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신생아 및 소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늘어지는 영아(floppy infant)의 진단적 분류 및 임상적 고찰

        김은선,정경은,김상덕,김이경,채종희,김한석,박준동,김기중,김병일,황용승,중환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6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9 No.11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a diagnostic classification and discuss a diagnostic strategy of floppy infants by investigating clinical, neurological, electrophysiological, and genetic analysis of infants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s with the complaint of hypotonia.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was performed from Jan. 1993 to Dec. 2005 in neonatal and pediatric intensive care units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Clinical features and all tests related to hypotonia were investigated. Results : There were 21 cases of floppy infants admitted to intensive care units. Final diagnosis was classified as centra (7 cases[33.3 percent]), peripheral (11 cases [52.4 percent]), and unspecified (3 cases [14.3 percent]). Among the central group, three patients were diagnosed as hypoxic ischemic encephalopathy, two patients as Prader-Willi syndrome, one patient as chromosomal disorder, and one patient as transient hypotonia. Among the peripheral group, four patients were diagnosed as myotubular myopathy, three patients as SMA type 1, two patients as congenital myotonic dystrophy, one patient as congenital muscular dystrophy, and one as unspecified motor-neuron disease. Motor power was above grade 3 on average, and deep tendon reflex was brisk in the central group. Among investigations, electromyography showed 66 percent sensitivity in the peripheral group, and muscle biopsy was all diagnostic in the peripheral group. Brain image was diagnostic in the central group, and Prader-Willi FISH or karyotyping was helpful in diagnosis in central group. Morbidity and mortality was more severe in the peripheral group Conclusion : Classification of diagnosis by clinical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and application of investigations step by step, may provide an effective diagnostic strategy. 목 적 : 늘어지는 증상을 주소로 신생아 및 소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영아들의 임상적, 신경학적, 전기생리학적 소견 및 유전적 진단 결과를 통한 분석을 통해 늘어지는 영아 증후군의 진단적 분류 및 진단 방법에 대한 고찰을 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3년도부터 2005년까지 13년간 서울대학교 병원 어린이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및 소아 중환자실에 늘어지는 증상을 주된 주소로 입원한 영아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후향적 의무기록 조사를 통해 임상 소견 및 검사 소견들을 조사하였고 최종 진단명을 분류하였다. 결 과 : 늘어지는 증상을 주소로 내원한 영아들은 21명이었다. 최종 진단명은 중추성 기원이 7명(33.3%), 말초성 기원이 11명(52.4%), 나머지 3명은(14.3%) 두 그룹 중 어느 그룹으로도 분류되지 못하였다. 중추성 기원은 저산소-허혈성 뇌증이 3명으로 가장 많았고, 그 외에 Prader-Willi 증후군 2명, 염색체 이상 1명, 일과성 저긴장증 1명이 있었다. 말초성 기원은 myotubular 근병증이 4명으로 가장 많았고, SMA 1형이 3명, 선천성 근긴장성 이영양증 2명, 선천성 근이영양증 1명, 그 외 분류되지 않은 운동신경질환 1명이 있었다. 가족력이 있었던 경우는 말초성 그룹에서만 3명이 있었고, 신경학적 검진 상 근력은 중추성 그룹에서 평균 Grade 3 이상이었고 건반사도 활발하게 나타난 경우가 많아 다른 그룹의 환자들과 차이를 보였다. 검사상의 소견은 근전도 검사에서 말초성 그룹이 66%의 민감도를 보였고 근생검은 말초성 그룹에서 진단적이었다. 중추성 그룹에서 뇌 영상 검사가 진단적이었고 진단율이 높지는 않았지만 Prader-Willi FISH 나 염색체 검사를 통해 진단이 되었던 경우가 있었다. 그 외의 분자 유전학적 검사로 확진 가능한 말초성 그룹의 환자들이 있었다. 입원 기간 및 기관 삽관 기간은 말초성 그룹에서 현저하게 길었고, 추적 관찰 시 사망 및 심한 발달 지체의 비율도 말초성 그룹에서 높게 나타났다. 결 론 : 본 연구의 늘어지는 영아들의 임상상을 바탕으로 진단적 분류를 시행하고 각 진단 분류에 유용한 검사를 순서대로 진행시킨다면 효과적인 진단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재태주령 32주 이하 미숙아에서 생후 1주 이후 후기 저혈압 및 부신 기능부전과의 관계

