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외부감사인과의 비교를 통해 본 내부감시기구의 독립성

        이총희(Lee Chonghee) 한국비교사법학회 2020 비교사법 Vol.27 No.1

        신뢰할 수 있는 자본시장이 되기 위해서는 투명한 기업활동이 이루어져야 하며, 투명한 기업활동을 위해서는 내/외부의 감시기구들이 제 역할을 해야 한다. 삼성그룹의 재판으로 인해 준법감시제도에 대한 사회적인 관심이 커지고 있는데, 이는 그간 내부 감시기구들이 제 역할을 하지 못했다는 점을 보여주기도 한다. 이 글은 독립성의 관점에서 내부감시기구를 살펴보고 개선방안을 논의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내부감시기구는 감사제도를 기본으로 하여 자산 2조원 이상의 상장회사는 감사위원회, 자산 5000억원 이상의 상장회사는 준법감시인을 두도록 하고 있으며 자발적 선택으로 이러한 제도를 도입할 수도 있다. 또한 일정 재무적요건을 만족하는 경우 외부감사인에게 회계감사를 받도록 하여 회사의 회계처리를 감독하고 있다. 외부감사인은 회계부정이 발생할 때마다 자격요건이나 결격사유가 강화되어 왔으나 내부감시기구는 유명무실하다는 비판을 받으면서도, 그러한 비판 때문에 자격요건의 강화나 책임의 강화 등이 쉽게 추진되지 못했다. 따라서 이들 내부감시기구의 독립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우선 정신적 독립성을 상법에 선언적 조항으로 추가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기업만 법률의 준수를 고려하는 것이 아니라 내부감시기구도 스스로 독립성을 유지하는지 검토할 의무를 둔다. 두 번째로 내부감시기구의 결격사유를 현실에 맞게 수정할 필요가 있다. 세 번째로 이들의 선임과정에 대한 고민도 필요하다. 지배주주가 선임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는 이상 이들의 영향력에서 자유롭기가 어렵다. 마지막으로 내부감시기구를 제대로 갖추지 않을 경우 실질적인 불이익 조치가 있어야 한다. To become a reliable capital market, corporate activities must be transparent, and to ensure that the corporate activities retain a certain level of transparency, internal/external monitoring institutions and agents must do their part of the work. The recent trial of Samsung Group has created a growing social interest in the compliance system, which also shows that the internal monitoring systems have not been able to function properly. This paper examines the current internal monitoring institutions (systems) from the perspective of ‘independence’ and makes discussions on how to improve it. Korea’s internal monitoring system is based on an ‘audit system’ and requires listed companies with a total asset of above 2 trillion won to have an audit committee, and listed companies with a total asset of above 500 billion won to have a compliance officer, and the companies may introduce the system voluntarily. In addition, once the company satisfies certain financial requirements, the company shall make sure they receive an audit from a compliance officer to oversee the accounting status of the company. Stronger requirements and grounds for disqualification has been established for external auditors whenever an accounting fraud occurred, and due to that, internal monitoring institutions were often criticized for being nominal and ineffective. However, because of such criticism, it became difficult to establish stronger qualifications or responsibilities. Thus,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current system to ensure the independence of these internal monitors. First of all, it is highly necessary to add ‘independence in fact’ to the commercial law as a declarative article. Through this, not only the companies have to consider their compliance with the law, but also the internal monitors become obliged to examine whether they are maintaining independence. Second, the reasons for the disqualification of internal monitoring institutions need to be modified to fit the reality. Third, we must also reconsider the selection process of these internal monitors. It is incredibly difficult to secure a certain level of independence if the controlling shareholders think they have the right to appoint the internal monitors. Lastly, there should be substantial measures that cause significant disadvantages whenever a company fails to establish a properly operating internal monitoring system/institution.

