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가와사끼병에서의 저 T<sub>3</sub> 증후군 : 혈청 tumor necrosis factor-α, interleukin-6 및 NT-proBNP 농도와의 관계

        조혜경,손진아,김혜순,손세정,Cho, Hye Kyung,Sohn, Jin A,Kim, Hae Soon,Sohn, Sejung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9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52 No.2

        목 적 : 가와사끼병에서 갑상샘 호르몬과 혈청 TNF-${\alpha}$, IL-6 및 NT-proBNP 농도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환자군으로 가와사끼병 환아 52명과 대조군으로 다른 열성 질환 환아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군의 치료 전 급성기와 치료 3-9일 후의 아급성기 때의 혈청과 대조군의 급성 발열기 혈청에서 갑상샘 호르몬과 TNF-${\alpha}$, IL-6, NT-proBNP를 각각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환자군에서는 심장 초음파검사로 관상동맥 병변의 유무를 조사하였다. 결 과 : 가와사끼병의 63.5%에서 저 $T_3$ 증후군($T_3$<100 ng/dL)이 동반되었다. 급성 가와사끼병의 $T_3$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86.8{\pm}36.6$ vs $116.7{\pm}24.4$ ng/dL, P<0.05). 가와사끼병 환자군에서 $T_3$는 급성기에 감소하고 갑상샘 호르몬의 치료없이 아급성기에 증가하였으나($84.3{\pm}33.0$ vs $109.3{\pm}37.5$ ng/dL, P<0.01), 반대로 TNF-${\alpha}$, IL-6 및 NT-proBNP는 모두 급성기에 증가하고 아급성기에 감소하였다. 가와사끼병 환자군에서 저 $T_3$군(n=33)은 정상 $T_3$군(n=19)에 비해 신장 및 간기능의 차이는 없었고, NT-proBNP는 높았으며, IL-6는 약간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T_3$는 IL-6 (r=-0.12, P>0.05) 및 NT-proBNP(r=-0.54, P<0.001)와 반비례 관계를 보였다. 관상동맥 병변을 보인 가와사끼병 환아 4명 중 3명에서 $T_3$가 25.0-42.7 ng/dL로 매우 감소하였다. 면역글로불린 치료반응군(n=45)에 비해 저항군(n=7)에서 $T_3$는 더 낮았고($93.8{\pm}33.5$ vs $41.6{\pm}19.8$ ng/dL, P<0.001), IL-6와 NT-proBNP는 더 높았다. 결 론 : $T_3$는 가와사끼병의 급성기에 감소되며 아급성기에 갑상샘 호르몬의 치료 없이 정상화된다. $T_3$ 감소는 부분적으로 TNF-${\alpha}$ 보다는 IL-6의 작용에 의해 유발되며 NT-proBNP의 상승과 연관된다. 가와사끼병에서 $T_3$ 측정은 다른 열성 질환과의 감별진단에, 질병경과를 모니터하는데, 심근 손상의 초기 표식자로, 질병의 심한 정도를 예측하는데 이용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Purpose :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yroid hormone and serum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6) and N-terminal fragment of pro-brain natriuretic peptide (NT-proBNP) in patients with Kawasaki disease (KD). Methods : Serum levels of thyroid hormone, TNF-${\alpha}$, IL-6, and NT-proBNP were measured in 52 KD patients in the acute and subacute phase and 10 patients with acute febrile illness (control group). TNF-${\alpha}$ and IL-6 were determined by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ELISA). Echocardiography was performed to detect coronary artery lesions (CAL) in KD patients. Results : Low $T_3$ syndrome occurred in 63.5% of KD patients. $T_3$ in the acute phase of KD was lower than that in the control. In KD patients, $T_3$ was lowered in the acute phase and elevated in the subacute phase, whereas TNF-${\alpha}$, IL-6 and NT-proBNP were elevated in the acute phase and decreased in the subacute phase. NT-proBNP, and IL-6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low $T_3$ than in those with normal $T_3$. In addition, $T_3$ inversely correlated with IL-6 and NT-proBNP. Of the 4 patients with CAL, 3 had very low $T_3$. Compared with intravenous immunoglobulin (IVIG)-responsive patients, IVIG-resistant patients had lower $T_3$ and higher IL-6 and NT-proBNP. Conclusion : $T_3$ decreases in the acute phase of KD and normalizes in the subacute phase without thyroid hormone replacement. Low $T_3$ may be partially induced by IL-6 rather than TNF-${\alpha}$, and is strongly associated with high NT-proBNP. $T_3$ in KD may be used for the differential diagnosis, monitoring the activity of the disease, and predicting the severity of inflammation.