        이진아,최창원,김이경,김한석,김병일,중환 대한신생아학회 2011 Neonatal medicine Vol.18 No.2

        Purpose: Late-onset hypotension in preterm infants is not a rare condition. Late circulatory collapse due to adrenal insufficiency (AI)is one of the major causes of late-onset hypotension. We assessed the incidence and causes of late-onset hypotension. We also compared the clinical finding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AI. Methods: In total, 422 preterm infants with a gestational age ≤32 weeks and who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Boramae Hospital and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2009 to April 2011were included. Clinical findings were analyzed retrospectively. Results: Forty-four infants (18%) suffered from late-onset hypotension. Hydrocortisone was administered to 30 infants (68.2%)and AI occurred in 16 infants (36.4%). Cesarean section, sepsis before hypotension, and gastrointestinal surgery were independently associated with late-onset hypotension. Intrauterine growth retardation (IUGR) was less frequent in the hydrocortisonetreated group than in infants not treated with hydrocortisone. The AI group had fewer IUGR infants, and the duration of hospitalization was shorter in the AI group than in infants who were not administered hydrocortisone. Blood pressure tended to normalize more quickly in the AI group, however,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Conclusion: AI was a major cause of late-onset hypotension, and the use of hydrocortisone shortened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목적: 미숙아에서 생후 1주 이후에 생기는 미숙아 후기 저혈압은 드물지 않고 생후 1주 이전과는 다른 원인들이 작용할 수있다. 최근에는 부신 기능부전(adrenal insufficiency, AI)에 의한 급격한 순환부전이 후기 저혈압의 주된 원인으로 생각된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미숙아 후기 저혈압의 빈도 및 원인을 살펴보고, AI와의 관련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2009년 1월부터 2011년 4월까지 총 2년 3개월 간 서울대학교병원과 보라매병원에서 출생하여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재태 주령 32주 이하의 미숙아 총 244명을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고찰을 시행하였다. 이들을 미숙아 후기 저혈압의유무에 따라 산전, 신생아 병력을 비교하였고,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독립적으로 유의한 위험인자를 구하였다. 이후 저혈압 환아들을 대상으로 hydrocortisone 투여 유무 및 AI유무에따라 각각 두 군으로 나누어 산전 및 신생아 병력, 저혈압의 임상양상을 비교하였다. 결과: 미숙아 후기 저혈압이 있었던 환아는 총 44명(18%)이었고, 이 중 hydrocortisone 투여군이 30명(68.2%), hydrocortisone 비투여군이 14명(36.4%)이었다. AI는 16명(6.6%)이었다. 미숙아 후기 저혈압의 발병에는 제왕 절개술, 패혈증, 개복술이 독립적으로 유의한 선행인자였다. Hydrocortisone 투여군은hydrocortisone 비투여군에 비해 자궁 내 성장지연이 적었지만,기타 병력 및 저혈압의 임상양상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AI군은 hydrocortisone 비투여군에 비해 자궁 내 성장지연이 적었고, 총 입원기간이 유의하게 짧았다. 또한, AI군은 hydrocortisone 비투여군에 비해 강심제 투여 후 정상혈압까지의 기간이짧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결론: 미숙아 후기 저혈압에서 AI가 많은 원인을 차지하며 이에 대한 조기 진단 및 치료가 입원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미숙아 망막병증의 첫 선별 안저 검사의 적정 시기

