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이 선호하는 교사상에 관한 연구 : 울산광역시 초등학교 4.5.6학년을 중심으로

        황찬양 부산교육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1388019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what students expect of a classroom teacher's image. This will help the teacher. To achieve these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to be answered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aspects of teachers expect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area of teaching? 2. what are the aspects of teachers expect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area of coaching living? 3. what are the aspects of teachers expect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area of managing class? 4. what are the aspects of teachers expect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the area of individual traits? The study is a survey of the 550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4?5?6th grade that belong to Ulsan Metropolitan City. To practice this study, first of all, I investigated the roles, temperament, and the personal affairs through documents and pre-study, Cha Ryung A(1996) and Lee Hyun ju(2006). I calculated the frequency and percent of collected data, and did verification to verify the difference. The summary of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About the desirable aspects of teachers in the area of teaching; students wanted the teachers to teach them with various experiences on the spot. Students wanted the teacher to guide to solve the problems in cooperation with friends. Third, they preferred a teacher who gives little homework when it really needs. Students want teachers to give assignments during the study hours in the morning and lunch time. They want the teachers who inspire confidence in themselves by compliment , encouragement. About the desirable aspects of teachers in the area of guiding living; students hoped that teacher compliment them in front of friends when they do good things. They wanted the teacher to point children's faults individually. The most students didn't want the teachers to tell their faults to the parents. About the most important principle of guidance, students wanted teachers to take an interest in their hobbies so that they can promote talents. Students wanted teachers to give one more chance when they didn't keep the rules in class. About the desirable aspects of teachers in the area of managing class; students favored to utilize morning self-study time. Students chose teachers who permit the seat arrangement regarded student's inclination, and to give freedom of communal feeding, and who while conducting their work valued their opinions. They also wanted the circumstance that students would clean together with the teacher, and that a teacher would be helpful with their hobbies. About the desirable aspects of teachers in the area of individual traits; the students preferred 20's, teachers who usually use honorific expression but use normal speaking individually and with simple dress. They didn't matter whether the teacher was a male or a female. Students chose a soft-hearted teachers who concern about the teaching of etiquette and guide students to be friendly with the classmates, show no partiality and was fair, also with careful consideration. And suggestions based on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teaching practice ways, there was a difference in opinion between achievement, size of school and school rating. Therefore, teachers should consider these facts and teach the students. Also the students preferred field trips, group study, it shows that the students prefer physical activity rather than instruction-centered education. Therefore the teacher should prepare various teaching skills for the child-centered education. Teachers should offer students a wide variety of learning opportunities outside of the classroom through linking to a community and secure best resources. Second, In guiding lives ways, there was a difference in opinion between gender, achievement, degrees of parents, size of school and school rating. Therefore, teachers should consider these components and guide their lives. Also education training is needed to upgrade the quality of themselves about the guiding lives and counsel. Third, In managing class ways, there was a difference in opinion between gender, grade, achievement, degrees of parents, size of school and school rating. So teachers should consider these things to manage the class. Therefore the teacher should set roles and the purpose of the managing class considering each student's factors. Fourth, In individual traits ways, there was a difference in opinion between gender, grade, achievement, degrees of parents, size of school and school rating. So teachers should upgrade the quality of themselves and teaching skills. Fifth, this study was taken with qualitative questionnaire method, it is required to carry the following research by qualitative method such as interview.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선호하는 교사상은 어떠한가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지도면에서 초등학생이 선호하는 교사상은 어떠한가? 둘째, 생활지도면에서 초등학생이 선호하는 교사상은 어떠한가? 셋째, 학급경영면에서 초등학생이 선호하는 교사상은 어떠한가? 넷째, 초등학생이 선호하는 교사의 일반적 특성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울산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4·5·6학년 학생 550명이다. 측정도구는 초등학생이 선호하는 교사상을 알아보기 위한 설문지로서차령아(1996), 이현주(2006) 등의 연구에서 사용된 설문지를 참고로 하여 선행연구와 관련 문헌 등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처리는 SPSS 12.0 for Windows를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Frequency)을 통해 연구대상의 배경변인별 분포와 각 문항에 대한 응답을 파악하였으며, 배경변인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검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연구과정을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지도면에서 초등학생이 선호하는 교사상은 학습지도방법 면에서 실제로 경험하는 현장체험학습을 많이 하는 교사, 수업방법 면에서 모둠원과 협동하여 학습문제를 해결하도록 지도해주는 교사, 과제제시방법 면에서 꼭 필요한 경우만 과제를 내어주는 교사, 보충지도 면에서 아침자습·점심시간 등을 이용하여 공부하도록 하는 교사, 학력 향상에 대한 지도방법 면에서 칭찬과 격려를 통해 자신감을 길러주는 교사로 나타났으며, 학습지도면에서 초등학생들의 인식은 성적, 학교규모, 학교급지별로 차이를 보였다. 둘째, 생활지도면에서 초등학생이 선호하는 교사상은 선행지도방법 면에서 친구들 앞에서 칭찬해 주는 교사, 문제행동지도방법 면에서 개별적으로 조용히 불러서 타이르는 교사, 생활지도 면에서 소질과 적성에 맞는 특기를 신장할 수 있도록 지도해 주는 교사, 학급규칙에 대한 지도방법 면에서 한 번 더 기회를 주는 교사로 나타났으며, 생활지도면에서 초등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사는 성별, 성적, 부모학력, 학교 규모, 학교급지별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학급경영면에서 초등학생이 선호하는 교사상은 아침자습지도 면에서 스스로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해주는 교사, 일기쓰기지도 면에서 일기는 개인적인 일에 속하므로 상관하지 않는 교사, 자리 배치 방법 면에서 학생들이 희망하는 짝끼리 앉게 하는 교사, 급식 및 우유급식지도 면에서 자기 기호에 맞게 먹도록 하는 교사, 학급운영결정 방법 면에서 학생의 의견을 들어보고 그것에 따라 결정하는 교사, 환경 구성 면에서 학생들의 취미활동에 관련된 환경 구성을 하는 교사, 청소지도 면에서 학생과 같이 청소하는 교사로 나타났으며, 학급경영면에서 초등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사는 성별, 학년, 성적, 부모학력, 학교규모, 학교급지별로 차이를 보였다. 넷째, 초등학생이 선호하는 교사의 일반적 특성은 연령 면에서 20대의 교사, 교사의 언어사용 면에서 수업시간에만 높임말을 사용하고 그 외에는 보통말을 사용하는 교사, 용모 면에서 늘 단정하고 깔끔한 교사, 성별 면에서는 관계가 없으며, 성격 면에서 자상한 교사, 인성 교육 면에서 올바른 사람이 되도록 지도하는 교사, 학생을 대하는 태도 면에서 학생을 차별하지 않는 교사, 훌륭한 교사의 자질 면에서 학생을 이해하려고 하는 자세를 가진 교사로 나타났으며, 선호하는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은 성별, 학년, 성적, 부모학력, 학교규모, 학교급지별로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지도면에서 초등학생들의 인식은 성적, 학교규모, 학교급지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교사는 이러한 변인을 주의 깊게 고려하여 수업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초등학생들이 전통적인 교사 중심의 설명식 수업이 아니라 학생이 주체가 되어 적극적으로 활동하는 수업을 선호하고 있으므로 교사는 학생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여 활동할 수 있는 다양한 수업방법 등을 마련해야 하며, 지역사회와 연계하여 우수한 인적·물적자원을 확보하여 학생들에게 폭넓고 다양한 체험학습을 할 수 있는 기회도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생활지도면에서 초등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사는 성별, 성적, 부모학력, 학교규모, 학교급지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교사는 이러한 변인을 고려하여 생활지도를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학생 생활지도와 관련된 자질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담 및 생활지도의 실제에 관한 연수가 필요할 것이다. 셋째, 학급경영면에서 초등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사는 성별, 학년, 성적, 부모학력, 학교규모, 학교급지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교사는 다양한 학생들이 모인 학급에서 학생들 각각의 배경적 변인을 잘 고려하여 학급에 맞는 학급규칙 및 학급경영방침을 세워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선호하는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이 성별, 학년, 성적, 부모학력, 학교규모, 학교급지별로 차이가 있으므로 교사는 이를 고려하여 학생들을 지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 스스로 탁월한 교수능력을 기르고 자질을 향상시키는 데에 새로운 각오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다섯째, 본 연구는 질문지 방법의 조사 연구에 의한 것이므로 면담법과 같은 질적 방법에 의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

