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예비 일반유치원교사와 예비 특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비교연구

        전미숙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 문 초 록 예비 일반유치원교사와 예비 특수교사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비교연구 전 미 숙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유아특수교육전공 (지도교수 황 도 순)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일반유치원교사와 예비 특수교사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와 통합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충남과 충북에 소재한 4년제 대학의 유아교육과와 특수교육과에 재학 중인 4학년 학생 100명씩 모두 20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방법은 설문지법을 이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12.0을 이용하였으며, 평균. 표준편차, t-test, ANOVA 및 사후 검증으로 Tukey를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예비 일반유치원교사와 예비 특수교사들의 사회인구학적 특성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2. 예비 일반유치원교사와 예비 특수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어떠한가? 연구결과 예비 일반유치원교사와 예비 특수교사들의 성별, 관련과목이수여부, 이수학점, 정보접촉 유형, 견학경험과 실습경험 등의 사회인구학적 변인에 따라서 인식의 차이가 유의하게 나타났으며, 예비 특수교사들이 예비 일반 유치원교사들 보다 통합교육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통합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태도는 성공적인 통합교육의 실행에 있어 매우 중요한 요인이지만 성공적 교육이라는 것이 개인들이 받아들이는 교육에 대한 인식적 태도에만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전반적인 구조와 교육환경, 그리고 교육의 주체들 간의 상호작용 등 다수 변인에 의한 것이다. 따라서 통합교육의 실행에 있어 예비 교사들의 태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기 위한 다양한 교육의 기회 확대와 충분한 사전 준비, 소양 교육 등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육실태 및 지원 요구 조사 분석

        서광남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초등학교 통합학급 교육 실태 및 지원 요구 조사 분석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특수교육행정전공 서광남 본 연구는 통합교육의 여건 조성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 통합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통합학급에서 실행되는 통합교육과 관련된 학급운영 실태를 파악하고 그에 관련하여 통합교육에 대한 통합학급 교사의 지원 요구를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 달성을 위하여 그 구체적인 연구문제로 첫째, 통합학급의 통합교육과 관련된 물리적, 기능적 영역의 학급운영 실태를 알아보고 둘째,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유형, 장애정도, 담당학년에 따른 교과지도 영역, 생활지도 영역, 행·재정적 영역의 지원 요구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의 대상은 대전광역시 공립 초등학교 내 장애학생이 통합되어 있는 통합학급 담당교사 351명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연구목적에 맞게 자작한 설문지로 하였고 결과는 SPSS팩키지(for windows 10.0)를 이용하여 전산 처리하였다. 본 연구수행 결과, 먼저 통합학급의 통합교육과 관련된 학급운영 실태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의 통합교육과 관련된 물리적인 학급운영 실태는 통합학급을 맡고 있는 교사의 대부분이 일반학교 교사 자격만을 소지하고 있으며(76.36%) 통합학급의 학급당 특수교육 요구 학생수는 적절하며(평균 1.0명) 통합학급에 통합되어 있는 장애유형은 학습장애의 비율이 가장 높으며(37.90%) 통합학급에 통합되어 있는 장애학생의 장애정도는 경도장애의 비율이 가장 높은(46.44%)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통합학급의 통합교육과 관련된 기능적인 학급운영 실태는 개별화 교육 프로그램 작성사례가 거의 없으며(92.60%) 통합학급 내 장애학생에 대한 지도는 주로 문제행동의 수정 중심(45.87%)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장애학생들이 일반학생과 상호작용을 위해서 1:1 짝짓기 및 1:1 역할 부여 전략이 주로 사용(43.58%)되어 지고 통합학급에 대한 학교당국이 지원하는 내용은 거의 없으며(83.48%) 통합교육에 대한 교육과 홍보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통합학급 교사의 장애유형, 장애정도, 담당학년에 따른 교과지도 영역, 생활지도 영역, 행·재정적 영역의 지원 요구에 대한 차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은 장애학생의 장애유형에 따른 교과지도, 생활지도, 행·재정적 지원 영역의 지원 요구 수준은 차이가 없다(p>.05). 둘째,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은 장애학생의 장애정도에 따른 교과지도, 생활지도, 행·재정적 지원 영역의 지원 요구 수준은 차이가 없다(p>.05). 셋째, 통합학급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은 담당 학년에 따라 교과지도, 생활지도 지원영역의 지원 요구 수준은 차이가 없으나(p>.05) 행·재정적인 지원 요구 수준은 담당학년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p<.01) 특히 저학년(1-2학년)을 담당하고 있는 교사들의 지원 요구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는 초등학교의 통합학급 교사들의 통합교육에 대한 교과지도, 생활지도, 행·재정적 지원 영역에서 지원 요구 수준이 차이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본 연구의 대상자들 중 대부분 통합교육에 대한 지원 요구 수준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므로 통합교육의 기반을 조성하고 통합교육의 질을 한 단계 높이기 위해서는 통합학급교사에 대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져야 할 것이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후속 연구를 위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와 중등학교의 통합교사들의 지원 요구를 비교하고 그에 따른 단계적인 지원 프로그램이 절실히 필요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의 통합학급의 교사만을 대상으로 하였다. 그러므로 초등학교 통합교사와 중등학교의 통합교사의 지원 요구를 함께 조사하여 비교·분석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의 통합교사만을 대상으로 지원 요구를 조사하였다. 그러나 통합교육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하여서는 교사 뿐 만 아니라 학생 및 학부모의 관심과 참여가 동시에 필요한 실정이다. 