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과학 교과서 삽화 이해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사와 학생의 안구 운동의 차이

        신동훈,최현동 韓國生物敎育學會 2013 생물교육 Vol.41 No.2

        1. 삽화의 관심 영역에 대한 진입 시간과 시선 흐름 삽화의 관심 영역별 진입시간을 토대로 시선 흐름을 나타내면 <표 4>와 같다. 진입 시간은 관심 영역에 처음으로 응시가 일어난 시간의 평균값을 의미한다(SMI, 2011b). 진입 시간을 기준으로 시선 흐름을 분석한 결과, 교사들은 각 삽화의 관심 영역을 모두 응시하였으나, 학생 S2와 S3의 경우에는 삽화의 제목을 응시하지 않았고, S3은 화살표에 대해 응시한 경우가 나타나지 않았다. T1은 그림→제목→언어→화살표의 순서로 응시하였고, T2는 그림→언어→화살표→제목 순서로 응시하였으며, T3은 그림→언어→화살표→제목 순서로 응시하였다. S1은 그림→화살표→언어→제목의 순서로 응시하였고, S2는 그림→화살표→언어 순서로 응시하였으며, S3은 그림→언어 순서로 응시하였다. <표 4>의 내용을 요약해 보면, 교사들은 삽화의 관심 영역 중 그림 영역에 대한 진입 시간이 공통적으로 가장 빨랐으며, 다음으로 언어 영역에 대한 진입 시간이 빨랐다. 학생들도 삽화의 관심 영역 중 그림에 대한 진입 시간이 공통적으로 가장 빨랐으나, 다음으로 화살표에 대한 진입 시간이 빨랐다(화살표를 응시하지 않은 S3 제외). 삽화의 관심 영역 중 제목과 언어를 언어적 정보로, 그림과 화살표를 시각적 정보로 간주할 경우, 교사들은 시각적 정보와 언어적 정보 모두에 대하여 진입 시간과 시선 흐름이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학생들은 시각적 정보가 언어적 정보보다 진입 시간과 시선의 흐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Parasuraman(2000)의 인간의 시선 이동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화면상 좌우에 따른 탐색에선 텍스트일 경우 좌측이 첫 번째로 탐색되고, 그래픽 정보일 경우 중앙부가 가장 먼저 탐색되며, 화면상 높이에 따른 탐색에서 텍스트일 경우 화면의 위쪽이 첫 번째로 탐색되고, 그래픽 정보일 경우 중앙부가 가장 먼저 탐색된다는 사실을 밝혀졌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삽화의 경우, 시각적 정보(그림과 화살표)와 언어적 정보(제목과 언어)가 혼재되어 있으나, Parasuraman의 시선 이동 연구 결과와 마찬가지의 패턴을 보여준다. 즉, 교사와 학생들은 모두 삽화의 가운데에 나타난 그림 영역을 먼저 탐색하였고, 이후 우측의 언어와 화살표, 그리고 하단의 제목 영역이 탐색되는 양상이었다. 인간이 무엇을 보고자 하는 행위를 할 때는 크게 두 가지 원인에 의해 행위가 이루어진다(김규정 등, 2011). 즉, 주위 자극에 의해 시선 주의가 유발되는 탐사적 탐색과 지각자 본인에 의해 유발되는 목적지향적 탐색이다. 탐사적 탐색은 주의를 유발시키는 자극들에 영향을 받는다. 크기, 색, 위치, 특이함, 움직임 등의 자극들을 에로 들 수 있다. 반면에 목적지향적 탐색은 인지 구성 요소가 자극에 대한 선택적 주의를 결정한다. 여기에서 인지 구성 요소는 신념이나 지식, 동기, 기대, 관여, 목적 등이 될 수 있다고 밝혀졌다(김지호 등, 2006). 이 연구에서 피험자들의 영역 진입 시간과 시선 흐름을 살펴볼 때, T1만이 목적 지향적 탐색을 하였으며, 나머지 교사들과 학생들은 탐사적 탐색을 한 것으로 여겨진다. 왜냐하면, T1은 삽화의 제목을 먼저 찾는 시선 흐름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최현동과 신동훈(2012)의 표에 대한 안구 운동 추적 연구에 따르면, 제목은 전체 내용에 대한 단서를 찾는 중요한 인지작용으로 목적 지향적 탐색을 한다는 근거가 된다. 그들은 연구에서 목적 지향적 탐색은 효율적인 검색과 인지적 부담을 적게 한다고 주장하였다. T1을 제외한 나머지 교사들과 학생들은 제목에 대한 진입 시간이 다른 요소보다 가장 늦었으며, S2와 S3은 제목에 대한 시선 이동이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같은 탐사적 탐색을 하더라도 교사들은 시각적 정보와 언어적 정보를 모두 살피는 시선 흐름이 나타난 반면에, 학생들은 시각적 정보에 더욱 주목하고 있었다. 따라서 교사와 학생이 삽화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차이가 나타나고 있는데, 그 차이를 목적지향적 탐색과 탐사적 탐색으로 구분할 수는 없다. 다만 삽화 이해 과정에는 인지 발달과 같은 연속적인 탐색이 존재한다고 설명할 수는 있을 것이다. 즉, 인지적 효율성이 뛰어난 목적 지향적 교사 T1을 상위에 두고, 탐사적 탐색인 교사 T2, T3을 다음에 두고, 학생 S1, S2, S3의 순서적 발달을 생각하여 볼 수 있다. 왜냐하면 학생들은 같은 탐사적 탐색을 한 교사들보다 일부 항목에 관심을 두며, 삽화에 기록된 특이함 등을 강조하는 눈에 띄는 요소들을 찾아가는 시선 이동을 하였기 때문이다. 또, 학생들 사이에서도 일부 영역에서 시선 이동의 차이를 나타냈기 때문이다. 2. 삽화의 관심 영역에 대한 응시 시간, 응시점 수, 평균 응시율 <표 5>에는 삽화의 관심 영역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응시 시간, 응시점 수, 평균 응시율이 나타나 있다. <표 5>를 살펴보면, 교사와 학생들은 모두 그림 영역에 대한 응시 시간과 응시점의 수가 다른 영역의 응시 시간이나 응시점의 수보다 월등하게 많았으며, 다음으로 언어 영역을 많이 응시하였다. 그러나 제목과 화살표를 응시하는 측면에서는 개별적인 차이를 나타냈는데, 교사들과 학생 S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eye movements between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shown during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textbook illustrations. The subjects for the research consisted of three students and three teachers. Eye-tracker was used in order to collect eye movement data.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common eye movement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t the center of textbook illustrations at first, and they were mostly interested in picture area. But there were different eye movements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n eye path when interacting with picture area and language area. Students processed cognitive information with low-level visual features and focused on picture area. However, teachers were interested in information process that various areas interacted actively. This implies that textbook illustrations should emphasize picture area that students easily read and analyze.