      • KCI등재

        수학적 문제해결 과정에서 학생들의 기호 의미 이해와 표현에 대한 사례연구

        이종희(Lee, Chonghee),이경희(Lee, Kyeng Hee)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20 교과교육학연구 Vol.24 No.5

        본 연구에서는 기호를 중심으로 수학적 문제를 해결하는 학생들의 기호 의미 이해와 표현은 어떤 특성이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경기도 소재 M중학교 1학년 학생 2명을 대상으로 사례연구를 실시하였다. 학생들의 문제해결 과정에서 기호 의미와 표현의 특성을 해석화와 기호화의 과정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대상체를 선택하여 기호쓰기를 할 때 문제에 주어진 기호를 그대로 쓰지 않고 기호화하여 표현할 수 있었고, 대상체를 해석할 때 한 개 이상의 해석체와 표현체를 통해 다양한 해석화와 기호화에 의해 기호 의미와 표현을 연결시켜 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의 기호의 의미와 표현은 수학적 개념과 연결되고 논리적 추론에 의해 해석화 및 기호화를 할 때 성공적인 문제해결로 나타났고, 규약적 기호를 충분히 이해하지 못할 때 기호화에서 오류가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에서의 수학적 기호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veil if students that solve mathematical problems using signs shared specific traits by examining two first year students from Gyeongi Province M Middle School as participants of the case study. The study analyzed students’ understanding and representation of sign via interpretation, representamen, and symbolizing in the students’ problem-solving process. From the study, students were able to symbolize and express the signs when they chose an object and wrote signs, in which they utilized symbolization, intersect symbolic expressions and meanings by using variant interpretant and representamen when interpreting an object. The students’ understanding and representation about the meaning of signs interlinked with mathematical concept, and an error occurred in symbolizing when one did not fully understand the mathematical sign.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regard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math class were extracted.

      • KCI등재

        중학교 학생들의 수학적 모델링 과정 분석 : 사고 양식을 중심으로

        이종희,이아름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2 교과교육학연구 Vol.16 No.3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기본적인 수학적 지식과 기능의 습득, 수학적으로 사고하고 의사소통하는 능력의 배양, 사회나 자연의 현상과 문제를 수학적으로 고찰하고 합리적으로 해결하는 능력의 신장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사고 양식에 따라 중학교 학생들의 수학적 모델링 과정의 특징을 분석하고, 모델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수학적 사고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각적 양식의 학생은 모델링 단계에서 상황에 대한 정신적 표상(MRS)과 실제모델 단계를 교대로 풍부하게 사용하는 과정을 보여주었다. 반면, 분석적 양식의 학생은 수학적 모델 단계를 많이 활용하며 모델링 주기가 시각적 양식의 학생보다 복잡한 주기를 보여주었다. 둘째, 모델링 해결과정에서 비판적 사고는 조건을 선별하거나 수학적 모델에서 도출된 수학적 결과의 타당성을 논증할 때, 모델의 적합성을 판단할 때 사용되었다. 유추적 사고는 이전에 풀었던 문제 상황을 모델링 과정에 적용하거나 새로운 모델을 구성할 때 사용되었다. 그리고 모델링 해결에서 필요한 수학교과 외적지식을 탐색하는 과정에서 학생들은 귀납적 사고를 하였다. 또한 구해야 하는 값이나 자신의 모델의 타당성을 논증할 때는 연역적 사고를 사용함이 확인되었다. 모델링과제의 해결 과정에서 학생들의 사고 양식에 관계없이 연역, 유추, 귀납적 사고와 비판적 사고가 모두 사용되었다. The education curriculum that was updated 2011 aims at the acquisition of basic mathematical knowledge,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considered communication, and rational problem-solving ability with respect to society, natural situations, etc. Through mathematical modelling, students can become aware of the basic structure of situations around them, search through interesting topics,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mathematics, and reinforce rational thinking about the useful skills needed in their l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students' modelling processes and the roles of mathematical thinking step by step. The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a visual-thinking-style student used both mental representation of the situation and real model steps. On the other hand, an analytic-thinking-style student frequently used a mathematical model and demonstrated a more complicated way of solving a problem than a visual student. Second, critical thinking from the modelling process was used for filtering the conditions from real modelling step and reasoning of mathematical result from mathematical model. The students used inductive reasoning in the investigation and the extra-mathematical knowledge that is needed in the model solving process. They also used deductive thinking when they proved the validity of their models.

