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학교벽화가 초등학생의 성격요인과 정서지능 영역에 미치는 영향

        홍경숙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63

        Students in Korea are living in an environment where combination of various factors such as the Internet, flood of mass media, indifference in dual income households, violence and bullying in school are making it difficult for them to reach emotional stability. Amidst such reality, schools are committed to personality and emotional education in various ways. One of such efforts is to use murals drawn on school walls to provide students positive mental and physical educational space. According to a research, “Factors which influence the development of the characteristics of each individual can b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innate and environmental. Recent studies from the field of psychology view environment as the more influential of these two.” And 5 factors of personality are recommended to use together as criteria in studying various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intelligence. These theories worth studying to determine what influence the murals on school wall exert on character element and emotional realm of students on cognitive and emotional perspectiv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xtent of influence such murals exerted on the character ele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students. In another word, the study aims to confirm the possibility of such murals as an effective tool in emotional education. The subjects of the study consist of 302 5th and 6th graders from elementary schools across Seoul and Gyeonggi area. 150 of them were from 3 schools with murals (mural group) and 152 were from 3 schools without murals (control group). The study used 5 character facto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s a measuring tool and evaluated the influence of each subordinate element using average, correlation, regression, and channel analysis through SPSS ver32 program. In order to digitize and quantify abstract concept such as character and emotions, scores were assigned using research surveys and statistical analysis mentioned above.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 the average value of 5 character factors between mural and control groups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ut the average value of application ability of emotional intelligenc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ural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f application ability is high, width of emotion gets enlarged and they show attitude to accept various conditions and standpoints of other people. Therefore we can expect the existence of mural can improve emotional intelligence of students and emotional education through murals can be possible. Second, as for emotional intelligence in mural group, empathy ability of female students shows higher mean value. Also empathy showed high interrelationship with character factor of trying to trusting in others, helping those who are in difficulty situation with warm heart and keeping convenient and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others, which is considered to imply correlation between empathy ability and character factor. Third, 5 character facto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based on degree of favoring murals show significant correlation mostly. The higher was the interest in murals, the higher was congeniality which is the characteristic related to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penness and sincerity. Also degree of favoring murals has correlation with the ability to promote thinking in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can understand how to change its his or her own emotion to do its duty as well as empathy ability which can communicate with other’s emotion and behave according to it.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 that school mural as public art that we can encounter in everyday life of school has close correlation with character factors and emotional intelligence and it has the possibility to be educational tool which can be utilized to bring change of personal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I hope that further study is necessary which includes expanded age and region and more detailed studies about how the detailed contents of murals affect emotion of students will be followed. 현재 우리나라 학생들은 인터넷과 상업화된 매스미디어의 홍수, 맞벌이 가정에서의 무관심, 학교 성적에 대한 지나친 부담감, 학교 폭력과 집단 따돌림 등 정서적으로 안정되기 어려운 상황에서 생활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학교는 다양한 방법으로 인성교육과 정서교육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고, 그 노력의 하나로 학교벽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심리적, 물리적 교육환경을 제공하기도 한다. 사람의 성격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경의 영향과 유전적 기질로 나눌 수 있으며 최근 심리학계에서는 환경이 유전적 기질보다 성격 형성에 더 큰 영향 김영봉(2007).「교육심리학」. 서현사, p.98 을 미친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다수의 학자들은 정서지능도 선천적인 요소와 함께 후천적으로 학습이나 교육, 경험, 연습 등 다양한 환경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고 보았다. 강윤선.(2007). 동시 활동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1학년 유아의 정서지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 (국내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p.13 성격이론의 몇 가지 하위요인들이 정서지능의 개념과 유사성을 보이고 있고, 선천적 기질과 더불어 후천적 환경에 영향을 받는 두 개념 때문에 많은 학자들은 정서지능을 연구하는데 성격 5요인을 척도로 함께 활용하는 것을 권장 Wiggins, J.S., P. Trapnell, and N. Phillips,(1988.) Psychometric and Ge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Revised Interpersonal Adjective Scales (IAS-R). Multivariate Behavioral Research, 23(4): p. 517-530. 한다. 이러한 이론은 학생들의 물리적 환경이 되는 학교벽화가 인지적, 정서적 측면에서 학생들의 성격 요인과 정서의 어떤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지, 학교벽화를 통한 정서 교육이 가능한지 연구의 필요성에 바탕이 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학교벽화가 학생들의 성격요인과 정서지능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 학교벽화가 정서교육의 도구로서 가치가 있는가를 가늠해 보려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서울과 경기 지역의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로 벽화가 있는 3개 학교 150명(벽화군)과 벽화가 없는 3개 학교의 152명(대조군), 총 302명이다. 연구방법은 성격 5요인과 정서지능을 측정 도구로 하여 각 하위요인들의 영향력 관계를 SPSS ver.32 프로그램으로 평균, 분산, 상관분석을 하여 확인하였다. 성격, 정서 등 추상적인 개념을 구체적 크기로 수치화, 계량화하기 위해서 각각의 연구용 설문항을 이용하여 점수를 부여하고, 위의 통계적 분석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분산분석 결과 벽화군과 대조군 사이에 성격 5요인의 평균값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벽화군에서 정서지식의 활용능력 평균값이 의미 있게 더 높은 수치를 보였다. 정서지식 활용능력이 높으면 감정의 폭이 넓어져서 타인의 다양한 상황과 입장을 받아들이려는 태도를 취하게 된다. 이것은 학교벽화가 교육도구로서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음을 확인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둘째, 벽화군 내에서 남녀 정서지능은 여학생의 감정이입 능력이 더 높은 평균 수치를 보였다. 또 감정이입은 타인을 신뢰하고, 따뜻한 마음으로 주위에 어려운 이들을 돕고, 타인과 편안하고 조화로운 관계를 유지하려는 성격요인의 친화성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는데, 이것은 성격요인에 따른 공감능력의 연관성을 암시하는 것이라 추정된다. 셋째, 벽화선호도에 따른 성격 5요인과 정서지능은 대부분 의미 있는 상관관계가 있었다. 벽화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신경증인 불안, 적대적 분노, 우울감이 낮았다. 또한 벽화에 대한 관심이 높을수록 원만한 대인관계와 관련된 성격 특성인 친화성이 높았고, 개방성, 성실성과도 상관관계가 있었다. 또한 벽화선호도는 해야 할 일을 위해 자신의 감정을 바꿀 줄 아는 정서지능의 사고촉진 능력과 다른 사람의 감정과 의사소통하고 행동하는 감정이입 능력과도 상관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초등학생들이 학교에서 일상적으로 만날 수 있는 공공미술로서의 학교벽화가 학생들의 성격요인, 정서지능과 밀접한 상관성이 있으며, 긍정적 인성변화를 위해 활용할 수 있는, 정서지능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교육 도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제시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향후 연구대상의 학령과 지역이 더 확대된 추가연구가 필요하고, 벽화의 구체적인 내용에 따라 학생들의 정서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한 보다 세부적인 연구가 이어지길 제언한다.

