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과량의 인슐린 투여로 인한 인위성 저혈당증 1예

        김준우,안철우,남주영,김똘미,김영균,추적금,박종숙,박진아,조승현,김동연,김도연,윤수지,이경열,차봉수,김경래,임승길,이현철,허갑범 대한당뇨병학회 2002 임상당뇨병 Vol.3 No.2

        본 저자들은 인위적인 인슐린 투여로 인한 인간성 저혈당증 1예에서 보존적인 치료로 의식기능은 회복하였으나, 현저한 인지능력 저하를 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Factitious hypoglycemia is a covert attempt to lower the blood glucose concentration with insulin or a sulfonylurea agent. This attempt is mainly performed by the patients themselves. In a large series of diabetics who had overdosed on drug, less than 5% had used insulin for suicidal or homicidal purposes. Additionally, 4 of 204 hypoglycemic episodes were due to a suicide attempt with insulin. The onset of insulin action, its peak level, and duration, and the degree of hypoglycemia, are determined by insulin's pharmacokinetics. However, the final outcomes are not associated with the amount of insulin used. The complications related to insulin overdose are cerebral damage and hypokalemia. Other complications include, pulmonary edema attributed to congestive heart failure and hypertensive crisis, as well as respiratory insufficiency. We report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성장과정의 체중변화와 인슐린저항성 및 Adiponectin 농도와의 관계

        김철식,박진아,조민호,남주영,박종숙,김똘미,김대중,이관우,안철우,차봉수,임승길,이현철,김경래,허갑범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3 No.4

        연구배경: 본 연구는 성장과정에서의 체중변화가 인슐린저항성 및 그 강력한 결정인자로 알려진 혈청 adiponectin 농도와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를 연구하기 위해 태아시기의 영양상태를 반영하는 출생체중과 현재의 비만상태 그리고 체중의 변화와 인슐린저항성 및 혈청 adiponectin 농도와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방법: 2003년 4월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소재의 한 중학교에서 무작위로 선발된 165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출생체중에 따라 저출생 체중아군, 정상출생 체중아군, 그리고 과출생 체중아군으로 구분을 하여 신장, 체중, 허리둘레, 체지방을 측정하였고 인슐린저항성과 관계된 생화학검사를 시행하였다. 또한 현재 체중 및 성장과정 동안의 체중의 변화를 파악하여 각 군들간의 신체계측, 혈청 adiponectin 농도 및 인슐 린저항성과 관계된 여러 생화학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출생체중과 인슐린저항성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고, 현재 비만한 사람 및 출생 이후 성장과정에서 비만해진 사람에게서 인슐린저항성이 높게 나타났다. 혈청adiponectin 농도는 현재 체중과 음의 상관관계를 가지며, 출생 체중이 저체중이거나 성장과정에서 비만해지는 여자에게서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Background: Low birth weight is associated with insulin resistance and type 2 diabetes in adult. The fetal programming hypothesis has taught that insulin resistance and its associated metabolic disturbances result from poor gestational environment, for which low birth weight is a surrogate. We have investigated the relevance of birth weight, current weight and weight change to insulin resistance an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s in 165 contemporary Korean adolescents. Methods: A cohort of 165 boys and girls were measured birth weight and current anthropometric data (weight, height, body mass index, body fat component, waist circumference), blood pressure, lipid profile and insulin resistance an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s at age 12∼15 who have lived at Seoul in South Korea. We also investigated the relation of birth weight, current weight and weight change to insulin resistance an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s. Results: Although, statistically not significant insulin resistance was negative correlated with birth weight. Also, current obese group and Catch-up group had the high insulin resistance.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s was negative correlated with insulin resistance and low in current overweighted or Catch-up groups. In female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s was low in low birth weight group and Catch-up group. Conclusion: Low birth weight may predict the risk of the metabolic syndrome with low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and its progression over age, and this effect may be more pronounced in those who exhibited excess current weight or so-called catch-up growth. So, adequate gestational nutrition is necessary to prevent low birth weight and also childhood overnutrition should be avoided especially in those who had a low birth weight.

