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과 감성지능 및 학교 생활 적응간의 관계

        안혜영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13880191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 정도가 어느 정도인지 알아보고, 인터넷 게임 중독 정도에 따라 감성지능의 하위영역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 또한 인터넷 게임 중독 정도에 따라 학교생활 적응 요인간에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인터넷 게임 중독 여부를 가리기 위해 사용한 인터넷 게임 중독 검사는 미국의 Young(1996)이 만든 검사로 김현수(2000)가 번안한 것을 게임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감성지능 진단 검사는 문용린(1997)이 개발한 검사지 중에서 초등학교 고학년용을 사용하였다. 학교 생활 적응 정도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로 민병수(1991)가 제작하고 민병수(1991), 이훈진(1999)이 사용한 학교 생활 적응 척도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하여 서울의 동부, 강남, 성북, 동작 교육청 소속 4개 초등학교 6학년 15학급의 487명(남학생248명, 여학생239명)을 1차 대상으로 인터넷 게임 중독검사를 실시하였다. 인터넷 게임 중독 진단 결과 연구 대상자 487명 중 15.40%인 75명을 인터넷 게임 중독집단으로 분류하였는데, 남학생(61명)이 여학생(14명)의 4.35배이다. 이 중 8명(1.6%)은 80점 이상으로 인터넷 중독 예방을 위한 상담과 교육적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인터넷 게임 중독 정도에 따른 감성지능을 비교한 결과 비중독 집단이 중독 집단보다 감성 지능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성 지능의 하위요인들과 중독점수와의 상관관계에서도 정서활용, 정서조절, 감정이입, 정서표현, 정서인식 요인의 순으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인터넷 게임 중독에 따른 학교 생활 적응과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인터넷 게임 중독에 따라 중독, 비중독 두 집단으로 나누어 학교 생활 적응 요인 및 하위 요인을 t-test를 한 결과는 중독 집단의 생활 적응은 비중독 집단의 생활 적응보다 낮다. 학교 생활 적응의 하위요인들과 인터넷 게임 중독점수와의 상관관계에서도 학습활동, 규칙관계, 교우관계, 학교관계, 담임관계의 요인 순으로 부적 상관관계가 있다. 즉 인터넷 중독이 심화될수록 학습활동, 규칙관계, 교우관계, 학교관계, 담임관계 요인은 부적응이 높다는 것이다. 셋째, 감성지능의 하위척도 중에서 인터넷 게임 중독을 가장 잘 예언하는 하위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정서활용"요인과, "정서조절"요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학교생활 적응 하위척도 중에서 인터넷 게임 중독을 가장 잘 예언하는 하위요인을 알아보기 위해 회귀분석한 결과 "학습활동" 요인과 "담임관계"요인이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다섯째, 인터넷 게임 중독 유형과 감성지능 요인 유형별 학교 생활 적응과의 관계에서는 Scheffe 검증 결과 비중독 집단의 높은 감성지능형은 다른 세 집단보다 학교 생활에 더 잘 적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서울의 4개 초등학교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위의 결과를 모든 초등학생들에게 일반화시키기에는 어려울 수도 있다. 인터넷 게임의 과다한 사용의 결과 감성지능이 낮아진 것인지, 감성지능이 낮은 아동이 인터넷 게임 중독이 많이 되는지에 대한 심화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인터넷 게임 중독이어서 학교생활 적응이 낮아진 것인지, 학교생활 적응이 낮은 아동이 인터넷 게임 중독이 많이 되는지에 대한 연구도 아울러 필요하다 하겠다. 초등학생들의 인터넷 중독으로의 이행은 더 가속화될 것이라 예상할 때 효과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인터넷 중독 예방 교육이 정보화 교육과 병행되어 이루어져야겠고, 인터넷 중독 예방을 위한 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인터넷의 긍정적인 효과에 대한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져야겠다.

