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 사회성 발달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

        이원미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미디어 중독 포함), 사회성 발달(또래 및 교사와의 관계)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 교육청 영재교육원 및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에서 교육을 받고 있는 초·중등 영재아동 322명과 울산광역시 강남·강북 교육청 소속의 초·중등 일반아동 344명으로 총 666명이었다. 연구목적에 근거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은 집단, 연령 및 성별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2.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특성에 따라 사회성 발달, 미디어 중독 및 문제행동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 2-1.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성 발달은 어떠하며 집단,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 2-2.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중독은 어떠하며 집단,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 2-3.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문제행동은 어떠하며 집단,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문제 3.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특성에 따라 미디어 사용과 사회성 발달, 미디어 중독 및 문제행동 간의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1.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에 따라 사회성 발달은 어떠한가? 3-2.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에 따라 미디어 중독은 어떠한가? 3-3.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에 따라 문제행동은 어떠한가?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미디어 사용은 집단, 연령 및 성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아동이 영재아동보다 가정에서의 TV 평균 보유수가 높았으며, 여아가 남아보다 비디오와 핸드폰 보유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컴퓨터와 신문의 평균 보유수는 영재아동이 일반아동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령이 높을수록 신문 사용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영재아동과 일반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미디어 중독, 문제행동 간에는 각각 부적인 상관이 있으며, 미디어 중독과 문제행동은 각각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재아동이 일반아동보다, 여아가 남아보다 사회성 발달이 높았으며, 미디어 중독은 일반아동이 영재아동보다 높고, 연령이 높을수록 미디어 중독과 문제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영재아동의 경우, 핸드폰 게임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사회성 발달이 낮고, 미디어 중독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TV 시청시간과 컴퓨터 게임, MP3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미디어 중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아동의 경우, TV 시청시간과 게임을 제외한 컴퓨터 사용, 컴퓨터 게임, 핸드폰 게임, MP3 사용시간이 많을수록 미디어 중독이 높게 나타났으며, 독서 시간이 많을수록 미디어 중독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media use(including the media addiction), social development(relationships with peer group and teacher), and behavior problems in gifted children comparing with those in ordinary children. Three hundred and twenty two gifted children who attend either the Education Center for the Gifted in Ulsan metropolitan city or Institute for Science Gifted Education at UOU and 344 ordinary children participated in the survey.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1.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age, and gender in the media use of gifted children comparing with that of ordinary children? 2. Is there a significant difference of social development, media addiction, and behavior problems in gifted children and the ordinary children? 2-1. How is the social development in gifted children and the ordinary children? 2-2. How is the media addiction in gifted children and ordinary children? 2-3. How is the behavior problems in gifted children and the ordinary children? Descriptive and inferential analyses revealed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dia use between gifted children and ordinary children. Average number of TV at home was higher in ordinary children than that in gifted children. The opposite trend was revealed in the number of computers and newspapers at home and reading time.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the number of video programs and cellular phones: Girls have more video programs and cellular phones than boys. With age children use more newspapers. Second, there were similar patterns of correlation among social development, media addiction, and behavior problem both in the gifted children and the ordinary children, As expected, social development and media addiction and behavior problem showed negative correlations in both groups.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V watching time, computer game, MP3 use and media addiction in the gifted children and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use of cellular phone and the social development and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use of cellular phone and the media addiction. In case of the ordinary children, there were positive correlations among TV watching time, computer use, computer game use, cellular phone game, MP3 use and media addiction and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reading time and media addiction.

      •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의료장비 알람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이제경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47