        김지수,김세연,이주영,김정훈,김이경,김한석,유영석,중환 대한신생아학회 2013 Neonatal medicine Vol.20 No.4

        Purpose: In the present study, we aimed to evaluate the suitability of the first screening examination for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in a tertiary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ROP screening records of 459 infants admitted to the NICU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between January 2006 and December 2011 was performed. The first examination was performed at 31-32 weeks of postmenstrual age (PMA) or 4-5 weeks of postnatal age (PNA), whichever was earlier. The infants were divided into subgroups according to the gestational age (GA), and the time of the first examination, time of onset of ROP, and time of laser surgery were assessed with regard to the PMA and PNA. Results: Of the 459 infants, 139 infants developed ROP, with the mean PMA at onset of ROP being 34+2±2+3 weeks. Type I ROP developed in 57 infants, with the median PMA at laser surgery being 36+0 weeks. The median PMAs at the time of onset and the time of surgery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between groups divided according to GA. Infants with a GA of <26 weeks showed a higher incidence of Type I ROP compared to those with a GA of ≥26 weeks. None of the infants with a GA of <26 weeks were diagnosed with ROP at the first examination, and none of the patients in either group missed treatment. Six infants developed ROP before 31 weeks of PMA, at which time the first screening for ROP is generally performed. Conclusion: We suggest that the timing of the initial examination for ROP should be based on PMA or PNA, whichever is earlier, particularly in infants with GA of <26 weeks. 목적: 본 연구자들은 미숙아 망막병증의 첫 안저 검진 시기의 적절성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1월 1일부터 2011년 12월 31일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출생하여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재태주령 35주 미만의 조산아 중, 32주 미만 혹은 출생체중 2 kg 미만의 환자를 대상으로 출생 후 4-5주 또는 재태주령 31-33주중 빠른 시기에 선별 검사를 시행한 환자 259명의 의무 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재태주령 별 발병과 수술시기를 월경 후 주령과 역연령으로 조사하였고, 첫 검진부터 발병과 수술까지의 기간을 조사하였다. 결과: 총 459명의 미숙아 중 139명(30.3%)에서 미숙아 망막병증이 발병하였으며, 이중 레이저 광응고술 치료를 시행한경우는 57명(12.4%)이었다. 미숙아 망막병증의 평균 발병 시기는 월경 후 주령 34+2±2+3였으며, 수술을 시행한 시기의 중간값은 월경 후 주령 36+0주(32+1-43+0주)로 환자군의 재태주령과 무관하였다. 본 연구의 선별 검사 방법으로 재태주령 26주 미만에서는 첫 검진 당시 진단된 경우는 없었고, 모든 경우에서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았다. 첫 안저 검진부터 수술까지의 최소 기간은 17일 이었다. 재태주령 26주 미만에서 Type I ROP의 발병률은 47%로,월경 후 주령 31주 이전에 Type I 미숙아 망막병증이 발병한 경우는 4명이 있었다. 결론: 재태주령 26주 미만의 경우, Type I 미숙아 망막병증의 빈도가 높아 월경 후 주령 31주와 출생 후 4-5주 중 빠른시기를 기준하여 선별 검사를 시작하는 것이 적절한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후보