      • 초등학교 전문상담 교사제도의 효율적 운영에 대한 요구 분석

        이광용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388019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 제도 도입 필요성과 전문상담교사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해 전문상담교사들이 학교 상담자로서 역할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하여 초등학교 상담이 활성화되도록 제도적 개선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전북 소재 초등학교 교사 3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첫째, 현재 초등학교 내 상담의 운영실태는 성별, 경력, 직위, 근무지 자격증 별로 어떤 차이가 있는가? 둘째, 현직에 근무하고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의 상담에 대한 기대와 요구는 성별, 경력, 직위, 근무지, 자격증 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들이 원하는 전문상담교사 제도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대해 성별, 경력, 직위, 근무지, 자격증 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라는 연구 문제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제도의 효율적인 운영 방안에 대한 조사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상담의 실태에 대해 조사한 결과 91.7%의 교사들이 일주일에 1-5명의 학생을 상담하고 있었고, 1회 상담시에 걸리는 시간은 95.7%의 교사들이 30분 이하라고 응답하였다. 또 주로 학생의 문제행동, 학교부적응과 같은 인성적인 측면의 문제를 가지고 상담한다고 75.8%가 응답하였다. 교직 경력이 높을수록 교사의 상담이 학생이나 학부모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다고 응답을 하였다. 둘째, 상담에 대한 기대와 요구에 대해 조사한 결과 상담과 관련된 연수의 필요성에 대해 98.7%의 교사들이 상담 관련 연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많은 교사들이 상담 연수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지만 실제로 상담 관련 연수에 참여한 횟수는 저조하였다. 그리고 많은 교사들이 학생이나 학부모를 상담하면서 상담 전문가에게 의뢰하고 싶은 적이 있었다라고 응답한 경우가 87%로, 교사들이 상담을 하면서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학원이나 전문상담교사양성과정(1년)을 통해 자격증을 소지하고 현재 초등학교에 근무하고 있는 전문상담교사들이 잘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이유로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뒷받침 되지 않기 때문이라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전문상담교사 자격증을 갖고 있는 교사들이 상담 업무에 전념할 수 있는 행정적․재정적 지원이 뒷받침 되어야겠다. 셋째,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제도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대해 조사한 결과, 81.5%의 교사들이 초등학교에서도 전문상담교사제도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의 자격기준에 대해서는 50.7%의 교사들이 교육대학원 또는 전문상담교사양성과정을 통해 자격증을 취득한 사람 즉 전문상담교사 1급 자격증을 가진 사람이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25.8%의 교사들이 대학에서 상담 및 심리학과 관련학과를 졸업하고 전문상담교사 2급 자격증을 가진 사람으로 해야 한다고 응답하였다. 초등학교전문상담교사 도입 시기에 대해서는 중․고등학교에 전문상담교사제도가 도입되고 3년 이내에 도입되어야 한다는 응답이 60.6%로 나타났다. 전문상담교사 배치 비율에 대해서는 24학급 기준 1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교에서 전문상담교사가 해야 할 가장 중요한 일에 대해서는 문제행동을 예방하기 위한 성장 중심의 상담 프로그램이라고 54.3%가 응답하였다.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제도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노력해야 할 점으로는 상담 활성화를 위한 전폭적인 행․재정적 지원, 학교․가정․지역사회를 연결하는 상담시스템 구축, 교사․학생․학부모의 상담에 대한 적극적인 관심 순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조사 결과에서 초등교사들은 전문상담교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하루빨리 초등학교에도 전문상담교사제도가 도입되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초등학교의 전문상담교사제도는 초등학교의 특성을 살려 현재 추진 중인 중․고등학교의 전문상담교사제도와는 다르게 도입되어야 한다는 초등교사들의 인식을 알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s on the need of including the Elementary Professional Counselling Teacher and finding strategies on how to use such teacher efficiently. By having the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take the role as school councilors, the object is to provide basic data for systematical improvement to activate the Elementary school counselling. For this, 302 elementary school teachers around jeon-buk province have been surveyed to collect data on the research questions such as First, How are the reality of management of elementary school counselling? Second, What are the expectation and demand of the elementary school counselling? Third, What do you think is the efficient way to run the elementary school professional counselling teacher system? The results for the analysis of the research on the efficient way to manage the elementary school professional counselling teacher system through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Fist, after researching on the reality of the counselling of elementary schools, 91.7% of the teachers talk to 1 to 5 students per week, and 95.7% of the teachers has answered that a talk lasts less than 30 minutes. Also, 75.8% have answered that the talk is usually about character such as the students inappropriate behavior and unable to adapt to school. Satisfying Answers were given that the longer the teaching experience, the more it must have been helpful th the student and the parents Second, on the research results of the expectation and the demand on counselling, 98.7% of the teachers feel the need for counseling related training, Even though so many teachers feel the need for counseling training, the reality of the number of the teachers taking part at the training is low, and by looking at the fact that 87% have answered that while counseling the student or the parent, they have wanted to ask a professional councilor, it seemed that the teachers were having some trouble while counseling. Also by looking at the reason for lack of efficient usage of the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working at the school that have obtained the license either through graduate school or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 training program(1 year). is on the management and financial support not being done, support for the teachers with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 license in management and finance should be given so that they can concentrate on counseling. Third, the result after researching on the ways to run the elementary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 system, 81.5% have answered that in also elementary schools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 system is necessary. About the qualification standard for a elementary school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 50.7% have answered that it must be a person that has level 1 either through education graduate school or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 training program. 25.8% teacher have answered that it must be a person that has a B. A in counseling or psychology related major with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 license level 2. In when to have the elementary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60.6% answered that it should be less than 3 years after having them in intermediate and highschool. About the number of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 1 person per 24 classes have been the highest. About the most important thing for the professional councilor at the elementary school, 54.3% have answered that the counseling program should be focused on growth to prevent inappropriate behavior. For the improvements that should be made for the efficient elementary school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 system, has been in the order of increasing the support on management and finance, starting a counseling system that connects the school, home, and the regional society, and giving active interest on the counseling of the teacher, student, parent. After this research result, it seemed that the elementary teachers felt the need for the elementary school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s and that the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 system should be started, but it is possible to see the understanding of the elementary teachers that the professional counseling teacher system at the elementary school should be started differently from the currently at being propelled at the intermediate and high schools by including the character of the elementary school.