        홍현숙 전남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13880191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홍현숙 지도교수 이순자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효능감 및 학교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으며,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교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S시에 소재한 학교 5개의 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임의표집된 400명이었다. 측정도구는 본 연구에서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이동영(2000)의 「부모의 양육태도 검사」를 사용하였으며, 자기효능감 질문지는 신귀숙(2000)의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김미경(1999)이 재구성한 학교생활태도 척도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의 자료처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부모의 양육태도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자기효능감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교생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부모의 양육태도를 독립변인으로 하고 학교생활태도를 종속변인으로 하여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이 지각한 부의 양육 태도의 하위 요인 중 ‘성취-비성취’가 아동의 자기효능감 중 ‘지적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애-거부’가 아동의 자기효능감 중 ‘사회 정서적 영역’과 ‘신체적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모의 양육태도 하위요인 중 ‘자율-통제’가 아동의 자기효능감 중 ‘지적 영역’과 ‘사회 정서적 영역’과 ‘신체적 영역’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아동이 지각한 부의 양육태도의 하위 요인 중 ‘자율-통제’가 아동의 학교생활태도 중 ‘학교 적응도’와 ‘수업충실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취-비성취’가 아동의 ‘교사에 대한 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아동이 지각한 모의 양육태도의 하위 요인 중 ‘자율-통제’가 아동의 학교생활태도 중 ‘학교 적응도’와 ‘수업충실도’, ‘교사에 대한 평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부모의 수용적인 양육방식과, 사랑과 보호를 받고 자란 자녀들은 타인을 대하는데 있어 어색함이나 두려움 없이 자연스럽게 인간관계를 맺을 수 있기 때문에 교사나 교우관계가 원만히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학교수업에도 마찬가지로 허용적이고 안정된 생활 속에서 양육된 자녀는 주어진 상황에서 긍정적으로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수업에 대한 거부감이나 부담 없이 충실하게 잘 적응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학교현장에서 살펴보면 학교에 적응을 잘 하지 못하고 교우관계가 원만하지 못한 학생들을 볼 수 있는데 이런 초등학생의 대부분은 수업에도 충실하지 못하며 교사에 대한 평가 역시 긍정적이지 못한 경우가 많다.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교생활태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볼 때 가정에서 부모가 자녀를 양육하는 태도에 있어서 할 수 있다는 자신감에서 오는 성취를 북돋워주며 폐쇄적이기 보다는 개방적으로, 거부적인 태도가 아닌 친애적인, 통제 보다는 자율로 양육한다면 자녀가 즐겁고 원만한 학교생활태도를 보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가정에서 자녀에게 성취를 북돋우며 감정을 자유롭게 표현할 수 있도록 애정과 신뢰를 보여주고 자녀의 의견을 존중하고 자신의 행동에는 책임지며 자율적이고 주체적인 자신의 삶을 살도록 지도하는 양육태도의 조성이 필요하다.