그러므로 통합학급의 학생과 학부모의 지원 요구를 함께 조사하여 비교·분석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ABSTRACT The actual condition of Integrated class in Elementary school and Examination & Analysis on its Demand for support Kwang-Nam Seo Department of special education administration Graduate School of special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Won-kyung Kim, Ph. D. The main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provide basic data in order to build up circumstances of integrated education, to understand the actual condition of integrated education carried out in integrated class in order to strengthen the quality of integrated education, and to analyze the demand for supporting teachers of integrated class in connection with integrated education. In order to obtain these objectives of the study, as specific research matters, firstly, we will examine physical and functional realities with respect to unified education of integrated class, and secondly, we will compare the differences concerning the demand for supporting the field of curriculum guidance, the field of living guidance,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fields in accordance with the integrated class teachers' types of difficulties, the extent of difficulties, the grade in charge. Based upon the objectives of the study, 351 teachers in unified classes were the subject of the study, where disabled students are integrated in a public elementary school in Daejeon. The questionnaire made up independently was used for the purpose of investigating the study and the results were dealt with computer by means of SPSS package (for windows 10.0).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analysis on actual condition of unified education of integrated class is as follows: Firstly, the results show that the physical realities of integrated education in integrated class are that most teachers in charge of integrated classes possess teacher's license for general school (76.36%), the regular number of students per class in integrated class is appropriate (average number of student is 1.0), learning difficulty forms the highest rate(37.90%) of the types of difficulties integrated in the integrated class, and the slight difficulty forms the highest rate (46.44%) of the extent of difficulties of disabled students integrated in the integrated class. Secondly, the results show the integrated functional educational realities of integrated class are that there are few individual education program (92.60%), guiding the disabled students in integrated class is done on the basis of correcting the problem causing behaviors of the students(45.87%), in order to interact with normal students for disabled students, mainly making a pair of 1:1 and roleplaying strategy are used(43.58%), there is almost no backup by the school regarding the integrated class(83.48%), and finally there is almost no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 with respect to integrated class. The followings are analysis of differences concerning the demand for supporting the field of curriculum guidance, the field of living guidance, administrative & financial fields in accordance with the types of difficulties, the extent of difficulties, the grade in charge of teacher of the integrated class. First, the teachers in charge of the integrated class show no differences in demanding support of curriculum guidance, living guidance, administrative & financial fields according to the types of difficulties of disabled students(p>.05). Second, the teachers in charge of the integrated class show no differences in demanding support of curriculum guidance, living guidance, administrative & financial fields according to the extents of difficulties of disabled students(p>.05). Third, although the teachers in charge of the integrated class show no differences in demanding support of curriculum guidance, living guidance fields according to the grades in charge (p>.05), demands for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a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grades in charge (p<.01), and particularly the demand from teachers in charge of lower grades (1st or 2nd grade) is high. The results show that there is no big difference in demanding support for curriculum guidance, living guidance, administrative & financial fields regarding integrated education of integrated class teachers in an elementary school, however, it was analyzed that most of the people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showed fairly high demand for supporting integrated education. Therefore, in order to build up the foundation of integrated education and upgrade the quality of integrated education, specific and systematic backup programs should be prepared for the teachers of integrated class.