        Abstract Factors affecting alarm management activities for medical devices among intensive care unit nurses Lee, Je Kyung Department of Nursing The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Ulsan Supervised by Prof. Jang, Aele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medical device alarms, alarm fatigue, patient safety culture, and alarm management activities among intensive care unit (ICU) nurses,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alarm management activities for medical devices.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February 2, 2021 to February 28, 2021.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56 ICU nurses at two tertiary general hospitals located in B Metropolitan City, and one tertiary general hospital and one general hospital located in U City, South Korea,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e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is study was conducted after receiving approval from the Institutional Review Committee (IRB) at U University. This study used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at consists of a total of 118 items, including 10 items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items regarding alarm-related characteristics, 18 items regarding perception of alarms, nine items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larm-related issues, eight items regarding alarm fatigue, 44 items regarding patient safety culture, and 22 items regarding alarm management activiti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a t-test,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By gender,10.3% were men and 89.7% were women. The average age was 28.89±5.90 years old, with 69.2% in their 20s, 24.4% in their 30s, and 6.4% in their 40s. In terms of marital status, 27.6% were married, and 72.4% were unmarried. In terms of education level, 78.8% had an associate's degree, 16.7% had a bachelor's degree, and 4.5% had a master's degree or higher. In terms of hospital size, 64.1% were tertiary hospital nurses, and 35.9% were general hospital nurses. In terms of working department, 48.1% were nurses working in internal medicine ICU, 34.0% in surgical ICU, and 17.9% in cardiovascular ICU. The average clinical career length was 5.83±6.25 years, with 39.7% having a clinical career length of < 3 years, 22.4% having a clinical career length of 3 to 5 years, 21.8% having a clinical career length of 5 to 10 years, and 16% having a clinical career length of ≥ 10 years.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one nurse was in charge of was 2.85±0.64. In terms of shift patterns, 96.8% were three-shift workers, and 3.2% were two-shift workers. The average level of physical fatigue in the past one week was 7.41±1.43 out of a total of 10 points. 2. With regard to the alarm-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the medical devices that emit alarms included ventilators (98.1%), infusion pumps (96.8%), physiological monitors (93.6%),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equipment (80.1%), and the hemodialyzer (66.7%). With regard to alarm management, 92.3% reported that when a medical device sounded an alarm, the causes of the alarm were solved. The medical device with the highest alarm fatigue was physiological monitors (48.8%), followed by ventilators (24.4%),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equipment (18.6%), and infusion pumps (5.1%). In the recent two years, 80.1% received education on how to use medical devices, and 64.7% received education on medical device alarm management. As for the education methods on how to use medical devices, 76.8% were given a brief explanation in the ICU while on duty, and the medical devices in which they were educated included ventilators (83.2%), fluid infusion pumps (62.4%),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equipment (61.6%), and physiological monitors (52.8%). As for the education method on alarm management, 70.3% of the participants were briefed in the ICU while on duty, and the medical devices in which they were educated included ventilators (79.2%), infusion pumps (68.3%),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61.4%), and physiological monitors (55.4%). In addition, 37.8% experienced medical device alarm-related patient safety accidents, of whom 10.9% had direct experiences and 26.9% had indirect experiences. Among those who had experienced such accidents, 67.8% received feedback such as recommended education on medical device alarms or guideline changes. The mean score for the need for alarm-related regular education was 4.05±0.76 out of 5 points. 3. The mean score for the perception of medical device alarms among the participants was 3.48±0.30 out of 5 points. Among alarm-related issues, the perceived most important issue was that “Frequent false alarms, which lead to reduced attention or response to alarms when they occur.” The score for alarm fatigue among the participants was 3.58±0.50 out of 5 points. The score for patient safety culture was 3.39±0.23 out of 5 points. The score for alarm management activities among the participants was 2.66±0.37 out of 4 points. 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alarms according to education level (F=3.897, p=.022) among the participants’ general characteristics and alarm-related characteristics. 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arm fatigu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experiencing patient safety accidents (F=3.730, p=.026). 6.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atient safety culture according to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ceiving education on how to use medical device (t=3.492, p=.001)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ceiving education on medical device alarm management (t=3.148, p=.002). 7.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alarm management activities according to hospital size (t=-3.482, p=.001),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ceiving education on how to use medical devices (t=3.295, p=.001), and the presence or absence of receiving education on medical device alarm management (t=3.788, p=<.001). 8. The alarm management activitie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verage number of patients in charge of nurses (r=-.283, p=<.001), alarm fatigue (r=-.173, p=.031), and the perceived third-most important alarm-related issue that “Over-reliance on alarms to call attention to patient problems.” (r=-.283, p=.048). Patient safety culture (r=.251, p=.002)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perceived ninth-most important alarm-related issue that “Difficulty in hearing alarms when they occur.” (r=.224, p=.005). 9.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alarm management activities among the participant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by inputting the participants’ alarm-related characteristic variables in the first stage, alarm perception and alarm fatigue variables in the second stage, and patient safety culture variables in the third stage. The most significant explanatory variable was the perceived important alarm-related issue “Difficulty in hearing alarms when they occur.” (β=-.254, p=.001), followed by patient safety culture (β=.174, p=.025), and hospital size (β=.226, p=.028).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for alarm management activities was 23.0% (F=6.773, p<.001, adj.R2=.230). In conclusion, this study determined the levels of perception of medical device alarms, alarm fatigue, patient safety culture, and alarm management activities among ICU nurses, and found that the factors affecting alarm management activities included a perceived important alarm-related issue that “Difficulty in hearing alarms when they occur.”, patient safety culture, and hospital size.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intervention strategies and education to reduce alarm fatigue among ICU nurses and promote their alarm management activities. 국문 초록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의료장비 알람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본 연구는 집중치료실 간호사를 대상으로 의료장비에 대한 알람인식, 알람피로, 환자안전문화, 알람관리 활동의 정도를 확인하고 알람관리 활동의 영향요인을 파악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21년 2월 2일부터 2월 28일까지였으며, 연구 대상은 B광역시 소재 2개 상급종합병원, U시 소재 1개 상급종합병원과 1개 종합병원에서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집중치료실 간호사 156명으로 U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 후 진행되었다. 연구도구는 구조화된 설문지로 일반적 특성 10문항, 알람 관련 특성 7문항, 알람인식 18문항, 알람 관련 문제 중요도 순위 9문항, 알람피로 8문항, 환자안전문화 44문항, 알람관리 활동 22문항이며 총 118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연구목적에 따라 t-test와 ANOVA, Scheffé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성별은 남자가 10.3%, 여자가 89.7%였으며, 평균연령은 28.89±5.90세로 20대가 69.2%, 30대가 24.4%, 40대가 6.4%였다. 결혼상태는 기혼이 27.6%, 미혼이 72.4%였다. 학력은 학사가 78.8%, 전문학사가 16.7%, 석사이상은 4.5%였고, 병원규모에 따른 상급종합병원 간호사는 64.1%, 종합병원 간호사는 35.9%였다. 근무부서는 내과계 집중치료실이 48.1%, 외과계 집중치료실이 34.0%, 심혈관계 집중치료실이 17.9%였다. 총 임상경력은 평균 5.83±6.25년으로 3년 미만이 39.7%, 3년에서 5년 미만이 22.4%, 5년에서 10년 미만이 21.8%, 10년 이상이 16%였다. 집중치료실 근무경력은 평균 4.54±4.66년으로 3년 미만이 47.4%, 3년에서 5년 미만이 21.2%, 5년에서 10년 미만이 21.2%, 10년 이상이 10.3%였다. 간호사 한명이 평균적으로 담당하는 환자의 수는 평균 2.85±0.64명이었으며, 근무형태는 3교대가 96.8%, 2교대는 3.2%였다. 최근 1주일 내 신체적으로 느끼는 피로의 정도는 총 10점 만점에 평균 7.41±1.43점이었다. 2. 대상자의 알람 관련 특성 중 알람을 유발하는 의료장비는 인공호흡기가 98.1%, 수액주입펌프 96.8%, 생리학적 모니터 93.6%, 지속적 신대체 요법 장비 80.1%, 혈액투석기 66.7%였다. 의료장비 알람유발 시 관리방법으로 알람의 원인을 해결한다는 응답이 92.3%였고, 알람피로도가 가장 높은 의료장비로는 생리학적 모니터가 48.8%, 인공호흡기가 24.4%, 지속적 신대체 요법 장비가 18.6%, 수액주입펌프는 5.1%였다. 최근 2년 이내 의료장비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은 80.1%가 받았고, 최근 2년 이내 의료장비 알람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은 64.7%가 받았다. 의료장비 사용방법에 대한 교육방법은 근무 중 짧은 집중치료실 내 설명이 76.8%였고, 교육받은 의료장비는 인공호흡기 83.2%, 수액주입펌프 62.4%, 지속적 신대체 요법 장비 61.6%, 생리학적 모니터 52.8%였다. 알람관리 방법에 대한 교육방법 역시 근무 중 짧은 집중치료실 내 설명이 70.3%였고, 교육받은 의료장비는 인공호흡기 79.2%, 수액주입펌프 68.3%, 지속적 신대체 요법 장비 61.4%, 생리학적 모니터 55.4%였다. 의료장비 알람 관련 환자안전사고는 37.8%가 경험했으며 그 중 직접 경험은 10.9%, 간접 경험은 26.9%였다. 경험자 중 67.8%는 의료장비 알람과 관련된 개선교육이나 지침변경 등의 피드백을 받았다. 알람과 관련하여 정기적인 교육의 필요성은 총 5점 만점에 평균 4.05±0.76점이었다. 3. 대상자의 알람인식은 총 5점 만점에 평균 3.48±0.30이었다. 알람과 관련된 문제 중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1위는 ‘자주 발생하는 위양성 알람으로 인해 알람에 대한 경각심과 대처가 감소한다.’였다. 대상자의 알람피로는 총 5점 만점에 3.58±0.50이었고, 환자안전문화는 총 5점 만점에 3.39±0.23점이었다. 대상자의 알람관리 활동의 정도는 총 4점 만점에 2.66±0.37점이었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 관련 특성에 따른 알람인식은 교육정도(F=3.897, p=.02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5.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 관련 특성에 따른 알람피로는 환자안전사고 경험여부(F=3.730, p=.026)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6.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 관련 특성에 따른 환자안전문화는 의료장비 사용방법 교육 유무(t=3.492, p=.001), 의료장비 알람관리 방법 교육 유무(t=3.148, p=.002)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7.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알람 관련 특성에 따른 알람관리 활동은 병원규모(t=-3.482, p=.001), 의료장비 사용방법 교육 유무(t=3.295, p=.001), 의료장비 알람관리 방법 교육 유무(t=3.788, 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8. 알람관리 활동은 간호사의 평균 담당 환자 수(r=-.283, p=<.001)와 알람피로(r=-.173, p=.031), 알람 관련 문제 중요도 3위인 ‘환자상태 변화를 감지하기 위해 알람에 과도하게 의존한다.’(r=-.283, p=.048)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환자안전문화((r=.251, p=.002)와 알람 관련 문제 중요도 9위인 ‘알람 소리가 잘 안 들린다.’(r=.224, p=.005)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9. 대상자의 알람관리 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첫 번째 단계에는 대상자의 알람 관련 특성 변수를, 두 번째 단계에는 알림인식과 알람피로를, 세 번째 단계에는 환자안전문화를 입력하여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개별 변수로는 알람 관련 문제 중요도 중 ‘알람소리가 잘 안 들린다.’(β=-.254, p=.001), 환자안전문화(β=.174, p=.025), 병원규모(β=.226, p=.028)의 순서로 유의한 설명변수였으며, 이 변수의 알람관리 활동에 대한 설명력은 23.0%였다(F=6.773, p<.001, adj.R2=.230).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집중지료실 간호사의 의료장비에 대한 알람인식, 알람피로, 환자안전문화, 알람관리 활동의 정도를 확인하고, 알람 관련 문제 중요도 중 ‘알람소리가 잘 안 들린다.’, 환자안전문화, 병원규모가 알람관리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결과는 집중치료실 간호사의 알람피로를 줄이고 알람관리 활동 증진을 위한 중재 전략과 교육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유아 언어발달 및 유아지능과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관계

