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생이 과학 관련 과제에서 사용한 분류 전략의 미시발생적 분석

        최현동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1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4 No.2

        Following a microgenetic design, this study was analysed the characteristic and the change of classification strategy that appear in college students' classification activity. The 4 tasks were developed for classification activity; a shell as a familiar real things, an animal fossil as a unfamiliar real things, a snow flake as a familiar picture cards and galaxy as a unfamiliar picture card. Achieved study to 6 college students who major in elementary education. Data were collected by interview with subjects, subject's classification schema, investigator's observation of subject's activity, and videotaped that record subject's subject classification process over an extended period of 6 times. Result proved in this study is as following. In the 6 times of the data collection procedures, a strategy F identifying concrete attribution of classification objects and a more detailed strategy X3 combining qualitative, spatial and dimensional attribution were found and more frequently used in both groups of college students which reported a classification process and did not report the process. While discovery and absorption of both a concrete classification strategy and a detailed classification strategy were rapidly developed in the reporting group, they were gradually developed in the non-reporting group. In addition to this, as the data collection procedures were progressing, the college students were familiar with change factors of classification tasks and in the case of pictures the classification strategy showed more desirable changes.

      • KCI등재

        일상에서 자각증상의 정도와 동적환경에서의 스마트기기 사용 시 자각증상 변화와의 관계

        최현동,정민진,이경철,박미정,김소라 대한시과학회 2017 대한시과학회지 학술대회 Vol.2017 No.06

        목적: 본 연구에서는 움직임이 있는 동적환경에서 스마트기기를 사용할 때 평상 시 자각증상의 경중이 근업 후 자각증상의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 및 시력교정술 이력이 없고 교정 및 나안 시력이 0.8 이상인 남녀 50명(남자 19명, 여자 31명)을 대상으로 전신증상 8개, 눈 관련증상 5개 항목으로 포함된 VRSQ(Virtual Reality Symptom Questionnaire)설문조사를 시행하여 평상 시의 자각증상 점수에 따라 높은 자각증상군과 낮은 자각증상군으로 분류하였다. 왕복식 진탕기에 스마트패드(삼성갤럭시탭, 7인치, SHW-M180W)를 부착하여 40 rpm(240 deg/sec)의 속도로 상하로 움직이게 하였으며, 조도 200 lux, 주시거리 40 cm에서 30분간 영화를 시청하도록 한 후 VRSQ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근업 전후의 자각증상 점수를 비교하였다. 결과: 평상 시 자각증상 점수에 의해 낮은 자각집단군으로 분류된 경우는 동적환경에서의 스마트기기 사용 후 자각증상의 절대값 변화는 크지 않았으나 전신증상 중 5개의 항목에서 257.50%의 점수증가를 보였으며, 눈 관련 증상은 4개 항목에서 295.59%의 점수증가를 나타내었다. 반면, 높은 자각집단군에서는 스마트기기 사용 후 전신증상 중 3개의 항목에서만 103.53%의 점수증가를 나타내었으며, 눈 관련 증상은 1개 항목에서만 133.87%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결론: 평상 시 자각증상이 심하지 않은 경우는 동적환경에서의 스마트기기 사용 시 자긱증상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평상 시 자각증상 점수의 높은 경우는 오히려 상대적으로 낮은 민감도를 보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동적환경에서의 스마트기기 사용은 평상 시 자각증상의 경중에 관계없이 멀미 관련의 전신증상과 눈 피로와 시각적 불편감 등 눈 관련 증상을 모두 증가시켰으므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다.

      • KCI등재
      • KCI등재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의 천문에 관한 내용 분석

        최현동,권치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1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4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meaningful basic materials for organizing a science curriculum in future by analyzing the status and changes of contents about astronomical phenomena in textbook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the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A main target of analysis is science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 in curriculums from 1st to 7th. For the analysis, the analytic frame based on contents in astronomy textbooks of teachers colleges and colleges of education was used. The result of the analysis is as in the following. First, astronomy accounted for average about 7% of all pages of textbooks in all of science curriculums. The 1st educational curriculum had the most learning quantity of 10.40%, and the 6th curriculum had the least quantity of 4.39%. These results show that astronomy was not a small part and was considered important in each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considering that earth science accounted for 17-26% of all pages in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Second, the things that have been dealt with in common in all science curriculums from 1st to 7th of elementary school are the shape of the earth, the rotation and the revolution of the earth, the occurrence of the seasons, the apparent motion of the sun, the status and motion of the moon, the movement of a star, the brightness and distance of a star, constellations, the sun, planets and others. These contents are expected to be dealt with continuously as basic contents to organize astronomy regardless of the changes of curriculum. Third, in scienc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astronomical phenomena based on life experiences regarding the earth, the moon and the sun are mainly dealt with in the first and the second grade. Contents requiring principles-understanding and research are dealt with in the fifth and sixth grade. These results show that elementary school science curriculum dealing with astronomy reflects the developmental stages of students and considers principle of learning possibility.