      • 眼鏡士 養成을 위한 敎育課程 改善硏究

        박성일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바람직한 안경사 교육과정을 위해서 우리나라 현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분석하고자 다음과 같은 세부목적을 설정하였다. 첫째 안경사가 직업집단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알아본다. 둘째 교육과정을 통해 전문직업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나아갈 방향에 대하여 알아보려 한다. 셋째 현 안경광학과들의 교육과정을 살펴본다. 넷째 국외 안경광학과 교육제도를 조사, 분석 개선방안을 탐색한다. 다섯째 설문조사를 통해 현 교육과정의 현실성을 좀 더 자세히 분석해본다. 위의 연구목적에 따라 얻어진 연구의 결과 및 결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안경사 양성기관은 단기 방안으로 현행 전문대학 2년제 안경광학과에서 3년제로 연장하고, 장기적으로는 4년제 안경광학과를 설치하여야 한다. 또한 졸업생들을 대상으로 계속적인 교육의 체계가 생겨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안경광학과 교육과정은 실험실습 영역이 강화되는 방향으로 재구성되어야 한다. 즉, 이론과 실습 비율이 5:5로 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안경광학과 교수 구성은 학생 40명당 2명 이상으로 증원하여야 하며 안경광학 전공교수, 보건의학 전공교수, 안경사 출신교수 등으로 교수진을 구성해서 비전공교수들에 의한 강의가 이루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험실습은 과목을 확대하고 실습시간과 실습장소, 기자재, 실습조교 등의 확보 또는 채용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previous data for creating of the better opticians and insuring substantiality of the education in junior college. The research groups are consisted of the professor of ophthalmic optics, spectacle wearers, opticians, graduates and students. The nations dealt in this study are U.S.A, Germany, Japan, Philippines and Australi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related educational systems to specs are generally the four years system. And the dispensing and optometry are divided in function. 2. The social recognitions change for opticians due to increase wearers and they require the opticians to study harder. 3. The relative respondents to education give support the extension of the education term. 4. The opticians demand that technical education are provided to them. Because new materials are in the development stage end the spectacle wearers claim new information from opticians.

      • 임용고시를 준비하는 예비 미술교사들의 삶에 관한 연구

        박진영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is done to describe the existential lives of prospective art teachers dedicated with their modest ways only to become a teacher even in the keen competition. Thus, four candidates have participated in this research and the qualitativ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with the ethnography method. ‘The Lives of Prospective Art Teachers’ has been produced by the preparatory survey, filling in questionnaires, in-depth interview and the participant observation on their daily lives. First, those prospective art teachers were suffering from the ‘loneliness’ while they were preparing for the teacher’s certification examination in their repressed daily lives. In hopes of finding success through becoming a teacher, they have simply isolated themselves from the society and were struggling to continue their solitary lifestyle. Despite their lonesome struggle, they ironically preferred to seclude themselves behind the wall and maintained relationships only with a limited number of people. Also, in fear of failure and rejection, they regarded their isolation as their comfort. Also, the prospective of the art teacher’s certification examination involved an excessive amount of economical burden such as institution fee, food expenses, reading room cost and so on. This financial burden placed a heavy weight on the candidates not only during the preparation period but extended into the future as well. Moreover, the accumulated stress factors placed an even more serious pressure on candidates to pass the examination. This psychological pressure often caused stress disorders such as circular stress alopecia, metabolic disorder and so on. Lastly, the candidates expressed their desperation of not being able to give up their hope of becoming a teacher in spite of the highly limited window of opportunities. Also, it certainly is not easy for them to choose another type of career path after having so much of their time and effort spent on preparing for this examination, and they have been so focused on one path that they find themselves inexperienced and hopeless to other career choices. For these reasons, even after so many failures to pass this exam, they simply could not give up, hoping that ‘just a little more effort and time’ will shine their future one day. It was such an opportunity to observe and possibly comprehend what our prospective art teachers experience in their desperate and unfortunate circumstances. Despite their gloomy reality for not being able to move forward in their lives, one could easily find passion and hope they refuse to let go. Their circumstances in reality were much worse than what was expected. The nature of the art teacher’s certification examination simply limited candidates to memorizing ability instead of applicable skills that can be useful in actual field of education. The reality was that they needed the help of private institution for preparing this kind of test and the graduate program has been degenerated only for the purpose of obtaining the certification. Furthermore, it was not easy for them to turn around their career path once they decide to finally give up, simply because of lack of experience and exposure to other fields since they had been so focused on one thing and only. It also seemed quiet difficult for them to start everything again from the ground in the new field as they have already spent several years being disconnected from the society while preparing for the teacher’s certification test. Furthermore, the fixed negative views on education system in our society has made it even more challenging to move forward with applicable and more creative solutions to suggested issues. Stereotypes and prejudice are another topic those prospective art teachers will have to overcome within our society. 이 연구는 치열한 경쟁 속에서도 오직 미술교사가 되고자 묵묵히 자신의 길을 가고 있는 예비 미술교사들의 실존적 삶에 대한 연구이다. 또한 이를 있는 그대로 드러내기 위하여, 총 4명의 예비 미술교사들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문화기술지 연구방법으로 질적 연구를 수행하였다. 예비 미술교사들에 대한 사전조사와 질문지작성, 심층면담과 일상생활의 참여관찰을 통해 드러난󰡐임용고시를 준비하는 예비 미술교사들의 삶󰡑은 다음과 같이 드러났다. 첫째,󰡐유보된 삶󰡑에서 예비 미술교사들은 임용고시를 준비하면서 단절된 인간관계로 인해 깊은 외로움을 느끼고 있었고 그들 스스로가 외부와의 벽을 쌓고 생활하고 있었다. 또한 결과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한정된 사람들과만 무리를 지어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새로운 인간관계는 더더욱 쉽게 맺지 않으려 하였다. 또한 그들에게 있어󰡐노량진󰡑이라는 공간이 임용시험을 준비하기 위한 최선의 장소임과 동시에 실패와 좌절이 존재하는 애증의 장소이며, 그들만의 문화가 존재하는 공간임을 보여주기도 한다. 둘째,󰡐치러야 하는 과중한 대가󰡑에서는 예비 미술교사들이󰡐학원비, 식비, 독서실비󰡑등의 임용준비를 위한 목적의 과도한 경제적 부담을 지고 있음이 드러나 있다. 이러한 경제적 짐은 현재 마땅한 경제력이 없어 이를 뒷받침 해줘야할 가족들에게는 부담스러운 과정이 되고 있었으며, 이러한 시험 준비 기간 뿐 만이 아닌, 그 이후의 삶에도 그들의 발목을 잡는 족쇄가 되고 있었다. 셋째,󰡐과중한 스트레스󰡑에서는 예비 미술교사들의 이 같은 이중, 삼중의 과도한 부담감이 임용고시에 꼭 합격해야만 한다는 압박감으로 작용해 심한 스트레스로 이어지고 있음이 드러난다. 이로 인해 예비 미술교사들의 대부분이 스트레스성 질환인 원형탈모, 신경성 위염 등의 질병을 지니고 있었다. 넷째,󰡐희망, 놓지 못하는 끈󰡑에서 예비 미술교사들은 높은 임용경쟁률에 비해 교사임용 인원의 제한으로, 극히 일부 소수에게만 합격의 기회가 주어질 수밖에는 없는 현실을 알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길을 포기하는 것 또한 쉽지 않다고 했다. 그 이유는 취업의 기회가 많지 않아 다른 대안이 없으며, 또한 오랜 준비기간을 임용고시에만 매달린 다음에는 오히려 사회에서의 또 다른 취업의 기회로부터 멀어져 버렸기 때문이었다. 그러기에 여러 번의 실패에도 불구하고 이들은󰡐조금만 더…'라는 희망의 끈을 차마 놓지 못하고 있었다. 이 연구를 통해 모든 것을 쏟아 부어 꿈을 향해 가고 있는 예비 미술교사들의 삶을 더욱 자세히 살펴보고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임용고시를 준비하는 예비 미술교사들의 삶에 관한 연구󰡑를 통해 본 그들의 삶의 모습에서는 슬픔과 좌절 그리고 열정과 희망이 함께 드러났다. 그들은 연구자가 막연히 상상하던 것보다 더욱 열악한 환경에 놓여 있었다. 또한 연구 과정에서 임용고시가 실제 교육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육적 능력을 평가하기보다는 단순한 암기 위주의 시험으로 한계성을 드러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임용고시를 준비하기 위해서 사교육을 이용할 수밖에 없는 현실과 그저 자격증을 따기 위한 목적으로 전락한 교육대학원 과정에 대한 내용도 드러났다. 또한 임용을 준비하다 포기하게 된 경우 사회에서 그들을 받아 줄 곳이 전혀 없었는데 교육 분야만을 오랫동안 공부하였기에 그들이 들어갈 적합한 회사를 찾기도 힘든 실정이었는데 더군다나 사회와 단절된 채 수년간을 보낸 예비 미술교사들이 다른 분야의 취업을 위해 또다시 새롭게 무언가를 준비를 해야 한다는 것도 막막한 부분이었다. 게다가 이미 굳어져버린 사회 문제들도 교육환경을 어렵고 더디게 만드는 문제들로 미래의 창의적인 교육과는 거리가 먼 교육 시스템과 고정관념, 편견 등은 그들이 사회에 나가서 싸워내야 할 또 다른 문제들로 드러났다.