      • 초등학교 관악합주를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 4.5.6학년 관악합주단원을 중심으로

        배영호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13880191

        초등학교 관악합주단 활동은 음악성의 계발, 음악 영재의 조기 발굴, 어린이들이 지닌 음악적 욕구의 충족 등과 같은 음악적 가치뿐만 아니라 단체 활동을 통해 자주성과 협동심을 배양하고 올바른 심성과 풍부한 정서 함양에 도움을 주는 등 사회적?교육적 가치도 지니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들어 초등학교 관악합주단이 활성화 되어 많은 학교에서 운영을 하고 있으나 초등학교 지도교사의 전문성 부족 및 체계적인 운영 프로그램의 부재로 인해 운영상의 어려움도 많은 것도 사실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관악합주단의 효율적 운영을 통한 관악합주단의 연주력 향상을 목표로 관악합주를 위한 여러 지도 방법을 모색해 보고, 방과후학교와 연계한 체계적인 관악합주단 운영 프로그램을 구안하고 적용하여 보았다. 먼저 문헌 분석을 통하여 기악합주활동의 교육적 의미를 살펴보았으며, 관악합주에 사용되는 악기, 관악합주 편성 이론, 관악합주에 대한 선행연구 등을 통하여 본 연구의 목적을 설정하고 다음과 같이 연구를 실시하였다. 초등학생의 수준에 맞게 연습의 효율성을 기하고 체계적인 운영 시스템의 확립을 위하여 위계가 있는 단계로 지도 방법을 설정하였는데 기초 연주 기능의 지도, 개인연습, 악기 파트별 연습, 그룹별 연습, 합주 연습 등 으로 설정하여 운영하였다. 각 단계는 순서대로 진행을 하는 것이 아니라 유기적으로 연결되 이루어져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연간 운영 프로그램을 포함한 관악합주단 운영 프로그램이 편성되어 이에 따라 운영되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방과후학교 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위에서 언급한 각 단계별 연습을 적절히 편성한 체계적인 운영 프로그램을 운영하였으며 자기표현의 기회 확대 및 학교 행사와의 연관성을 고려한 연간 운영 프로그램을 계획하여 연간 운영하였다. 이와 같은 관악합주단 운영 프로그램에 따른 초등학교 관악합주단의 운영은 관악합주단 중심으로 방과후학교의 강좌를 운영함으로써 악곡에 대한 표현력이 향상되어 관악합주단 전체의 연주력이 향상됨을 물론 방과후학교 강좌의 내실화도 기할 수 있었다. 또한, 기존의 관악합주단이 각종 경연대회나 연주회 위주의 연습에 중점이 되어 운영된 것과 달리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연간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관악합주단 활동의 다양화를 가져와 단원의 흥미와 내적동기를 유발하는 효과가 있었다. 이러한 흥미와 내적 동기는 다른 교과영역에도 확산이 되어 학업 증진 및 정서 함양에 도움이 되었다. 본 연구가 초등학교 관악합주단 운영의 활성화에 작은 디딤돌이 되길 바라며 이를 바탕으로 보다 더 체계적인 초등학교 관악합주단 운영 프로그램에 대한 활발한 연구가 있기를 기대한다. The activity of wind instrument bands in elementary school has a social and educational value in addition to a musical value because it not only develops the musical talent of the students, finds the talented people early, and fulfills the musical interests of the young children, but it also fosters their independent spirit and cooperation and helps them develop a healthy character with rich emotions. Because of this reason, many wind instrument bands in elementary school are activated and run by many schools, but due to the lack of professional knowledge of the instructors and the lack of systematic operation programs, many problems are occurring in the process of management.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seek many ways to instruct concerted performance using wind instruments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the wind instrument bands through efficient management and proposed and applied a systematic operation program for wind instrument bands as an after-class activity. First, through analysis of literatures, the study examined the educational meaning of the concerted musical performance, and through preliminary research on the instruments used and theories applied in wind instrument concerted musi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established and carried out as follows. The efficiency of practice was adjusted for the level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for firmly establishing a systematic operation system, the instruction method was set with the steps and ranks. They were the instruction of basic playing, individual practice, practice of instrument by part, group practice, concerted practice, etc. These steps should not be run in any order, but they must be connected organically. To do this, a wind-instrument band operation program, including an annually operating program, must be prepared and managed accordingly. Therefore, the existing education programs after class were utilized and the practice at each step mentioned above was incorporated into an efficient operation program and was operated annually by planning the annual operation program that considered the expansion of opportunities for self-expression and the connection with the school events. The management of wind instrument bands in elementary school according to this program improved the musical performance of the band by improving the players’ musical expression learned in after-class lectures and also contributed to the establishment of after-class lectures. Also, unlike the fact that previous wind-instrument bands had their practice focused on various concerts and events, a systematic and planned annual program was operated to diversify the activities of the wind-instrument bands and therefore to induce the members’ interest and internal motivation. This interest and internal motivation extended to other subjects and helped the students with studying and fostering their emotion. This study should be used for activating the operation of wind-instrument bands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a more active research will be conducted for a more systematic operation program for wind-instrument bands in elementary school.