      • KCI우수등재
      • SCOPUSKCI등재

        간내담석에 동반된 이소성 폐흡충증 1 예

        김똘미(Dol Mi Kim),정준표(Jun Pyo Chung),박우일(Woo Il Park),박영년(Young Nyun Park),박승우(Seung Woo Park),이세준(Se Joon Lee),송시영(Si Young Song),이관식(Kwan Sik Lee),정재복(Jae Bock Chung),이상인(Sang In Lee),강진경(Jin Kyung Ka 대한소화기학회 2002 대한소화기학회지 Vol.39 No.2

        Paragonimiasis is essentially a pulmonary disorder, but many organs such as the brain, muscle, mesentery, genital tract, spinal cord, spleen, and liver may be involved. Cases of hepatic paragonimiasis presented with hepatic masses have rarely been reported in Korea. We experienced a case of hepatic paragonimiasis incidentally found after a hepatic resection for treatment of localized left intrahepatic stones in an asymptomatic 51-year-old female patient. We report this interesting case of hepatic paragonimiasis accompanied with intrahepatic bile duct stones with a review of literature. (Korean J Gastroenterol 2002;39:133-136)

      • KCI등재

        Glucomannan이 노인성 제2형 당뇨병 환자의 당질 및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김철식(Chul-Sik Kim),박종숙(Jong-Suk Park),남주영(Joo-Young Nam),남지선(Ji-Sun Nam),조민호(Min-Ho Cho),박진아(Jina Park),김똘미(Dol-Mi Kim),안철우(Chul-Woo Ahn),차봉수(Bong-Soo Cha),임승길(Sung-Kil Lim),김경래(Kyung-Rae Kim),이현철(Hyun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4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5 No.4

        연구배경: 본 연구자들은 소장에서 당분과 지방질의 흡수를 저해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glucomannan을 노인성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투여하여 혈당, 지질 및 인슐린저항성에 어떠한 영향이 있는지 조사하고자 하였다. 방법: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내분비내과에 내원한 혈청 총콜레스테롤 농도가 높은 당뇨병 환자 중 60세 이상의 76명을 대상으로 실험군 39명, 대조군 37명으로 나누어 실험군에게는 하루 glucomannan을 대조군에게는 placebo 약제를 총 8주간 투여하였다. 공복혈당과 식후 2시간 혈당은 치료 0, 4, 8주에 측정하였으며, 치료 0, 8주에는 당화혈색소 및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을 측정하였으며 혈청 인슐린, C-peptide를 측정하고 인슐린저항성을 파악하기 위해 HOMA score를 산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를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공복혈당은 glucomannan을 8주간 투여한 후에 유의한 감소를 나타내었으며 식후 2시간 혈당은 glucomannan을 투여한 후 4주부터 감소하였으며 8주째에도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2) 혈청 총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glucomannan 투여 후에 유의한 감소를 보였으나 고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3) glucomannan을 8주간 투여한 후 HbA₁c는 투여 전에 비하여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4) HOMA-IR 값은 glucomannan 투여 후에 감소하였으며, HOMA-β 값은 투여 8주에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5) glucomannan 투여가 간기능, 신장기능 및 전해질에는 특별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하여, 노인성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서 glucomannan은 혈당 및 지질대사 개선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glucomannan의 작용기전은 식후 고혈당 개선을 통한 인슐린저항성 감소 및 인슐린분비능의 개선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Glucomannan is known to be effective in reducing glucose and lipid absorption from small intestine. In this study, we tri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glucomannan and glucose, lipid profile, and insulin resistance in the elderly type 2 diabetes patients. Method: We have taken 76 type 2 diabetes patinets with hypercholesterolemia, aged over 60 years old, who have visited our endocrine clinic of Yonsei University of Medical College and categorized them into two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consisted of 39 subjects, received daily glucomannan, while the control group, which consisted of 37 patients, received daily placebo for 8 weeks. We have measured fasting glucose, 2hr post-prandial glucose at 0, 4, 8 weeks and HbA1C,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insulin, c-peptide levels at 0, 8 weeks, and calculated HOMA score in order to determine insulin resistance.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2hr postprandial glucose level was significantly reduced after taking glucomannan for 4 and 8 weeks, and fasting glucose level declined after taking glucomannan for 8 weeks. 2) Serum total cholesterol, triglyceride, LDL-cholesterol levels were significantly lowered after treatment. Serum HDL-cholesterol level had a tendency to increase in the experimental group,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HbA₁c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taking glucomannan for 8 weeks. 4) HOMA-IR was reduced at 8 weeks, and HOMA-β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at 8 weeks. 5) Glucomannan did not have adverse effects on CBC, liver function, renal function, and electrolyte levels. Conclusion: The above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glucomannan is effective in improving glucose and lipid metabolism in elderly type 2 diabetes patients. Glucomannan enhances insulin resistance by lowering postprandial gluocse level and stimulating insulin secretion.