      • 기업 e-Learning의 효율적인 운영방안에 관한 연구

        조성원 (趙聲元)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최근 e-Learning은 기업 내 재직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중요한 교육훈련 수단으로 자리잡고 있으며, 이러한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e-Business)에 따라 기업교육도 기업과 재직 근로자의 특성을 고려한 e-Learning의 활성화와 질 제고가 이 분야의 주요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특히 e-Learning은 기업들이 기존에 추진해 오던 인력 개발 방법에 비해 새로운 분야이며, 이를 기획·운영하기 위해서는 종사 인력에 대한 보다 전문화된 교육훈련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국내 e-Learning 시장 규모는 전반적으로 확대일로에 있으며, 사교육 시장과 기업 e-Learning을 중심으로 성장해 왔고, 이제 전 국민을 대상으로 한 평생교육차원에서 그 범위가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e-Learning은 새롭게 주목받는 교육산업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종사 인력의 규모 증대 및 직종의 전문화, 세분화가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e-Learning에 대하여 ‘매체’ 중심에서 ‘학습’ 관점으로 인식과 체제의 전환이 강조됨에 따라 e-Learning의 질적 향상과 활성화를 위한 인적 자원(human-ware) 요소의 전문성이 무엇보다도 중요시되고 있다. 현재 기업 e-Learning 인력들은 전반적으로 관리 측면에서 직무를 수행하고 있을 뿐 학습의 운영적 관점에서의 전문성은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기업 e-Learning에 대하여 인적자원, 과정개발·운영, 시설·시스템, 문화·제도적 요소를 중심으로 구체적이며 실제적인 실천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 여러 분야에 걸쳐 e-Learning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으나 정작 이를 체계적으로 설계, 개발, 운영, 관리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은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다. 정규대학 및 대학원에서 e-Learning 전문 인력을 양성하는 곳도 부족하고 전문가 양성기관도 적어 e-Learning 발전을 위한 인적 인프라는 매우 빈약한 실정이다. 따라서 현재 기업 e-Learning 인력들이 전문적인 직무수행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향상 교육을 실시하는 것은 더욱 중요할 뿐만 아니라 시급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보다 전문화된 기업 e-Learning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관련 분야 인력에 대한 명확한 직무분석에 근거하여 체계적으로 인력을 양성하고 공급받을 수 있어야 한다. 특히 웹이 기업의 다양한 경영활동에 도입되면서 많은 기업들이 웹을 기반으로한 온라인 교육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더불어 가상교육과 관련한 다양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네트웍화의 가속화에 기업내 원격교육 활성화의 당위성이 높아지고 있으나 가상교육을 적용하는 연구가 많지 않고, 효과적인 활용방안의 제시도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식기반시대의 기업 내 인적자원 육성을 위한 중요한 방법론으로서 e-Learning의 현주소와 가능성을 실제적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하며, 아울러, e-Learning을 기업의 업무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실천 전략들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Lately, e-learning is taking root as a vital means of education and training to improve the job performance of company employees. To keep up with a new management paradigm called e-business, boosting e-learning and its quality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business and workers is emerging as one of major matters of concern in corporate educating sector. Given existing practices of human-resources development, e-learning is a brand-new, up-to-date educational method, and successful e-learning calls for well-trained professional personnels. The domestic e-learning market is generally on the rise. Its growth is indebted to the development of private education and of corporate e-learning, and its scope is rapidly being enlarged as a way of lifelong education for people in general. So e-learning gets widespread as a new educational industry that comes into spotlight, and it's needed to increase personnels who are engaged in it and to step up the segmentation of specialized types of relevant occupations. Now it's emphasized that the focus of e-learning should shift from media to learning. To keep up with the trend, the professionalism of human-ware that could serve to boost e-learning and its quality gains in importance. Currently, corporate e-learning personnels just perform management-related duties, and they can hardly be called experts in learning. Therefore, it's attempted in this study to present specific and practical strategies about nurturing required human resources, working on corporate e-learning process, building necessary facilities and equipment and creating a good e-learning culture and institutions. Although e-learning is spreading rapidly in various fields, specialists who can be responsible for its planning, development and management are in extremely short supply. Not many colleges, graduate schools and other educational institutions nurture e-learning experts, which ends up failing to lay the solid human infrastructure for this sector. Accordingly, what matters more is providing education for existing corporate e-learning workers to foster their professional abilities. And excellent personnels should be trained and supplied after making a thorough job analysis. As the Web has been introduced to business management in diverse manners, many companies are setting up a web-assisted online education system, and studies of various approaches are under way in association with cybereducation. Such a rapid development of the online network justifies the oughtness of internal distance education, but few studies have ever tried to apply cybereducation or to suggest how to take advantage of i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lve into the state and possibilities of e-learning as one of crucial methods to produce superb human-ware to stay abreast with knowledge-based society, and to present practical strategies to ensure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corporate e-learning.