      • 초등학생의 공동체의식과 학교적응과의 관계

        조성수 창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3880191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community consciousness with school adjustment of Korean elementary students. It is well received that community consciousness can be one of moral virtues in schooling.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s may be critical to more effective schooling. Therefore it is significant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hese two factors in elementary students. To achieve this aim more effectively, the following sub-questions were asked and inquired. (1) What kind of level is the community consciousness of the elementary students a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community consciousness according to the related variables such as their grade and residential area? (2) What kind of level is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elementary students and is there any difference in the school adjustment according to the related variables such as their grade and residential area? (3) What kind of relationship is there between th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e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tudents? The subjects were 316 graders of some elementary schools who have been sampled in K and J city at random. Originally the numbers of them were 320, but there remained 316 graders except the students who didn't answer even one question sincerely. The 316 subjects were consisted of 159 third graders and 157 sixth graders. And the 316 subjects, of 159 in urban area and 157 in rural area. The two research instruments were constructed in this study by the help of some professionals. The one is the questions for the community consciousness of the elementary students. The other, for the school adjustment of the elementary students. But these two instruments were included in the one questionnaire. Frequencies,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And F test,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were mainly applied to the statistical analyses. The findings of this thesis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ommunity consciousness level of the elementary students is a little high above the average(M=3.47). And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each level of third graders and students in rural area is more high than that of sixth graders and students in urban area. Second, the school adjustment level of the elementary students is some high above the average(M=3.69). And it i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that each level of third graders and students in rural area is more high than that of sixth graders and students in urban area. Third and last, there is statistically some strong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e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tudents. 학교는 아이들의 인격과 인격이 어우러져 생활하는 공동체이다. 공동체의식은 사회통합의 근간이며 그 사회가 존속하고 발전하는데 관건이 될 뿐만 아니라 그 사회의 질서유지와 그 구성원들의 안녕과 윤리의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때, 초등학생의 공동체의식은 학생들이 학교에서 적응하고 자신의 발전을 도모하는 주요 변인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공동체의식과 학교적응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조사 ?분석하여 초등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을 높이고 학교적응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은 어떠하며, 학생의 학년과 지역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둘째, 초등학생들의 학교적응은 어떠하며, 학생의 학년과 지역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생들의 공동체의식과 학교적응은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K도 도시지역인 J시와 읍면지역인 K시 소재 4개 초등학교 3학년 160명과 6학년 160명 합계 320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우남희 외(1988)의 연구에서 개발된 ‘공동체의식 검사지’에서 5개 영역 20문항, 양병한, 김기민(2003)의 설문지에서 4개영역 20문항, 합계 40문항을 조사 특성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제작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결과 분석을 위해 SPSS 통계처리 프로그램의 평균 및 표준편차, 상관분석 및 단계적 회귀분석을 이용하였으며 조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조사대상 초등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이 높은 편인 것으로 볼 수 있었고, 공동체의식의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친밀감 및 소속감이 가장 높았고, 자발적 의식 참여 및 의사표현과 자율성 및 공공의식은 보통에 비해서는 높은 편이었지만, 다른 하위영역에 비해서는 낮았다. 학생의 학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3학년이 6학년에 비해 공동체의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하위영역 중 조화와 단결, 일체감 및 상호영향의식, 자율성과 공공성의 영역에서 3학년의 공동체의식이 6학년에 비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거주 지역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도시지역에 비해 읍·면지역 학생의 공동체의식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유의한 차이는 아니었으며, 하위영역에서는 조화와 단결, 일체감 및 상호영향의식에서 읍면지역 학생의 공동체의식이 도시지역 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생들의 전체 학교적응 정도는 상당히 높게 나타나, 조사대상 초등학생들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학교적응의 하위영역을 살펴보면, 학습태도와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의 적응정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 수용정도도 높게 나타났지만 다른 영역에 비해서는 적응 정도가 떨어졌다. 학년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3학년이 6학년에 비해 학교적응 정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에서는 교사와의 관계, 교우관계, 학습태도, 학교생활 수용의 4개 영역 모두에서 3학년의 학교적응 정도가 6학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학생의 거주 지역에 따른 차이를 검증한 결과에서는 도시지역에 비해 읍 · 면지역 학생의 학교적응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하위영역에서는 교우관계에서의 적응 정도가 도시지역에 비해 읍면지역 학생의 적응 정도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생의 공동체의식과 학교적응 정도는 매우 강한 정적인 상관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체 의식의 하위영역과 학교 적응의 하위영역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도 모두 유의한 정적인 상관성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즉, 초등학생에게 있어 공동체의식은 학교적응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심리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일체감 및 상호영향의식, 자율성과 공공의식, 친밀성과 소속감, 조화와 단결의 4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동체의식의 하위영역 중 자발적 참여 및 의사표현은 학교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들 변인은 모두 학교적응에 정적인 영향을 미쳐 이들 영역에 대한 의식 정도가 높을수록 학교적응 정도가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교사들은 담임을 하고 있는 아동에게 학교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지켜야 할 기본예절과 질서의식을 가르치고, 공동체 속의 자신의 역할을 자각하여 생활 장면에서 실천할 수 있게 해야 한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들이 이러한 역할에 충실할 수 있도록 이에 대한 체계적인 정책적 조치와 교사 연수 등이 뒷받침되어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저학년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남은정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3880191