      •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실태 조사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김수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초등학교 무용교육의 실태 조사연구 - 대전광역시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전공 김수현 무용교육은 인간형성을 위한 교육이라는 점에서 교육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영역이며 이는 인간이 지니고 있는 활동 의욕과 표현 의욕을 충족시켜서 생활을 풍부히 하고 즐겁게 하며 미적 신체와 건강을 추구하는 것으로 인간이 천부적으로 지닌 예술적 소질을 의도적인 신체활동을 통하여 학습하므로써 지적, 신체적, 정서적 및 사회적으로 가치있는 인간을 육성시키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초등학교에서의 움직임 교육으로서 무용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가를 알아보기 위하여, 무용교육의 실태를 조사하였다. 대전광역시의 초등학교에 재직중인 교사를 모집단으로 설정한 다음 단순무작위 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204부의 표본을 추출하였으며, 자료를 컴퓨터에 개별 입력시킨 후 SPSSWIN을 이용하여 자료분석의 목적에 따라 전산처리 하였다. 유의수준 α=.05에서 검증하였고 자료분석을 위하여 실시한 통계분석 기법은 빈도분석하였으며,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일반적 정보문항, 시설 환경면, 무용교육과정 및 운영적인 면, 교사활동 및 개선점 등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설 환경적인 면에서 교사 123(60.3)명이 운동장에서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으며, 교사의 143(70.1)명이 시설에 불만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필요한 교육시설로는 교사 129(63.2)명이 무용실 확보에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무용교육과정 운영면에서는 교사 126(61.8)명이 7차 교육과정을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편된 교육과정의 만족도에 대해서는 126(61.8)명이 ‘보통이다’라고 답하였다. 그러나 체육교과에서 필수/선택 영역의 지정에 대해서 95(46.6)명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용수업은 141(69.1)명이 필요시에만 수시로 지도하고 있으며 학년별 수준은 130(63.7)명이 적당하다고 하였고, 체육교과서에서의 무용이 차지하는 영역의 분량에 대해서는 123(60.3)명이 각각 ‘적당하다’로 나타났다. 추가 희망하는 영역은 57(27.9)명이 민속무용이라고 하였다. 교사의 136(66.7)명이 무용교육의 목적을 전인교육에 두고 있으며, 99(48.5)명이 ‘창의력 향상에 도움을 준다’라고 하였으며, 이러한 무용교육은 107(52.5)명이 예술쪽에 속해야 한다고 나타났다. 무용교과서는 105(52.0)명이 필요성을 느끼고 있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용수업시 152(74.5)명이 교사용 지도서를 부교재로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 교사 158(77.5)명이 전문무용교사가 ‘필요하다’라고 하였으며, 교사의 108(52.9)명이 무용교육의 개선점으로 전문무용교사의 필요성이라 하였다. 또한, 교사 105(51.5)명이 학생들은 무용수업을 ‘즐거워한다’라고 하였으나, 무용강습회 및 세미나의 참석에는 186(91.2)명이 거의 참석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Study on Status of Dance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 Mainly on Daejeon - Kim, su - hyun Department of Da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Kong-ju University The dance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field of education considering as an education of human development and this satisfies needs of activity and desire of expression. It fulfills and amuses one's life as well as pursuing aesthetic body and health. It has a characteristic that trains humans in intellectual, physical, emotional and social values by studying artistic talent of human through intentional physical activities. To observe how the dance education was being held as a moving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in Daejon, the study investigated the status of the dance education. Total of 204 samples was selected from teachers working at the elementary schools in Daejon and after the data was individually processed into the computer, it was computeriz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data analysis using SPSSWIN. The level of significance was verified when a=.05, Frequency Analysis was used for the statistical method of data analysis, and Chi-square analysis was executed. The questionnaires were divided into general information questions, facility environment, dance education curriculum, management, teacher's activity, and improve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In facility environment, 123 teachers(60.3) were having classes in the field and 143(70.1) teachers expressed dissatisfaction with the facilities. As for a necessary facility, 129 teachers(63.2) wanted a dancing room. 2. In case of management of the dance education curriculum, the study showed that 126 teachers understood the 7th curriculum and 126 teachers(61.8) answered 'it's average' for the improved curriculum. However, 95 teachers(46.6) were not correctly following the required/optional area of P.E. course. 141(69.1) taught the dancing class only when needed and 130 teachers(63.7) taught according to grades. 123 teachers(60.3) answered that the amount the dancing class takes up in the P.E. course was 'sufficient' and 57 teachers said that they would hope for traditional dance as an addition. 136 teachers set the purpose of the dance education to the education for the well-rounded person and 99(48.5) said "it helps to improve creativity." 107(52.5) teachers think that the dance education needs to be included in art. As for the text of the dance education, 105(52.0) teachers did not feel the need and 152 teachers(74.5) use teacher's materials as a secondary textbook. 3. 158 teacher(77.5) said "There is a need for a 'professional dance teacher'" and 108(52.9) said that there is a need for a professional dance teacher in order to improve the dance education. Also, 105 teachers(51.5) said that the students enjoy the dancing class but it is shown that 186 teachers(91.2) hardly participates the dance lessons and seminar.