      • 바람직한 校長의 資質과 職務遂行에 대한 初等 敎員의 認識 硏究

        전상희 弘益大學校 敎育經營管理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사회는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데 학교교육은 그대로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이는 학교교육이 사회 발전의 원동력이 되어야 한다는 말로 학교교육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는 말이기도 하다. 이는 중요한 학교교육을 이끌어 갈 학 교장에 대한 기대가 그만큼 크다는 말이기도 하다. 이러한 면에서 새로운 시대의 바람직한 교장의 자질 및 직무 수행에 대 한 인식을 정립해 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교장의 자질과 갖추어야 할 자질에 대하여 교장선생님과 교사가 어떻게 인식하는지 알아본다. 둘째, 교장의 직무 수행에 대하여 교장선생님과 교사의 인식을 알아본다. 구체적인 내용으로 학교경영면, 교육과정 운영면, 교직원관리면, 학생관리면, 일반직무수행면, 시설. 재무관리면, 지역사회 및 대외관계 면에서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비교해 본다. 셋째, 유능한 교장의 확보방안 및 교장으로서 앞으로 관심 가질 직무와 교장과 교사와의 업무면에서 개선점을 알아본다. 이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장과 교사를 대상으로 교장이 갖추어야할 자질과 직무수행에 대한 인식, 그리고 유능한 학교장 확보 방안 등에 관한 내용을 중심으로 서울시와 인천시, 그리고 경기도의 교장 74명 과 선생님들 477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자료의 처리는 SPSS for Windows 8.0 프로그램으로 전산 처리하였다. 각 문항별 응답의 단순빈도(백분율)를 통하여 경향을 분석하고, 각 집단별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Chi-souare(x²)검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바람직한 학교장의 개인적 자질로는 업무처리에 공정성과 합리성을 가장 중요하다(45.7%)고 보고 있고, 교육자적 자질로는 교육자로서의 교육철학과 신념이 가장 중요하다(69.9%)고 보았으며, 관리자적 자질로는 조직 관리 능력이 가장 중요하다(69.3%)고 보고 있다. 또한 교장으로서 갖추어야 할 자질로 영어 구사 능력과 컴퓨터 구사 능력은 그리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장의 직무수행에 대하여 학교경영면에서는 학교간 경쟁체제 도입에 대해서는 필요는 하나 도입을 서두르면 안된다(각 50.0%, 38.4%)고 보고 있고, 학생과 학부모의 학교 선택권에 대해서도 필요성은 인정하나 도입은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보고 있다. 학교 평가에 대한 의견에서는 모두 학교 발전에 필요성에 대해서는 인정은 하나 평가 방법이 바뀌어야 한다(전체 64.2%)고 생각해 학교 평가의 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또한 학교장의 학교재량권 도입에 대해서는 교장과 교사 모두 도입에 적극 찬성하고 대책과 능력을 갖추도록 스스로 노력해야 한다(전체 44.3%)고 보고 있다. 그리고 학교교육에서 학생들에게 강조할 교육내용으로 교장선생님 은 창의력 신장을 강조해야 한다(55.4%)고 보았고, 교사들은 자율에 따른 책임감 육성을 강조한다(65.0%)고 보고 있다. 초등학교의 컴퓨터 교육수준은 교사는 모두 인터넷과 문서작성을 어느 정도 하는 수준까지 지도해야 한다(41.7%)고 보고 있다. 교직원 관리면에서 선임·수석교사제의 도입에 대해서는 교장선생님은 적극적으로 찬성하는 의견이 많았고(43.2%), 교사들은 필요성을 인정하나 도입을 서두르면 안 된다(35.0%)고 보고 있다. 교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법으로 교장선생님은 대학원 진학등 자기 개발을 위해 노력하며(39.2%), 현장연구 등 각종 연구활동에도 적극 참여하기(33.8%)를 권장하였으나, 교사는 각종 연수활동에 적극 참여한다(40.3%)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의 부족한 재정을 확충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장선생님은 기부금 창구를 통한 학부모의 찬조를 가장 좋다(62.3%)고 본 반면 교사들은 교육세의 확충을 통한 간접적인 중대 방안이 가장 좋다(67.1%)고 여기고 있다. 셋째, 유능한 교장선생님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장선생님은 교장 자격연수 시수 및 내용을 확대시켜야 한다(70.3%)고 본 반면 교사는 다양한 현직 연수 기회를 확대해야 된다(53.0%)고 보고 있다. 교사들만의 의견을 알아본 결과 교사와 교장과의 업무 개선점에 대해서 교사들은 각종 회의 방법을 가장 개선해야 된다(35.5%)고 보고 있고, 부장교사들은 각종 공문서의 결재 방법을 가장 개선해야 된다(37.0%)고 보고 있다. 교장선생님들만의 의견을 알아보면 교원의 사기를 높이기 위한 방안에 대 해서는 교원의 우대 정책 실현에 가장 관심을 가져야 한다(35.9%)고 보고 있다. 교장 직무를 수행하면서 가장 애로점을 느끼는 점은 낡고 노후한 건 물 보수 문제(29.7%)로 보고 있다. 위의 결과의 요약을 토대로 바람직한 교장상에 대하여 몇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장선생님의 자격 연수시 연수 시수 및 내용을 확대하여 교장으로 서의 자질을 두루 갖출 수 있도록 하며, 현직 연수도 병행하여 교장의 직무 수행이 원활하게 되도록 하여야겠다. 둘째, 학교간 경쟁체제 도입과 교육수요자의 학교선택권, 선임·수석교사제의 도입은 보다 신중히 고려하고, 학교의 재량권 확대는 적극적으로 추진되 도록 교육행정당국의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 학교교육에서 강조될 점은 창의성 교육과 자율에 따른 책임감 육성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는 것이다. 넷째, 학교의 낡은 전물과 시설의 개·보수와 교직원 복지시설 확충을 위해 앞으로 계속적인 교육 투자가 필요하다. 다섯째, 교장은 교사와의 업무에서 각종 회의 방법과 공문서의 결재 방법에 대한 개선책이 필요하다. There are some indications that while society is changing school education is stagnant. It means that school education has to become the driving force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also it makes us realize the importance of school education. Considering this aspect, to formulate the desirable quality of a principal and the understanding about performance of their duties in this new ages, the subjects of study is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to know how a principal and teachers understand the competencies that a principal must have. Second, to know perception of principals and teachers about the performance of principal's duties. The concrete contents are as follows: school management, management of curriculum, personnel management, administration of students, performance of general duties, management of facilities, financial management, understanding of their local society and in exterior relation. These issues will be compared with each other. Third, to know how to acquirable principals duties that principals must execute and improvemen measures for principals and teachers. For achieving these purposes of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77 principals and 477 teachers in Seoul, Gyung-Gi, and Incheon. The main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s are as following : qualities with which a principal must be equipped and the perception on execution of duties, a plan to ensure principal having ability. The data were computerized by SPSS for Window 8.0 program. Answers of each question were analyzed in terms of percentage. After that, Chi-square (xˇ2) test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difference among each group.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of data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45.7% of respondents regard a fairness and a reasonableness in dealing with his/her own work as the most important principal's quality. 69.9% of them consider that education philosophy and faith as educator's quality are the most important. Also 69.3% of respondents think that ability to manage an organization is the most important as administrator's quality. But it appears that ability to speak English and operate computer are not so important as a principal's quality. Second, in relation to school management and execution of principal's duties, it appears that introduction of competence system among schools is necessary(50% of respondents), but it doesn't have to be hurry on with (38.4% of them). And they think that although it is necessary for students and their parents to have the right to choose the school, it doesn't have to be hurry on with its introduction. In relation to school evaluation, 64.2% of respondents think that though there must be the need of school developing but it needs to change the evaluation way, This shows that it needs to be studied for the ways of school innovation. And in relation to introducing the discretion of principal, 44.3% of respondents positively agree to introduce it, and recognize that they have to exert every effort to have ability or a countermeasure. And for education contents that they want to emphasize to students, 55.4% of principals emphasize development of creativity, 65.0% of teachers emphasize development of a sense of responsibility. 41.7% of teachers think that they have to teach Internet and word-processing to some extent. In aspect of administration for teacher, for introduction of head teacher system, 43.2% of principals agree to introduce it positively, while 35.0% of teachers think tha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it, but it should not hurry on with. In relation to the way to improve professionalism of a teacher, 39.2% of principals think that teachers have to exert every effort, for example, like going on to graduate school, and 33.8% of principals encourage the participation in various activities of study such as actual study. But 40.3% of teachers think to be good to participate in various workshop activities. In relation to the way to expand the insufficient fund of school, 62.3% of principals think that it is best to be supported by students' parents through donation window. However, 67.1% of teachers regard an indirect expanding way like expansion of education tax as the best way. Third, in relation to the way to ensure principals having ability, 70.3% of principals judge that it needs to expand the number of hour and the contents for qualification training of principal, while 53.0% of teachers that it needs various incumbent training opportunities. About improvements of duties of a principal and teachers, 35.5% of teachers think that various discussion methods have to be improved, 37.7% of chief teachers think that signing method on various public documents have to be improved. About the way to raise the teacher's morale, 35.9% of principals count as being important to realize policy treating teachers considerately. And 29.7% of principals regard repair and management of old building as the most difficult problem among principal's duties.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A few conclusions for desirable principal's figures are proposed as follows. First, it needs to enlarge the contents and period of study and training for principals to expand their own qualifications. Also, simultaneously, it needs to have an incumbent training to help a principal's duties. Second, the authorities concerned education must take a prudent attitude in the followings introduction of competition system among schools, the education demander's right to choose a school, introduction of head teacher system, and must actively propel the enlargement of school discretion. Third,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education of creativity and the promoting of a sense of responsibility. Fourth, it needs to repair old building of school, to expand facilities for teacher's welfare, and to invest continuously in education. Fifth, a principal must know that it needs to have a reform measure for the signing custom on public documents and the conference method in the affairs with teachers.