      • KCI등재

        신체 계측 특성 및 식사습관에 따른 노인여성에서 당뇨병 및 공복혈당장애의 유병률

        김철식(Chul-Sik Kim),정은경(Eun-Kyong Jeong),박진아(Jina Park),조민호(Min Ho Cho),박종숙(Jong-Suk Park),남주영(Joo-Young Nam),김똘미(Dol-Mi Kim),안철우(Chul-Woo Ahn),차봉수(Bong-Soo Cha),임승길(Sung-Kil Lim),김경래(Kyung-Rae Kim),이현철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4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5 No.4

        연구배경: 본 연구는 국민건강 영양조사자료(1998)를 토대로 노인여성에서 당뇨병과 공복혈당장애의 유병률을 추정하고, 우리나라 국민들의 식사습관 및 과일섭취량을 조사함과 동시에, 식사습관 및 과일 등의 식품섭취량이 노인여성에서 당뇨병 및 공복혈당장애의 유병률과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실시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1998년 11월 1일에서 12월 30일까지 시행된 국민건강 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조사는 전국을 대표하는 12,189가구의 전체 가구원 39,331명 중 건강검진을 실시한 20세 이상의 인구 7,962명과 식품섭취조사를 실시한 11,267명 중 20세 이상의 인구 8,166명 중에서 여성인구 3,47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당뇨병과 공복혈당장애 유병률은 전체 자료에서 남․녀 모두에서 연령이 많을수록 높았고, 남성의 유병률이 여성보다 높았다. 공복혈당을 기준으로 분석한 당뇨병 유병률은 여성은 60~69세 군의 유병률이 15.92%로 가장 높았고, 남성은 50~59세 군에서 18.21%로 가장 높았으며, 공복혈당장애의 유병률은 여성은 70세 이상 군에서 19.87%로 가장 높았고, 남성은 60~69세 군에서 16.53%로 가장 높았다. 2) 식품섭취 및 식사습관과 당뇨병 및 공복혈당장애의 관계를 분석한 여성을 대상으로 다시 세부분석을 시행한 결과, 여성에서 당류섭취량이 증가하면 당뇨병의 위험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결과가 해석되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3) 공복혈당이 126 mg/dl 이상을 당뇨병 군으로 정의하였을 때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 중성지방, 고혈압이었으며, 공복혈당장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여성은 연령, 중성지방이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 단면적 연구설계의 제한점으로 식사습관의 당뇨병 및 공복혈당장애와의 통계적 유의성을 밝히지 못하였으나, 최근 들어 국내 노인여성에서 당뇨병 유병률의 증가와 함께 결식이나 과식을 하는 경향이 많고 과일의 섭취량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으므로, 전향적 코호트 연구에 기반하여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This study is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Korea (1998). By analyzing the data, we were able to predict the prevalence of diabetes mellitus (DM) and impaired fasting glucose (IFG) in elderly women in Korea, and by investigating their dietary habits and amount of fruit intake, we have tried to establish a relationship between those factors and the prevalence of DM and IFG in elderly women. Methods: The study is comprised of data collected from November 1 to December 30, 1998 in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Korea. Among 39,331 family members of 12,189 families across the country, 7962 persons aged over 20, who have undergone medical examination, were taken into the study. Also, from 11,267 subjects who have participated in our surveys on dietary habits, 3,472 females, aged over 20, were included in the study. Result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prevalence of DM and IFG correlated well with the age of subjects in both males and females, and the higher prevalence was observed in males. The prevalence of DM was highest in a group consisting of subjects aged between 60 and 69 years in females with 15.92%, and in a group aged between 50 and 59 years in males with 18.21%. 2) When the relationship between eating habits and DM or IFG in females was analyzed, an increased amount of glucose intake seemed to be in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risk of developing DM, but thi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3) When considering a fasting glucose level of 126 mg/dl or higher as the diagnostic point for DM, age, triglyceride, and hypertension had significant effects in the development DM, while age and triglyceride were risk factors for developing IFG in females. Conlusion: Although this study had not made to demonstrate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dietary habits and DM or IFG due to its limited study design, recently, there has been an increased prevalence of DM in elderly women in Korea along with the increased amount of glucose intake and overeating incidence. Therefore, an organized, anterograde cohort study will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to better understand their relationship.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한국의 제2형 당뇨병 및 비당뇨병성 비만 환자에서 체지방 분포와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와의 관계

        김철식,박진아,조민호,박종숙,남주영,김똘미,윤수지,안철우,차봉수,임승길,김경래,이현철 대한비만학회 2003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12 No.3