        황은아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에서는 유아 언어발달 및 유아지능과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은 울산광역시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 32명과 그들의 어머니로 간식시간 및 이야기 시간에서 어머니와 유아의 자발발화를 촬영하였다. 이러한 발화 자료를 전사한 후 총발화수를 산출하고, UTagger 한국어 형태소 분석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형태소를 분석한 후 평균발화길이, 어휘다양도(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 어휘다양비)를 산출하였다. 또한 유아를 대상으로 한국 웩슬러 지능검사 4판(K-WPPSI-Ⅳ)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유아 월령과 성별에 따른 언어발달 및 지능, 어머니 언어입력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유아 언어발달, 유아지능,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상관을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어머니 언어입력이 유아 언어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연구문제에 기초하여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언어발달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 월령과 관련하여 다른낱말수는 36~51개월 유아보다 52~71개월 유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분석에서 평균발화길이는 남아보다 여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유아 언어발달 측정치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총발화수는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평균발화길이는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다른낱말수는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전체낱말수는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둘째, 유아지능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 월령에 따른 유아지능 소검사 수행 차이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지표 및 전체 IQ 수행에서 유동추론지표는 36~51개월 유아보다 52~71개월 유아가 높게 나타났으며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유아지능 소검사 수행과 지표 및 전체 IQ수행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 언어입력의 일반적인 경향을 살펴본 결과 유아 월령에 따른 어머니 언어입력은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유아 성별에 따른 어머니 언어입력은 총발화수,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에서 여아의 어머니 보다 남아의 어머니가 높게 나타나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어머니 언어입력 측정치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총발화수는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평균발화길이는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다른낱말수는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고,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전체낱말수는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넷째, 유아 언어발달과 유아지능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유아 언어발달과 유아지능 소검사 수행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총발화수,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가 동형찾기 수행과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휘다양비는 동형찾기 수행과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유아 언어발달과 유아지능 지표 및 전체 IQ 수행 간의 상관관계에서는 총발화수, 다른낱말수, 전체낱말수가 처리속도지표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휘다양비는 처리속도지표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디섯째, 유아 언어발달과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유아 총발화수는 어머니 다른낱말수, 어머니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유아 다른낱말수는 어머니 총발화수, 어머니 다른낱말수, 어머니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유아 전체낱말수는 어머니 총발화수, 어머니 전체낱말수와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으며, 어머니 어휘다양비와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다. 여섯째, 유아지능과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유아지능 소검사, 지표 및 전체 IQ 수행과 어머니 언어입력 간의 상관이 보이지 않았다. 일곱째, 유아 언어발달에 대한 어머니 언어입력이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유아 총발화수는 어머니 총발화수에 의해 60%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 다른낱말수는 어머니 전체낱말수에 의해 16%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아 전체낱말수는 어머니 총발화수에 의해 17% 변량이 설명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약컨대 유아의 언어발달 측정치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연령과 성에 따른 차이가 있었다. 유아 언어발달 측정치와 유아 지능 간의 상관을 살펴본 결과 처리속도지표만 상관을 보였으며 유아 언어발달 측정치와 처리속도지표가 가장 밀접한 것으로 사료된다. 어머니의 언어입력은 유아의 언어발달과는 유의한 상관이 있었지만 지능과는 상관이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어머니 언어입력은 유아 지능보다 유아 언어발달과 더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여준다.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와 부산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3~5세 유아 32명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진행하였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표집, 전사 및 분석에 소요되는 시간적 부담이 크다고 알려진 자발화 분석을 통한 언어발달 평가를 통해 어머니와 유아의 자연스러운 발화자료 분석을 통해 언어자료를 수집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유아 언어발달과 어머니 언어입력간의 관계를 알아본 다수의 연구들과 달리 유아지능 검사를 실시하여 유아 언어발달 및 유아지능, 어머니 언어입력간의 관계를 알아보았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보육교사와 2세 영아의 신체접촉과 놀이성이 영아의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곽미승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47