      • KCI등재

        1,250g 미만 미숙아의 호흡부전에서 흡입 일산화질소 치료의 효과

        최은진 ( Eun Jin Choi ),손진아 ( Jin A Sohn ),이은희 ( Eun Hee Lee ),이주영 ( Ju Young Lee ),이현주 ( Hyun Ju Lee ),최창원 ( Chang Won Choi ),김이경 ( Ee Kyung Kim ),김한석 ( Han Suk Kim ),김병일 ( Beyong Il Kim ),최중환 ( Jung Hw 대한주산의학회 2011 Perinatology Vol.22 No.1

        목적: 흡입 일산화질소 치료는 폐혈관 저항을 감소시키고 폐 환기 관류의 불균형을 호전시켜 산소화를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호흡부전으로 흡입 일산화질소 치료를 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흡입 일산화질소 치료에 대한 반응 및 반응 여부와 연관된 인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0년 6월까지 분당서울대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했던 출생 체중 1,250 g 미만의 미숙아중 저산소성 호흡부전으로 흡입 일산화질소 치료를 받은 환아 17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연구하였다. 흡입 일산화질소 치료 시작 후 24시간 전후로 FiO₂요구량의 20% 이상의 감소에 따라 반응군, 비반응군으로 분류하였다. 결과: 반응군 8명(47%), 비반응군 9명(53%)으로 구분되었고 평균 재태 주령은 반응군 25.4±1.6주, 비반응군 26.0±1.6 주, 평균 출생 체중은 반응군 701.9±190.1 g, 비반응군 816.1±241.6 g이였다. 흡입 일산화질소의 시작 시기를 보면 반응군이 비바응군에 비해 의미 있게 빨랐다(12±9일 vs. 35±25일, P=0.02). 흡입 일산화질소 치료를 하기 전에 FiO₂0.5이상에 노출되었던 기간은 반응군이 비반응군에 비해 의미 있게 짧았다(0.1±0.4일 vs. 12.6±16.3일, P=0.04). 흡입 일산화질소 치료의 호흡기적인 임상 경과를 살펴보면 반응군이 비반응군에 비해 총 기계 환기기의 기간이 짧았고(52±25일vs. 120±67일, P=0.03) 마지막 기관 발관의 월경 후 주령 및 출생 후 일자가 빨랐다(33.1±3.0주 vs. 45.4±9.5주, P=0.01; 55±25일 vs. 125±59일, P=0.01). 그리고 마지막 산소 투여의 월경 후 주령 및 출생 후 일자도 반응군이 비반응군에 비해 빨랐다(41.1±2.4주 vs. 49.0±4.5주, P=0.03; 109±28일 vs. 158±36일, P=0.03). 결론: 미숙아의 호흡부전시 흡입 일산화질소에 반응한 군은 치료를 조기에 시작하고 고농도 산소에 노출되는 기간이 짧았다. 반응군은 일산화질소 치료 우 비반응군보다 더 일찍 호흡기 이탈 및 산소 이탈이 가능하였다. 향후 흡입 일산화질소 치료 시기에 따른 효과 및 기관지폐 형성증, 뇌출혈 및 장기 신경발달 예후에 대한 많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Inhaled nitric oxide (iNO) therapy can decrease pulmonary vascular resistance and improve oxygenation through enhanced ventilation-perfusion matching. This study investigated therapeutic response and possible factors affecting the response to iNO in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failure. Methods: This is a retrospective study of 17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failure whose birth weight were 1,250 g or less and were treated with iNO, admitted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Bundang Hospital between January 2006 and June 2010. Infants were classified as responders if they presented a reduction of FiO2 of more than 20% during 24 hours from the beginning of the treatment, and as nonresponder if not. Results: Eight infants (47%) were classified as the responder group and nine infants (53%) as the non-responder group. Mean gestational age was 25.4±1.6 weeks in the responder group and 26.0±1.6 weeks in the non-responder group. Mean birth weight was 701.9±190.1 g in the responder group and 816.1±241.6 g in the non-responder group. In the responder group, infants received iNO at postnatal day 12±9, in the non-responder group, iNO at postnatal day 35±25 (P=0.02). The exposure duration to FiO2 ≥0.5 prior to iNO treatment was significantly shorter in responders than in non-responders (0.1±0.4 d vs. 12.6±16.3 d, P=0.04). The mechanical ventilation duration was shorter and the postmenstrual age and postnatal age at last extubation were earlier in responders than in non-responders (52±25 d vs. 120±67 d, P=0.03) (33.1±3.0 weeks vs. 45.4±9.5 weeks, P= 0.01; 55±25 d vs. 125±59 d, P=0.01). The postmenstrual age and postnatal age at last oxygen treatment were earlier in responders than in non-responders (41.1±2.4 weeks vs. 49.0±4.5 weeks, P=0.03; 109±28 d vs. 158±36 d, P=0.03). Conclusion: Responders during iNO treatment in preterm infants with respiratory failure had earlier postnatal age and shorter duration of the exposure to hyperoxia. The responder group resulted in good response with early iNO treatment, thus the weaning of mechanical ventilation and oxygen was earlier than the nonresponder group. Further studies on effects of beginning time of iNO treatment and long-term effects, especially bronchopulmonary dysplasia, intraventricular hemorrhage and neurodevelopmental outcome are necessary.