        미숙아에서 뇌 MRI와 뇌 초음파 검사의 결과 비교

        이승현,이주영,손진아,이진아,최창원,김이경,김한석,중환,김병일 대한신생아학회 2012 Neonatal medicine Vol.19 No.1

        Purpose :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scans have become increasingly popular as a predictive tool for neurodevelopmental outcome in preterm infants, while serial brain ultrasonograms remain as a standard evaluation modality for neonatal brai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brain MRI taken at term-equivalent age could give us further information over serial brain ultrasonograms taken during admission. Methods : We analyzed 225 preterm infant (<32 weeks gestational age) who were admitted to NICU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from January 2006 to June 2011. The 28 infants with chromosomal abnormalities or major congenital anomalies were excluded. We compared abnormal findings between brain MRI scan taken at term-equivalent age and serial brain ultrasonograms taken during admission in 197 preterm infants. Results : The brain MRI scans taken at term-equivalent age showed normal findings in 142 out of 197 (72%) infants and abnormal findings in 55 out of 197 (28%) infants. The brain ultrasonograms during admission revealed 82 intraventricular hemorrhages, 90periventricular leukomalacias, 7 brain parenchymal lesions, 3 ischemic lesions. Brain MRI scans discovered 30 intraventricular hemorrhages, 10 periventricular leukomalacias, 12 brain parenchymal lesions, 3 ischemic lesions. Ventriculomegaly was discovered only by the brain ultrasonography. Five brain parenchymal lesions and 9 cerebellar lesions were appeared only on the brain MRI scans. Brain MRI scans taken at term-equivalent age detected grade 1 or 2 intraventricular hemorrhages which were not discovered by last brain ultrasonograms. Conclusion : In compare to the serial brain ultrasonograms, the brain MRI scan taken at term-equivalent age is advantageous in discovering brain parenchymal lesions and cerebellar lesions and precise grading of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n preterm infants. 목적: 미숙아에서 뇌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검사는 신경발달의 결과를 예측하는 방법으로서 점차 많이사용되고 있지만, 정기적 뇌 초음파 검사는 여전히 신생아 뇌 검사방법의 기준으로 남아있다. 미숙아에서 퇴원 무렵에 시행된 뇌 자기공명영상과 입원기간 중 연속적으로 시행된 뇌 초음파영상을 비교하여 뇌 자기공명영상이 추가적인 정보를 줄 수 있는지 알아보았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1년 6월까지 임신나이 32주 미만의 미숙아로 분당 서울대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들 중 퇴원무렵에 뇌 MRI 검사를 받은 225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환아중 염색체 이상 또는 중추신경계 기형이 있는 28명 환아를 제외한197명의 뇌 MRI와 입원기간 중 뇌 초음파 소견을 비교하였다. 결과: 대상 환아들 중 퇴원 무렵 뇌 MRI 검사 결과가 정상인 환아는 142명(124/197, 72%) 이었고, 양성 소견(positive finding)을 보인환아는 55명(55/197, 28%) 이었다. 뇌 초음파에서 미숙아의 주요 뇌병변에 대해 기술된 경우는 뇌실 내 출혈 82명, 뇌실 주위 백질연화증 90명, 뇌실질의 출혈 7명 및 허혈성 병변 3명 이였고, 뇌 MRI에서는 각 질환 별로 30명, 10명, 12명, 3명 이었다. 뇌실 확장은 주로 뇌 초음파에서 발견되었고, 뇌 초음파에서 발견되지 않았던 뇌실 내 출혈5건, 뇌실 주변 백질연화증 1건, 뇌실질 출혈 11명, 소뇌 병변 9명은뇌 MRI에서만 발견되었다. 교정나이 만삭아 시기에 촬영한 뇌 MRI 에서 입원기간 마지막으로 시행한 뇌 초음파에서 발견되지 않았던뇌실 내 출혈(Grade 1 or 2)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결론: 뇌 초음파 검사와 비교할 때, 미숙아들에게 퇴원 전 뇌 MRI 검사는 뇌 초음파 검사에서 발견하기 어려운 뇌 실질의 출혈, 소뇌병변의 발견 및 뇌실 내 출혈 정도를 명확히 확인하는 데 있어서도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신석회화증의 위험인자

        심규홍,이진아,신윤정,김이경,박준동,김병일,중환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4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7 No.3