      •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을 위한 전자 교과서 설계 및 구현

        이주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13880191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의 비약적 발달로 컴퓨터의 광범위한 확산은 기존의 사회 과학 패러다임으로는 설명할 수 없을 정도의 충격을 한 국가의 정치, 경제, 사회, 제도적 측면에 미치고 있다. 컴퓨터 기술은 예전에 산업혁명을 맞았을 때만큼의 충격을 현대 사회에 몰고 왔으며 이러한 변혁은 교육에 있어서도 예외일 수 없어서 컴퓨터와 정보통신기술에 의한 교육 개혁은 개념적, 실제적인 변화를 학교현장에 가져오게 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에 뒤떨어지지 않고 21세기를 살아가려면, 정보기술을 활용하는데 불편이 없도록 컴퓨터를 이용하여 정보를 신속하게 얻어서 잘 활용할 수 있는 기본 정보 소양을 갖추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특히, 현대사회는 정보의 가치가 어느 재화보다도 높이 평가되는 고도의 지식 정보 사회이기 때문에, 컴퓨터를 이용하여 정보를 신속하게 얻어서 잘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이 개인이나 기업, 더 나아가서는 국가 경쟁력에 매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우리나라도 이에 따른 다각적인 정책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교육부는 초등학교 1학년부터 컴퓨터 소양 교육을 시작으로, 중학교에서 컴퓨터 다루기를, 고등학교에서 컴퓨터 일반과목을 이수하게 하여, 미래의 고도 지식 기반 정보 사회에 대비하도록 하고 있다. 교육부가 확정한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의 구체적인 내용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6학년까지 컴퓨터 교육을 주당 1시간씩 필수적으로 실시하되, 초등학교 1학년부터 4학년 까지는 재량으로 컴퓨터 교육에 배정하고, 5-6학년은 학교 실정에 맞추어 재량시간, 특별활동시간, 특기·적성활동시간을 통하여 컴퓨터 교육을 실시하도록 시·도 지침 및 단위학교의 교육과정에 반영하여 2001년부터 단계적으로 시행할 방침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컴퓨터 교육 필수화에 따른 몇 가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다. 그 중 가장 큰 문제점은 컴퓨터 교육을 지도할 교사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전라북도 교육청의 경우 7천99명의 초등교사가 있지만 컴퓨터를 전공한 교사는 한 명도 없고, 강원지역 역시 초등교사 5천6백여 명 가운데 컴퓨터 전문교육을 받은 교사는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현상은 전국적으로 비슷하게 나타나고 있다. 현재 일선 초등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컴퓨터 교육은 외 부 강사에 의해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는 특별활동이기 때문에 가능하나 컴퓨터 교육은 정규 교과시간이어서 외부 강사를 초빙할 수도 없다. 이에 따라 교육부와 각 시·도교육청은 학교에서 교사 2명 정도를 선발, 60시간의 연수를 거쳐 컴퓨터 교육을 맡긴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시간적 여유가 없는데다가 체계적인 교육이 아닌 칼은 시간의 교육을 받고 학생들의 지도하는 것도 큰 문제가 아닐 수 없다. 더구나 일부 초등학생들은 방과후 사설학원 등에서 전문 컴퓨터 교육을 받아 개인 컴퓨터 활용능력이 우수해 잡은 시간 교육을 받은 교사들의 능력이 따라가지 못할 것으로 우려된다. 〔2〕 또한 모든 초등학교에 컴퓨터 실습실이 완비되었으나 수업 후 컴퓨터 시스템의 변경으로 인하여 - 예를 들어 파일 삭제 수업을 하게 되면 학생들이 지워서는 안 되는 파일을 지워서 컴퓨터를 사용할 수 없게 만든다거나, 여러 학생들의 사용으로 컴퓨터마다 다른 시스템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 다음 수업 시 전체 시스템을 다시 한번 점검해야하는 과중 업무가 따르게 되고 수업이 연달아 있을 시에는 컴퓨터 관리의 문제점으로 수업 진행이 매끄럽지 않게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에 있어서 지도 교사의 컴퓨터에 대한 아주 기초적인 컴퓨터 지식만으로 학생들에게 사용법을 익히게 한 후 학생들이 자신의 능력에 따라 학습 목표에 도달 할 수 있도록 컴퓨터 이론과 윈도우 98의 기능을 실습할 수 있는 효율적인 교수 자료(material) 설계로 쌍방향 교수를 향상시키고 학습을 용이하게 하는데 필요한 웹기반 가상 교육 전자교과서(electronic textbook)의 필요성을 느끼며 초등학교 컴퓨터 교육을 위한 전자교과서를 개발 및 구현하고자 한다. The rapid development of computers and information technology had led to extensive diffusion of computers. Such phenomenon had shocked the country'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it's system to the limit that is unexplainable by the paradigm of existing sociology, Computer technology brought the kind of shock that the industry revolution of the past has brought to the modern society, and this kind of reformation could not be exceptional in the education field. Therefore educational reformation of computers and information technology had brought conceptionall, practical change to the schools. For these reasons, the basic information attainment of being able to use the computer comfortably and receive informations swiftly is essential to live the 21st century society without being falling behind. Because the value of information rates higher than any other commodities in the recent society, ability to receive information quickly by using the computer became an important factor for individuals and companies, thus a important factor for the development of nation's competitive power. Korea is not hesitating to develope and practice new policies that such phenomenon require. For instance, the education ministry is requiring elementary schoolers to learn basic computer skills, middle schoolers to operate computers, and high schoolers to complete general computer classes, so that they will ready to face the highly information based society of the future. The new elementary computer education policy established by the education ministry requires students to take a computer class once a week starting at first grade. However, there are few problems that comes with compulsory computer education. One of the biggest problem is the shortage of instructors who will conduct these programs. In the case of JEUNRA providence, there are 7099 elementary teachers but none who have majored in computers. KANGWON isn't any better. Among 5600 elementary teachers in KANGWON providence, there isn't anyone who had been professionally educated in the computer field. Such phenomenon is shown throughout the country, In a portion elementary school, computer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by outside school instructors under the name of 'after school activity', but such thing is impossible in the case of classes during the school hour, As a solution, the education ministry is planning to select 2 teachers from each education office, and provide a 60-hour-training before assigning them to schools to teach computer classes. But the shortage of time, and relying on the rapid, swift training that is not well organized to teach students causes problems. In addition, students who have received professional computer education from outside school academy or institute have such a high ability of using personal computers that teachers who only received a short, basic training will not be able to catch up with them. [2] Also, even though that every elementary schools are now equipped with computer laboratories, after change of programs after a class-for example stL1dents erasing a program tile which makes it impossible to be used in next class, or because computers are being used by many students. Therefore in this study feels the need to develope a 'electronic textbook' that will enable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teach students the basic skills of using computers only with his or her basic knowledge, so that student will accomplish their academic goal by learning computer theories and practicing the use of window 98 efficiently. In need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electronic-textbook for elementary school computer Education.

      • 초등학교 상담을 위한 교사의 공감적 이해에 관한 고찰

        김승은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388019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상담의 특성 및 실태와 요구를 분석하고, 활성화 방안으로서 교사의 공감적 이해 태도에 관해 고찰하는 것이다. 특히 초등교사의 공감적 이해 태도가 학생에게 미치는 긍정적 영향을 탐색하고 이를 신장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초등학교 상담에 관하여 초등교사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의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상담의 특징과 실태를 분석하여 초등학교 상담 활성화 방안으로서 교사의 공감적 이해 태도를 살펴본다. 둘째, 초등학교 상담을 위한 교사의 공감적 이해에 관하여 살펴본다. 셋째, 초등학교 교사의 공감적 이해 능력을 신장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살펴본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상담의 실태를 조사한 연구 자료를 분석한 결과, 담임교사와 상담자의 이중적 역할로 인해 학생들의 상담참여가 낮고, 주로 비자발적 호출 상담의 형태를 보였다. 상담에 대한 요구로 학생은 이야기를 들어주고 공감해 주는 상담자를 원했으며, 교사는 개인 상담을 위한 전문적 연수를 원했다. 따라서 초등학교 상담을 활성화하기 위해 상담자로서 초등교사는 공감적 이해 태도를 함양해야 하며, 이를 위해 공감적 이해 태도를 신장하는 방안에 대한 안내가 필요하다. 둘째, 초등교사의 공감적 이해 태도가 학생에게 주는 영향을 선행연구 자료를 통해 분석한 결과 학생은 긍정적 자아개념을 형성하고 대인관계 능력이 증진되어 학교 적응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교사 자신도 학부모 및 학생과의 긍정적 관계 형성으로 직무 만족도 및 교사 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공감적 이해 관련 문헌과 선행 연구들을 종합하여 초등학교 상담을 위한 교사의 공감적 이해능력 신장방안을 인지적, 정의적, 의사소통적 측면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공감적 이해의 인지적 요소를 신장하기 위해 교사는 자신의 본질을 잠시 내려놓고, 학생의 현상학적 장을 정확히 이해해야 한다. 공감적 이해의 정의적 요소를 신장하기 위해서 교사는 학생이 처한 상황의 핵심 내용에 대한 핵심 감정을 정확하게 느끼고 살펴야 한다. 공감적 이해의 의사소통적 요소를 신장하기 위해 교사는 자신이 이해한 것을 정확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하고 바르게 이해했는지 확인해야한다. 이를 위해 교사는 효율적인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 방법을 익히고 실천해야 한다. 초등학교 상담에 대한 요구에 부응하고 담임교사와 상담자라는 역할의 이중성으로 인한 상담관계 형성의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해 교사의 공감적 이해는 반드시 요구된다. 주요어 : 초등학교 상담, 교사, 공감적 이해

