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측면형 지정맥 인식기 설계 및 구현

        김경래,최홍락,김경석,Kim, Kyeong-Rae,Choi, Hong-Rak,Kim, Kyung-Seok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1 No.3

        As the information age enters, the use of biometrics using the body is gradually increasing because it is very important to accurately recognize and authenticate each individual's identity for information protection. Among them, finger vein authentication technology is receiving a lot of attention because it is difficult to forge and demodulate, so it has high security, high precision, and easy user acceptance. However, the accuracy may be degraded depending on the algorithm for identification or the surrounding light environment. In this paper, we designed and manufactured a side-type finger vein recognizer that is highly versatile among finger vein measuring devices, and authenticated using the deep learning model of DenseNet-201 for high accuracy and recognition rate. The performance of finger vein authentication technology according to the influence of the infrared light source used and the surrounding visible light was analyzed through simulation. The simulations used data from MMCBNU_6000 of Jeonbuk National University and finger vein images taken directly were used, and the performance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the EER. 정보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개개인의 신원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인증하는 것은 정보 보호를 위해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신체를 활용한 생체인식의 활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그중 지정맥 인증 기술은 위조 및 복조하기 어려워 보안성과 정밀도가 높고 사용자 수용성이 용이하여 사회적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러나 신원확인을 위한 알고리즘이나 주변의 빛의 환경에 따라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정맥 측정 장치 중 활용성이 좋은 측면형 지정맥 인식기를 직접 설계하고 제작하여 높은 정확도와 인식률을 위해 DenseNet-201의 딥러닝 모델을 활용하여 인증하였으며 사용하는 적외선 광원과 주변 가시광선의 영향에 따른 지정맥 인증 기술의 성능을 시뮬레이션을 통해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은 전북대의 MMCBNU_6000과 직접 촬영한 지정맥 영상을 사용하고 EER을 이용하여 성능을 비교 분석한다.

      • KCI등재

        『빳타나(Paṭṭhāna)』 연구를 위한 시론: 주석서의 내러티브와 인식과정이론(citta-vīthi)을 중심으로

        김경래(Kyung Rae Kim) 보조사상연구원 2019 보조사상 Vol.54 No.-

        『빳타나(Paṭṭhāna)』는 테라와다 전통 내에서 붓다의 깨달음이 담긴 최고의 논서로 여겨져 왔다. 그럼에도 장황한 서술과 복잡한 체계, 거듭되는 반복구들로 인해 이제껏 본격적인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했다. 이에 논자가 본 논문을 통해 살펴본 내용들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빠알리 주석서(Pāli-aṭṭhakathā)에서 발견되는 『빳타나』의 기원에 대한 내러티브들을 검토했다. 주석서들에 따르면, 붓다는 깨달음 직후 아비담마 칠론을 확립했는데, 다른 여섯 권의 논서들과 달리 『빳타나』를 떠올릴 때에는 자신의 몸에서 거대한 빛이 뿜어져 나왔다고 한다. 이러한 내러티브는 현대 동남아 국가들로 전해져 독특한 아비담마 신앙으로 정착되었고, 여타의 논서들과 달리 『빳타나』는 ‘위대한 논서(Mahāpakaraṇa)’로서 가장 강력한 종교적 힘을 지닌 텍스트로 숭배되고 있다. 둘째, 『빳타나』의 구조와 논의형태를 살펴보았다. 『빳타나』는 ‘빠짜야(paccaya, 緣)’라 불리는 24가지 조건들을 바탕으로 발생 가능한 모든 법들을 조합한다. 이 과정에서 다양한 아비담마의 논의범주들이 적용되고 있으며, 복잡한 수식을 통해 거대한 법체계를 그려내고 있다. 이러한 거대담론은 논서의 우수성을 증명해주는 반면, 텍스트의 가독성을 떨어뜨리는 결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하기도 한다. 셋째, 『빳타나』가 다루고 있는 다양한 주제들 중에서 인식과정이론(citta- vīthi)을 간략하게 검토한 후, 이를 『해탈도론(解脫道論)』의 해당 내용과 비교분석했다. 두 텍스트에서 발견되는 유사점과 차이점들은 『빳타나』의 제작시기를 재고할 수 있는 여지를 남긴다. 물론 이상의 논의들만으로 난해하고 방대한 논서의 전체모습을 파악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현재 접근 가능한 제한된 정보들을 바탕으로 『빳타나』 연구를 위한 시론을 마련함으로써 향후 이어질 관련연구들을 위한 기본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This article scrutinizes the seventh abhidhamma book, which is known as the Paṭṭhāna. The Theravāda tradition regards the seven books of abhidhamma as the supreme teaching of the Buddha. The Pāli commentaries especially describe the Paṭṭhāna as the greatest treatise (Mahāpakaraṇa). According to the commentaries, a tremendous light came from the Buddha into the world when he conceived the Paṭṭhāna after his awakening. This kind of narrative has consequently led to abhidhamma worship, especially the worship of the Paṭṭhāna by contemporary Southeast Asian Buddhists. The Paṭṭhāna has comprehensively codified the dhammas in several ways such as systematising the twenty-four conditions (paccaya) and creating the various doctrinal categories. Discussions that are found in the Paṭṭhāna can be expanded to an unlimited extent. This huge structure has not yet been fully examined by modern scholars. Employing technical terms for conditional relations, for example the proximity condition (anantarapaccaya), the Paṭṭhāna establishes a sophisticated discussion for the cognitive process (citta-vīthi). As this discussion is much more developed than that of the later Vimuttimagga, it implies that the origin of (some parts of) Paṭṭhāna might be later than that of Vimuttimagga.