      • KCI등재

        해외 연구동향에 비추어 본 조선시대 회곽묘 출토 한국미라 연구현황

        신동훈,오창석,박준범,김명주,복기대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09 東洋學 Vol.46 No.-

        국내에서는 미라에 대한 연구는 단순한 흥미차원을 벗어나 체계적인 연구가 이제 막 태동기를 벗어난 형편이지만 해외의 관련 연구 기술은 이미 상당히 오랜 기간 축적되어 왔으며 그 발전 수준도 최근 들어 상당히 높은 수준에 이르렀다. 세계 어느 곳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특이한 기전으로 형성된 조선시대 사람 유체를 대상으로 하는 한국의 미라연구는 짧은 기간에도 빠른 속도로 발전하여 왔지만 해외의 연구수준에 보다 근접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기이다. 향후 한국미라 연구의 발전방향을 올바르게 모색하기 위해서는 기존 해외 관련 연구사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여 관련 연구에 대한 올바른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특히 다양한 생물학적 연구-고DNA 연구 등-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절대적으로 필요한 오래된 시료의 숫자가 매우 부족한 한국의 상황에서는 한국미라가 향후 관련 연구의 가장 중요한 대상이 될 수 있음을 고려할 때 이 분야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발전은 한국의 관련 연구자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할 것이다. 본 보고에서는 19세기 이후 유럽을 중심으로 한 해외 미라 연구사를 먼저 간략히 정리하고 최근의 다른 나라 미라 연구동향을 분석한 다음 한국미라 연구의 개별적인 연구수준을 제고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인가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많은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안정적인 발전단계로 접어든 서구의 미라연구와 비교해 볼 때 한국은 그동안 이룩한 많은 진보에도 불구하고 아직 해결해야 할 부분이 산적해 있다는 것이 본 연구진의 시각이며 향후 적절한 투자와 관련 연구자들 간의 좀 더 긴밀한 교류에 의한 체계적 연구만이 그 격차를 좁게 할 수 있다고 본다. While mummy studies in Europe or North America reported remarkable achievements during past times, we just took the first step toward complete comprehension of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mummies found in tombs of Joseon Dynasty. To catch up with the academic level of mummy studies in European countries, we need to review the past history of their studies on Egyptian mummies, by which the current academic standard of Korean mummy studies could be evaluated. In this study, we summarized mummy studies in Europe or North America after 19th century on, trying to find much efficient way for making our Korean mummy studies successful. Considering that there are very few ancient samples for authentic ancient DNA (aDNA) works in Korea, it is very crucial for us to make our collection of Korean mummies much fit for investigation of aDNA researchers on them. Since we admit that many problems should be solved as soon as maybe for achieving successful progress in our studies on Korean mummies, continuing efforts by researchers in this field of Korea would be needed for the time being.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일부 6가 크롬 폭로 작업자의 임파구 자매염색분체교환