        Purpose:Nephrocalcinosis in very low birth weight(VLBW) infants were known to be caused by a longer duration of furosemide use. However, etiologies, pathogenesis and risk factors remain unclear. Therefore, we examined the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nephrocalcinosis in VLBW infants retrospectively. Methods:Inborn babies of birth weights less than 1,500 gm were examined retrospectively. Data were reviewed on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sex, 5-min Apgar score, oliguria on the first day, respiratory support, surfactant use, duration of nephrotoxic drug use(furosemide, gentamicin, amikin, vancomycin and amphotericin-B) and duration of total parenteral nutrition(TPN) use. Presence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BPD), bacterial sepsis, fungal sepsis, osteopenia and necrotizing enterocolitis(NEC) were also reviewed. Serum calcium, phosphorus, total protein, albumin, blood urea nitrogen (BUN) and creatinine at three to five weeks of age and at discharge were reviewed. Results:A t-otal 141 infants were reviewed. 9.2%(13/141) of VLBW infants developed nephrocalcinosis. By univariate analysis,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5-min Apgar scores, duration of ventilation, duration of oxygen use, postnatal dexamethasone, phototherapy, nephrotoxic drugs(furosemide, amikin, vancomycin, and amphotericin) and TPN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ephrocalcinosis. Low phosphorus level at three to five weeks of age and high BUN levels at discharge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ephrocalcinosis. Presence of RDS, BPD, bacterial sepsis, fungal sepsis and NEC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nephrocalcinosis. Multivariate analysis showed that the strongest predictors of nephrocalcinosis were duration of furosemide use and birth weight. Conclusion:Longer duration of furosemide use and lower birth weight are considered to be independent risk factors. Further more prospective and longterm follow up studies are needed. 목 적 :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신석회화증은 furosemide의 장기간 사용에 의해 유발된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원인, 발병 기전과 위험 요소(risk factors)에 대하여는 논란이 많다. 본 연구에서 저자들은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신석회화증의 발생률과 위험 요소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원 산부인과에서 태어나서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150명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재태연령, 체중, 성별, 부당경량아·적정체중아 여부, 5분 Apgar 점수, 생후 24시간 이내 핍뇨증 여부, 기관지 폐 이형성증, 세균성 패혈증, 곰팡이성 패혈증, 골감소증과 괴사성 장염의 이환 여부를 조사하였다. 입원 경과 중에 받은 치료 중 산전·후 스테로이드 투여 여부, 인공 폐 표면 활성제 사용 여부, 인공호흡기 사용 기간, 산소 투여 기간, 광선 치료 기간, 총 정맥 영양 사용 기간 등을 조사하였고, aminophylline과 신독성 약제(furosemide, gentamicin, amikin, vancomycin, amphotericin- B)의 입원 기간 중 총 사용 일수를 조사하였다. 생후 3-5주와 퇴원 시점에 시행한 혈액 검사 중에서 혈청 칼슘, 인, 혈액 요소 질소, 크레아티닌, 단백질과 알부민 수치를 조사하였다. 결 과 : 극소 저출생 체중아에서 신석회화증의 발생률은 9.2%였다. 단일변수 분석에서 재태연령, 출생체중, 5분 Apgar 점수, 인공 폐 표면 활성제 사용 여부, 산후 스테로이드 투여, 인공호흡기 사용 기간, 산소 투여 기간, 광선 치료 기간, 총 정맥 영양 사용 기간, furosemide, amikin, vancomycin, amphotericin-B의 사용 기간, 3-5주 사이에 낮은 혈청 인 수치와 퇴원시 높은 혈액 요소 수치가 통계적 의미가 있었다. 그리고, 기관지 폐 이형성증, 세균 혈증, 곰팡이 혈증, 골감소증과 괴사성 장염의 이환도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다변수 분석에서는 장기간의 furosemide 사용과 작은 출생 체중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왔다.

      • KCI등재

        Ureaplasma urealyticum의 집락에 따른 신생아의 임상 양상

        임인숙 ( In Suk Lim ),최창원 ( Chang Won Choi ),김병일 ( Byeong Il Kim ),김상덕 ( Sang-duk Kim ),이진아 ( Jin A Lee ),김이경 ( Eu Kyung Kim ),김한석 ( Han Suk Kim ),중환 ( Jung Hwan Choi ) 대한주산의학회 2007 Perinatology Vol.18 No.1