        Physical contact with infants is important because it affects their development. This study would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daily physical contact on the development of two-year-old infant of child care teachers. In particular,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natural daily physical contact and playfulness on infants’ problem behavior and relationship between them even if teachers do not plan and implement physical contact play.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teachers’ perceived daily physical contact with two-year-old infant, playfulness on infants’ problem behavio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hree variable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What is the general trend between teacher-infant physical contact, playfulness, and infant problem behavior during daily operation? Research Question 2.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infant physical contact, playfulness, and infant problem behavior during daily operation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fants and child care teachers? 2-1.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infant physical contact, playfulness, and infant problem behavior during daily operations according to infants’ general characteristics? 2-2. Are th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infant physical contact, playfulness, and infant problem behavior during daily operations according to child care teachers’ general characteristics? Research Question 3. What is the relationship of teacher-infant physical contact, playfulness, and infant problem behavior during daily operation? Research Question 4. What is the relative influence of teacher-infant physical contact and playfulness on infant problem behavior during daily operation?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August 14 to October 6, 2023, from two-year-old classroom daycare teachers working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five districts and counties in U. Metropolitan City and two-year-old infants. After completing the questionnaires, the researcher personally visited the institution to collect them, and a total of 16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of which 158 were used as the final data, excluding three with responses. This study employed SPSS 29.0 for data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for each scale,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eneral trend of each factor was: Teacher-infant physical contact during daily operation had a mean value above the median, and infant problem behavior was generally low. playfulness wa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the other variable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between physical contact, infant problem behavior, and playfulness based on the daycare teachers’ general characteristics. Third, the researcher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teacher-infant physical contact, infant problem behavior, and playfulness, and found partial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sub-variables. Fourth, the researcher examined the relative effects of teacher-infant physical contact and infant playfulness on infant problem behavior, the emotional situation a sub-variable of physical contact between teacher and infant and physical spontaneity a sub-variable of playfulness, had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infant problem behavior, while social spontaneity a sub-variable of playfulness had a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infant problem behavior. The above findings confirm the importance of teacher-infant physical contact during daily operation in daycare centers and suggest that further research on the influence of physical contact in daily life is needed. Therefore, hopefu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utilized as baseline data for promoting physical contact appropriate to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infants in childcare institutions. 영아의 신체접촉은 발달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세 영아의 어린이집 하루일과에서의 신체접촉과 놀이성이 가지는 영향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교사가 신체접촉놀이를 계획, 실행하지 않더라도 일과 내 자연스러운 신체접촉과 놀이성이 영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관계를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일과 운영 중 2세 영아와의 신체접촉과 놀이성이 영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일과 운영 중 교사-영아의 신체접촉과 놀이성, 영아 문제행동 간의 일반적인 경향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영아와 보육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일과 운영 중 교사-영아의 신체 접촉, 놀이성, 영아 문제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1. 영아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일과 운영 중 교사-영아의 신체접촉, 놀 이성, 영아 문제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2-2. 보육교사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일과 운영 중 교사-영아의 신체접촉, 놀이성, 영아 문제행동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일과 운영 중 교사-영아의 신체접촉, 놀이성, 영아 문제행동은 유의한 상관이 있는가? 연구문제 4. 일과 운영 중 교사-영아의 신체접촉과 영아 놀이성이 영아 문제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U광역시에 5개 구군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2세반 보육교사 와 2세 영아를 대상으로 2023년 8월 14일부터 10월 6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설문 완료 후에는 연구자가 직접 기관에 재방문하여 수거하였으며, 회수한 설문지는 총 167부로, 이 중 응답이 불성실한 9부를 제외한 158부를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는 자료 분석은 SPSS 29.0 프로그램을 활용하였으며, 각 척도에 대한 탐색 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각 요인의 일반적인 경향은 일과 운 영 중 교사-영아 간의 신체접촉은 중간값 이상의 평균값이 나타났으며, 놀이성은 다 른 변인들에 비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영아의 문제행동의 경우 전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둘째, 일과 운영 중 교사-영아의 신체접촉, 놀이성, 영아 문제행동은 일반적 인 특성인 어린이집 유형, 보육교사 연령, 결혼 여부, 최종학력, 영아반 보육경력, 자격 증 유형, 자격증 취득경로, 전공에 따라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셋째, 일 과 운영 중 교사-영아의 신체접촉, 놀이성, 영아 문제행동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 과, 하위변인 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영아 문제행동에 대한 교사 변인, 교사-영아 간의 신체접촉과 놀이성의 상대적 영향력 살 펴본 결과, 교사-영아의 신체접촉 하위변인인 정서 상황과 놀이성의 하위변인인 신체 적 자발성은 유의한 정적 영향, 놀이성의 하위변인인 사회적 자발성은 부적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어린이집에서 일과 운영 중 보육교사와 영아의 신체접촉 중요성을 확인하였으며, 일과 운영 중 신체접촉의 영향력에 관한 후속 연구가 지속적 으로 필요함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 결과가 보육기관에서 영아의 발달, 특성에 따라 적절한 신체접촉을 증진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에 관한 문헌연구 :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 수행 분석을 중심으로