      • KCI등재

        조선 공론정치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제안

        김경래(Kim, Kyung-Rae) 한국사학회 2012 史學硏究 Vol.- No.105

        현재 조선의 정치를 특징짓는 이념이자 실제로서 공론정치란 개념어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거기에는 연구자들의 현재적 관심이 강하게 투영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가령 국사학계는 식민사학 극복을 위한 노력의 연장선에서 조선 중기 이래 정치사회적 주체로 부상한 士林이 주도하는 정치였다는 점을, 사회과학계와 철학계는 현대 민주주의를 의식하며 숙의의 정치였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 글은 먼저 기존의 공론정치 연구에서 어떠한 오해와 문제가 발생했는지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그리고 그것을 해소하기 위한 일환으로, 공론정치의 핵심 요소인 공론 개념을 당대의 사유 체계인 성리학을 기반으로 새롭게 해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구체적 연구 대상은 조선시대 공론 개념에 대한 대표적 언급으로 평가되는 율곡 이이의 그것이다. 그의 공론 개념은 두 가지 차원에서 검토된다. 먼저, 일반적으로 공론과 유사하거나 동일한 것으로 인식되는 國是라는 개념과 비교한다. 양자 사이에는 공통점과 함께 차이점이 존재한다는 점을 밝히는데, 그 차이가 공론의 성격을 보다 명확히 드러낼 것이다. 다음으로, 공론 개념을 사람의 마음과 관련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성리학의 수양론은 사람의 내면적 마음의 상태를 중시하였으며, 그 핵심은 마음을 公의 상태로 만드는 것이었다. 이이의 언급으로 보건대, 공론에서 論의 수식어인 公의 의미 역시 이러한 마음의 상태를 표현한 것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상의 작업을 통해 궁극적으로 군주와 신료 간의 권력 관계, 정책 결정 과정에서의 소통 방식 등 조선의 공론정치를 새롭게 이해하는 기초가 놓이기를 기대한다. Politics of Gonglun(public opinion) is widely used as a typical concept of political doctrine and reality of Joseon. But, this also reflects enormous scholarly attention currently geared towards politics of Gonglun. In an attempt to overcome the remnant of colonial history, Korean historians highlights that politics of Gonglun was driven by the Sarim faction who dominated political and social spheres since the mid-Joseon dynasty, while social scientists and philosophers construe it as ‘politics of deliberation’ with consideration for modern democracy. Primarily, this study gives a critical review of misunderstanding and problem surrounding existing studies on politics of Gonglun. As part of troubleshooting actions, it then tries to shed new light on the concept of Gonglun(public opinion), the key concept of politics of Gonglun, from the neo-Confucian perspective which underpinned the thinking mechanism at that time. This study is specifically centered upon Yulgok Yi I’s conception of Gonglun which is regarded as a typical definition of Gonglun during the Joseon era. His conception is examined in two aspects. First, the study compares Gonglun with Guksi(the right of the state) which usually considered as either similar or same concept hereof. It clarifies their gap as well as commonness, and such gap offers a clearer characterization of Gonglun. Next, it examines the concept of Gonglun with regard to insim(the mind of the people). With emphasis on inner state of human mind, neo-Confucian self-cultivation focuses on the conversion of mind into the state of gong(public). By Yulgok Yi I’s definition, the meaning of gong, which qualifies lun in the context of Gonglun, should be also interpreted as an embodiment of such state of mind.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expects to lay the ultimate foundation for new understanding of politics of Gonglun in Joseon, including power relationship between monarch and subjects and communication method in the policy-making process.