        목적: Ureaplasma urealyticum (U. urealyticum)은 태아와 신생아 폐렴의 중요한 원인으로 밝혀져 있으며 미숙아에서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고 보고되어졌다. 저자들은 U.urealyticum의 집락 여부에 따른 신생아들의 임상양상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3년 6월부터 2006년 7월까지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환아 중 출생 첫날 U. urealyticum에 대한 검사를 시행한 47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소변 또는 기관지 폐포 흡인액중에서 PCR 또는 배양검사를 시행하여 U. urealyticum 양성군과 음성군간의 신생아 호흡 곤란증후군 및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빈도를 비교하였다. 결과: 출생 첫날 U. urealyticum에 대한 검사를 시행한476명 중 재태 연령 32주 미만은 136명이었고 재태 연령 32주 이상은 340명이었다. 재태 연령 32주 미만의 환아에서는 18명(13%)이 U.urealyticum 양성이었고 이들에서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발생빈도는 U. urealyticum 음성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고(p=0.058),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의 발생빈도는 적었다(p=0.043). 생후 3일의 말초 혈액에서 총백혈구수는 U. urealyticum 양성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으며(p=0.003), 이차이는 중성구에서 더 뚜렷하였다(p=0.001). 총 IgM과 CRP는 U. urealyticum 집락과 유의한 관계가 없었으며 산모 양수에서 U. urealyticum의 집락여부와 환아의 U. urealyticum의 집락여부도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재태 연령 32주 이상의 환아에서는 23명(7%)이 U. urealyticum 양성이었고 이들에서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발생은 없었으며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의 발생빈도는 감소하지 않았다 (p=0.605). 환아의 총 IgM은 U. urealyticum 양성군에서 증가하였으나(p<0.006) 환아의 총백혈구와 CRP는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산모의 U. urealyticum 집락여부와 환아의 U. urealyticum의 집락여부도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p=0.21). 결론: U. urealyticum의 집락은 재태 연령 32주 미만의 미숙아에서 기관지폐 이형성증의 발생빈도를 증가시켰고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의 발생빈도는 감소시켰다. Objective: Ureaplasma urealyticum colonization is a significant cause of fetal and neonatal pneumonia and is associated with the prevalence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in preterm infants. This study was aime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 urealyticum colonization and neonatal morbidity Methods: We tested 476 infants for U. urealyticum on the first day of life among infant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Bun-dang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une 2003 to July 2006. Urine and endotracheal aspirates were processed by PCR (polymerase chain reaction) or culture for U. urealyticum colonization. We compared the morbidity in the colonized group with the non-colonized group. Results: The study group consisted ot 136 infants less than 32 weeks of gestational age and 340 infants more than 32 weeks of gestational age. In infants less than 32 weeks of gestational age, 18 (13%) of 136 infants had 1 or more positive specimens by culture or PCR. BPD occurred more in the colonized group than in the non-colonized group (p=0.058) and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RDS) occurred significantly less in the colonized group (p=0.043). Total WBC counts on the third day of lif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olonized group (p=0.003) and this significance was prominent in the neutrophil fraction (p=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U. urealyticum colonization and IgM levels nor C-reactive protein (CRP) level nor U. urealyticum colonization of the mother. Twenty-three(7%) of 340 infants more than 32 weeks of gestational age had 1 or more positive specimens by culture or PCR. BPD didn`t occur and RDS didn`t decrease significantly in the colonized group (p=0.605). Total IgM levels didn`t increase significantly in the colonized group (p<0.006) but total WBC counts and CRP levels didn`t increase significantly in the colonized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relation between U. urealyticum colonization and U. urealyticum colonization of the mother (p=0.21). Conclusion: U. urealyticum colonization in infants less than 32 weeks of gestational age wa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prevalence of BPD and a decreased prevalence of RDS.

      • KCI등재

        임상 ; 식이부전으로 소장 조영술을 시행 받은 조산아 46례의 임상적 고찰

        손세형 ( Se Hyung Son ),김윤주 ( Yoon Joo Kim ),이주영 ( Ju Young Lee ),이은희 ( Eun Hee Lee ),손진아 ( Jin A Sohn ),김은선 ( Eun Sun Kim ),김이경 ( Ee Kyung Kim ),김한석 ( Han Suk Kim ),김병일 ( Beyong Il Kim ),중환 ( Jung Hwan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2