      •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창업교육 체계화 방안에 관한 연구 : 수도권 정보산업고등학교를 중심으로

        권영순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우리나라의 실업교육은 그동안 피고용인으로서 갖춰야 할 지식과 기능을 강조한 교육으로서 전통적인 산업사회적 직업교육의 성격이 강하였다고 할 수 있다. 전통적인 직업교육인 단순 반복적인 실습을 통한 기술과 기능의 습득으로는 미래의 산업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인력을 배출 할 수 없으며 많은 학생들이 자신의 재능과 특기를 살리지 못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또한 비즈니스 기회가 다양화됨에 따라 다른 사람에게 고용되기보다는 자기가 스스로를 고용하는 것이 하나의 새로운 진로선택의 기회가 되고 있다. 이에 실업계 고등학교에서는 좀더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다양한 진로지도가 필요하게 되었다. 특히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경우는 고등학교가 교육의 최종단계이므로 고등학교 단계부터 직업교육의 일환으로 창업교육을 실시함으로써 실업 교육의 내실화와 더불어 청소년들에게 미래에 대한 희망과 비전을 심어줄 수 있는 창업교육의 체계화 방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창업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체계화 방안에 관한 자료를 얻기 위하여 국·내외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이용한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실업계 고등학교에서의 창업교육의 체계화 및 활성화를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창업교육 내용은 강의식을 탈피하여 토론식 수업, 사례연구, 시청각 자료의 활용, 현장학습 등의 비중을 높이는데 주안점을 두고, 적합한 프로그램과 교재 계발이 필요하다. 창업동아리 등을 창설·지원하고 모의 창업, 사업계획서 경진대회, 창업 인큐베이터 입수 기회제공, 학생 창업자금지원, 창업캠프 설치 및 Cyber 창업강좌를 개설하여 활성화 하여야 한다. 청소년 창업을 위하여 개발 중인 비즈쿨 프로그램, 시범학교(한국디지털미디어고등학교, 실업계고교 5개 학교), 창업관련기관, 청소년 창업 희망그룹 등을 네트워크화 하여 서로의 관련 자료 및 지식을 공유하고 교류하여야 한다. 일선 상업계 고등학교에서는 교과 교육과 병행하여 창업 진로지도교육의 실시가 필요하며, C.A(계발활동)활동, 특기적성시간, 재량활동시간 등을 통하여 창업교육을 이해시키고 체계화 하여야 한다. 아울러 창업교육은 실업계고교, 전문대학, 산업대학, 직업학교, 기능대학, 4년제 대학에까지 연계되어 좀더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지역 내 창업 성공인, 기업인 등의 지원을 받아 해당기업의 인턴제 활동 등 청소년들이 지역경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지역 내에서의 중소기업 등 실질적인 취업 및 창업이 이루어진다면 청소년들의 실업률도 줄어들 것이며 나아가 중소기업의 발진에도 기여할 것이다. In our country the vocational-education, which emphasized the knowledge and techniques that the employees should have, is characterized by the conventional, industrial and social vocational-education. Conventional vocational-education which acquire skills and techniques through only repeating practice could not produce human resource who is able to adapt to industrial society in the future, and it is a fact that a lot of students could not develop their abilities and talents. Besides, as the business chances become diverse, to employ oneself rather than to be employed becomes one of new way to decide one's course after graduation. So it is necessary for vocational high schools to do a variety of career counseling. Especially, because in the case of students in a vocational high school, high school is the final stage of the education, this research is aimed not only at insuring substantiality by teaching start-up education as a way of the vocational education from the high school, but also at presenting a way of systematizing start-up education which is able to encourage the youth to have hopes and visions. This research performed investigation of domestic and overseas documentary records and analysis of actual proofs making use of questions in order to emphasize the necessity of start-up education and get information about systematic way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the way of systematization and activation for start-up education could be summarized as below. The contents of start-up education should give much more weight on a class under discussion rather than lecture, case study and the use of audio-visual materials, and the development of proper programs and teaching materials is necessary. We should activate the start-up education through establishment and supporting start-up groups, simulated start-up, business planning contests, offering an opportunity of start-up incubating, providing start-up capitals, foundation start-up camp and establishing cyber start-up lecture. Bizcool(비즈쿨) program which is developing for the youth start-up, a model school (Korea Digital Media high school, five vocational schools), start-up related institution, the youth start-up desiring group and so on should be networked to hold mutual related information and intelligence in common and to interchange. In vocational schools, career counseling education of start-up is necessary and we should make students understood the start-up education as well as systematize start-up education making use of C.A activities, the aptitude class and freely allowed class. In addition, start-up education should be done professionally and systematically in relation to vocational high schools, professional schools, industrial schools and universities. Also, if the youth participate in local economy aggressively through the support of some figures who succeed in start-up or entrepreneurs such as internship, and substantial employment or start-up is achieved, the rate of youth unemployment will be decrease and it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mall business.