      • KCI등재

        자살예방 원조전문가의 클라이언트 자살경험에 따른 외상극복 방안에 관한 연구 : 실천현장별 차이를 중심으로

        이성규(Lee, Sungkyu),서청희(Seo, Chonghee),성혜연(Sung, Hyeyeon)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 2021 한국지역사회복지학 Vol.- No.77

        본 연구는 병원, 자살예방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에서 자살예방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여 각 실천현장별 자살예방 원조전문가의 클라이언트 자살경험에 따른 외상 및 외상극복 경험의 차이를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병원, 자살예방센터, 정신건강복지센터의 원조전문가로 구성된 3개의 초점집단면접을 각각 독립적으로 실시하였다. 초점집단면접 결과 ‘자살사건에 대한 대처경험’, ‘자살사건에 대한 외상극복 경험’, ‘자살예방 원조전문가의 외상극복 방안’이라는 3개의 주제에 대해 9개의 하위주제와 18개의 의미단위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자살예방 원조전문가의 자살시도자 개입과정에서 발생하는 외상을 극복하기 위한 사회복지 실천적,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Using focus group interview, this study explored differences in experience of trauma related to client’s suicide among social workers and nurses who work at hospitals, suicide prevention centers, and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Thre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independently conducted with helping professionals at hospitals, suicide prevention centers,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Study results were classified with three sub-themes, which are ‘coping experience regarding suicidal events’, ‘trauma overcoming experience regarding suicidal events’, ‘methods for overcoming trauma among helping professionals’, and 12 meaningful statements.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study discussed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for overcoming trauma of helping professionals in intervention process for suicide attempters.

      • KCI등재

        정신건강 원조전문가의 외상후 성장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이성규(Lee, Sungkyu),성혜연(Sung, Hyeyeon),서청희(Seo, Chonghee),박예진(Park, Yejin)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2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8 No.2

        본 연구는 정신건강 원조전문가의 외상후 성장을 주제로 한 국내외 연구동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2009년부터 2019년까지 출판된 연구논문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문헌선정을 위해 Campbell Collaboration이 제시한 PICOS 방법을 활용하여, 국내논문 7편과 국외논문 8편을 포함한 총 15편의 논문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는데, 그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직역을 분석한 결과 전체연구 중 53.3%가 단일직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였으며,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75.0%로 나타났다. 둘째, 연구방법에 있어 양적연구방법을 활용한 논문이 질적연구방법을 활용한 논문보다 더 많았다(86.7% vs. 13.3%). 셋째, 외상유형의 차이에 있어 국내논문의 경우 직접외상을 살펴본 연구가 71.4%인데 반해 국외논문은 87.5%가 대리외상과 이차외상에 대한 연구였다. 넷째, 국내연구는 외상의 범위가 클라이언트의 폭력 및 자살과 같은 외상사건이 주로 많았으나, 국외의 경우는 지진과 전쟁과 같은 광범위한 외상사건까지 포함하였다. 다섯째, 외상후 성장과 관련한 요인은 환경적 차원의 요인보다 개인적 차원의 요인들이 더 많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 원조전문가의 외상후 성장에 관한 후속연구의 방향성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review of studies on posttraumatic growth of mental health helping professionals through domestic and international journal articles and theses published in the period of 2009-2019. To select study sample, this study used the methods of PICOS suggested by Cochran Collaboration. The sample consisted of 15 literature (7 domestic and 8 international literatur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regarding a profession type of study sample, 53.5% of the sample was conducted in a single profession and 75.0% was conducted with social workers. Second, as for research methods, the proportion of quantitative studies was greater than that of qualitative studies (86.7% vs. 13.3%). Third, domestic studies focused on primary trauma (71.4%), while international studies focused on vicarious trauma and secondary trauma (87.5%). Fourth, the scope of trauma in domestic studies included client’s violence and suicide, while the scope of trauma in international studies was much broader by including an earthquake and a war. Fifth, the number of environmental factors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was greater than that of personal factors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implications for further studies on posttraumatic growth of mental health helping professionals.