        목적: 조산아에서 식이 진행이 잘 되지 않는 경우에 소장조영술 검사를 시행해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조산아에서 소장조영술의 안정성과 유효성 평가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를 통해 소장조영술의 최근 경험을 조사하여 조산아에서 식이진행이 되지 않을 경우에 소장조영술 검사에 대해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어린이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소장조영술을 시행한 46명의 조산아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재태기간과 평균출생체중은 각각 30(+1)±3(+5)주(24-36주), 1,435±623g (460-2,810g)이었다. 소장조영술을 시행한 평균 수태후 연령은 37(+2)±4(+2)주(중간값 36(+2)주, 27(+2)-45(+4)주)였고 이는 생후 46.8±27.3일(5-126일)에 시행되었다. 소장조영술 검사를 시행한 결과에서 기계적 장폐색이 없었던 경우는 29명(63%)이었고 이들 중 22명(47.8%)은 위장관 이행 시간이 연장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결국 완전 장관 영양에 도달하였고 도달하는 데 걸린 시간은 평균 11.2일이었다(중간값 6일). 소장조영술을 시행한 신생아들을 출생체중에 따라 1.5kg 미만 군과 1.5kg 이상 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각각 27명, 19명이었다. 1.5 kg 이상 군에서는 검사를 더 일찍 시행하였다(P=0.027). 1.5kg 미만 군에서는 27명 중 15명(55.6%)에서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거나 인큐베이터 내에서 치료 중으로 침상 옆에서 검사를 시행하였다. 1.5kg 미만 군에서는 신생아괴사성장염, 태변연관 장폐색 및 위장관 수술 과거력이 1.5kg 이상 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44). 소장조영술 시행 시 사용한 조영제는 바륨, 텔레브릭스, 가스트로그라핀이었고 조영제 사용 후 관련된 합병증으로 구토 및 조영제 정체가 있었으나 대부분 호전되었고 흡인이나 패혈증 등의 부작용은 없었다. 결론: 식이 부전이 있는 조산아에서 적극적인 소장조영술 검사는 식이부전의 원인을 밝히고 이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되므로 식이를 진행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ive: Small bowel series (SBS) may be a useful test in identifying the causes of feeding intolerance in preterm infants. Unfortunately, little is known about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SBS in preterm infants. By scrutinizing our recent experiences in performing SBS in preterm infants, we aim to provide basic data concerning the use of SBS in preterm infants with feeding intolerance. Methods: Between January 2005 and October 2008, SBS was done in 46 preterm infants with feeding intolerance, who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se preterm infants. Results: The average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of the 46 infants were, 30(+1)±3(+5) weeks, 1,435±623 g, respectively. The mean postconceptional age when SBS was done, was 37(+2)±4(+2) weeks, 46.8±27.3days. SBS proved that 29 infants did not have mechanical obstructions and 22 of these infants had delayed bowel transit time. Eventually, 35 infants attained full feeding except those who underwent operation. SBS was done at their bedside in 15 out of 27 infants in the group less than 1.5kg. History of NEC, meconium related ileus, and gastrointestinal operation were more frequent in the group less than 1.5kg. The adverse effects of SBS in preterm infants included vomiting, delayed transit of the contrast media, all of which resolved in the end and there were no reports of aspiration or sepsis. Conclusion: Actively performing SBS test in preterm infants with feeding intolerance will promote feeding advancement by discovering the cause of feeding intolerance and subsequent management of the specific problem.

      • KCI등재

        1,250g 미만 미숙아의 호흡부전에서 흡입 일산화질소 치료의 효과

        최은진 ( Eun Jin Choi ),손진아 ( Jin A Sohn ),이은희 ( Eun Hee Lee ),이주영 ( Ju Young Lee ),이현주 ( Hyun Ju Lee ),최창원 ( Chang Won Choi ),김이경 ( Ee Kyung Kim ),김한석 ( Han Suk Kim ),김병일 ( Beyong Il Kim ),중환 ( Jung Hw 대한주산의학회 2011 Perinatology Vol.22 No.1