        연구배경: 제2형 당뇨병과 비만은 공통적 병인기전은로서 인슬린저항성이 매개되어 있으며, 지방세포에서 특이적으로 발현되고 만들어지는 아디포넥틴은 당대사 및 인슬린저항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비만한 사람 및 제2형 당뇨병 환자뿐만 아니라. 관상동맥질환 환자들에게서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치 감소를 관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제 2형 당뇨병을 동반한 비만증 환자와 단순 비만증 환자에서혈청 아디포넥틴의 농도와 내장지방 및 골격근내 지방 등의 연관성 및 인슐린 저항성의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방법: 체질량지수 25 kg/㎡ 이상의 비만한 제 2형 당뇨병환자 16명과, 체질량지수와 연령을 맞춘 단순 비만 환자 12명을 대조군으로 선정하여 성별 현재의 신체계측. 혈압 측정, 그리고 혈액 생화학 및 내분비검사를 시행하였고,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복부내장지방 전산화 단층촬영을 이용하여 복부지방면적, 복부피하지방면적, 정상밀도 골격근면적 및 저밀도 골격근면적을 구하였고, HOMA-IR 및 HOMA-β를 측정하였다. 또한,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와 신체계측, 임상적 특성 및 인슐린저항성과의 상관관차를 분석하였다. 결과: 단순 비만인과 당뇨병 비만인에서 연령, 신장.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허리둘레 및 혈압등은 차이가 없었으나, 당뇨 비만인에서 총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유리지방산의 농도가 의미있게 높았고, HDL-콜레스테롤의 농도는 낮았다 한편 복부피하지방 면적, 내장지방면적 및 내장지방면적/피하지방면적비 (VSR)는 단순 비만인에서 넓었으며, 반면에 대퇴부 저밀도근육면적은 당뇨병 비만인에게서 높았다 또한, HOMA-IR 수치는 양군간의 차이는 없었으나, C-peptide 값과 HOMA-β는 당뇨병 비만인에서 낮게 나타났고, 혈청 아디포넥틴 농도는 단순 비만인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아디포넥틴 농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차를 보이는 변수는 나이, 체중, 키,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 당화혈색소,HOMA-IR, 내장지방면적, 저밀도근육면적이었으며 다변량회귀분석 결과 아디포넥틴 농도와 상관관계가 높은 변수는 나이, 당화혈색소, HOMA-IR, 내장지방면적 및 저밀도근육면적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결과에서 동일한 인슐린 저항성에서 내장지방은 비만환자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저밀도근육은 당뇨병 환자에서 더 높은 것은 유전적 또는 환경적 측면에서 두 질환의 인슐린 저항성에 기여하는 인자 뿐 만 아니라. 아디포넥틴 등의 adipocytokine 농도의 차이를 시사한다. 이러한 adipocytokine과 인슐린저항성의 특징은 비만과 제 2형 당뇨병의 임상양상과 죽상경화증을 비롯한 합병증의 양상도 다소상이하게 표현되는데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Type 2 diabetes mellitus (T2DM) and obesity share a common pathogenesis involving an insulin resistance, and adiponectin, a factor specific to adipose tissue, plays an important role in a glucose metabolism and an insulin resistance. The adiponectin level is reduced not only in patients with obesity and T2DM, but also in patients with coronary artery disease. Th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characterize the insulin resistance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adiponectin level and visceral and skeletal muscle fat areas among obese, T2DM patients and non diabetic obese patients. Methods: The anthropmetric parameters, biochemical profiles,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s of 16 obese type 2 diabetic subjects (BMI 225 kg/㎡) and 12 obese non diabetic subjects were measured. And, abdominal adipose tissue areas and mid-thigh skeletal muscle areas were measured by computed tomography (CT). The HOMA-IR and HOMA-β scores were calculated to assess the insulin sensitivity and insulin secretory function. We analys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rum adiponectin level with body fat distribution, anthropometric parameters, biochemical profile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Results: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age, height, weight, BMI, body fat, waist circumference, and blood pressure between T2DM obesity group and non diabetic obesity group, where as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triglyceride and free fatty acid level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2DM obesity group. However, the abdominal subcutaneous fat area, visceral fat area, VSR were higher in non diabetic obesity group, while mid-thigh low density muscle areas were greater in T2DM group. Moreo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in HOMA-IR between the two groups, but C-peptide,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and HOMA-β were lower in T2DM obesity group. The age, weight, height, BMI, systolic blood pressure, HbA_(IC), HOMA- IR, visceral fat area, and low density muscle area were in negative correlations with the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Also, i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ge, HbA_(IC), HOMA-IR, visceral fat area and low density muscle area were found to correlate well with the serum adiponectin concentration.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s that in the setting of similar insulin resistance levels, the abdominal visceral fat area is significantly higher in non diabetic obesity group, and the low density muscle area is higher in diabetic obesity group. This implies that in addition to various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insulin resistance, adipocytokine concentration, such as adiponectinin, has a significant role in glucose metabolism and insulin resistance. Moreover,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aforementioned characteristics of insulin resistance and adipocytokines may lead to somewhat different clinical manifestations and complications such as atherosclerosis in the diabetic and obese pati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