      • KCI등재

        부모를 자살로 상실한 청소년의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서청희(Seo, Chonghee),이성규(Lee, Sungkyu)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9 한국청소년연구 Vol.3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를 자살로 상실한 청소년의 경험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연구 참여자의 고유한 경험을 중심으로 내러티브 탐구방법의 세 가지 차원, 즉 시간성, 관계성, 장소성을 활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중 · 고등학교 시기에 어머니 또는 아버지를 자살로 잃은 24세 미만으로, 현재 자살예방센터의 유가족 자조모임에 참여하고 있는 청소년 4명이었다. 4명의 연구 참여자 중 두 명은 어머니의 자살을 경험하였고, 다른 두 명은 아버지의 자살을 경험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의 자살과 관련한 연구 참여자의 경험은 시간의 흐름에 따라 4가지 범주로 분류되었는데, 즉 1) 부모가 자살로 사망하기 전, 2) 부모가 자살로 사망한 날, 3) 그날 이후 생존의 시간, 4) 지금의 삶 이야기로 구성되었다. 연구 참여자의 경험은 부모의 삶과 죽음에 의미를 부여하고, 자살의 이유를 이해하기 위한 노력을 지속하며, 슬픔과 외로움을 극복하기 위한 사회적 체계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회복하고 성장하는 과정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참여자가 표현한 개별적 경험을 토대로 부모를 자살로 상실한 청소년의 경험에 대한 깊은 의미를 살펴보았다는 점과 그들의 성장과정에서의 위기상황 및 위기극복과 관련한 지지체계를 이해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원조전문가들은 부모를 자살로 상실한 청소년의 2차적인 위기예방에 초점을 두고, 상실 대상과의 관계에 따른 애도과정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회적 지지체계 구축을 도모해야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xperiences of adolescents who experienced a parent’s suicide as a surviving family member. In order to do this, the present study utilized a narrative inquiry method, which uses three dimensions of temporality, sociality, and place based upon the study participants’ unique experience. The study participants consisted of four adolescents who were younger than 24 years old, who experienced a mother’ or father’s suicide in their middle-and high-school period, and are currently participating in a self-help group for surviving family members at a suicide prevention center. The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experience of study participants regarding a parent’s suicide can be composed of four categories of processes by time: 1) the time before a parent’s suicide, 2) the day of a parent’s suicide, 3) survival time after a parent’s suicide, and 4) current lif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revealed a deeper meaning to the experience of a parent’s suicide by using each participant’s own expressions based on their unique experience, and helped to understand crisis situations in the process of growth experience and supporting systems regarding the overcoming of cri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elping professionals should focus on prevention of secondary crisis amongst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a parent’ suicide, and help them recover and continue to grow by developing appropriate social support systems.

      • KCI등재

        자살예방 원조전문가의 외상후 성장 관련 요인에 관한 연구

        이성규(Sungkyu Lee),서청희(Chonghee Seo),성혜연(Hyeyeon Sung),박예진(Yejin Park) 연세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0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Vol.66 No.-

        본 연구는 자살예방 원조전문가의 외상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319명의 자살예방 원조전문가로서, 정신건강 영역에서 최소 3년 이상의 직무경력이 있는 사회복지사, 의사, 간호사, 심리사를 포함하였다. 자료는 자기보고식 온라인 설문을 통해 수집되었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외상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령은 외상후 성장과 정적인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의사에 비해 사회복지사와 간호사의 외상후 성장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도적 반추와 사회적 지지는 자살예방 원조전문가의 외상후 성장을 촉진시키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반해 볼 때, 자살예방원조전문가의 외상후 성장 증진을 위해서는 의도적 반추를 활성화시키기 위한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심리지원체계의 구축과 다양한 사회적 지지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정책관계자들은 자살예방 원조전문가의 외상후 성장 증진을 위해 각 기관의 특수성을 반영한 표준화된 프로토콜의 개발과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osttraumaitc growth of helping professionals in suicide prevention. Study sample consisted of 319 helping professionals who are social workers, doctors, nurses, and psychologists with at least 3 years of working experience in mental health setting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elf-report online survey and a multiple regression model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growth. Study results demonstrate that age was likely to increase a level of postraumatic growth, and social workers and nurses were more likely to have a higher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when compared to doctors. In addition, a higher level of deliberate rumination and social support tended to increase a level of posttraumatic growth among helping professionals in suicide prevention. Study findings suggest that the development of psychological support system is essential for facilitating deliberate rumination and a variety of support systems should be given to helping professionals in suicide prevention. Furthermore, policymakers should develop standardized protocols and educational programs to enhance posttraumatic growth of helping professionals by incorporating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agency.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