        목적: 흡입 일산화질소 치료는 폐혈관 저항을 감소시키고 폐 환기 관류의 불균형을 호전시켜 산소화를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호흡부전으로 흡입 일산화질소 치료를 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흡입 일산화질소 치료에 대한 반응 및 반응 여부와 연관된 인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분당서울대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했던 출생 체중 1,250 g 미만의 미숙아중 저산소성 호흡부전으로 흡입 일산화질소 치료를 받은 환아 17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흡입 일산화질소 치료 시작 후 24시간 전후로 FiO₂요구량의 20% 이상의 감소에 따라 반응군, 비반응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반응군 8명(47%), 비반응군 9명(53%)으로 구분되었고 평균 재태 주령은 반응군 25.4±1.6주, 비반응군 26.0±1.6 주, 평균 출생 체중은 반응군 701.9±190.1 g, 비반응군 816.1±241.6 g이였다. 흡입 일산화질소의 시작 시기를 보면 반응군이 비바응군에 비해 의미 있게 빨랐다(12±9일 vs. 35±25일, P=0.02). 흡입 일산화질소 치료를 하기 전에 FiO₂0.5이상에 노출되었던 기간은 반응군이 비반응군에 비해 의미 있게 짧았다(0.1±0.4일 vs. 12.6±16.3일, P=0.04). 흡입 일산화질소 치료의 호흡기적인 임상 경과를 살펴보면 반응군이 비반응군에 비해 총 기계 환기기의 기간이 짧았고(52±25일vs. 120±67일, P=0.03) 마지막 기관 발관의 월경 후 주령 및 출생 후 일자가 빨랐다(33.1±3.0주 vs. 45.4±9.5주, P=0.01; 55±25일 vs. 125±59일, P=0.01). 그리고 마지막 산소 투여의 월경 후 주령 및 출생 후 일자도 반응군이 비반응군에 비해 빨랐다(41.1±2.4주 vs. 49.0±4.5주, P=0.03; 109±28일 vs. 158±36일, P=0.03). 결론: 미숙아의 호흡부전시 흡입 일산화질소에 반응한 군은 치료를 조기에 시작하고 고농도 산소에 노출되는 기간이 짧았다. 반응군은 일산화질소 치료 우 비반응군보다 더 일찍 호흡기 이탈 및 산소 이탈이 가능하였다. 향후 흡입 일산화질소 치료 시기에 따른 효과 및 기관지폐 형성증, 뇌출혈 및 장기 신경발달 예후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Inhaled nitric oxide (iNO) therapy can decrease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and improve oxygenation through enhanced ventilation-perfusion match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rapeutic response and possible factors affecting the response to iNO in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failure.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f 17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failure whose birth weight were 1,250 g or less and were treated with iNO, admitted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between January 2006 and June 2010. Infants were classified as responders if they presented a reduction of FiO2 of more than 20% during 24 hours from the beginning of the treatment, and as nonresponder if not. Results: Eight infants (47%) were classified as the responder group and nine infants (53%) as the non-responder group. Mean gestational age was 25.4±1.6 weeks in the responder group and 26.0±1.6 weeks in the non-responder group. Mean birth weight was 701.9±190.1 g in the responder group and 816.1±241.6 g in the non-responder group. In the responder group, infants received iNO at postnatal day 12±9, in the non-responder group, iNO at postnatal day 35±25 (P=0.02). The exposure duration to FiO2 ≥0.5 prior to iNO treatment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responders than in non-responders (0.1±0.4 d vs. 12.6±16.3 d, P=0.04). The mechanical ventilation duration was shorter and the postmenstrual age and postnatal age at last extubation were earlier in responders than in non-responders (52±25 d vs. 120±67 d, P=0.03) (33.1±3.0 weeks vs. 45.4±9.5 weeks, P= 0.01; 55±25 d vs. 125±59 d, P=0.01). The postmenstrual age and postnatal age at last oxygen treatment were earlier in responders than in non-responders (41.1±2.4 weeks vs. 49.0±4.5 weeks, P=0.03; 109±28 d vs. 158±36 d, P=0.03). Conclusion: Responders during iNO treatment in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failure had earlier postnatal age and shorter duration of the exposure to hyperoxia. The responder group resulted in good response with early iNO treatment, thus the weaning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oxygen was earlier than the nonresponder group. Further studies on effects of beginning time of iNO treatment and long-term effects, especially bronchopulmonary dysplasia, intraventricular hemorrhage and neurodevelopmental outcome are necessa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