      • KCI등재
      • KCI등재

        종교 내러티브(Narrative)에 나타난 citta-vīthi - 『解脫道論』의 ‘菴羅果내러티브’를 중심으로-

        김경래(Kim, Kyung Rae) 한국불교연구원 2017 불교연구 Vol.47 No.-

        논자는 본 논문을 통해 종교 내러티브에 담긴 아비담마 인식과정 이론을 분석했다. 내러티브는 주로 경전문학과 밀접한 관련을 맺어왔지만 경우에 따라 난해한 아비담마 이론을 해설하기 위해 사용되기도 했다. 실제로 CE 6세기 한역된 』해탈도론』과 CE 5세기 제작된 』앗타살리니(Atthasālinī)』에는 복잡한 테라와다 아비담마 인식과정 이론을 쉽고 흥미롭게 해석해주는 망고 내러티브가 등장한다. 테라와다 인식과정 이론은 최대 여덟 단계의 心法으로 구성된다. 즉, 인식대상이 감각기관과 접촉하여 인식과정이 시작되면, 비활동상태였던 바왕가가 전향한다. 그리고 인식대상에 상응하여 인식기관이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고, 뒤이어 수용, 조사, 결정, 속행, 등록이라는 일련의 인식단계를 거친 후, 다시 바왕가 상태로 복귀한다. 남방 아비담마 문헌에서만 발견되는 독특한 인식론은 테라와다 아비담마 전통의 고유한 세계관을 반영하고 있다. 』해탈도론』과 』앗타살리니』는 이러한 테라와다 인식론을 흥미로운 내러티브를 사용하여 설명해주고 있는데, 그 내용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성 안에 왕이 잠들어 있다. 그 때 어떤 자가 왕에게 망고를 선물하기 위해 성문을 두드린다. 그러자 성을 지키고 있던 문지기, 왕을 지키고 있던 대신, 왕 옆에서 대기하고 있던 시녀와 부인이 그 망고를 받아 왕에게 전한다. 왕은 그 망고를 먹고 다시 잠에 든다. 두 텍스트는 망고를 중심으로 성안에서 벌어지는 위와 같은상황들을 여덟 개의 인식단계에 적용시켜 설명한다. 』앗타살리니』는 』해탈도론』에 비해 발전된 형태의 아비담마 체계 를 확립했음에도, 이를 해설해주는 내러티브를 오히려 더 단순화시켜 거친 형태로 전개했다. 이는 』해탈도론』이 도입한 내러티브가 초래할 수 있는 존재론적인 오해를 경계하려는 의도였다. CE 5세기 주석가들의 이러한 노력은 향후 테라와다 아비담마의 고유한 특징으로 정착된다. This article scrutinises the abhidhamma technical term “bhavaṅga” in terms of a mango simile. The simile is found in two different abhidhamma texts, namely, the Jié tuō dào lùn or *Vimuttimagga (p.449b18-c08) and Atthasālnī (pp.279-280). The former text is considered to be a Chinese translation of the early Theravāda abhidhamma text. The latter is the Pāli commentary (Pāli-aṭṭhakathā) on the Dhammasaṅgaṇi, the first abhidhamma treatise. The mango similes found in the two texts are quite similar. Accordingly, a king is sleeping in his palace. His servants are attending to him. Meanwhile, a person comes to the palace to present his mangoes. The king’s servants take them and pass them on to the king. Having awoken and tasted them, the king then goes back to sleep. The two texts compare this simile to each step of the cognitive process “citta-vīthi”, the different steps being: the adverting (轉心, pañca-dvāra-āvajjana); seeing (見心, cakkhu-viññāṇa or dassana); receiving(所受心, sampaṭichana);investigating (分別心, santīraṇa); determining (令起心, votthapana); javana (速心); and, registration (彼事心,tad-ārammaṇa). However there are also differences between the similes in the two texts. The Atthasālini does not describe the term bhavaṅga with the mango simile. In fact, the later Pāli commentarial text became silent when describing the state of bhavaṅga. Meanwhile, the Jié tuō dào lùn stipulates that the situation of the sleeping king is the same as the state of bhavaṅga. These differences imply that the earlier text, Jié tuō dào lùn, could have brought up the ontological misunderstandings by defining the term bhavaṅga.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4차 산업혁명과 시민성

        김경래(Kim Kyung rae)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7 인문사회과학연구 Vol.57 No.-