      •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 수도권 대학의 경영관련학과를 중심으로

        이성숙 弘益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9663

        우리나라의 실업계 고등학교는 기능 인력을 양성하여 사회에 배출함으로써 경제 발전에 많은 기여를 해왔다. 그러나 실업계 고등학교에 진학한 많은 학생들은 해당 분야의 기능을 습득하여 해당 분야에 취업하고 싶은 생각보다 상급학교로의 진학준비에 급급하고 있는 형편이다. 이는 대학을 나와야 대접받는 사회적인 구조와 인식 때문이다. 따라서 취업률보다 진학률이 점점 높아가고 있는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은 예전에 종국 교육의 성격보다는 계속교육의 성격으로 변화하고 바람직한 방향으로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이에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들의 전체성적 및 고등학교와 연계된 전공과목의 학업 성취도와 교양과목의 학업 성취도를 분석하여 실업계 고등학교와 대학간의 연계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와 대학의 연계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교육과정 편성자료를 얻기 위하여 문헌연구와 설문조사를 이용한 실증분석을 병행하였다. 연구의 기초자료로 쓰여진 설문조사의 표본은 서울·경기도 지역의 2년제 대학의 경영관련학과 2학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현장 방문을 통하여 배부된 설문지 총 500부 중 452부를 회수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의 분석 결과에 따라 본고가 제시한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 학업성취도에 관해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진학률이 높아짐에 따라 고등학교 단 의 직업교육의 성격이 최종교육보다 계속교육의 성격이 강해짐으로 실업계 고등학교와 2년제 대학간의 연계교육이 반드시 필요하며 이로 인한 선행학습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둘째, 일반계 졸업자와 실업계 졸업자간의 전체성적의 대한 학업성취도를 비교한 결과 일반계 졸업자보다 실업계 졸업자가 좀 더 우수한 성적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1학년 1학기 성적보다는 1학년 2학기의 성적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보아 학년이 올라갈수록 일반계와 실업계간의 차이가 축소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셋째, 연계과목인 전공과목의 학업성취도를 비교한 결과 일반계 졸업자와 실업계 졸업자간의 많은 차이를 보였다. 특히 전공이론과목(경영관련과목, 무역관련과목)보다는 전공실무과목(회계관련과목, 전산관련과목)에서 실업계 졸업자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선행(先行)학습의 효과로 인한 학업성취임을 알 수 있다. 넷째, 교양관련 과목의 학업성취도를 분석한 결과 일반계 졸업자가 실업계 졸업자보다 좀 더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특히 어학과목에서는 실업계 졸업자들이 상당히 뒤지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실업계 고등학교에서는 세계화·정보화 시대에 발맞추어 갈 수 있도록 어학에 관한 기초학력 증진에 중점적인 지도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아울러 실업계 고등학교는 완성교육 기관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나름대로 수행하고 있으나 취업 후 야간대학, 기능대학, 개방대학 등 평생교육으로 유도하는 대책도 요구된다. 따라서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우수한 인재 양성과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들의 재교육 기회 제공을 위하여 2년제 대학 등에서 동일계열이나 관련학과 진학에 대한 특별전형 입학의 비율을 대폭적으로 상향조정하는 등의 적극적인 대책의 강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그래서 제기능을 수행 하지 못하고 점점 감소되어지고 일반계 고등학교로 전환되어지는 현상속에서 완성교육 기관으로서의 실업계 고등학교가 본래의 취지를 살려 제기능과 역할을 다시금 감당해 나갈 수 있는 방안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이와 같이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의 대학 진학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므로 대학 진학을 희망하는 실업계 고등학교 졸업자들을 위하여 상급학교 교육기관과의 연계 체제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체제가 완성 교육적 측면뿐만 아니라 계속 교육적 측면을 동시에 수행하기 위해서 실업계 고등학교와 대학이 연계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계속교육을 실시하여 완성적 교육의 학습효과를 가져오도록 해야한다. Many vocational high schools have contributed much to economic growth by produce skillful workforce. However, many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do not want to get a job in line with what they have been trained, but do want to get admitted to higher education institute such as two-year colleges or universities because of social prejudice and awareness of higher education. Therefore, for the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the rate of continuing education is getting higher than that of being employed. The purpose of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has been changed from terminal education to continuing education, which is desirable in terms of the real meaning of education. In this respect, the analyses on overall GPAs, grades of major subjects related to high school majors and non-major have been conducted, and from these analyses I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linkage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 and college. To emphasize my point of view about the linked education between vocational high school and college, Related literature searches and empirical questionnaire survey have been conducted with two-year college students, mainly sophomores in Seoul and Gyounggi province. 5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452 were retrieved and analyzed for this study, The analyses fulfilled can be summarized. First, as the purpose of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is changing from job education to continuing education, the linked education between them is needed and this proceeding learning will be very effective for higher education. Second, comparing the GPAs of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and those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I found the GPAs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were better. However, this gap can be decreased because the gap is smaller in the second semester than the first semester. Third, in case of major subjects which is focused on theory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did not better, but in case of major subjects which is linked to vocational high school majors, they did much better than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It is a sign of the importance of preceeding learning. Fourth, I found general high school graduates got much better grades in non-major subjects and language subjects than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Based on these points, it is necessary that we have to emphasize language and basic subjects to prepare for globalization and it's rapid development in vocational high school. In addition, seeing that many vocational high school cannot function with its own purpose, the authorities concerned should expand the linked education with college major and prepare its students in advance. If vocational high school take play a role as a continuing education institute, the trends that vocational high school is being converted to general high school will not stop. However, we cannot abandon the original role as a terminal education.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linked curriculum linked to college as a preceeding learning which can benefit students who want to go to higher education institute and who want to get their jobs.