      •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1학년 수와 연산 영역 오류 분석 및 교정 방안

        정현준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3880191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s competency-oriented. The six competences presented by the revised curriculum are problem solving, reasoning, creative and convergence, communic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ttitude and practice. The first step in developing math curriculum's ability to teach math is to be faithful to the basics of mathematics. To do this, students should not have mathematical errors or misconceptions in their cognitive structure, but should be able to understand the correct mathematical concepts, principles, laws, etc. and acquire functions. This researcher, as a primary school freshman homeroom teacher for two years in 2017 and 2018, started the study because felt the need to analyze and correct errors that students usually commit by reflecting this purpose in guiding math courses in the first grade of elementary schoo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establish effective and systematic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that correct students' errors through analyzing and categorizing errors that students may mainly commit in the 2015 Revised Primary School 1st Grade Numbers and Operations. To verify the research problem, 79 students in four classes of S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wangju were tested in advance by fields (Numbers and Operations) in the form of a diagnostic evaluation at the beginning of the first semester of the second grade. An error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interviews with the students who made the error in question with 40% or more as a result of the pre-test. After error analysis, one person from each area was selected to find effective guidance for each type of error, and after the error correction was completed, it was verified that error correction was performed well through post-inspection. Pre-test results by area showed that the meaning of the two sizes comparison and the number of groups of 10 was high, with the error rate of 75.9% and 45.5%, respectively, in the field of numbers. In addition, in the field of operations given that the error rate of the question about subtraction is higher than the question related to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teaching of subtraction should be focused on subtraction as it is familiar with addition rather than subtraction. The results of the pre-test were categorized into four types of errors, followed by misinterpreted language, technical error, improper use of theorem or definition, and misused data. Therefore, we could see that before teaching students mathematical concepts, definitions, functions, and so on, education should precede that they should have a good grasp of what the problem requires. Based on the method of interview, errors were corrected based on the method of interview, and given that the students' error correction was well performed after examination, first, various manipulations using concrete should be conducted to induce students to find mathematical concepts and principles on their own, and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error correction through a series of communication expressing their own thought processes was effective. Since this study is an error study on the field of numbers and operations in the first grade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it is necessary to make various error studies related to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math.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standardized test paper to diagnose error types. We look forward to further research on guidance methods regarding errors that may occur in other fields and in numbers and operations of grades in the 2015 revised Math Curriculum Primary School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역량 중심 교육과정이다. 개정 교육과정이 제시하고 있는 6가지 역량은 문제 해결, 추론, 창의․융합, 의사소통, 정보 처리, 태도 및 실천의 6가지이다(교육부, 2015).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수학 교과 역량을 기르기 위한 첫 단추가 수학적 기초․기본에 충실한 교육이다. 이를 위해 학생들의 인지 구조 속에 수학적 오류․오개념을 갖지 않고, 학생들이 올바른 수학적 개념이나 원리, 법칙 등을 이해하고 기능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자는 2017년, 2018년 2년 동안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로서 초등학교 1학년 수학 과목을 지도하는데 있어 이러한 취지를 반영하여 학생들이 주로 범하는 오류를 분석하고 교정할 필요를 느껴 연구를 시작하였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학교 1학년 수학과 수와 연산 영역에서 학생들이 주로 범할 수 있는 오류를 분석하여 유형화 하는 작업을 통해 학생들의 오류를 교정 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궁극적으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교수․학습 방법 수립에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의 검증을 위하여 광주광역시에 위치한 S초등학교 2학년 4개 반 학생 79명을 대상으로 2학년 1학기 초에 진단평가의 형태로 영역 별(수 영역, 연산 영역)사전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 검사 결과 오답율이 40% 이상인 문항을 대상으로 오류를 범한 학생들과의 면담을 통해 오류 분석을 실시하였다. 오류 분석 후 각 영역별 1명씩을 선정하여 오류 유형에 따른 교정 지도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오류 교정이 끝난 후에는 사후 검사를 통해서 오류 교정이 잘 이루어졌는지 확인하였다. 영역 별로 사전 검사 결과, 수 영역에서는 두 수의 크기 비교와 10개씩 묶음 수의 의미가 각각 오답율 75.9%, 45.5%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연산 영역에서는 덧셈에 관련된 문항보다는 뺄셈에 관한 문항의 오답율이 높은 것으로 미루어볼 때, 뺄셈보다는 덧셈에 익숙해 하므로 뺄셈에 대한 지도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사전 검사 결과를 4가지 오류 유형으로 분류해 본 결과, 잘못 해석된 언어(Misinterpreted language), 기술적 오류(Technical error), 정리나 정의의 부적절한 사용(Distorted theorem or definition), 자료를 잘못 이용하는 오류(Misused Data)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생들에게 수학적 개념, 정의, 기능 등을 지도하기 이전에 문제에서 요구하는 것을 잘 파악하도록 하는 지도가 선행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면담의 방법을 위주로 오류 교정을 했으며, 사후 검사 결과 학생들의 오류 교정이 잘 이루어진 것으로 미루어볼 때 첫째, 구체물을 활용한 다양한 조작활동을 통해 학생들이 수학적 개념․원리를 스스로 찾아갈 수 있도록 유도해야하며, 둘째, 자신의 사고과정을 표현하는 일련의 의사소통을 통한 오류 교정이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2015 개정 초등학교 1학년 수학과 수와 연산 영역에 대한 오류 연구이므로, 2015 개정 초등학교 수학과와 관련된 오류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오류 유형을 진단할 수 있는 표준화된 검사지 개발이 필요하며, 2015 개정 초등학교 1학년 타 영역 및 학년(군)별 수와 연산 영역에서 나타날 수 있는 오류에 관한 지도 방안 연구가 보다 심화되기를 기대한다.