        초등학교 현장에서의 영재교육은 대부분 수학 및 과학과에 국한 되어 있다. 이는 다단계의 선발과정을 거친다고는 하나 수학, 과학 중심의 평가 후 성적이 우수한 학생을 위주로 선발하여 지도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논문은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에 근거하여 초등학교 저학년을 대상으로 미술영재를 판별한 후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연구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2학년 140명으로 하였고, 그 중 판별준거에 의해 선발된 15명에게 구안된 프로그램을 적용시켜 보았다. 가드너(Gardner)는 인간의 지능을 언어적 지능, 논리-수학적 지능, 공간적 지능, 신체운동감각적 지능, 음악적 지능, 대인간 지능, 개인내 지능, 자연주의적 지능, 실존 지능 등 9가지로 정의한다. 그 중 공간적 지능을 미술과 관련된 지능이라 하였다. 즉 시각적․공간적 세계를 정확하게 지각하는 능력과 그런 지각을 통해 형태를 바꾸는 능력이므로 이에는 색, 선, 모양, 형태, 공간과 이런 요소들 간에 존재하는 관계에 대한 감수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사물을 정확하게 지각하고 사물 사이의 관계를 확인하며 사물을 그림으로 나타내고 이미지를 조작하거나 심리적 형상을 생각해 내고 묘사하는 능력을 말한다. 즉 공간적 지능은 미술적 표현능력이라고 할 수 있다. 가드너에 의하면, 이들 지능은 서로 독립적이기 때문에 한 영역의 지능이 높다고 해서 다른 영역의 지능이 높을 것으로 예언하기 어렵다. 또한 어느 특정 지능의 우수성을 논할 수 없으며 서로 동등하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높은 IQ 점수를 받지 못한 사람이라도 아홉 영역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영역에서 뛰어난 능력을 보일 수 있으며 적절한 수준까지 개발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므로 언어, 논리-수학적 지능과 대등하게 공간적 지능도 중요하다고 본다. 본 연구자는 논리-수학적 지능이 우수한 어린이들인 수학, 과학 영재들이 영재교육을 받는 것과 마찬가지로 공간적 지능이 우수한 어린이는 미술영재 교육의 대상이 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공간적 지능이 뛰어나 미술 분야에 재능과 능력을 보이고, 훌륭한 성취를 보일 가능성을 가진 어린이들을 조기에 판별․발굴하여 그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적용시켜 지도하였다. 이를 통해 창의성과 미적 감각을 키우고 긍정적 자아 및 바른 인성을 함양하여 학교 교육이 추구하는 바람직한 인간육성을 실현함에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내용은 ① 다중지능과 미술영재교육에 관련된 선행 연구 분석 ② 다중지능과 이에 근거한 미술영재교육이론의 조사 ③ 미술영재 판별 프로그램 개발 및 학부모․학생 대상 설문지 작성 활용 ④ 초등학교에서의 미술 영재교육 운영 방안 모색 ⑤ 미술영재교육 지도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지도하였다. 초등학교 저학년을 중심으로 한 미술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① 미술 영재반 연간 운영 계획 수립 ② 미술표현 발달 단계 분석 ③ 초등학교 1․2학년 즐거운 생활 교과서 중 미술에 해당하는 조형적 활동 내용 분석 및 교수․학습 과정안을 구안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술영재의 특성인 인지능력, 창의성, 표현력, 동기 및 태도의 변화를 고려한 <평면표현 지도 프로그램>8개와 <입체표현 지도 프로그램>4개를 개발하여 지도하였다. 미술영재 어린이들에게 본 지도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지도한 결과, 첫째, 미술영재들이 시각을 매개로 한 사고과정을 거쳐, 미적 표현을 위한 문제 발견 및 탐구가 이루어지고, 시각적인 방법을 사용한 문제해결 능력이 향상되었다. 둘째, 자신의 생각을 미술활동을 통해 표현함에 있어 유창성이 함양되었고, 주제와 표현방법에서 자신만의 개성을 살린 독창적인 표현이 이루어졌다. 셋째, 조형의 요소와 원리를 이해하고 이를 사용해 형태 구성 및 표현하는 기능이 향상되었고, 발상과 표현을 구체화시켜 개선하고 보완하는 능력이 함양되었다. 넷째, 다양한 재료와 도구를 탐색하고 표현활동에 활용할 수 있게 되었고, 표현의도에 적합한 재료의 능동적 선택 및 자기 주도적 표현능력이 향상되었다. 다섯째, 미술 표현과 감상을 위해 관심과 주의를 기울여 집중하고, 주변의 사물에서 아름다움을 느낄 수 있으며, 이를 자신의 삶에서 향유하는 심미성과 바른 인성이 길러졌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미술 영재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으로는, 첫째, 미술교육과 미술영재교육의 필요성 인식을 위한 교사, 학부모, 관리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과 연수가 필요하다. 둘째, 초등학교에서의 미술교과전담제를 의무적으로 실시하여 전문 지도교사에 의한 일관성 있는 교육활동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미술 영재교육 활성화를 위해 미술영재판별 및 지도를 위한 미술영재교육 전문교사를 양성해야 할 것이다. 넷째, 단위 학교 및 교육청 단위의 미술영재 교육 후 확대된 집단과의 연계활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지속적인 활동을 독려함으로써 일관성 있는 미술영재교육이 정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 初等學校 學校社會事業 實施에 관한 硏究

        성수민 檀國大學校 行政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13880191

        아동은 성장과정에서 가정과 함께 학교생활이 갖는 의미가 매우 크다. 그 중에서도 아동기의 많은 시간들 특히, 가장 중요한 성장기의 대부분을 학교생활을 통해 보낸다. 그러나 이렇게 중요한 학교라는 기관이 학생 개개인의 성장 욕구를 충족시켜 줄 수 있는 사회화 기관으로서의 기능을 제대로 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우리의 교육현실이다. 학생 범죄도 양적인 증가뿐만 아니라 질적으로도 점점 폭력화, 조직화, 저 연령화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인성교육을 기초로 한 初等學校의 生活指導는 지금 많은 문제들을 안고 있으며 이는 시대에 맞고 학생들의 구체적 문제 해결에 맞는 인성교육에 대한 대안이 담긴 국가적 전략이 부재한데서 오는 결과로 인식하고 가장 필요한 부분임에도 가장 외진 곳으로 밀려나 있던 학교라는 사회복지의 장에 이제는 교육과 복지를 통합한 학교복지의 시각에서의 접근이 이루어져야 할 때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초등교사들의 근무부담의 원인을 통해 생활지도의 문제점을 알아보고, 학교사회사업의 현황과 초등교사 생활지도의 구체적 실태를 통해 초등학교학교사회사업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과 함께 初等敎師의 勤務負擔 경감과 효과적인 生活指導의 활용으로 初等學校 학교사회사업 실시 방안에 대해 모색해 보았다. 학교의 중요한 기능인 학습지도와 생활지도가 균형과 조화를 이룰 때 아동은 올바른 인간으로 성장 발달할 수 있으나 현재 학교교육 요건과 현실은 이러한 역할을 감당하고 있지 못하고 있다. 이는 수업부담, 잔무, 교사 1인당 학생 수의 많음, 전문보조인력의 부족 등으로 인해 학생들의 생활적인 측면과 가치관 및 개개인의 독특한 문제에 별다른 도움을 줄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아동이 건전하게 성장하도록 돕기 위해서는 초등학교에서부터 단계적으로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생활지도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 대안으로 학생들의 욕구에 즉각적으로 반응할 수 있는 학교의 개입체계가 확립되어야 한다. 문제 해결자 역할은 기존의 담임교사의 역할로는 한계가 있으므로 전문적인 지식과 기술을 갖고 있는 학교사회사업의 도입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며 문제가 발생된 이후인 중 고등학교의 사후대책적 접근보다는 문제의 발현기이자 잠재기인 초등학교부터의 예방적 접근을 위한 초등학교학교사회사업 조기 실시가 중요한 과제가 될 것이다. 또한 현재 지역사회복지관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初等學校의 學校社會事業은 나름대로 활성화 하되 학생문제의 원인이 되고 있는 다양한 체계들- 학생·가족·학교·교사·지역사회-에 대한 통합적인 개입을 위해서는 학교를 기반으로 하여 학교 내에 전문가가 배치되어 상주하면서 학생과 교사에게 지속적이고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학교중심의 學校社會事業의 제도화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For a child, the life in school, no less than in home, is very important during his/her growth period. For many hours in childhood, especially in growth period, he/she becomes to live in school. The educational reality in Korea, however, is that such a vital institute as school could not function as a social facility which may satisfy the desire to grow for each child. Not only has the juvenile delinquency been increased quantitatively, but it has become more violent and systematized and younger qualitatively, which shows the seriousness of our education. However, education for living in elementary school based on personality training is in peril, which is caused by the lack of national strategy that contains a vision for personality training fit for the age and solving problems of student. Now, it is time to make an approach to the school, one of fields of social welfare which has been isolated and distanced, with a point of view of school welfare that merges education and welfare. Present study tried to understand the problem of teaching for living through the examination on working load of children's teacher, the consciousness on necessity of elementary school social work through real condition of the work and practical cases of teaching for living by children's teacher. In addition, some resolutions to practice the elementary school social work are sought for by reducing working load of children's teacher and making effective use of teaching for living. A child may be grown and developed as an honest adult when both educations for learning and living, the critical functions of school, could be harmonious, but existing condition and reality of school education cannot afford the roles. It is because that, due to overload of teaching, odd business, over-student per one teacher and lack of professional supporter, school education can not be helpful enough for each child's life, character, and other private problem. To help a child's sound development, however, it is required to give him/her systemic and structural training for living step by step from his/her childhood. As for an alternative, an interruption system which could reply immediately on a child's need should be established.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a school social business with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ique since existing role of teacher in charge would come short of as a resolver of problem. Also, it is important to realize that earlier operation of school social business in elementary school in which a preventive approach could be possible for juvenile delinquency may be easier than post factum operation in middle or high school. Besides, present elementary school social work practiced focusing on Community Welfare Center must be activized in itself. However, to interrupt totally into a variety of systems including student, family, school, teacher and community, which came to be reasons on juvenile disturbance, a school social work with school-based model that may offer a contentious, professional service to both student and teacher should be systemized by deploying a professional within school.