      • 산점 투시를 활용한 어린이 미술 표현에 관한 연구 : 초등학교 어린이의 평면 표현 작품을 중심으로

        김수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21st century is a global and informative society that produces various kinds of creative idea and product. The contemporary art expression also gets apart from the general repeat to create difference. The contemporary ego expression is based on sensible and cognizable visibility to look at the world through oneself. That is, it is newly looked at and expressed through entire sense. The children education under such contemporary social stream is aimed to bring up manpower who can think logically and creatively. In this sense, the children art education also needs the program to systematically improve their potential power, sensibility and creativity. For this goal, the public education looked for integration of subjects including Wise Life, Righteous Life and etc partially based on the textbooks of lower grades of elementary school in the temporary revision draft of the 7th education process so that the area and width of the children's thoughts could get wider. In the private education field, performance art program, cooking activity based event art program and etc are popularized to lead the children's potential creativity. Yet, however, the visual education is not enough for the children living in the global era to view wider and farther.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the visual art education that can essentially solve this problem and make the children view the objects and phenomenon in various angles by themselves. In order to introduce such learning method, it is required to prepare a measure with which the teachers can lead the learners to understand the study themes well by the learners themselves and promote the learners' motive for learning so that the learners can study in voluntary and innovative ways. In this study, therefore, I proposed the children art expression class using the unfocused prospective, a coexisting method representing multi visual points and multi visual angles. An unfocused perspective is a unique method of Oriental painting to arrange images on the screen without being restricted by time and space. That makes it possible to represent not only the depth of space, every side of objects and their inside and outside but the lapse of time, seasonal change and even emotional change. That is used in all the other genres of traditional painting as well as landscape painting. Unlike the fixed visual points of the West, the unfocused perspective enables learners to observe every aspect of nature and things, to grasp their substance and to portray it in an integrative manner, which contributes, in turn, to fostering their analytic thinking faculty, flexible screen layout skills and ultimately synthetic thinking faculty. To study the educational meaning of unfocused prospective objectively, in this study, I first looked into the basic concept, spiritual background and characteristics of the unfocused prospective that wer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unfocused prospective. Then, I investigated the developing phas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children art and proposed an opinion of a class using unfocused prospective, so that I could understand if the unfocused prospective would help the children form flexible composition and widen their thought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ir works. As a result,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unfocused prospective(a combination of multivisual points and multivisual angles) made the children view the objectives essentially and entirely so that encouraged children to enlarge their mental horizon and express things in diverse ways; and that the art class using the unfocused prospective made it possible to show flexibility of composition by making the children move freely around the visual points without limitation of fixed visual points and form a free screen composition. 21세기는 세계화, 정보화 사회로 다양한 창의적 아이디어와 산출물을 생산해내고 있다. 현대 미술 표현의 경우도 보편적인 반복에서 이탈함으로 차이를 생성해낸다. 현대적인 자아 표현은 자신을 통해 세계를 바라보는 감각적이며 인식적 시각성에 의한다. 즉, 총체적 감각을 통해 새롭게 바라보고 표현된다. 이런 현대 사회 흐름 속의 어린이 교육은 논리적 사고와 창의적 사고를 할 수 있는 인재양성에 목적을 둔다. 어린이 미술 교육도 같은 맥락으로 잠재력과 감성, 창의력을 체계적으로 키울 수 있는 프로그램을 필요로 한다. 이에 대한 방안으로 공교육의 경우에는 제 7차 교육과정 수시개정안에서 초등학교 저학년의 교과서를 부분적으로‘슬기로운 생활’,‘바른 생활’등 교과 간 통합을 모색하여 생각의 영역과 폭을 확장할 수 있도록 하였다. 사교육의 경우에는 퍼포먼스 미술 프로그램, 요리 활동을 통한 이벤트 미술 프로그램 등이 보편화되어 잠재된 창의력을 이끌어 주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글로벌 시대에 살고 있는 어린이들에 맞게 넓게 그리고 멀리 바라 볼 수 있는 시각 교육은 부족한 게 현실이다.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제고하고 어린이들 스스로 다양한 각도로 사물과 현상을 볼 줄 아는 시각 미술 교육의 도입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학습 방법의 도입을 위해서는 교사가 학습자 스스로 학습 주제에 대한 인식을 잘 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고 학습에 대한 동기 유발을 강화시켜 주도적이며 혁신적으로 실행 할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시점(多時點)과 다시각(多視角)을 나타내는 공존화 방식인 산점 투시(散點 透視)를 활용하는 어린이 미술표현 수업의 필요성을 제안하였다. 산점 투시(散點 透視)란, 공간이나 시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화면에 형상을 배치하는 동양화의 독특한 화면 구성 방식이다. 이는 공간의 깊이와 대상의 상하좌우, 내외면, 심지어는 시간의 변화, 계절의 변화, 성정의 변화까지를 한 화면에 표출할 수 있는 방법으로 산수화뿐만 아니라 전통 회화의 모든 장르에 사용되어 왔다. 이와 같은 산점 투시를 활용한 수업의 제안은 산점 투시가 서양의 고정 시점과 일점 투시 도법과는 달리, 자연과 사물의 면면을 관찰하여 본질을 파악하게 하고 이를 종합하여 표현하게 함으로 분석적 사고력의 향상과 더불어 융통성 있는 화면구성을 가능하게 하여 종합적인 사고력을 기를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진행은 먼저 산점 투시의 이론적 배경인 산점 투시의 기본 개념과 정신적 배경, 특징을 살펴봄으로 산점 투시의 교육적 의의를 객관적으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어린이 미술의 발달 단계와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이에 맞는 산점 투시를 활용한 수업안을 제시하여, 실제 수업을 통한 산점 투시가 어린이들의 융통성 있는 구도 형성 및 사고의 확장에 도움이 되는가를 어린이 미술 작품의 비교, 분석을 통해 알아보았다. 이상과 같은 과정을 통해 본 연구는 다시점과 다시각을 나타내는 공존화 방식인 산점 투시가 어린이들에게 대상을 본질적, 종합적으로 보는 눈을 갖게 하여 사고를 확장시키고 다양한 표현을 하도록 적극적으로 유도함을 알 수 있었고, 산점 투시를 활용한 미술 수업이 고정된 시점의 제약을 받지 않고 시점을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자유로운 화면 구성을 이루어 구도의 융통성이 발휘되는 것을 알 수 있게 되었다.

