을 선정하였다. 또한 문화혁신 기반 조성 단계의 핵심 인사혁신 가치로는 “사회자본”과 “심리자본”을 선정하였고, 문화혁신 체계화 단계의 위한 핵심 인사혁신 가치로는 “부정적 공직문화 철폐”와 “긍정적 공직문화 구축“을 선정하였다.

      • KCI등재

        정신분석학적 ‘욕망의 주체’ 이해에 기초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 개발

        김선아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21 기독교교육논총 Vol.- No.68

        This study is based on the research of the first year, which is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s R&D subject for middle-grade researchers. In this study, the practical curriculum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for love - an according to the psychoanalytic perspectives of F. Dolto(1908-1988) - is suggested as follows. The first is ‘the reconstruction of the directions of curriculum and its specific aims in accordance with such directions.’ The reconstruction of the directions of curriculum aims at leading our future generation to live as a subject of desire through the mutual-communication of love. The second is ‘the reconstruction of the tasks of curriculum and its specific contents in accordance with such tasks.’ The reconstruction of the tasks of curriculum pursuit to help our future generation through the converting the education for love into the paradigm of desire of Agape to live as a subject of desire forming a whole personality and practicing the desire of Agape in daily life. as a source of desire According to these aims, the reconstruction of directions of curriculum are presented as following: firstly, 'curriculum for the mutual-communication between subjects of love' and secondly, 'curriculum for the subject of desire'. The reconstruction of tasks of curriculum are like these: firstly, 'converting the education for love into the paradigm of desire of Agape', and secondly, 'forming a whole personality through the education for love'. Thus, with respect to two specific aims in accordance with the reconstruction of directions are suggested like these: Firstly, 'constructing a subject as a speaking existence' and secondly, 'realizing the subject as the autonomous source of desire'. In the two specific contents in accordance with the reconstruction of tasks are presented as following: Firstly, 'realizing the truth of the desire of Agape'.’ Secondly, 'practicing the desire of Agape in daily life.' The third is 'the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by life cycle' are suggested. They include the fetal life, infants and preschool children life, and childhood life. In further study, it is required to contain adolescent period. It will be useful to help them to recover their self-esteem with the experience of true love, especially, out-of-school young generation overcome negative perspectives and prejudice in the society, and challenges to their dreams and future through proper utilization of the study outcome. The outcome of this study, which presented practical curriculum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for love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psychoanalytic 'desire of subject' can be used as basic teaching materials for our future generations. Furthermore, the results can be used as a resource for educating ministers and lay leaders in the religious world to build capabilities to heal their inner side as well as the society that is tainted with various forms of conflict. These include general conflicts, anger, pleasure and addiction, depression and suicide, violence and murder, etc. The study outcome can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of antisocial incidents against humanity that have recently been occurring in our free-semester system implemented in all middle schools across the country to be operated effectively.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study results as lecture and teaching materials for ‘character camp’ (self-examination and self-esteem improvement training) and ‘family healing camp’ (solution of a communication gap between family members and love communication training), which help students participate in field trip activities and career exploration activities voluntarily, independently, and creatively. Ultimately, it can visibly present the convergent research performance by providing the study outcome as preliminary data for the development of lecture videos and materials including infant care and preschool education, parental education, family consultation educa... 본 연구에서는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을 두 가지 영역에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그 첫 번째 영역은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방향 및 이에 따른 세부목적’이다. 이 영역에서 연구자는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방향을 ‘주체상호적인 사랑의 소통을 위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과 ‘욕망의 주체를 위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으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방향에 따른 세부목적은 ‘말하는 존재로서의 주체 구성하기’와 ‘욕망의 자율적 원천으로서의 주체 깨닫기’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방향 및 이에 따른 세부목적을 재구성하는 목표는 우리의 미래세대가 주체상호적인 사랑의 소통을 이루며 사랑을 욕망하는 주체로서 살아가도록 길인도 하고자 하는 데 있다. 두 번째 영역은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과제 및 이에 따른 세부내용’이다. 이 영역에서 연구자는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과제를 ‘아가페적 사랑의 욕망 패러다임으로 전환하기’와 ‘사랑의 교육과정을 통해 전인성 형성하기’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이에 따른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의 세부내용은 ‘아가페적 사랑의 욕망의 진실 깨닫기’와 ‘일상의 삶에서 아가페적 사랑 실천하기’로 재구성하여 제시한다.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 과제 및 세부내용의 재구성 목표는 우리의 미래세대가 아가페적 사랑의 욕망 패러다임으로 전환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을 통해 일상의 삶에서 아가페적 사랑을 실천하며 사는 전인적 ‘욕망의 주체’가 되도록 길인도 하는 데 있다. 이에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생애주기별(태아기, 영유아기, 아동기)로 돌토의 정신분석학적 관점에서 사랑의 교육 교육과정을 재구성한 실제를 제시한다. 결론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물이 현장에서 활용되기 위해 요구되는 교육적 실천을 제안하고, 본 연구 결과물의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및 전망을 함으로써 본 연구의 여정을 마무리 한다.

      • KCI등재

        융복합 교육을 위한 시각적 리터러시의 재개념화: 복합양식성을 중심으로

        김선아,박효영,이수진 한국조형교육학회 2017 造形敎育 Vol.0 No.62

        창의적인 지식과 정보가 융합되는 지식정보화사회에서는 문자뿐만 아니라 다양한 매체를 이해하고 해석하는 능력이 요구되어 진다. 이에 복합양식적 기호 사용능력이 핵심 역량 중 하나로 주목받고 있으며, 미술교육의 시각적 리터러시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다. 이런 시대적 필요성에 따라 본 연구는 문자 중심의 지식 전달이 주를 이루는 교육 상황의 대안으로 융복합 교육을 통해 확장된 리터러시 교육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탐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리터러시 개념이 매체의 발달로 확장되는 양상을 고찰하고, 시각문화미술교육의 핵심 개념으로 다루어져 온 시각적 리터러시의 개념을 재구성하여 그 특성을 복합양식성의 관점에서 재구조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술교육의 시각적 리터러시를 통시적 관점에서 재개념 화하고, 융복합 교육의 맥락에서 이를 복합양식성과 연계하여 교육할 수 있는 기초적인 틀을 제안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As the knowledge-based information society accelerates, not only a written language but also multimedia literacy becomes significant. The capacity to utilize multimodal symbol systems has become a central part of convergence education. At the same time, there is an increasing attention to the notion of visual literacy, which used to be emphasized i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 response to this social demand, this study purports to investigate the extended concepts of visual literacy for convergence education as an alternative way.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he concept of literacy has expanded from the traditional view of being literate as reading and writing in the era of digital media that has rapidly changed daily life. Then the concept of visual literacy is reconstructed based on the historical review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 Korea as well as the current discourses of visual literacy in various field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lays the ground for teaching visual literacy from the broadened perspective of convergence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