      • 서울하늘초등학교의 교원 간 의사소통에 관한 질적 연구

        조영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1388019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조직 내 서로 다른 관계 속에서 나타나는 교원 간의 의사소통의 실제와 전략을 관찰, 기술하고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초등학교조직의 의사소통 특성을 탐색, 고찰함으로써 교원 간 의사소통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조직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의 실제 모습은 무엇인가? 둘째, 초등학교조직 내 교원들의 의사소통 전략은 무엇인가? 셋째, 초등학교조직 내 의사소통에서 드러나는 문화적 특성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먼저 초등학교조직과 의사소통의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또한 서울하늘초등학교를 대상으로 하여 문화기술지의 질적 연구방법을 통해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참여관찰, 면담, 문서 자료 수집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일반적, 유형적 분석 방법을 통해 수집 자료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연구 타당도와 연구 윤리 확보를 위한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런 과정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조직 내 어떤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관한 의사소통 실제를 의사소통 체제, 내용과 관심사,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학교조직 내 공식적 의사소통 체제, 비공식적 의사소통 체제, 그리고 동학년 의사소통 체제가 존재하였다. 의사소통 주체들의 의사소통 내용과 관심사는 의사소통 주체들의 관계에 따라 수직적 의사소통 관계와 수평적 의사소통 관계로 구분해서 살펴보았다. 여기서는 학교 내에서 관계에 따른 각 주체들의 의사소통 내용과 관심사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의사소통 방법에는 직접적 대면을 통한 의사소통 방법과 간접적 비대면 및 매체를 활용한 의사소통 방법이 있었다. 최근 학교 현장에도 매체를 활용한 의사소통 방법이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었다. 둘째, 교장과 교감, 교장과 교사, 교감과 교사, 교사와 교사로 구분하여 각 주체들이 관계에 따라 주로 사용하는 의사소통 전략을 살펴보았다. 교장과 교감 간 전략으로는 동질감 강조하기, 개별적으로 소통하기, 의견 순응하기, 애매한 내용 수용하기 등의 전략이 사용되었고 교장과 교사 간에는 하고 싶은 말 더하기, 무한 반복해 강조하기, 긍정적 피드백 하기, 빼고 최소화하기, 함께 말하기 전략이 사용되었다. 교감과 교사 간 전략은 힘 빌려 말하기, 바로바로 소통해 해결하기, 하나로 통일하기, 법대로 말하기, 준비 자료로 말하기, 말 그대로 전하기, 눈치 보며 말하기가 있었고, 교사와 교사 간 의사소통 전략에는 거리 유지하며 말하기, 중간역할 활용하기, 곤란한 입장 서로 피하기, 돌려서 말하기 전략이 있었다. 각자 자신의 역할, 상황, 관심사, 의도 등에 따라 다양한 의사소통 전략을 구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의사소통 실제와 전략의 연구 내용을 토대로 초등학교조직에서 의사소통의 문화적 특성을 알아보았다. 먼저 학교조직에서는 개인보다는 조직 중심의 조직 우위의 소통 특성이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 내용보다는 의사소통하는 대상과의 관계 즉 상대방과의 관계가 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관계 중심의 소통 특성이 있었다. 다음으로 학교조직은 외형적으로 수평적 조직의 성격을 나타내지만 의사소통 과정에서 다양한 원천의 권력(power)이 작용하고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는 정치적 소통 특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구조적이고 배경적인 특성과 함께 학교조직의 의사소통은 때론 속마음과 실제 의사표현이 서로 다른 이중적 소통의 특성과 직접적인 전달보다는 중간인 또는 중간 매체를 활용한 우회적 소통, 먼저 나서지 않고 상대방의 의도나 상황을 파악한 후 생각을 드러내는 방어적 소통의 특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구조 또는 배경이 되는 특성에 영향을 받아 행동 또는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특성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본 연구에서 한 발 더 나아가 발전적인 의사소통 연구를 위해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술적으로 초등학교조직에서 드러나는 의사소통의 실제 모습과 전략에 대해 보다 구체적이고 광범위하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제한점에서도 언급하였지만 연구의 범위를 학교 내 교원으로 한정해 진행하였다. 학교공동체 차원의 더 많은 구성원 간의 의사소통에 관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희망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내용을 기초해 의사소통 원리, 기법 등의 후속 연구들과 의사소통을 가로막는 장애요인, 활성화요인 등에 대한 심도 있는 정책적 연구들이 추가적으로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 초등학교 일반교육 교사의 자폐성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에 따른 통합교육 실행 양상

        백수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388019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일반교육 교사의 자폐성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과 이에 따른 통합교육의 실행 양상을 분석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일반교육 교사들의 자폐성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 일반교육 교사들의 자폐성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에 따른 통합교육 실행 양상은 어떠한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채택하였다. 연구는 자폐성 장애학생을 담당한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일반교육 교사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40~60분간 총 2회씩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한 후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수집한 자료를 분석하였고, 분석에는 파랑새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일반교육 교사들은 담당한 자폐성 장애학생과의 경험, 학교의 분위기, 특수교육 교사의 지원에 영향을 받아 자폐성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냈다. 초등학교 일반교육 교사의 자폐성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은 크게 세 가지로 ‘피하고 싶은 자폐성 장애학생’, ‘손이 많이 가는 자폐성 장애학생’, ‘발전 가능성이 있는 자폐성 장애학생’ 으로 나타났다. 초등학교 일반교육 교사들은 통합교육을 통해 자폐성 장애학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고 개선되는 사례를 경험할수록 이들을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자폐성 장애학생에 대한 학교와 학부모의 인식이 긍정적이며 협조적일 때, 초등학교 일반교육 교사들도 자폐성 장애학생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그리고 특수교육 교사의 지원 정도에 따라 초등학교 일반교육 교사들의 자폐성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이 다르게 나타났는데, 특수교육 교사가 정서적, 학업적 지원을 제공했을 때 가장 긍정적인 인식이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일반교육 교사의 자폐성 장애학생에 대한 인식에 따라 자폐성 장애학생의 학업, 생활 지도의 통합교육 실행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으며 통합교육에 대한 의미 부여도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피하고 싶은 자폐성 장애학생’의 인식은 ‘무의미한 통합교육’으로 나타났으며, ‘손이 많이 가는 자폐성 장애학생’이라는 인식에 따라 ‘기본 생활 습관 형성을 위한 통합교육’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발전 가능성이 있는 자폐성 장애학생’의 인식을 가진 연구 참여자들의 통합교육은 ‘성장하기 위한 통합교육’으로 나타났다. 자폐성 장애학생에 대해 부정적 인식을 가진 초등학교 일반교육 교사들은 자폐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해 지원과 노력을 기울이는데 소극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다. 반면, 자폐성 장애학생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초등학교 일반교육 교사들은 자폐성 장애학생의 생활 지도에 중점을 두고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자폐성 장애학생에 대한 가장 긍정적인 인식을 가진 초등학교 일반교육 교사들은 학업과 생활 지도 모든 면에서 장애학생의 특성에 맞는 지원을 제공하였고, 통합교육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이상에서와 같이 초등학교 일반교육 교사들은 담당한 자폐성 장애학생과의 경험, 학교의 분위기, 특수교육 교사의 지원에 영향을 받아 자폐성 장애학생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이러한 인식은 자폐성 장애학생의 학업과 생활 지도 등 통합교육에 전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자폐성 장애학생의 통합교육을 위해 우선적으로 이들을 담당하는 초등학교 일반교육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아야 할 필요가 있으며 교육 환경 및 심리적 지원 등의 노력과 지원을 통해 이들의 인식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초등학교 일반교육 교사들이 자폐성 장애학생과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도록 자폐성 장애학생의 학업과 생활 지도를 위한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자료 제공 그리고 성공 사례 배부 등의 지원을 제공하여야 할 것이다.