      •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교육 역량 범주화 및 타당화

        노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388019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교육 역량을 범주화하고 타당화하는 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학교 교사가 실과교육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교육역량과 실과교육 관련 선행연구를 비교․분석․종합하여 역량을 범주화하고 역량 초안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역량에 대해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수정․보완한 후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교육 역량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역량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13명의 전문가 패널을 대상으로 2차에 걸쳐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의견일치도를 보인 영역은 전문가들의 의견에 따라 수정․보완되어 최종적으로 역량을 확정하였다. 확정된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교육 역량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가진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교육 역량은 최종적으로 실과교육 지식 역량군, 실과교육 수행 역량군, 실과교육 태도 역량군의 3개의 영역으로 범주화 되어 3개의 역량군과 18개의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역량군별 역량을 살펴보면 1. 실과교육 지식 역량군은 1-1. 실과 교육과정 지식, 1-2 실과교과 내용 지식, 1-3. 실과 수업 방법 및 평가 지식, 1-4. 실습활동의 절차 및 도구 이해 지식, 1-5. 학생 관련 지식으로 구성되었다. 2. 실과교육 수행 역량군은 2-1. 내용 통합 능력, 2-2. 수업 설계 능력, 2-3. 실과 수업 물리적 환경 조성 및 관리 능력, 2-4. 실과 수업에서의 상호작용 능력, 2-5. 노작활동 지도 능력, 2-6. 실과 수업 실행 능력, 2-7. 실과교육 평가 능력으로 구성되었다. 3. 실과교육 태도 역량군은 3-1. 실과교육에 대한 확고한 신념과 의지, 3-2. 노작 경험 지향성, 3-3. 동료 교사와의 협력 의지, 3-4. 지역사회 연계 태도, 3-5. 정보 수용 및 활용 성향, 3-6. 생활 속 실천가로서의 윤리적 태도로 구성되었다. 둘째, 제2차 델파이 조사 결과 역량군 및 각 역량별 타당성 정도가 평균 4.62 이상, 긍정율이 92.3% 이상, 중위수 5, 사분범위 4~5사이, CVR값이 0.85 이상, 합의도는 0.8 이상, 수렴도 0.25 이하로 전문가 패널들의 의견 일치도가 높게 나타나 역량에 대한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셋째, 교육의 질에 있어서 교사의 중요성을 인식하면서 교사의 자질, 능력, 전문성, 역량 등에 대한 논의는 계속되어 왔다. 초등학교에서 실과교육은 교육적 가치에도 불구하고 현실적인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에서는 교사의 역량이 교육의 성패에 중요한 가늠이 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도출된 초등학교 교사의 실과교육 역량은 실과수업이 가능한 초등학교 교사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역량을 규명함으로서 실과교육의 바람직한 실행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복합화초등학교 활용현황 분석과 복합화 개선방향 제안