      • KCI등재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의 대기환경과학에 관한 내용 분석

        최현동,권치순 에너지기후변화교육학회 2012 에너지기후변화교육 Vol.2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의 변천에 따라 교과서에 나타난 대기환경 과학에 관한 내용들의 현황과 변화를 분석하여 앞으로의 과학과 교육과정 편성에 유의미한 기 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주요 분석 대상은 제1차부터 2007 개정 초등학교 과학과 교과서이 며, 교대와 사범대에서 사용하는 대기환경과학 교재에 나오는 내용들을 기초로 한 내용 분석틀 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기환경과학에 관한 내용은 교육과 정 변천에 따라 제2차 교육과정이후 일정한 비중을 가지고 있다가 7차 교육과정 이후 확대되고 2007 개정 교육과정에서 비중이 가장 커졌다. 둘째, 초등학교 과학교육과정에서 제1차부터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다루어진 것은 대기환경과학을 이해하는데 가장 기초적이 며 필수적인 요소로서 사회적 요구와 부합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으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다루어져야 할 것임을 시사한다. 특히, 나중에 추가되어 교육과정에 반영된 것들은 사회적 요구가 반영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셋째, 대기환경과학 관련 학습 내용들은 교육과정별로 다소의 차이를 보이기는 하지만 대체로 전체 학년에 고르게 적용되어 왔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이는 이들의 내용요소에 속하는 하위 요소들이 많아서 단계적인 학습이 필요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 KCI등재

        난시검사법에 따른 완전교정의 효용성 평가

        최현동,이준선,박미정,김소라,장욱 한국안광학회 2022 한국안광학회지 Vol.27 No.4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effect of differences in prescription according to the test method for astigmatism during refraction on corrected vision. Methods: Twenty-five subjects in their 10s and 30s with no history of vision correction surgery and/or eye disease were tested for astigmatism using a clock dial chart and cross-cylinder, respectively, for their prescription. After wearing the test lens to which each prescription was applied,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MAR) of the subjects was measured using the Landolt C-ring chart while changing the contrast and letter size, and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prescription was further compared. Results: The cross-cylinder test tended to have a higher prescription value for spherical correction, while the test using a clock dial chart tended to have a higher prescription value for cylindrical correction. Comparing the MAR according to the change in the contrast and the letter size, it was found that the MAR was statistically and significantly better when corrected using the prescription of the cross-cylinder test than that of the clock dial chart. In addition, regardless of the contrast, it was found that the smaller the size of the letters, the mo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umber of letters read between the two refraction tests. Furthermor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letters read between the two refraction tests, depending on the contrast of letters; however, the difference did not show a consistent correlation. Conclusions: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in astigmatism, which mainly involves precision work or far-distance viewing for a long time, precise correction by cross-cylinder test should be performed to improve vision satisfaction. 목적: 본 연구는 굴절검사 시 난시검사 방법에 따른 처방값의 차이가 교정시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 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시력교정술이나 안질환의 이력이 없는 10~30대 25명을 대상으로 각각 방사선 시표와 크로 스실린더로 난시 검사를 시행한 후 처방값을 구하였다. 각 처방값이 적용된 시험렌즈 착용 후 란돌트 C 링 시표를 사 용하여 대비 및 크기를 변화시키며 대상자들의 최소분리시력을 측정하고 처방값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크 로스실린더 검사 시에는 구면 교정도수 처방값이 강하게 나오는 경향이 있었던 반면, 방사선 시표 검사 시에는 원주 교정도수 처방값이 강하게 나오는 경향이 있었다. 시표의 대비 및 크기 변화에 따른 최소분리시력을 비교한 결과, 크로스실린더 검사의 처방값으로 교정 시에는 방사선 시표 검사의 처방값의 경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우수한 최소분리시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시표의 대비에 관계없이 시표의 크기가 작아질수록 두 검사방법 사 이의 읽은 시표의 개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커짐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시표 대비에 따른 두 검사방법 간 읽은 시표의 개수 차이는 존재하였으나 일정한 상관성을 보이는 차이는 아니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 정밀한 작업 하거나 원거리를 장시간동안 주시하는 시생활을 주로 하는 난시안의 경우라면 크로스실린더 검사를 통한 난시의 정 밀교정이 시생활 만족도의 향상에 도움이 될 것임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Inservice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Teaching Skills and Educational Settings in Implementing a Problem Based Learning Approach

        최현동 한국지구과학회 2011 韓國地球科學會誌 Vol.3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inservice teachers’ teaching skills and relevant educational settings that could be applied to an instruc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PBL). Participants have been instructed PBL teacher training programs and applied PBL into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Three elementary teachers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and data were collected with semi-structured interviews. The interviews of the teachers in relation to PBL were analyzed by two main topics: (1) the teachers’ teaching skills required in PBL and (2) the educational settings in implementing PB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iculty involved in the implementation of PBL in that its preparation and teaching process are different from the traditional teaching methodology. However, as a helper who guides the students to self-directed learning in the free and permissible learning environment in which students are motivated to develop their potential effectively, the teachers are to invest their time consistently and to put their efforts into making an effective class in the entire process of PBL. Second, as a method to apply the problem-based learning to the education settings, the teachers must spread the awareness of PBL to fellow teachers, students, their parents and the administrators in education and form the community of the teachers. Most importantly, when the teachers apply PBL in the directly, from the joy of witnessing the changes in the students, they will choose to adopt PBL.

      • KCI등재

        태권도 시범단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지도자 신뢰, 운동지속과의 관계

        최현동,정영수 대한무도학회 2020 대한무도학회지 Vol.2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leader, the trust of the leader, and the continuation of the movement. The subject of study was a Taekwondo pilot from 20-27 years old. the study method used questionnaire abou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leadership trust, and movement continuity. for data processing,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2.0. I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hown that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the Taekwondo demonstration team leade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leader's trust and exercise persistence, and the leader's confid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ovement persist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