      • 장애학생 통합교육에 대한 일반학교 교장과 교감의 인식 비교 연구

        김응래 공주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63

        일반학교에서 관리자 교장 · 교감의 역할은 통합교육의 성공적인 경영을 위해 결정적이다. 연구의 목적은 충남지역 일반학교 천안시 ,공주시 소재 초, 중, 고 관리자인 교장·교감이 통합교육에 대해 평소 어떻게 생각하고 적절한 통합교육의 방법을 찾는 것을 조사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일반학교 교장·교감의 장애학생 지도 경험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둘째,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장애학생 지도 경험이 있는 일반학교 교장·교감의 교육연수 유무,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셋째,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은 장애학생 지도 경험이 없는 일반학교 교장·교감의 교육연수 유무, 교직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철저한 연구를 위해 충남지역 천안시, 공주시의 일반학교 총 342명의 관리자 교장 · 교감에게 설문조사를 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장애학생 지도 경험에 따른 통합교육에 대한 관리자 교장·교감의 인식에 대해 조사했다. 그 결과로 모든 관리자 교장· 교감 두 그룹이 장애학생 지도 경험이 있던지 그렇지 않던지 간에 통합교육이 제공되어야 하고 그런 교육적 기회가 확대되어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조사되었다. 덧붙여서 장애학생 지도 경험이 있는 관리자 그룹은 통합교육 제공의 필요성을 좀 더 유의하게 인식했다. 게다가 장애학생 지도 경험에 상관없이 통합교육의 영향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나타냈다. 장애학생 지도 경험이 있는 관리자 교장 ·교감은 장애학생들이 느낄 수 있는 소외감에 대해 우려를 나타냈다. 통합교육 요구에 대한 인식에 따라 교장 ·교감 두 그룹은 좀더 확장된 제도적 뒷받침이 필요함을 발견했다. 통합교육의 저해 요소에 대해서는 교장 ·교감 두 그룹 모두 학교에서 심각하게 저해요인이 작용한다고 나타났다. 둘째, 장애학생 지도 경험이 있는 관리자 교장 ·교감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특수교육 관련 연수와 교육 경력에 따라 얼마나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를 조사를 했는데, 그 결과로 31년에서 35년의 교육경력이 있는 관리자 교장 ·교감이 36년 혹은 그이상의 경력자보다 통합교육의 효과에 대해 좀 더 긍정적이었다. 셋째, 또한 장애학생 지도 경험이 전혀 없는 관리자 교장 ·교감의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특수교육 관련 연수와 교육경력에 따라 얼마나 유의한 차이가 있는가도 조사했다. 그 결과 25년에서 30년 교육경력의 관리자 교장 ·교감이 36년 혹은 그이상의 경력이 있는 관리자 교장 ·교감에 비해 통합교육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으며, 또 25년에서 30년 교육경력의 교장 ·교감 그룹과 31년에서 35년의 교육경력 교장 ·교감 그룹은 36년 혹은 그 이상의 교육경력 교장 ·교감 그룹보다 통합교육의 저해 요소에 대해 더 높은 수준의 인식을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 실태 및 개선방안 비교 연구

        장금수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 실태 및 개선방안 비교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특수교육전공 장금수 본 연구는 특수학급 아동의 통합교육을 위한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의 실태와 협력의 개선방안 대한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을 비교해 보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교사간 협력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위하여 특수학급이 설치된 충청남도에 있는 초등학교의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하여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의 실태를 알아보았고,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개선방안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인식의 차이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1)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 실태 첫째, 통합교육의 효과에 대한 인식을 비교해본 결과 특수학급 교사가 통합학급 교사보다 더 효과적이라고 인식되어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게 되었는데 통합교육에 대한 인식이 통합학급 교사보다 특수학급 교사는 더 효과적이라고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은 통합학급 교사는 장애아와의 접촉이 적고 장애아의 교육에 경험이 부족하여 나타난 결과로 보인다. 그러나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두 집단 모두 매우 필요하다는 긍정적인 반응이 나와 교사간 협력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특수학급 어린이를 지도하면서 겪는 어려움은 학습지도, 문제행동지도, 개인 및 생활지도로 두 집단 유사하게 나타났으며,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의 효과에 대한 인식은 생활지도와 교수학습으로 두 집단 간 차이를 보이지 않는데 이는 방명애·정상진(2001)의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간 협력의 효과에서 가장 효과적인 영역이 문제행동 중재라는 것과 일치한다. 셋째, 특수학급 어린이를 지도하면서 겪는 어려움의 협의 대상자는 특수학급 교사는 대부분 통합학급 교사와 협의를 하고 있으나 통합학급 교사는 특수학급 이외에도 동료교사나 선배교사와 협의하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고, 특수학급 어린이의 교육적 문제 해결은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가 같이 협의하여 해결하기도 하지만 특수학급 교사 단독으로 해결하는 경우도 많은 것으로 나타나 교육적 해결에 있어서 협조적인 체계가 잘 이루어지지 않음을 나타내어 구체적인 협조체제가 요망된다. 넷째,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협력의 정도는 가끔 하는 정도로 나타나 협력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정기적인 모임은 갖지 않고 필요한 경우만 모임을 갖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간 의사소통의 기회를 많이 갖고 정기적인 모임을 통하여 인간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이 요망된다. 