      • 초등학교 예술강사 무용수업에 대한 지역별 만족도와 인식도

        박다해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388019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the students by the elementary schools which conduct dance training from the schools and school teachers conducting Art (Dance) Instructor Support Program.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se studies, following research methods were analyzed. 830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surveyed with target of the schools to conducts Art (Dance) Instructor Support Program in 6 elementary schools of Daejeon, Onyang, Buyeo and analysis of data collected was used with t-test, two-factor ANOVA and Simple Effects Analysis, one-factor ANOVA. Such analysis drawed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the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art instructor were higher compared to the teacher. Second, the differences of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by the grade and gender, and class place about the Art instructor - the differences of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by grade about the Art instructo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aps effects and recognition and operating facilities of 6 grade were good. -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according to gender about Art instructor Art classroom about the operating facilities of satisfaction, map effect and recognition was good. Third,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dance class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cording to the regions and the type of the leader․grade․gender(operation facilities, guide effects) and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dance classes -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operating facilitie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guide effects according to the types of the regions and leaders In the difference among the type of leaders by each regi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art instructor was good in city, county, town, township and the order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dance guide effects was county, town, township, metropolitan city, city. - The difference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dance classes operation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guide effects about Art instructor according to the regions and grades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instruction effects,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6 grade was good in metropolitan city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5 grade was good in city. - In the difference among regions by each grade, the degree of operation facilities satisfaction and dance classes guide effects of 5 grade was good in county, town, township and the degree of operation facilities satisfaction and dance classes guide effects of 6 grade was good in metropolitan city, county, town and township. -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dance classes operation facilitie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guide effects, boy students were better than girl students and county, town and township were better than city and metropolitan city. In the degree of dance classes guide effects, boy students were better than girl students and metropolitan city were better than city and county, town and township were better than metropolitan city. -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dance classes according to the regions and the type of leader In the difference among the type of leaders by the region, there was no difference among the regions in the school teacher classes, but, about the art instructor,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dance classes of classes, county, town and township were better than city. -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dance classes about the art instructor according to region and grade In the difference among grades by each region,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dance classes of 6 grade was good in metropolitan city and 5 grade was good in city. The difference among regions by each grade,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dance classes of 5 grade was good in county, town, and township and 6 grade was good in metropolitan city, county, town, and township. -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dance classes about the art instructor according to region and gender. In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dance classes, boy students were better than girl students and county, town and township were better than city. Fourth, the differences between lesson operation facilitie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bout the art instructor(by lesson importance, starting grade, participation period) -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regarding Art instructor by region The degree of satisfactions of operation facilities and guide effects were good in county, town and township. -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regarding Art instructor by the importance of dance lesson The importance was good in the operation facilities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regarding the art instructor by grade of starting dance 6 grade was good in guide effect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recognition regarding the art instructor by dance participation period The period over 1 year in operation facilities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The period over 6 months in guide effect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and the period over 1 year in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dance lesson were good. 초록 본 연구는 예술(무용)강사 지원 사업을 도입하여 시행하는 학교학교 교사가 무용수업을 실시하는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학생들의 지역별 만족도와 인식도를 조사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전광역시, 온양시, 부여군에 소재한 초등학교를 모집단으로 하였다. 예술(무용)강사 지원사업을 도입하여 시행하는 학교초등학교 교사가 무용수업을 실시하는 학교에서의 무용수업을 받는 6개 학교 초등학교 학생 83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으며 표본 추출 방법은 각 시에서 2개 학교씩 추출하였으며 각 학교를 단위로 하는 군집표본 추출방법을 사용하였다. 자기평가 기입법(self-administration method)을 채택하여 설문 응답자가 설문지를 보고 해당란에 표시하게 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t-검증 및 이원분산분석(two-factor ANOVA)과 단순효과검증 및 일원분산분석(one-factor ANOVA)를 사용하였다. 이와같은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 하였다. 첫째, 선생님보다 예술강사가 초등학생의 만족도와 인식도가 좋게 나타났다. 둘째, 예술강사에 대한 학년별, 성별, 수업장소 만족도와 인식도 차이 - 예술강사에 대한 학년별 만족도와 인식도 차이 지도효과와 인식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만족도의 운영시설에서는 6학년이 좋게 나타났다. - 예술강사에 대한 성별에 따른 만족도와 인식도 차이 만족도의 운영시설과 지도효과, 인식도 모두 여자가 좋게 나타났다. - 예술강사에 대한 무용수업 장소에 따른 만족도와 인식도 차이 만족도의 운영시설, 지도효과와 인식도 모두 무용실이 좋다고 나타났다. 셋째, 지역과 지도자 유형․학년․성별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무용수업 만족도(운영시설, 지도효과)와 무용수업 인식도 차이 - 지역과 무용수업 지도자 유형에 따른 무용수업 운영시설 만족도 각 지역별 지도자 유형간의 차이에서는 시, 군·읍·면에서 예술강사가 만족도가 좋았으며, 지도자 유형간 지역간의 차이에서는 학교 선생님 수업이 광역시지역에서 좋았으며, 예술강사 수업에서는 군·읍·면이 운영시설 만족도가 좋다고 나타났다. -지역과 학년에 따른 예술강사에 대한 무용수업 운영시설 만족도 각 지역별 학년간의 차이에서는 광역시에서만 6학년이 운영시설 만족도가 좋다고 나타났다. 각 학년별 지역간의 차이에서는 5학년에서는 군읍면, 6학년에서는 광역시와 군읍면이 운영시설 만족도가 좋다고 나타났다. -지역과 성별에 따른 예술강사에 대한 무용수업 운영시설 만족도 남학생보다 여학생, 시지역과 광역시보다 군읍면 지역이 운영시설 만족도가 좋다고 나타났다. - 지역과 무용수업 지도자 유형에 따른 무용수업 지도효과 만족도 각 지역별 지도자 유형 간의 차이에서는 광역시와 군읍면에서는 예술강사가 무용수업 지도효과 만족도가 좋다고 나타났다. 각 지도자 유형별 지역간의 차이에서는 예술강사 수업이 군 읍 면에서 무용수업 지도효과 만족도가 좋다고 나타났다. -지역과 학년에 따른 예술강사에 대한 무용수업 지도효과 만족도 각 지역별 학년간의 차이에서는 광역시에서는 6학년이 시지역에서는 5학년이 무용수업 지도효과 만족도가 좋다고 나타났다. 각 학년별 지역간의 차이에서는 5학년에서는 군읍면, 6학년에서는 군읍면 지역과 광역시가 무용수업 지도효과 만족도가 좋다고 나타났다. -지역과 성별에 따른 예술강사에 대한 무용수업 운영시설 만족도와 지도효과 만족도 여학생이 군읍면지역에서 무용수업 운영시설 만족도, 지도효과 만족도가 좋다고 나타났다. - 지역과 무용수업 지도자 유형에 따른 무용수업 인식도 각 지역별 지도자 유형 간의 차이에서는 군읍면에서는 학교선생님 보다 예술강사의 무용수업 인식도가 좋다고 나타났다. 각 지도자 유형별 지역간의 차이에서는 학교선생님 수업에서는 지역간에 차이가 없으나, 예술강사 수업에서는 군읍면이 무용수업 인식도 좋다고 나타났다. 각 지역별 지도자 유형간의 차이에서는 운영시설은 시, 군읍면 지도효과는 광역시, 군읍면 인식도에서는 군읍면에서 예술강사 수업이 좋다고 나타났다. 지도자 유형별 지역간의 차이에서 예술강사는 군읍면이 운영시설, 지도효과, 인식도모두에서, 학교선생님은 광역시에서만 운영시설 만족도가 좋다고 나타났다. -지역과 학년에 따른 예술강사에 대한 무용수업 인식도 각 지역별 학년간의 차이에서는 광역시는 6학년, 시지역에서는 5학년이 무용수업 인식도가 좋다고 나타났다, 각 학년별 지역간의 차이는 5학년에서는 군읍면, 6학년에서는 광역시와 군읍면 지역이 무용수업 인식도가 좋다고 나타났다. 각 지역별 학년간의 차이에서는 광역시에서만 6학년이 운영시설, 지도효과, 인식도 모두에서 5학년은 시지역에서만 지도효과, 인식도에서 좋다고 나타났으며 각 학년별 지역간의 차이에는 5학년이 군읍면에서만 운영시설, 지도효과, 인식도 모두에서 6학년은 광역시, 군읍면에서 운영시설, 지도효과, 인식도 모두에서 좋다고 나타났다. 넷째, 수업 운영시설과 예술강사에 대한 지역별 초등학생의 만족도(수업중요도별, 시작학년별, 참여기간) 와 인식도 차이 - 예술강사에 대한 지역별 만족도와 인식도 분석 운영시설 만족도, 지도효과 만족도가 군읍면 지역이 좋다고 나타났다. -예술강사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무용수업 중요도별 만족도와 인식도 분석 만족도의 운영시설과 지도효과 인식도 모두에서 중요도가 좋다고 나타났다. - 예술강사에 대한 무용을 시작한 학년별 만족도와 인식도 만족도의 지도효과에서만 6학년이 만족도의 지도효과에서 좋다고 나타났다. - 예술강사에 대한 무용참여기간별 만족도와 인식도 분석 만족도의 운영시설에서 1년 이상이 만족도의 지도효과에서 6개월 이상이 무용수업 인식도에서1년 이상이 좋다고 나타났다.