        윤소영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literature reviewed academic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 measured by the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K-WPPSI) to investigate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First of all, prior to analyzing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I categorized these publications by the published year, the number of participants(n), ages of participants, and participant grouping (either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and organized them. Second, I analyzed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Park, Kwak, Park, 1996b),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IV (K-WPPSI-IV) (Park, Lee, Ahn, 2016),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II(K-WISC-III) (Kwak, Park, Kim, 2001b), and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IV(K-WISC-IV) (Kwak, Oh, Kim, 2011) by focusing on subtests, indexes, and the levels of IQ to analyze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The research outcome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 found the total of 4 publications reporting on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s performance among the 70 publications reporting on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which include 46 publications measuring performanc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20 publications measuring those of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participants on the gener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360, which averaged n=64.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3 to 7. Among the result of performances on the subtests, the Geometric Design showed the highest scores (M=12.73(SD=3.92)) and the Vocabulary showed the lowest scores (M=9.79(SD=2.57)). By the performances of the IQ indexes, the Performance Intelligence Quotient(PIQ) (M=103.68(SD=16.53)) and Vocabulary Intelligence Quotient(VIQ) (M=103.68(SD=14.82)) showed similar scores and the mean of the Full-Scale Intelligence Quotient(FIQ) was 103.23(SD=15.06). The numbers of the exceptional children whos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varied from n=1 to 40, and the average was n=11.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3 to 13. By performances of the subtests, the Information showed the highest scores (M=7.01(SD=1.73)) and the Geometric Design showed the lowest scores (M=5.50(SD=2.12)). By performances of the IQ indexes, PIQ(M=81.45(SD=14.00)) showed the higher scores than the VIQ(M=77.56(SD=12.92)), and the average of the FIQ was 82.61(SD=10.37). Finding the between-group similarity as to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higher scores on the performances of the PIQ than VIQ.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for the K-WPPSI greatly represent the ability that is influenced by genetic and biological factors rather than experiential or learning factors. Whereas searching the between-group difference,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 Geographic Design, bu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performance of the Geographic Design.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showed the highe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and visual-motor integration, ye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lower abilities in these categories than the general children. Second, the number of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IV was 10 and all were subjected to the general children. The numbers of participants on the general children varied from n=36 to 148, which averaged n=88. The participants' ages were 2 to 7. By performances of the subtests, the Bug Search showed the highest scores(M=12.24(SD=2.75)) and the lowest scores(M=8.32(SD=2.51)). By performances of the basic indexes, the Processing Speed Index(PSI) showed the highest scores(M=108.65(SD=13.29)) and Verbal Comprehension Index(VCI) showed the lowest scores(M=97.44(SD=13.68)). The average performance of the FSIQ was 104.30(SD=12.85). Comparing the performanc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measured equally by the K-WPPSI and K-WPPSI-IV, both examinations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VCI.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a lack of vocabulary and language expression ability. On the other hand, the K-WPPSI showed the highest scores on the Geographic Design, and similarly, the highest scores were shown on the Bug Search that was conducted in a similar manner of measuring the Geographic Design outcomes, although I acknowledge that the Geographic Design was excluded on the K-WPPSI-IV so that it might not be possible to directly compare to one another. It could be interpreted that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younger general children were associated with the superio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visual-motor integration. Third, among the total of 88 publications reporting the performance outcomes measured by the K-WISC-III, 14 studies examined both the general and exceptional children, 16 studies solely conducted to the general children and the rest of 58 examined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the general children participants ranged from n=1 to 357, which averaged n=62. The ages of the participants were from 3 to 16. By the subtests, the Similarities showed the highest scores M=11.01(SD=2.99)) and the Digit Span resulted in the lowest scores (M=8.85(SD=2.25)). By the indexes, the VCI showed the highest scores (M=103.35(SD=12.42)), and the PSI resulted in the lowest scores(M=100.14(SD=13.50)). By performances of the IQs, VIQ(M=104.07(SD=14.84)) showed the higher scores than the PIQ(M=102.26(SD=14.87)) and the FIQ score was 102.89(SD=14.07). The numbers of participants in the studies conducting the K-WISC-III to exception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297 and the average was n=38. These participants' ages were 5 to 16.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the Similarities was the highest(M=10.25(SD=2.71)) and the Mazes was the lowest(M=7.55(SD=2.74)). Performances by the indexes proved that the Perceptual Organization Index(POI) was the highest M=92.30(SD=15.68)), the Freedom from Distractibility Index(FDI) was the lowest(M=90.38(SD=14.75)). Performances by IQs resulted that VIQ(M=93.59(SD=13.95)) was higher than the PIQ(M=91.82(SD=14.09)) and the average performance FIQ was 90.60(SD=13.25). Looking up the between-group similarity of the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ISC-III,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reached to the highest scores on the Similarities subtest. The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for the K-WISC-III had the superior ability in verbal conceptual formation and reasoning. Additionally, the similar outcome was also convinced that both of them performing higher VIQ scores than PIQ scores.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Korean children showed the advanced ability in verbal knowledge and number concepts that are influenced by experience and learning. Whereas the performance difference of the between-group was that the general children scored the lowest in the Digit Span subtest, but the exceptional children performed the lowest in the Mazes subtest.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the older general children showed limited attention, concentration, and short-term memory. Whereas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the lacks of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in planning, visual-motor integration, speed, and precision. Fourth, among the 15 publications adapted the K-WISC-IV, the total of 4 publications both examined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another 5 studies conducted to the general children, and the rest of 6 studied with the exceptional children. The numbers of the participants in the studies relevant to the general children ranged from n=6 to 200, which the average was n=39. The participants' ages ranged from 4 to 16.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scores of the Cancellation were the highest (M=12.50(SD=5.41)) and the Coding scores were the lowest (M=9.04(SD=2.74)). Performances by the indexes showed that the PRI scored the highest (M=99.76(SD=14.19)) and the PSI scored the lowest(M=95.24(SD=14.07)). The FSIQ performance average was 97.05(SD=13.43). The numbers of participants in the studies conducting the K-WISC-IV to the exceptional children varied from n=1 to 91, which averaged n=22. The participants' ages varied from 5 to 19. Performances by the subtests showed that the Picture Completion scored the highest(M=8.63(SD=3.39)) and the Letter-Number Sequencing scored the lowest(M=6.34(SD=2.72)). Performances by the indexes showed that the PRI scored the highest (M=88.64(SD=14.82)) and the PSI scored the lowest(M=81.26(SD=12.89)). The FSIQ performance average was 79.72(SD=7.66). Looking up the commonality of the between group measured by the K-WISC-IV, both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scored the highest on the PRI and the lowest on the PSI. The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of Korean children whose age ranges suitable to using the K-WISC-IV showed the superior ability in perception construction, spatial perception, and reasoning, but they were relatively deficient at mental acuity, visual memorization. While the difference of the between-group was that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in the Coding subtest and the exceptional children scored the lowest in the Letter-Number Sequencing subtest. The older general children lacked in the mental acuity, yet the exception children showed the limited mental control and concentration. Comparing the performanc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measured by both K-WISC-III and K-WISC-IV, the general children showed the lowest scores on the PSI in the both examinations. Additionally, similar outcomes were found that the exceptional children scored higher on the performances by the factors and indexes than the FSIQ performances. The older general children showed a relatively less intellectual ability in mental acuity and short-term memory. On the other hand, I found the similar outcome that the exceptional children showed a lower ability in both examinations of the Coding subtest. This result can be interpreted that the older exceptional children may lack mental acuity and visual-motor integration. As comparing the outcomes of the general children and exceptional children measured by the K-WPPSI and K-WISC-III, both groups scored higher on the PIQ than the VIQ in the K-WPPSI. In particular, scores on the subtests of the Object Assembly and Picture Completion were high.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K-WISC, the PIQ scores were lower than the VIQ scores. In particular, scores on the Information, Similarities, Arithmetics, and Vocabulary were relatively high. The younger Korean children showed the superior ability in visual memorization that was greatly determined by genetic and biological factors, yet the older children gradually made an improvement in the numeric concept or verbal ability influenced by experience or learning. Comparing the K-WPPSI-IV and K-WISC-III performances of the general children, it showed that the PSI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 K-WPPSI-IV and the VCI scored the lowest in the K-WISC-III. Whereas the VCI showed the highest scores in the K-WISC-III and the PSI reached to the lowest scores. The younger Korean children have gradually improved verbal ability that is influenced by experience or learning. In conclusion, this study significantly contributes to the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 research through the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of the studies relevant to performances measured by the K-WPPSI, K-WPPSI-IV, K-WISC-III, and K-WISC-IV. Additionally, it not only provides baseline data of Korean children's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but also suggests some potential research directions for the future. Keywords: General children, Exceptional children, Intellectual characteristics,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K-WPPSI), Korean-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Fourth edition(K-WPPSI-IV),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Third edition(K-WISC-III), Korean-Wechsler Intelligence Scale for Children-Fourth edition(K-WISC-IV)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을 중심으로 문헌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먼저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분석하기 전에 조사대상 논문의 특성을 논문발표연도, 출처, 연구대상자 수(n), 연구대상연령, 연구대상집단(일반아동과 특수아동)으로 분류하여 정리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K-WPPSI)(박혜원, 곽금주, 박광배, 1996b), 한국 웩슬러 유아지능검사 4판(K-WPPSI-IV)(박혜원, 이경옥, 안동현, 2016), 한국 웩슬러 아동지능검사 3판(K-WISC-III)(곽금주, 박혜원, 김청택, 2001b)과 4판(K-WISC-IV)(곽금주, 오상우, 김청택, 2011)의 수행을 중심으로 소검사, 지표, 지능수준에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70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46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20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360명까지였고, 평균 64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7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의 평균은 도형(M=12.73(SD=3.9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휘(M=9.79(SD=2.57))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의 평균은 동작성IQ(M=103.68(SD=16.53))와 언어성IQ(M=103.68(SD=14.82))가 유사하게 나타났고, 전체IQ는 103.23(SD=15.06)이었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40명까지였고, 평균 11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13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의 평균은 상식(M=7.01(SD=1.7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도형(M=5.50(SD=2.1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의 평균은 동작성IQ(M=81.45(SD=14.00))가 언어성IQ(M=77.56(SD=12.92))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는 82.61(SD=10.37)이었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 즉 유아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 형성되는 능력보다 유전적ㆍ생물학적 요인의 영향을 반영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시각-운동협응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이러한 능력들이 일반아동에 비해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둘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은 10편이었고, 모두 일반아동을 검사하였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36명에서 148명까지였고, 평균 88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2세에서 만 7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동형찾기(M=12.24(SD=2.75))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어휘(M=8.32(SD=2.51))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기본지표별 수행은 처리속도(M=108.65(SD=13.2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언어이해(M=97.44(SD=13.68))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104.30(SD=12.85)이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와 4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 아동만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두 검사 모두에서 어휘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에 대해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단어 지식과 언어표현 능력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편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에서는 도형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이 소검사가 4판에서는 삭제되었기 때문에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도형 소검사와 유사한 실시방법으로 측정되는 동형찾기 소검사의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는 것도 유사한 점이라 볼 수 있다. 이 점에서 낮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시각-운동협응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셋째,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88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1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16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58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357명까지였고, 평균 62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3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공통성(M=11.01(SD=2.9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숫자(M=8.85(SD=2.25))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인별 수행은 언어이해(M=103.35(SD=12.4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100.14(SD=13.50))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은 언어성IQ(M=104.07(SD=14.84))가 동작성IQ(M=102.26(SD=14.87))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 수행 평균은 102.89(SD=14.07)로 나타났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297명까지였고, 평균 38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5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공통성(M=10.25(SD=2.7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미로(M=7.55(SD=2.74))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인별 수행은 지각조직(M=92.30(SD=15.68))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주의집중(M=90.38(SD=14.75))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IQ별 수행은 언어성IQ(M=93.59(SD=13.95))가 동작성IQ(M=91.82(SD=14.09))보다 높게 나타났고, 전체IQ 수행 평균은 90.60(SD=13.25)이었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공통성 소검사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점에서 아동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언어적 개념형성 능력과 추론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언어성IQ 수행이 동작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는 점도 유사한 점으로 볼 수 있다. 즉 높은 연령의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언어적 지식 및 수 개념에 대한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숫자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지만, 특수아동의 경우 미로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살펴보면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주의력 및 집중력과 단기기억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고, 반면에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계획 능력, 시각-운동협응 능력, 속도 및 정확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넷째,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 15편 중 일반아동과 특수아동을 모두 검사한 논문은 4편이었으며, 일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5편, 특수아동만을 검사한 논문은 6편이었다. 일반아동에 대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6명에서 200명까지였고, 평균 39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4세에서 만 16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선택(M=12.50(SD=5.41))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호쓰기(M=9.04(SD=2.74))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표점수별 수행은 지각추론(M=99.76(SD=14.1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95.24(SD=14.07))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97.05(SD=13.43)로 나타났다. 특수아동에 대한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별 연구대상자 수(n)는 편당 1명에서 91명까지였고, 평균 22명이었다. 연구대상연령은 만 5세에서 19세까지였다. 소검사별 수행은 빠진곳찾기(M=8.63(SD=3.3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순차연결(M=6.34(SD=2.72))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지표점수별 수행은 지각추론(M=88.64(SD=14.82))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M=81.26(SD=12.89))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IQ 수행 평균은 79.72(SD=7.66)로 나타났다. 집단간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 수행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지각추론지표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들을 해석해 볼 때, 아동용 검사의 사용연령에 해당하는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은 지각구성 능력, 공간지각 능력, 추론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 시각적 기억 능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집단간 검사 수행의 차이점을 살펴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기호쓰기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고, 특수아동의 경우 순차연결 소검사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경우에는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이었고,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통제 능력과 집중력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과 4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과 특수집단 아동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일반아동의 경우 두 검사 모두에서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점을 통해 높은 연령의 일반아동의 지적 특성은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과 단기기억 능력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 아니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특수아동의 경우 두 검사 모두에서 기호쓰기 소검사 수행이 낮은 경향으로 나타난 것도 유사한 점이라 볼 수 있다. 이는 높은 연령의 특수아동의 지적 특성은 시각-운동협응 능력과 정신적 작업의 민첩성이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을 알 수 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와 아동 지능검사 3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과 특수집단 아동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일반아동과 특수아동 모두에서 유아용 검사의 경우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높게 나타났다. 특히 모양맞추기, 빠진곳찾기 소검사 수행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반면 아동용 검사의 경우 동작성IQ 수행이 언어성IQ 수행보다 낮게 나타났고, 특히 상식, 공통성, 산수, 어휘 소검사 수행이 높은 편임을 알 수 있다. 즉 낮은 연령의 한국아동은 시각적 기억 능력과 유전적이며 생물학적 요인이 결정하는 능력이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었지만, 연령이 높아질수록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수 개념 및 언어능력이 더 높은 경향으로 나타났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과 아동 지능검사 3판 모두를 통해 연구된 일반집단 아동만을 대상으로 두 검사의 수행특성을 비교해 보면 유아용 검사의 경우 처리속도지표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언어이해지표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반면 아동용 검사의 경우 언어이해 수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처리속도 수행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 결과 역시 경험이나 학습에 영향을 받는 일반아동의 언어능력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더 발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처럼 본 연구는 한국 웩슬러 유아 및 아동 지능검사의 수행을 보고한 논문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을 연구해 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한국아동의 지적 특성에 관한 기초자료를 제공함은 물론이고, 향후 관련 연구의 방향 설정에 시사점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도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 주요어: 일반아동, 특수아동, 지적 특성,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K-WPPSI), 한국 웩슬러 유아 지능검사 4판(K-WPPSI-IV),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3판(K-WISC-III), 한국 웩슬러 아동 지능검사 4판(K-WISC-IV)