        시대적 화두인 제4차 산업혁명은 물리학, 디지털, 생물학의 기술적 융합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기술적 융합은 사회 전반에 패러다임적 변화를 야기한다. 이러한 변화와 관련해 제4차 산업혁명에 대한 긍정적·부정적인 견해들 모두 민주주의의 강화를 역설하고 있다. 이는 무엇보다 제4차 산업혁명이 권력의 집중을 야기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논문은 민주주의의 강화를 위한 시민성 즉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시민성에 대해 살펴보고 있다. 사회 전반에 패러다임적 변화를 야기하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는 그에 맞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이러한 사고의 전환은 민주주의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시민성에도 유효하다. 민주주의 사회에서 시민들이 갖추어야 할 자질인 시민성에 대한 기존의 논의는 자유주의적 그리고 공화주의적 관점에서 제시되어 왔다. 시민성에 대한 사고의 전환과 관련해 본 논문은 공동체 안에서 시민 개개인의 자유를 위한 권리와 의무를 명확하게 제시하기 위해 신공화주의적 관점에서 권리와 의무에 대한 논의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있다. 자유주의적 관점에서 중요한 가치인 자유에 대한 사고의 전환과 관련해 본 논문은 자의적 권력의 부재에서 찾을 수 있다는 스키너(Skinner)의 주장에 근거해 정치적 성취를 위한 시민적 덕성으로부터 자유의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또한 공화주의적 관점에서 중요시 여기는 의무와 관련해 페팃(Pettit)의 비지배의 자유 개념에서 의무를 위한 법의 준수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곧 자의적 권력의 부재와 비지배의 자유를 바탕으로 한 시민성은 권력의 집중으로 인해 야기되는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민주주의의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 topic of the times, is characterized by the technological convergence of physics, digital and biology that is laying the foundation for a paradigm shift in society. Both positive and negative views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mphasize the strengthening of democracy. This is because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causing a concentration of power. Therefore, this paper examines citizenship for strengthening democracy, and citizenship needed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The paradigmatic changes to be expected from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require a shift of thinking to match them. This transformation of thinking is also valid for citizenship for the smooth functioning of democracy. With regard to the transformation of thinking about citizenship, this paper suggests the need to discuss rights and obligations from a neo-republican perspective in order to articulate the rights and obligations of individual citizens in the community. In relation to the transformation of thinking about freedom, which is an important value from a libertarian point of view, this paper has sought the meaning of freedom from civic virtue for political achievement based on Skinner s argument that it can be found in the absence of arbitrary power. We have also worked Pettit’s view of compliance with the duty of duty in the concept of freedom of non-domination in relation to the obligation of importance from a republican point of view. Such attempts are an important element of democracy need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ra caused by the concentration of power, based on the absence of arbitrary power and the freedom of non–domination.

      • 동독의 자본주의로의 체제 전환

        김경래(Kim, Kyung Rae) 국민대학교 한반도미래연구원 2019 한반도미래연구 Vol.3 No.1

        동유럽 사회주의 국가들과 달리 동독의 체제 전환은 서독으로의 편입을 통해 실질적으로 추진되었다. 이는 결국 서독의 주도하에 서독의 제도, 질서가 동독에 이식되는 방식의 체제 전환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체제 전환은 그 주체 그리고 방향성에 있어 동유럽의 사회주의 국가들과 차이점을 보인다. 이러한 차원에서 동독의 체제 전환은 1982년 집권한 보수정권의 기본정책인 공급경제학에 기반한 신자유주의 정책의 이식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정책은 구체적으로 신탁청에 역할에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소극적 경영정상화’, ‘신속한 사유화’로 대변되는 동독의 체제 전환은 결국 그렇지 않아도 낙후한 동독 기업의 경쟁력을 파괴하는 결과를 야기하였고 동독 지역이 자립적인 경쟁력을 갖춘 지역이 아닌 단순히 서독 기업의 생산지로 전락하는 결과로 연결되었다. Unlike Eastern European socialist countries, the transformations of East Germany was practically promoted through the incorporation into West Germany. This can be said to be the system change in which the system and order of West Germany are transplanted into East Germany under the leadership of West Germany. This transition of system differs from the socialist countries of Eastern Europe in its subject and direction. At this level, the conversion of the East German system is a transplant of neoliberal policies based on supply economics, which is the basic policy of the conservative regime that took power in 1982. These policies are specifically expressed in the role of the Trust agency(Treuhandanstalt). The transformation of East Germany, represented by ‘stimulated management normalization’ and ‘quick privatization’, eventually resulted in the destruction of the competitiveness of the underdeveloped East German companies, and the result was that the East German region was not merely a self-reliant competitive region but simply a production area for West German compan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