      •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학습준비도가 초등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김지수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3880191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학습준비도가 초등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과 변인 간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초등학교 1학년의 초기 학교적응을 위한 기초 자료가 되고자 한다. 초등학교적응과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 사회적 유능감, 학습준비도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보았으며, 또한 변인 간 관계를 분석하였고, 초등학교적응에 대한 관련 변인의 직·간접적인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육아정책연구소에서 수집한 한국아동패널(Panel Study on Korean Children; PSKC) 7차년도(2014)와 8차년도(2015) 데이터를 활용하였다. 연구대상은 2015년인 8차까지 패널 유지가 된 아동이며, 7차와 8차에 모두 참여한 만 6, 7세 아동 중 결측값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75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초등학교적응을 분석하기 위하여 지성애, 정대현(2006)이 개발한 ‘학교적응 척도(School Adjustment Inventory)’를 사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고, 어머니 가족상호작용은 한국아동패널 연구진이 Olson(2010)의 FACES IV에서 ‘균형 있는 응집성(Balanced Cohesive)’과 ‘균형 있는 유연성(Balanced Flexibility)’ 부분을 인출하여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은 한국아동패널 연구진이 Gresham과 Elliott(1990)의 도구를 서미옥(2004)이 국내에서 타당화한 것을 참고하여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아동의 학습준비도는 한국아동패널 연구진이 Murphey와 Burns(2002)의 도구를 번역 후 예비조사를 수행하여 확정한 문항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활용하였다. 변인들의 일반적인 경향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를 실시하였고 아동의 성에 따른 변인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변인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초등학교적응에 대한 관련 변인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적응,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및 학습준비도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먼저 아동은 초등학교에서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의 가족 상호작용에서는 중간정도의 응집성과 유연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은 중간 정도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성별에 따라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의 학습준비도 또한 전체적으로 다소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여아가 남아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적응과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 학습준비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먼저 초등학교적응은 가족상호작용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하위요인인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 교사적응은 가족상호작용의 유연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그리고 또래적응과 교사적응은 가족상호작용의 응집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학교생활적응과 학업수행적응은 응집성과 유의미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음으로 초등학교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적응은 사회적 유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학업수행적응과 또래적응은 사회적 유능감의 모든 하위요인인 주장성, 협력성, 자기통제, 책임성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초등학교적응과 아동의 학습준비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초등학교적응은 학습준비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고 하위요인별로 살펴보면 초등학교적응의 학업수행적응, 또래적응은 학습준비도의 모든 하위요인인 사회·정서발달, 학습에 대한 태도, 의사소통, 인지 발달 및 일반적 지식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다음으로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과 사회적 유능감에 대한 관계를 살펴본 결과, 가족상호작용은 사회적 유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요인인 주장성, 협력성, 자기통제, 책임성 모두 가족상호작용의 응집성과 유연성에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과 학습준비도 또한 가족상호작용이 학습준비도와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가족상호작용의 하위요인인 응집성과 유연성이 학습준비도의 사회·정서발달, 학습에 대한 태도, 의사소통, 인지 발달 및 일반적 지식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과 학습준비도와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사회적 유능감과 학습준비도는 사회적 유능감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사회적 유능감의 주장성, 협력성, 자기통제, 책임성이 학습준비도의 사회·정서발달, 학습에 대한 태도, 의사소통, 인지 발달 및 일반적 지식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초등학교적응에 대한 관련 변인들의 직·간접적인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결과의 의하면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은 사회적 유능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다. 즉, 가족 간에 응집성과 유연성이 높을수록 유아의 사회적 유능감은 증가된다.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과 아동의 학습준비도 사이에는 간접효과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이를 종합하면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이 초등학교적응에 미치는 경로에서 사회적 유능감을 매개로 하여 초등학교적응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제시되는 결과들을 통해 초등학교적응과 관련된 변인을 예측하게 해줌으로써 아동의 초기 초등학교적응을 위한 부모와 교사에게 기초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에 의의가 있다. 이처럼 어머니의 가족상호작용과 아동의 사회적 유능감은 입학 후 초기 초등학교적응에 직·간접적으로 밀접한 관련을 보였다. 특히 사회적 유능감은 초등학교적응 뿐만 아니라 학습준비도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으므로 사회적 유능감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대한 탐색이 추가적으로 요구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1학년이라는 구체적인 연령의 초등학교적응에 대해 설명할 수 있는 다양한 변인 탐색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 초등학교 저학년 특기적성교육에서의 피페(fife) 지도방안