        홍현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1388019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penness of co-used school facilities and the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in an effort to seek ways of boosting the co-use of school facilities. Among open elementary schools, five schools were selected, which scored high in the degree of opening school facilities to local residents. How the locals, teachers and students perceived the opening of school facilities was investigated, and then the development of community-mindedness and the features of co-used facilities were discussed. What internally and externally affected the opening of school facilities and community development was analyzed by looking into the location and physical characteristics of co-used school facilities, relevant programs, managerial characteristics and user stisfaction. Each case of the open elementary schools was analyzed to find out about the features of the arrangement and opening of school facilities, the physical condition and utilization of school facilities, the features of program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use of school faciliti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n terms of the characteristics of facility arrangement and opening, the school community facilities for locals were mostly located on the main streets bustling with passersby to improve accessibility and locals' awareness. However, all the schools, except Geumho Elementary School, were still as closed as other typical schools, since they were encircled by a high wall. As for entry into the community facilities, the facilities arranged in the form of a mass weren't intriguing enough to attract the locals. There were three different types of co-used facilities. One was having all the school and community facilities in the same buildings, and another was putting community facilities for locals in another building detached from the main school buildings. The third was linking the main school buildings and a separate building equipped with facilities for locals. Out of them, the best one seemed to be the third type that made it possible to have access to both of community facilities and extracurricular classrooms. As a matter of fact, the schools didn't open all the facilities to the public as intended Only P.E. facilities were open, and all the rooms for educational and cultural programs located in the buildings for teachers sweren't open. Both of the teachers and school managers investigated gave the same response about the actual use of the co-used facilities, which indicated that they consented to the co-use of school facilities ostensibly yet weren't quite willing to follow that policy in practice. As for the reason, the schools faced difficulties in running the community facilities for locals due to a lack of maintenance fund. There weren's enough personnels to manage the facilities, and the facilities were likely to be damaged and pose a threat to the safety of students. Moreover, it's not easy to clean and manage the facilities. Second, as for the physical state and utilization of the community facilities, how the facilities were used by users was checked in consideration of location, and the community facilities were found to be used a lot by people from other school districts as well as locals. A lack of adjacent facilities available was cited as the most common reason for people from other school districts to capitalize on the community facilities, and the second most dominant reason was related to cost, followed by traffic convenience. The fourth most common reason was that the community facilities were not far away from their work places. Their use of the community facilities had nothing to do with other adjoining faacilities. Actually, the project became more inefficient because adjacent secondary schools also planned to open their facilities, and because programs provided by the elementary schools were similar to what's offered by other institutions. Concerning internal accessibility, there were largely three different types. One was having students and locals use the same hallways, and another was installing separate passages. The third was connecting separate hallways, and which one was adopted seemed to depend on whether a new building was constructed or whether the existing buildings were rebuilt. In fact, however, the connecting passages were blocked to prevent contact between locals and students, which had an adverse impact on the project. The users seemed not to be quite satisfied with the facilities for locals. Although they spent a mean of one to three hours a day using the facilities, there were few resting spaces, and there were few plans to take advantage of external spaces, either. As to hygiene and ventilation, it's not possible to open or close the windows in the rooms, and in regard to fire fighting and evacuation, the facilities that weren't directly linked up to the ground weren't considered satisfactory. Third, concerning the characteristic of programs and users, most of the programs were related to physical education, and there was little connection between them and school educational programs since they were conducted by other institutions, not by the schools. The users mainly consisted of adults, children or young children, and there wasn't appropriate concern for disadvantaged people such as the elderly or the disabled It implied that the project wasn't far-reaching enough to address the needs of every local. Besides, the programs weren't region- specific enough to make themselves differentiated from what's offered by other fitness clubs or cultural centers. The community-mindedness of the users was examined by asking three defferent questions: how much they found themselves to belong to the local community, what sorts of ties there were between each of them and the local community and whether they intended to take the lead in it, And the users found themselves to belong to the local community, but didn't give an affirmative response toward the last two questions. It indicated that the schools didn't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having them community-minded. Thus, the project for the co-use of school facilities might have been effective economically by capitalizing on school sites from different purposes, but failed to dynamize the local community, which was another goal of the project. There are some suggestions about how to turn around the situation: In terms of construction planning. a building for locals should be separated from buildings for teachers, but the accessibility between the two should be guaranteed. That should be located in view of passersby, and user accessibility could be enhanced by installing a pilotis or constructing the building along the street. There should be a main entrance for both of students and locals, and a square should be installed at the entrance as a place for exchange between them. Beside, outdoor spaces that are connected to the facilities should additionally be provided. In internal spatial planning, separate passages should be offered to students and locals. Among extracurricular classrooms, language laboratories should be adjacent to the facilities for locals. The facilities for locals should be built after drawing up a variable open plan instead of partitioning the spaces just according to function, and resting rooms should definitely be included. Moreover, plenty of separate spaces for self-governing activities and other purposes should be offered as well, and locals should be allowed to be involved in facility planning and program selection instead of applying specific uniform standards. To improve the administration and finance of open elementary schools, more financial resources should be secured by luring private capital and seeking cooperation from local governments. The facilities for locals should be managed by experts, and who shall run the facilities should carefully be determined. There should be a department to take the whole responsibility for the co-use of the facilities, and teachers should see the project as contributing to enlarging school function. Finally, the best operating system should be produced to ensure the safety of students and users, and a wide variety of programs should be offered. 본 연구는 초등학교 시설을 이용한 복합화의 시설개방성과 지역커뮤니티 활성화 현황을 점검해 보고, 진정한 학교시설의 복합화를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화가 실시된 초등학교 중에서 지역주민을 위한 개방의 정도를 수치가 높은 학교를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복합화 시행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지역주민, 교사와 학생을 상대로 학교시설 개방에 관한 인식과 이를 통한 공동체 의식의 형성, 복합화 시설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시설의 특성에 있어서는 입지와 물리적 특성, 프로그램, 관리?운영의 특성, 이용자의 만족도 등을 중심으로 실제 시설의 개방성과 커뮤니티 활성화에 영향을 끼치는 내부적? 외부적 요인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복합화 초등학교의 주요 주제별로 각각의 사례와 분석항목을 정하여 조사?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배치와 개방특성에 있어서, 높은 담장으로 인해 진입단계부터 기존의 학교가 가지고 있던 폐쇄성을 나타냈으며, 커뮤니티 시설로의 진입에 있어서도 하나의 커다란 매스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지역주민의 흥미와 자연스러운 진입을 유도하지 못하고 있었다. 실제 개방면에 있어서는, 초기 대외적인 홍보와는 달리 체육 시설을 제외하고, 교사동 내에 위치하는 교육관련과 문화관련의 모든 프로그램실은 개방하고 있지 않았다. 이는 교사와 관리자의 설문에서도 같은 결과로써, 대외적으로는 복합화취지에 대해 찬성하고 있지만, 실제적 관리?운영의 입장에서는 소극적이었다. 둘째, 물리적 현황과 활용면에서, 입지에 따른 이용자의 분포를 살펴본 결과, 복합화 시설의 실제 이용은 해당 학구의 지역주민외에 타 학구의 지역주민의 이용이 많이 나타나고 있었다. 그 이유는 주변의 이용할 만한 시설의 부재, 비용의 문제, 교통편, 직장과 가까운 거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설활용 측면에서는, 대체로 만족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지역주민이 하루에 이용하는 시간이 평균적으로 1?3시간동안 이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휴게공간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았으며, 외부공간에 대한 특별한 계획도 찾아보기 힘들다. 또한, 위생?환기면에서는 주민프로그램실의 창문개폐가 불가능하였으며, 역시 소방?대피면에서도 지상층으로 직접 연결되어 있지 않은 사례들은 만족도가 낮았다. 셋째, 프로그램 특성과 이용 특성에서,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체육관련 프로그램에 치우쳐 있으며, 학교와 별개로 위탁 관리?운영되고 있기 때문에 큰 연계성을 찾아보기 힘들다. 이용대상자에 있어서도 주로 일반인과 어린이?유아 대상으로, 노인이나 장애인과 같은 사회적?경제적 약자층에 대한 배려가 필요하다. 이는 모든 지역주민을 아우르는 커뮤니티가 완성되기에 부족함을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역적인 특성을 드러내기보다 일반적인 특성들로 일률적인 방법과 프로그램으로 어디까지나 일반적인 체육문화센터와 크게 다를 것이 없다. 이용자의 커뮤니티 의식에 있어서는, 지역사회안의 소속감, 지역사회와 연대의식, 지역사회를 위한 주체성을 구성항목으로 보았다. 이에 대한 설문 결과는 소속감만을 느끼고 뿐, 연대의식과 주체성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지금까지 학교를 이용한 지역주민의 커뮤니티는 크게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이와 같이, 초등학교 시설을 이용한 복합화는 토지의 입체적 활용이라는 경제적 효율성을 달성하였을지는 모르나, 지역공동체 활성화의 목적은 달성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다. 건축계획면에서, 주민편익시설은 학교용지를 활용하되 교사동과는 별동으로 계획하여 연결하고, 주민이 진입도로에서 쉽게 인식할 수 있는 적절한 상징성을 두며, 진입을 유도하기 위해 필로티를 설치하거나 보행위주의 가로로 계획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또한, 학생과 주민 모두 명확한 하나의 주출입구를 통하여 진입하도록 하고, 학생과 지역주민의 교류의 장으로 사용될 수 있는 진입광장과 내부공간이 연장된 외부공간 계획이 필요하다. 내부공간계획에서는 학생과 지역주민의 동선을 명확히 분리하고, 특별교실 중 시청각실.도서실은 주민편익시설과 인접하여 계획한다. 또한, 주민편익시설은 기능별 구획보다 가능한 한 가변성을 고려한 오픈 플랜으로 계획하고, 휴식.담화를 위한 주민교류공간을 반드시 계획하며, 자치활동을 위한 기능공간과 자율이용 집회실을 충분히 계획한다. 이때, 일정 시설계획규준을 적용하지 말고, 시설 계획시 주민을 참여시켜 시설 프로그램을 설정한다. 복합화 초등학교의 행정·재정개선방향에 있어서는, 민간자본 유치, 지방자치단체 협력 등을 통한 투자재원 확대가 필요하고, 전문성 있는 관리, 운영주체를 선정하여 운영해야한다. 또한, 복합화 시설 총괄 담당 부서 마련해야 한다. 운영·관리에 있어서는 학교기능의 확대에 대한 교직원의 긍정적 인식이 필요하며, 안전을 위한 운영 체계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운영해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인성교육 실천사례(2005-2007)를 중심으로 본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특성 : 인성교육 실천사례를 중심으로 본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특성