      • 언어발달지체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미치는 영향

        서수민 울산대학교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47

        국 문 초 록 본 연구에서는 기질과 기질조화적합성이 언어발달지체유아의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의 차이는 어떠한가? 1-1.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 차이는 어떠한가? 1-2.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조화적합성 차이는 어떠한가? 1-3.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화용언어능력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간 상관은 어떠한가? 2-1. 언어발달지체유아의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간 상관은 어떠한가? 2-2. 일반유아의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간 상관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1.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담화 관리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2.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3.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의사소통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4.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3-5.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의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 전체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만 5세 언어발달지체유아 125명과 일반유아 125명이었다. 유아의 기질은 Rothbart(1981)의 유아용 기질 척도(CBQ-VSF, Putnam & Rothbart, 1981)로 측정하였다. 유아의 기질조화적합성은 CBQ-VSF 기질 문항과 어머니 요구도 문항을 짝지어, 두 점수의 차이로 정의하여 측정하였다. 유아의 화용언어능력은 오소정 외(2012) 아동화용언어체크리스트(Childrens's Pragmatic Language Checklist: CPLC)로 측정하였다. SPSS 25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독립표본 t-검정,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유아의 화용언어능력에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미치는 영향을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 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 언어발달지체유아는 일반유아보다 외향기질이 유의미하게 낮았으며, 외향조화적합성도 유의미하게 낮았다. 또한 언어발달지체유아가 담화 관리능력,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의 모든 화용언어능력에서 일반유아보다 유의미하게 낮았다. 둘째, 집단별로 변인 간 상관을 살펴보았는데, 먼저 언어발달지체유아에서 기질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 결과 주의통제기질과 담화 관리능력, 의사소통 의도 간 정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기질조화적합성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결과 외향조화적합성과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비언어적 의사소통, 화용언어능력 전체 간 정적 상관, 주의통제조화적합성과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간 정적 상관이 유의하였다. 일반유아에서는 기질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 결과 주의통제기질과 담화 관리능력,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 화용언어능력 전체 간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반면, 기질조화적합성과 화용언어능력 간의 상관분석결과 외향조화적합성과 의사소통 의도 간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주의통제조화적합성과 담화 관리능력 간에도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셋째, 집단별 기질 및 기질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언어발달지체유아에서는 주의통제기질이 담화 관리능력에만 영향을 주었고, 외향조화적합성이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그리고 화용언어능력 전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유아에서는 주의통제기질이 담화 관리능력, 상황·청자·맥락에 따른 조절 및 적용, 의사소통 의도, 비언어적 의사소통 및 화용언어능력 전체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의통제조화적합성도 주의통제기질과 마찬가지로 화용언어능력 전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간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및 변인 간 관계를 비교해 보았다. 두 집단 간에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모두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 모두에서 주의통제기질이 화용언어능력과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언어능력이 낮은 언어발달지체유아에서는 외향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반면, 일반유아에서는 주의통제조화적합성이 화용언어능력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각 집단에서 화용언어능력의 발달을 위해서 서로 다른 양육 특성을 적용하는 것이 적합하다는 것을 뜻하며, 기질조화적합성이론에서 강조하는 것과 같은 맥락이라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언어발달지체유아와 일반유아가 연구 변인 간의 차이를 보이며 영향요인의 관계가 다름을 살펴보았다. 특히 집단별 화용언어능력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그 관계를 분석하였다. 후속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대상인 언어발달지체유아의 다양한 개인차 및 특성을 고려한 양육특성과 중재방향에 대한 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언어능력에 따라 기질조화적합성의 영향이 달라지는 경향을 보이는지 검토하기 위해 다양한 언어능력 집단의 자료를 분석함으로써 본 연구결과의 일반화 가능성을 넓혀야 할 것이다. 주요어 : 기질, 기질조화적합성, 화용언어능력, 언어발달지체유아