      • 수필을 통한 한국어 교육 방안 연구 : 중급 학습자를 중심으로

        안경희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고에서는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문학 교육의 의의를 살펴보고 수필이라는 구체적인 텍스트로 중급 수준의 학습 대상자를 선정하여 교수·학습 방안을 만들어 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장에서는 한국어 교육과 문학 교육의 개념을 검토한 후 수필을 통한 한국어 교육의 의의를 살펴보았다. 2.1. 에서 한국어 교육이란 그 범주를 정할 때 외국인의 한국어 교육과 국외에 거주하면서 한국 국적을 가진 재외국민을 제외한 해외교포의 한국어 교육을 말한다. 그리고 국적에 관계없이 습득 순서에 따른 개념인 제1 언어와 제2 언어가 있는데 외국인이 모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우는 제1 언어는 한국어 교육의 범위에서 제외된다. 문학교육은 넓은 범주의 문화교육 안에서 이루어지며 수필을 통한 한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언어활동의 자료로서 문학을 활용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수필은 개인의 주관적 체험을 구체적 일상어로 묘사하는 문학 장르라는 점에서 한국어 학습자는 일상성을 띤 한국 문화와 한국인의 사고를 경험하면서 문학 텍스트에 접근하고 이에 문학에 대한 감상을 통하여 한국인의 정서를 느낄 수 있다는 것이 수필을 통한 한국어 교육의 의의가 된다. 2.2. 에서는 우리나라 한국어 교육기관은 대학 내에서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데 주된 기관으로는 고려대, 서울대, 연세대가 교재를 직접 만들어 사용하면서 문학교육에 대한 관심을 보였다. 본고에서는 문학 교육 안에서 수필을 이용하여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는 대학 내 한국어 교육기관의 현황을 살펴보았다. 각 나름대로 특성을 살려 한국어 교육을 실시하고 있는바, 문학 교육 중에서 수필 교육은 연세대 문학반을 빼고는 실제 많이 이뤄지지 않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장에서는 수필을 통한 한국어 학습자의 대상과 작품을 선정하기 위해 3.1. 에서는 한국어 능력시험에서 평가 기준표를 이용하여 학습 대상자를 선정하였고 3.2. 에서는 앞장의 기준을 이용하여 피천득 수필 '토요일'을 선정하였다. 한국어 능력시험은 한국 교육과정 평가원에서 실시하며 주목적은 한국어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국가 표준의 검정 제도를 수립하는 것이며 이외에 대학 및 대학원에서 입학의 기준으로 사용한다. 초, 중, 고급의 3단계에서 다시 초급을 1, 2급으로 중급을 3, 4급으로 고급을 5, 6급으로 나누게 된다. 본고의 수필을 통한 한국어 교육은 한국어 능력시험의 평가 기준표에서 중급 수준인 4급에서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그 적절성을 근거로 작품을 선정하게 되었다. 3.2. 에서 수필 작품의 선정기준은 중급 학습자의 수준과 수필 작품의 주제를 고려하였으며, 문학 작품을 통해서 한국어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인 언어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을 고려하여 수필 작품을 선정하게 되었다. 4장에서는 한국어 교육의 학습 방안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는데 수필을 읽기 전, 중, 후로 나누어서 학습 활동과 학습 유형을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해서 교실 상황을 설정하여 활동을 중심으로 수업 지도안을 구성하였다. 읽기 전에서는 연상하기를 통해서 작품 본문을 예측하는 활동을 하며, 읽기 중 활동에는 문법/문형 연습, 어휘 교육, 소집단 활동을 읽기 후 활동에서는 쓰기 활동과 자기 평가지를 활용한 학습자의 피드백을 제공하는 활동으로 되어 있다. 5장에서는 앞서 언급한 여러 논의를 정리하면서 본고의 논의를 마치고자 한다. The outline of thesis when learn a language, it has been generally accepted that high level literary teaching material is not effective because it's not directly related and also linguistic ability is more important. Also, it is the reality of current literary teaching that teacher can educate students without methodology, only with one's discretion. So, in this paper, I aim to make methodology for medium level students with the concrete text essay by considering the meaning of teaching literature as a tool of teaching Korean language. First, in chapter 2, characteristics of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 consider the importanc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teaching Korean literature and essay. After reviewing the concept of teaching Korean language and Korean literature education. In 2.1. Korean language education includes teaching foreigners, overseas Koreans except foreigners who learn korean as a first language, as a mother tongue. I get to know that literary education is done within the broad category of culture training and the ultimat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by teaching essay is that we have to use literature as a material of linguistic activities. Chapter 2.2, I examined the situation of institutes in university of Korea, Seoul National, Yonsei which giving Korean language training using essay within the range of literary education and found that literary training especially using essay was not accomplished at most universities except yonsei. Chapter 3. I choose the subject and literary work for teaming Korean language with essay. In chapter 3.1. I choose the subject by the evaluation criterion of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st. In chapter 3.2, I choose the essay 「Saturday」 by Pi Chon Deuk with the consideration of the ability of intermediate students and the main theme of it as a tool for obtaining the ultimate go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ology for language education using literary work. I validate that Korean language training using essay is available to the subject who is intermediate level 4 in evaluation standards and I choose above essay by considering things listed above. In chapter 4. I present a concrete study program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prepare teacher's guideline which is activity-oriented and drived from the situation of classroom based on the types of studying essay before reading essay, student can guess the content of it by association. While reading, student can exercise grammar, sentence vocabulary, small group activity. After reading, student can make feedback by fulfilling a self evaluation sheet. In chapter 5, I make conclusion by summarizing above discussion.

      • ARCS동기전략을 적용한 E-Learning Activities 학습설계 : 대학교 현장을 중심으로

        김선도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663

        우리나라에 이러닝(e-learning)이 보편화되면서 우리의 삶의 방향도 변하고 있다. 정보통신의 발달은 급격한 사회의 변화를 준다. 날이 갈수록 변화되는 삶 속에서 새로운 방식의 교육매체를 접하게 된다. 그에 따른 학습자들의 학습방향, 학습방법이 시공간을 뛰어 넘게 된다. 현재 이러닝은 초중고 학교, 대학, 기업, 평생교육을 위한 사이버대학 모든 곳에서 이뤄지고 있다. 이러닝이 보급되어 사용한지도 2000년을 기점으로 하여 12년이 흘렀으며 이러닝의 정의와 발달과정에 대해서 알아보며 계속적으로 이러닝 교육시스템의 미래 방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이용되어지는 이러닝의 현 실태 조사를 먼저 연구해보고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이러닝 교육을 비교분석 해보았다. 그래서 현재 시행되어지는 이러닝이 학습자들에게 유용하고 적합성에 맞게 사용되어지는지 알아보았다. 연구조사를 통하여 이러닝 교육시스템 설계과정에서 교육적 이론인 Keller의 ARCS를 적용해보았다. 교육이론인 ARCS모델을 통하여 구체적으로 나아갈 방향을 연구해보았다. ARCS 동기전략 (Keller,1999) 이론은 주의력(Attention), 관련성(Relevance), 자신감(Confidence), 만족감(Satisfaction)을 통하여 주의력을 높이기 위한 이러닝 설계 방법, 관련성을 높이기 위한 이러닝 설계 방법, 자신감을 높이기 위한 이러닝 설계 방법, 만족감을 높이기 위한 이러닝 설계 방법들을 연구해 보았다. 그에 따른 ARCS 동기전략의 효과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동기전략이론을 바탕으로 활동적인 측면을 강조시켜 사이버상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의 공간을 뛰어넘어 E-Learning Activities를 적용해 보았다. 단순히 일방적인 학습을 멀리하고 집중도를 높이기 위한 방법으로 창의성과 상호작용 학습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으로 이러닝 학습의 동기를 강조시킨다음 학습의 의욕도를 높여주고 창의적인 협동 활동을 통하여 학습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방법을 연구해 보았다. As E-Learning becomes more common in Korea, learning patterns of korean students are also changing. Technological advances lead to rapid changes in the society, and as days go by, new types of educational media emerge due to the changed lifestyle. As a result, directions of education for learners and educational methods are observed to go beyond time and space. As a new learning tool, E-Learning is currently practiced at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universities, corporations, and all cyber universities for lifelong education. E-Learning became available and has been in use since 2000. This paper will first discuss the definition of E-Learning and its development in the past 12 years. It will also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of E-Learning education system. A survey was carried out to examine the current E-Learning environment in Korea. This way, effectiveness and appropriateness of E-Learning method to learners were studied. With research results, Keller's ARCS Model was applied in the designing process of E-Learning system, to devise more specific future directions of this emerging education. The ARCS Model of Motivational Design, an educational theory developed by John M. Keller, states that one's motivation can be explained by attention, relevance, confidence and satisfaction. Based on the model, the research was expanded to develop E-Learning designing methods that increase each of the four factors and examine possible effects of the ARCS Motivational Design on E-Learning. Finally, some feasible E-Learning activities were devised, applying the active side of Motivational Design Model. These activities focus mainly on creativity and interactions rather than the simple, conventional leaning methods. Overall,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ethod that emphasizes the learner's motivation in E-Learning, increases his desire to learn, and finally maximizes educational achievement by creative and cooperative E-Learning activi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