다섯째, 특수학급 교사와 통합학급 교사의 상호 협력의 내용은 특수학급 교사는 학교행사 참여활동, 문제행동 중재, 현장체험학습활동 순으로 협력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통합학급 교사는 문제행동중재, 교우관계 및 사회성 신장교육, 학교행사 참여 활동 순으로 협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이것은 특수학급 교사는 다양한 학교행사 전반에 걸친 내용에 협력을 하고 있는 반면에 통합학급 교사는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개개인의 특성에 맞는 교육내용에 더 많이 협력의 필요성을 느끼고 실천하고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반면에 협력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내용은 특수학급 교사는 재량활동 지도, 특별활동 지도와 학습자료의 제공이며 통합학급교사는 재량활동 지도, 통합교육계획 수립과 자리배치 순으로 협력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집단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높게 보인 영역은 학교행사 참여 활동과 통합교육계획 수립에 대한 협력이며 특별활동 지도와 교우관계와 사회성 신장 교육에 대하여는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2)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개선방안 통합교육을 위한 교사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개선방안에 있어서 특수학급 교사는 교수학습 자료의 확충(1순위)과 교사간 협력의 방법론에 대한 연수(2순위) 및 통합학급의 인원수 감축(3위)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통합학급 교사는 교수. 학습 자료의 확충(1순위) 교사간 협력의 방법론에 대한 연수(2순위) 통합학급의 학급당 아동수 감축(3순위)이 필요하다고 하여 교사간 협력을 위한 개선방안의 선행연구(방명애·정상진, 2001)와는 일치하지 않으나 교사간 협력을 위한 개선방안이 특수학급 어린이를 지도하면서 겪는 어려움이 해결될 수 있는 실질적인 개선방안의 필요성을 요구하고 있다고 간주된다. 그러나 두 집단 모두 통합학급 교사에게 별도의 수당을 지급한다가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지 않았으며 교사간 정기적인 모임의 의무화 및 통합학급 교사에게 승진 가산점을 부여하는 것을 교사간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덜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은 선행연구와 일치한다(방명애·정상진, 2001). ABSTRACT A Study on Collaboration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 and Integrated Class Teacher and Possible Reform Measures Jang Geum-su Department of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 Ju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Jeon Byeong-wu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cooperated with each other for integrated education geared toward children in special class and to seek ways of creating better tie-up between them.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below: 1. In which way do special class teachers and integrated class teachers team up with for successful integrated education for special class children? 2.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opinion about possible reform measures for more efficient integrated education for special class children?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the teachers from 100 elementary schools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where special class was prepar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the special class teachers found integrated education more effective than the integreated class teachers did, and both groups keenly felt the need for intergroup collaboration, which indicated the importance of cooperation among teachers. Second, when they taught special class children, academic guidance was most difficult for them to do, followed by problem-behavior guidance, individual guidance and guidance in the order named, no matter they were in charge of special class or integrated class. The special class teachers were mainly responsible for the settlement of educational problems. Third, both groups made concerted efforts for integrated education occasionally, which implied that there wasn't proper cooperation between them. There was no regular meeting, and they got together just as occasion demanded. It's required for them to have more chances to talk with each other and have a meeting on a regular basis to build better relations. Fourth, the special class teachers cooperated the most in helping children to join in school events, offering intervention for problem behavior and conducting field study in the order named. The integrated class teachers provided the best assistance for offering intervention for problem behavior, improving children's social relations, developing their sociability and having them join in school event in the order named. Fifth, both groups found it most necessary to secure teaching materials as a way to facilitate their collaboration, and the second most widely agreed reform measure was providing teacher training about how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followed by integrated class downsizing. This fact seemed to imply that they thought it's necessary to take a more practical step to get rid of the difficulties they had in teaching special class children.