      •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 특성 및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김남희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47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은 새로운 문화권에 적응을 하며 자녀양육을 하게 되어 자녀양육의 어려움과 심리적 위축감을 경험하게 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사회에서 살고 있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양육 특성(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과 심리적 특성(자아존중감, 불안)을 살펴보고, 부모지원프로그램이 양육 특성과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 특성(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심리적 특성(자아존중감, 불안)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 특성(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심리적 특성(자아존중감, 불안)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울산광역시에 거주하는 영유아 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 40명(실험집단 20명, 통제집단 20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실험집단은 사전검사(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불안) 후 부모지원프로그램이 실시되었고 사전검사와 동일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통제집단은 실험집단의 검사 시기에 맞춰 사전-사후검사만을 실시하였다. 부모지원프로그램은 회기 당 1시간이 소요되는 8회기의 교육이며, 매주 2시간씩 총 8시간 교육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기술통계, 독립표본 t-검증, 일원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양육 특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통제집단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한국거주기간과 출신국가에 따라서 양육지식의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실험집단, 통제집단을 합친 전체에서는 양육지식의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라서 양육스트레스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연구대상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심리적 특성의 차이를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은 출신국가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났다. 자아존중감은 동북아시아(중국, 일본, 몽골) 출신 어머니가 동남아시아(캄보디아, 베트남, 필리핀) 출신 어머니보다 높게 나타났다. 불안은 통제집단에서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연령과 주 사용언어에 따라서 차이가 나타났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살펴보았을 때 불안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부모지원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양육지식이 향상되었다. 다문화가정 어머니에게 강의와 시청각자료, 반복학습이 가능한 본 프로그램의 방법이 양육지식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었다. 넷째,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부모지원프로그램을 적용한 후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이 본 프로그램을 통해 자녀의 발달 특성과 기질을 이해하며 자신감을 회복하는 경향을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자녀양육을 돕기 위하여 부모지원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양육지식, 양육스트레스, 자아존중감, 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본 프로그램은 양육지식과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양육스트레스와 불안에는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추후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을 확대하고, 효과가 나타나지 않은 양육스트레스와 불안을 감소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내용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비교적 단기에 걸친 양육지식 등에 관한 부모지원프로그램이 다문화가정 어머니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가져올 수 있음을 다시 확인하였다. 주요어: 다문화가정 어머니, 양육 특성, 심리적 특성, 부모지원프로그램

      • 울산광역시 주택시장 수요특성에 관한 연구

        이재모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주택은 입지의 고정성과 재화의 부동성에 의하여 공간적 제한을 가지며, 서울시 주택시장 혹은 울산시 주택시장과 같은 지역시장 형성하게 된다. 또한 일반재화시장은 수많은 판매자와 구매자가 존재하여 시장가격을 형성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주택시장은 특정지역에 국한된 시장이기 때문에 판매자와 구매자의 수가 매우 제한적인 것이 그 특징이다. 즉, 일반재화와는 다른 독특한 시장을 형성하는 주택시장은 지역적 특성에 따라 개별화하고 지역시장 단위로 분석하여 정책에 반영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대부분의 지역주택시장은 전국 단위의 총량적 층면에서 이루어져 오고 있어, 각 지역의 여건을 면밀히 고려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 결과 지역 시장에서는 수급의 불일치에 의한 시장의 불안정이라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이에 본연구에서는 울산의 주택시장권 범위 및 특성을 규명하고, 주택시장분석을 통하여 울산광역시의 주택정책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및 정책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울산의 주택시장을 분석하기 위하여 우선 주택시장의 범위 설정이 필요하였으며, 이에 울산과 행정경계를 접하고 있는 부산광역시, 양산시, 밀양시, 경주시, 청도군의 통근 ․ 통학자의 비율을 2000년 실시된 인구주택총조사자료를 토대로 고찰하고, 선행연구를 근거로 시장권 획정의 기준을 마련하여 울산광역시 주택시장 권역을 획정하였다. 그 후, 획정되어진 범위의 주택시장 일반현황, 주택공급추이, 가격변화 추이 등을 분석하여 시장현황을 파악하고, 기존의 설문조사 자료와 남구를 범위로 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거주자의 선호를 조사하고, 마지막으로 시장 내의 가격거품유무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통합적으로 분석하여 울산광역시의 주택수요의 특성을 파악하고,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종합하여 현재 주택시장의 현황 및 성격을 파악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울산광역시의 주택시장권은 울산시의 횡정경계와 일치하는 범위로 획정된다. 둘째, 울산의 주택시장은 꾸준한 인구증가와 농업지역의 개발 등으로 시장의 확대가 계속적으로 이루어 질 수 있다고 판단되며, 토지가격 등의 안정세로 개발지 확보가 유리하다 판단되지만, 2001년과 2002년 사이의 착공물량들이 2005년 전반기부터 시장에 대량 공급됨으로써, 미분양율은 증가하면서도, 가격이 상승하는 시장의 불안정성을 보이고 있다. 셋째, 울산광역시 남구가 학교 및 교육환경, 거주지역의 생활 편리성 등의 이유로 꾸준히 높은 선호를 보이고, 투자가치 또한 높다는 판단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넷째, 안방보다 거실을 더 큰 평면에 선호도가 높았으며, 내부구조 설계 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할 실은 거실, 안방, 식당 및 부엌, 화장실 ․ 욕실, 발코니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아파트 설계 시 전면에 배치가 가장 적절하다고 판단되는 공간은 ‘방, 거실, 방’으로 조사되었고, ‘방, 거실, 주방’의 선호도 높게 나타나고 있어서 남향주방을 선호하는 주부가 많음을 확인하였다. 거주면적이 줄어들더라도 편리성을 위하여 화장실은 최소2개소 이상 설치되는 것을 선호하였다. 주차장과 단지내 조경에 대한 불만족이 가장 높았으며, 내부공간에서는 수납공간에 대한 불만족이 가장 높았다. 다섯째, 현재 울산광역시 주택시장 전체에서는 투기성 성향이 두드러지지 않았으나, 투기성 성향으로 전향되질 가능성을 보였으며, 남구를 중심으로 한 아파트 시장에서 주택 가격 거품이 확인되어졌다. 울산시는 주택공급계획 수립에 있어서,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여, 장기적 안목으로의 정책적 접근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울산광역시 주택시장의 특성을 분석하고, 주택 선호를 통한 공급형태를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울산광역시 공급정책에 있어서의 다음과 같은 방향을 제언하고자 한다. 지역간의 주거환경, 교육여건 같은 주거가치를 결정하는 요인에 의해 남구와 여타지역의 가격차별화 진행상황을 고려한 계획을 수립하여야 할 것으로 보이며, 또한 분양권 전매와 투기적 가수요로 촉발되는 일련의 부동산투기와 관련해서는 규제와 처벌만으로는 근본적 해결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기에 남구에 집중되고 있는 수요를 분산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가수요 억제와 지역분산 정책 등 투기예방 정책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The supply and demand of housing market in the region h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gainst the national capital region. So it must be analyzed separately. Ulsan became a metropolitan city in 1997. As a result we haven't had sufficient and organized information on housing market for metro-city Ulsan. In recent 5 years, however, the many apartment houses have been built in Ulsan.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study the housing market in Ulsan. And this paper aims to analyze housing market in Ulsan.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nd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ousing market in Ulsan. Through it, this paper brings guides of housing policy for Ulsan. The process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First of all, Housing market-range is demarcated by the findings on inquiry of transit commuter to work and study from adjacent cities (Busan, Yangsan, Gyungju, Milyang, Chugdo) to Ulsan. 2) The investigation of the dynamic statistics of population, housing supply, and apartment price. 3) The research on the housing preferences in Nam-Gu, Ulsan by an opinion survey. 4) The housing price-bubble analysis throughout Ulsan. And the housing price-bubble analysis in Namgu, Ulsan and Uljugun, Ulsan was carried out using the SPSS. V10.0. Analyzed Data are housing price index in Ulsan on the Kook-Min Bank, housing price in Namgu and Uljugun, Ulsan on the Budongsan Bank. Through these analyses, effect-range and demand characteristics of housing was confirmed in Ulsan. As the results, it brings forth the housing service guides, and guides on housing policy, investment by verifying imaginary demand in Ulsan. The results of research and analysis are as follows: 1) Housing market-range demarcates on metropolitan city, Ulsan 2) The population have grew since 1997. As farming regions are changing into urban use, housing market value will steadily grow. Because the price of land is low, the insurance of the sites for development is lucrative. However, unsold apartments augment in an alarming way, and the apartment price, too. These mean an unstable housing market in Ulsan. 3) The bigger dining-room than main living-room had a high rate of preference. The dissatisfaction in apartment houses saw the highest rate on lack of the parking place and green area.