        신동훈,윤능기,서석권,예민해,Shin, Dong-Hoon,Yoon, Nung-Ki,Suh, Suk-Kwon,Yeh, Min-Hae 대한예방의학회 1990 예방의학회지 Vol.23 No.3

        1989년 11월부터 4개월간 대구시내 소재 일부, 6가 크롬(삼산화크롬)으로 피막처리하는 도금작업장의 남성근로자를 대상으로 비중격천공이 있는 근로자 12명과 비중격천공이 없는 근로자 12명을 폭로군으로 하고 크롬에 폭로된 적이 없는 정상인 20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개별면담을 통해 연령, 직업력, 흡연습관을 파악하였으며, 정맥혈을 채취하여 원자화 무염광로를 부착한 원자흡광도계로 혈중 크롬농도를 측정하였으며 말초혈액 중 임파구의 자매염색분체교환의 발현빈도를 조사하고 연령, 흡연습관, 직업력 및 혈중 크롬농도 등이 임파구 자매염색분체교환의 발현빈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크롬 도금작업의 말초혈액 중 임파구 자매염색분체교환의 발현빈도는 비중격 천공이 있는 군이 $10.1{\pm}1.6$, 비중격천공이 없는 군이 $8.5{\pm}3.4$이었고 대조군 $6.1{\pm}2.1$으로 세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p<0.01), 비중격천공 군에서 가장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대조군에 비해 1.7배의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혈중 크롬농도는 대조군이 $0.060{\pm}0.043{\mu}g/ml$, 크롬도금 작업자 중 비중격천공이 있는 군 $0.114{\pm}0.030{\mu}g/ml$, 비중격천공이 없는 군 $0.090{\pm}0.050{\mu}g/ml$로 세군간의 차이는 유의하였다 (p<0.01). 크롬도금 작업자와 대조군 모두 연령군별, 흡연습관별 및 근속년수에 따른 자매염색분체교환의 발현빈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혈중 크롬농도와 자매염색분체교환 발현빈도의 상관성은 상관계수, r=0.007로서 상관관계가 없었다 (Y=0.638 X+0.191, r=0.007. p>0.05). SCE 평균 발현빈도를 $y=(sum\;SCE)^{\frac{1}{2}}+(sum\;SCE+1)^{\frac{1}{2}}$를 이용하여 변형한 변수 y에 대해 연령, 흡연습관, 직업 및 혈중 크롬농도의 요인들로서 설명력은 32.3%였으며 가장 중요한 변수는 직업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직업적인 크롬폭로에 의한 유전적 손상의 위험성이 어느 정토 있을 것으로 추측되며 생물학적 독성검정 지표로서 유용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o investigate the possibility of utilizing of sister chromatid exchange(SCE) analysis in lymphocytes as an indicator which could evaluate the effects of mutagenicity after in vivo exposure to hexavalent chromium,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some of chromium plating workers occupationally exposed to hexavalent chromium, chromium trioxide ($CrO_3$) in Taegu city. The study population was 12 Cr platers with perforation of nasal septum, 12 Cr platers without perforation of nasal septum and 20 controls. The SCE in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of the subjects was analyzed and blood chromium concentration was estimated using the atomic absorption spectrophotometer (IL551) equipped with furnace atomizer (IL755). The mean SCE frequencies for Cr platers with and without perforation of nasal septum were statistically higher than those for control. The difference in SCE frequencies by age, smoking habit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oth in Cr platers and controls. There was no difference in SCE frequencies by career of Cr platers workers. In Cr plater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n SCE frequencies and chromium concentration in blood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Using the transformation $y=(sum\;SCE)^{\frac{1}{2}}+(sum\;SCE+1)^{\frac{1}{2}}$, when the data was studied by multiple regression, it appeared that the influence of the occupation was the most important. Age, smoking, occupation and CrB(blood chromium concentration) together explain only 32.3% of interpersonal variation on SCE. The results in this study suggest tt a genetic risk due to occupationally exposure to hexavalent chromium is clearly inferable and thus, SCE analysis in human lymphocytes may be used indicator of biological toxic effects of chromium. Further, populatio analysis stuies are required before SCE frequency can be used as a mutagenic indicator in human population.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