        한숙현 성신여자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13880191

        ABSTRACT A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Fife in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Han, Sookhyun Major in Music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ung Shin Woman's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teaching method of playing the fife as a part of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proliferation of the fife lesson in the musical instrument education. As the fife lesson is not included in the formal coursework of elementary school, the instruction plan of the fife as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in After-School programs for the first and secon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The necessity of the investigation on the instruction plan of the fife was investigated, followed by the proposal of the thesis, describing the contents and the direction of this study. Also, the constraints of the thesis were defined, to clearly express the scope and the purpose of the thesi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ecedent researches on the teaching the fife were investigated and the fact that no research on the fife lesson as an elementary school program was developed was confirmed. To establish the direction of the music learning in the elementary school coursework, the musical distinc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y age was analysed and summarized based on the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Analysis on the current formal education programs of elementary, junior high, and high school confirmed that the contents on the fife lesson was not enough to enhance the proliferation of the fife lesson. As an alternative to the formal education programs,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in After-School programs can be utilized to spread out the fife lesson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ife lesson plan covers the basics for the fife, the playing technique of the fife, the comparison of the fife with the recorder. The basics of the fife, including the history of the fife, the features, structure and the parts, assembly and tuning, and the maintenance of the instrument was first investigated the playing technique of the fife, including the posture and stance, fingering, how to blow, and how to breathe was explained. The exercise cautions were also summarized. Through the comparison of the fife with the recorder, which is widely spread and well-known as a melody instrument easy to learn, the possibility of the fife as a popular instrument in the elementary school was examined. Finally, the instruction plan of the fife As the fife lesson is not included in the formal coursework of elementary school, the instruction plan of the fife as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in After-School programs for the first and second-grade elementary-school students was developed and the two detailed learning methods were proposed. The instruction plan was composed of 12-week practice and proposed. The learning method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elementary school text book songs and cover one solo and one ensemble. In conclusion the benefits from the proposed teaching methodology of playing the fife were summarized. In this study, learning the fife leads to enhancing students' interest in the musical instrument class in the elemantary school, especially gaining the experience in the expression of tunes through the ensemble. Also, the fife lesson, an easy-learning instrument lesson, leads the students to gaining the affirmativeness in playing the musical intruments and enjoying the musical experience. Throughout this investigation, the fife gains the more popularity, gets widely spread, and gets utilized with familiarity. Especially in Special Ability and Aptitude Education, the fife lesson leads the learning the melody instrument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elementary school. 논문 개요 이 연구의 목적은 ‘피페’의 보급화를 위하여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에서 활용될 수 있는 ‘피페’ 지도방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피페’ 교육과정은 현재의 초등학교 교과과정에서 다루고 있지 않으므로, 방과후학교 중 특기·적성교육에서의 ‘피페’ 지도방안을 구성하여 초등학교 1, 2학년의 기악 영역에서 배울 수 있는 가락악기로서의 지도서를 제시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우선적으로 이 연구와 유사한 선행 연구를 고찰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피페’ 학습안에 대한 연구가 이전에 제대로 수행되지 않았음을 확인하였다. 초등학교의 음악학습에 대한 방향성을 정립하기 위하여, 초등학생의 음악적 특성에 대하여 인지발달 이론측면에서 연령별로 분석하여 연령별로 필요한 음악 활동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현재 교육과정 초·중·고등학교 교과서에서의 ‘피페’ 학습에 대한 분석을 통하여, ‘피페’에 관한 내용이 충분하지 않아 ‘피페’ 교육이 폭넓게 이뤄질 수 없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방과후학교 중 특기·적성교육을 활용하여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피페’ 교육을 보급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피페’ 지도에서는 우선적으로 ‘피페’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고찰한다. ‘피페’의 역사, 특성, 구조 및 각 부분 명칭, 조립과 조율, 그리고 악기 관리를 우선 고찰한다. 그 다음, 가락악기로 보급이 잘 되어 있는 리코더와 ‘피페’의 비교를 통하여 ‘피페’의 초등학교 교과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타진해 본다. ‘피페’의 연주법에 대해서 연주자세, 운지법, 음을 내는 방법, 호흡법, 그리고 연습 시 주의사항에 대하여 정리하였다. 마지막으로, 특기·적성교육에서의 ‘피페’ 학습법을 계획하여 구성하였고, 두 가지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피페’ 학습내용을 12주 과정으로 계획하여 제시하였고, 지도안은 초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 수록된 ‘누구를 만날까요’를 독주곡으로 제시하였고 초등학교 2학년 교과서에 수록된 ‘봄’을 합주지도안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피페’ 교육을 통하여 초등학교 기악수업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키고 합주를 통해 악곡의 표현을 체험하도록 하였다. 또한, 쉽게 연주법을 익힐 수 있는 ‘피페’의 학습을 통하여 학생들이 악기 연주에 자신감을 갖고 어려서부터 음악을 즐겁게 향유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피페’가 더 많이 보급되고 알려져 친숙하게 활용되기를 바라고 특히, 특기·적성교육에서 시발점이 되어 초등학교 저학년이 리듬악기 뿐만 아니라 가락악기의 영역이 확대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