      • KCI등재

        임상 ; 식이부전으로 소장 조영술을 시행 받은 조산아 46례의 임상적 고찰

        손세형 ( Se Hyung Son ),김윤주 ( Yoon Joo Kim ),이주영 ( Ju Young Lee ),이은희 ( Eun Hee Lee ),손진아 ( Jin A Sohn ),김은선 ( Eun Sun Kim ),김이경 ( Ee Kyung Kim ),김한석 ( Han Suk Kim ),김병일 ( Beyong Il Kim ),최중환 ( Jung Hwan 대한주산의학회 2010 Perinatology Vol.21 No.2

        목적: 조산아에서 식이 진행이 잘 되지 않는 경우에 소장조영술 검사를 시행해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조산아에서 소장조영술의 안정성과 유효성 평가가 확립되어 있지 않다. 본 연구를 통해 소장조영술의 최근 경험을 조사하여 조산아에서 식이진행이 되지 않을 경우에 소장조영술 검사에 대해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2005년 1월부터 2008년 10월까지 서울대학교 병원 어린이병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하여 소장조영술을 시행한 46명의 조산아들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평균 재태기간과 평균출생체중은 각각 30(+1)±3(+5)주(24-36주), 1,435±623g (460-2,810g)이었다. 소장조영술을 시행한 평균 수태후 연령은 37(+2)±4(+2)주(중간값 36(+2)주, 27(+2)-45(+4)주)였고 이는 생후 46.8±27.3일(5-126일)에 시행되었다. 소장조영술 검사를 시행한 결과에서 기계적 장폐색이 없었던 경우는 29명(63%)이었고 이들 중 22명(47.8%)은 위장관 이행 시간이 연장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들은 결국 완전 장관 영양에 도달하였고 도달하는 데 걸린 시간은 평균 11.2일이었다(중간값 6일). 소장조영술을 시행한 신생아들을 출생체중에 따라 1.5kg 미만 군과 1.5kg 이상 군으로 분류하였을 때 각각 27명, 19명이었다. 1.5 kg 이상 군에서는 검사를 더 일찍 시행하였다(P=0.027). 1.5kg 미만 군에서는 27명 중 15명(55.6%)에서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거나 인큐베이터 내에서 치료 중으로 침상 옆에서 검사를 시행하였다. 1.5kg 미만 군에서는 신생아괴사성장염, 태변연관 장폐색 및 위장관 수술 과거력이 1.5kg 이상 군보다 유의하게 많았다(P=0.044). 소장조영술 시행 시 사용한 조영제는 바륨, 텔레브릭스, 가스트로그라핀이었고 조영제 사용 후 관련된 합병증으로 구토 및 조영제 정체가 있었으나 대부분 호전되었고 흡인이나 패혈증 등의 부작용은 없었다. 결론: 식이 부전이 있는 조산아에서 적극적인 소장조영술 검사는 식이부전의 원인을 밝히고 이를 해결하는 데에 도움이 되므로 식이를 진행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Objective: Small bowel series (SBS) may be a useful test in identifying the causes of feeding intolerance in preterm infants. Unfortunately, little is known about the safety and effectiveness of SBS in preterm infants. By scrutinizing our recent experiences in performing SBS in preterm infants, we aim to provide basic data concerning the use of SBS in preterm infants with feeding intolerance. Methods: Between January 2005 and October 2008, SBS was done in 46 preterm infants with feeding intolerance, who were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NICU)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children`s hospital. We conduct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these preterm infants. Results: The average gestational age and birth weight of the 46 infants were, 30(+1)±3(+5) weeks, 1,435±623 g, respectively. The mean postconceptional age when SBS was done, was 37(+2)±4(+2) weeks, 46.8±27.3days. SBS proved that 29 infants did not have mechanical obstructions and 22 of these infants had delayed bowel transit time. Eventually, 35 infants attained full feeding except those who underwent operation. SBS was done at their bedside in 15 out of 27 infants in the group less than 1.5kg. History of NEC, meconium related ileus, and gastrointestinal operation were more frequent in the group less than 1.5kg. The adverse effects of SBS in preterm infants included vomiting, delayed transit of the contrast media, all of which resolved in the end and there were no reports of aspiration or sepsis. Conclusion: Actively performing SBS test in preterm infants with feeding intolerance will promote feeding advancement by discovering the cause of feeding intolerance and subsequent management of the specific proble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