        이강하 창원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13880191

        본 연구는 2005, 2006, 2007 전국 인성교육 실천사례 연구발표 대회를 중심으로 초등학교 인성교육의 특성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전국 인성교육 실천사례들에 적용된 학년, 관련 교과목은 무엇인가? 전국 인성교육 실천사례들의 실천 주제는 제 7차 도덕과 교육과정을 반영하고 있는가? 인성교육 실천사례들의 실천요소에 대한 지도유형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주관하여 각 시.도교육청에서 실시한 평생교육 실천사례연구 발표에서 전국단위에서 입상한 2005, 2006, 2007 인성교육실천사례를 대상으로 비교 분석 하였다. 연구에서 알아 본 초등학교 인성교육 실천사례에서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실천사례에서의 인성교육의 대상은 학년별 차이가 없었다. 인성교육 실천사례에서는 구체적인 체험과 실천, 반복적, 지속적인 인성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저학년의 발달특징에 감안하여 보면 고학년 보다는 저학년에서의 기본생활습관, 가치관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인성교육이 더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둘째, 인성교육 관련 교과목은 ‘도덕’이라는 교과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특정 교과가 아닌 교과 통합중심 지도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증가하고 있다. 초등학교의 교사는 교과 전담이 아니라 담임 제에 의하여 통합하여 다른 교과를 가르치고 있으며 초등학교에서의 인성지도는 특정교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 교과의 지도를 통해서 이루어지며 인성지도의 근거가 될 수 있는 교과는 어느 특정한 교과가 아니라 전 교과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내고 있다. 셋째, 실천 사례의 주제에 대한 실천은 제 7차 교육과정이 운영되고 있는 시점에서도 생활영역 중심이 아닌 가치관계의 확장의 측면에서 나 - 친구 - 가족 중심으로 지도 되어 지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또,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 생명존중, 환경사랑에 대한 관심과 지도가 증가하고 있다. 즉 인성교육 실천사례에서의 주제는 제7차 도덕과 교육과정의 내용을 반영하기 보다는 나를 중심으로 한 가치관계 확대을 통한 지도를 하고 있다. 또 생명존중, 환경사랑 영역이 2007 개정 도덕과 교육과정에 ‘자연 초원적인 존재와의 영역에 처음 등장한다는 사실과 2007 개정 교육과정 이전부터 현장에서는 인성교육의 영역으로 지도 되어 지고 있었다는 사실은 주제의 범위를 확장하여 지도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넷째, 실천 요소에 대한 지도 유형은 초등학교에서는 정의적 특성을 지닌 지도를 통해 행동의 변화를 요구하고 나를 이해하고 친구 관계를 원만히 하며 나와 가족과의 관계를 개선하여 원만한 공동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하고 있다. 자아 존중감, 자기이해와 함께 대인관계를 원만히 유지하게 하기 위해 정의적, 정의적+행동적 영역의 요소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실천요소들의 평가는 교사의 주관적인 평가로서 매우 긍정적이고 호의적으로 판단하고 평가한다는 점에서 객관적인 평가 결과라고 보기에는 한계가 있어 보인다. 의미 있게 평가할 수 있는 프로그램개발이나 교사들의 연수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