      • 제1차∼제7차 교과과정을 통해본 고등학교 무용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서은진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제1차~제7차 교과과정을 통해본 고등학교 무용교육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무용교육전공 서은진 오늘날의 대다수 사람들은 ‘교육’이라는 것이 중대한 과제라는 인식을 가지고 있다. 그 과제의 내용에는 차이가 있을지언정 이러한 인식은 전세계적으로 존재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교육의 이념 및 가치를 보면 진·선·미를 중심으로 신체적, 정서적, 사회적 그리고 지적발달이 고루 요구되어 조화로운 발전으로 학생들을 배양하고자 하는데 그 교육적 목적을 두고 있다 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무용교육은 이러한 교육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교육중의 하나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오늘날 무요이 교육으로서 활동되어지고 교육의 효과로서 얻어지는 교육적 가치는 결코 만족할 만하지 않다. 그것은 무용이 초·중·고등 교육과정에서부터 체육교과의 한단원으로 통합되어져서 무용의 교육적 기능이 전혀 고려되지 않는다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우리나라 학생들에게 미칠 정서적인 교육 부분의 절름발이식 공교육 현상을 짐작 해 보며, 무용이 가져다 줄 많은 긍정적인 교육효과를 주지해 보면서 무용이 더 나은· 교육의 장에 포함 될 수 있는 노력이 필요하다 생각되어져 본 논문의 주제를 설정하여 연구하였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제1차~제7차 무용 교과과정의 변화를 먼저 살펴보고, 제1차 체육교과과정에서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제7차 체육교과과정의 개혁을 통해 무용이 체육 교육의 수단으로 교육되어짐으로써 발생되는 학교무용교육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발견하고 그에 대한 올바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제1차~제7차 무용교과과정을 살펴본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보았다. 첫째, 무용이 7차교과과정까지 오는데에도 독립교과로서 인정받지 못했다. 둘째, 교육방법론에 있어서 전 근대적 교육방법을 쓰고 있다. 셋째, 무용수업을 할 수 있는 공간과 시청작 교재가 부족하다. 넷째, 적절한 무용교육 프로그램이 부족하다. 다섯째, 아직도 무용교사가 아닌 체육교사 자격증으로 인정이 된다. 여섯째, 무용이 교육적의미로서의 사회인식이 부족하다. 이에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이 가지는 교육적인 가치를 인정하여 체육과는 다른 독립교과로서 자리를 잡아야 한다. 둘째, 교육방법에 있어서 전근대적인 방법이 아닌 시대 흐름에 맞추어 청소년들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즉 TV속에 나오는 유행하는 춤이나, 힙합, 째즈, 스포츠 댄스 등의 무용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사회교육의 기본 단위인 학교에서부터 무용교육이 시작되어 학교 내에서 무용클럽활동, 무용공연의 정기적 관람, 무용단초청공연, 무용교육과 관련된 TV프로그램과 비디오 시청등 무용을 많이 접할 수 있도록 하여 사회로 대중화를 만들 필요성이 있다. 넷째, 무용수업을 할 수 있는 공간과 시청각 교재는 정부의 행정적인 지원이 요청된다. 다섯째, 체육교사 자격증이 아닌 무용교사 자격증으로 인정받아야 한다. ABSTRACT Issues and Improvement of Curriculum of High School Observed through First to Seven Teaching Practical. SEO EUN JIN Department of Dance Education Graduate School, Kong Ju National University Today, many people be aware of "Education" as a problem awaiting solution to be solved. The problem to be solved would be different by country but it does exist throughout the world. The idea and value of education of Korea is based on truth, goodness and beauty that develop the students physically, emotionally, socially, and intellectually. The dance is one of the education to achieve the idea and value. However, now a day the dance has not been actively practiced as an education that could expect some educational influences. Due to the fact that the dance is part of curriculum of physical training for the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the educational functions of dance is not considered. Therefore, we should give consideration on the current incongruous education system, and should pay due regard to the positive effects that a systematic education of dance will bring to the country, which will be the main subject of this thesis. This thesis will go over the change of 1st to 7th dance curriculum. It will reveal the problems which are caused by the current incongruous education system, and discuss the betterment plans for those problems. The followings are the problem, which was discovered during the 1st to 7th dance curriculum, that will be discussed in this study. First, the dance has never been independent curriculum, which always belongs to part of physical training. Second, a methodology of education is premodern. Third, a classroom and audio vidual aids are not enough for training. Forth, there are not enough program for the dance class. Fifth, a gymnastic teacher certificate is required to teach dance, no specialized certificate is required for