      • 울산광역시 중구 일원 홍수저감 대책들의 효과 분석 : 울산광역시 중구 일원 홍수저감 대책들의 효과 분석

        이대진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본 연구에서는 과거 태풍“차바”피해를 입었던 태화지구일원에 대해 관망해석 모형인 PCSWMM(Personal Computer Storm Water Management Model)을 적 용하여 침수 현상을 구현하였다. 다양한 홍수저감 대책들(펌프장, 고지배수터널, 저 류지, LID(Low Impact Development)시설)에 대해 시나리오를 구축하고, 각 경우 에 대해 침수면적, 수위 및 첨두유량 등을 모의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본 연구대상지는 “태화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정비사업”에 해당되는 지역으로 현장조사 및 하수관망도, DEM 등의 자료 수집을 통해 PCSWMM 모형을 구축하였 다. 펌프용량 1700 ㎥/min, 고지배수터널 D4,000, L=260 m, 무지공원(저류지: V=96,000㎥), LID시설은 식물재배화분(293개소), 식생체류지(74,784㎡), 투수블 록(84,274㎡), 식생수로(2,624m), 침투측구(253m), 침투빗물받이(194개소) 등으 로 시나리오를 계획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시나리오는 크게 구조적 대책과 비구조적 대책으로 나눌 수 있으며, 최종 13개 시나리오로 나누어 과거 “차바”사상에서 발생했던 침수면적, 수위, 유입량의 결과와 비교하고 각 대책들의 저감 효과를 검토하였다. PCSWMM을 통한 각각의 시설의 효과를 검토한 결과, 소유역별로 LID시설을 설 치한 경우 초기침투는 0.6mm/hr가 발생하여 지하수로 유입되었으며, 고지배수터널 및 무지공원(저류지)과 혼용하여 계획한 경우 다른 홍수 저감 대책들보다 50% 저 감 효과를 보였다. 주요어 : LID, PCSWMM, 구조적, 비구조적 홍수대책

      • 메타팩토리 환경에서의 상용 이산사건 시뮬레이션 패키지 분석

        박지현 울산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31

        메타팩토리 환경에서의 상용 이산사건 시뮬레이션 패키지 분석 울산대학교 대학원 산업경영공학과 박지현 빠르게 변화하는 고객의 Needs와 다품종 소량 생산 체계의 생산 방식 변화에 따라 공정의 복잡도가 증대되며 고도화된 생산 공정을 사전에 예측하고 최적화하기 위해 디지털 트윈환경에서 생산 시뮬레이션 기법이 각광받고 있다. Industry 4.0의 초연결 화, 초지능화 된 ICT 기술과 Society 5.0의 인간중심의 가상현실이 함께 발전하고 물 리적 공간인 현실 세계와 가상의 공간인 메타버스 세계가 상호작용하며 가치를 창출 하는 시대로 나아가고 있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제조업에 메타버스와 디지털 트윈 기술을 빠르게 도입하고 있다. 그러나 메타팩토리 개념이 등장한 초기 단계로 기존의 스마트팩토리 개념 및 기술과 명확하게 구분되지 않고 있다. 또한 디지털 트윈의 발 전과 함께 신규 시뮬레이션 패키지가 빠르게 개발되고 기존 패키지의 기능이 업데이 트됨에 따라 사용자들이 어떤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활용하여 개발을 진행 하는지에 대한 의사결정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연구 질문과 답변으로 구성하여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 다. 실제 문제에 상용 이산사건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를 적용해 연구를 진행한 문헌 을 기반으로 주요 소프트웨어를 도출하고 패키지의 각 특성을 분석해 소프트웨어 선 택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업과 사용자에게 선택의 기반을 제공한다. 다음으로 스마 트팩토리와 디지털 트윈, 메타팩토리의 개념과 주요 기술을 비교하여 정리해 각 특성 과 차이점을 명확하게 정의하였다. 메타팩토리의 가상공간에 현실과 동일한 공장을 구축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효율성과 생산성을 향상하게 되면서 시뮬레이션의 중요 성도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메타팩토리의 주요 기술 특성을 기반으 로 이산사건 시뮬레이션 소프트웨어의 구현 수준을 평가하여 메타팩토리와의 연계성 을 분석해 추후 메타팩토리를 구축하고 가상 시뮬레이션을 수행하고자 하는 기업 및 사용자에게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판단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