dance. Sixth, people do not aware of dance as an part of independent education curriculum. The betterment plans for the problems suggested above are as follows; First, the educational value of dance should be recognized that dance is separated from gymnastic curriculum. Second, the education methodology needs to be updated that choose programs which get students interested in such as hip-hap, jazz, sports dance, and so on. Third, creating a dance club, viewing performance, inviting dancing teams, watching TV or video which related to the education will be the way to popularize the education of dance and it should start at schools which is a basic element of social education for students, Forth, we need to have a support from the government for classroom for practice and audiovisual aids. Fifth, there should be a specialized license to teach dance other than gymnastic license.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교과서 활용도에 관한 연구

        장지성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논문 요약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교과서 활용도에 관한 연구 장지성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방법 전공 (지도교수 : 한승록) 본 연구는 2000학년도부터 시행되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와 교과서 활용도, 그리고 관심도와 활용도의 관계를 밝히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와 제 7차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교과서의 활용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전과 충남에 있는 초등학교 교사들에게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은 학교급 및 지역을 고려하여 연구자가 임의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관련문헌과 선행연구의 고찰을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은 가설을 설정하였다. 이상의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라 설정된 가설은 다음과 같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가설Ⅰ-1>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교사들의 성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Ⅰ-2>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교직경력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Ⅰ-3>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학력수준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Ⅰ-4>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교사들의 근무지역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가설 Ⅱ-1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에 의거한 교과서의 활용도는 교사들의 성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Ⅱ-2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 대한 교사들의 활용도는 교직경력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Ⅱ-3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 대한 교사들의 활용도는 연수의 양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 Ⅱ-4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 대한 교사들의 활용도는 교사들의 근무지역별에 따라 의미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표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 수준에 따라 활용도 수준에는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현재의 관심도 및 활용도, 그리고 관심도와 활용도와의 관계를 분석·검증 해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수준은 단계 0(무관심의 단계)이 가장 많았으며, 나머지도 대부분 ‘단계 3(운영의 단계)’ 이하의 수준인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배경 변인별 관심도 수준의 차이는 경력별, 지역별, 학력별에 따라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의 가설 <Ⅰ-1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성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부정되었으며, 가설<Ⅰ-2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교사들의 경력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긍정되었다.(p<.05) 가설<Ⅰ-3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교사들의 지역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긍정되었다.(p<.05) 가설 <Ⅰ-4 : 초등학교 제 7차 교육과정 대한 교사들의 관심도는 교사들의 학력별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긍정되었다.(p<.05) 둘째, 초등학교 교사들의 교과서 활용 수준은 거의 대부분 ‘3수준(기계적 활용 수준)’이었으며, 연구 대상 교과 중 ‘총론’, ‘국어’, ‘수학’, ‘사회’ 교과에서는 교직 경력별에 따라 활용도 수준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가설 Ⅱ-2 : 초등학교 교과서에 대한 교사들의 활용도는 교사들의 교직 경력에 따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교과서 활용도 전체영역에서 뿐만 아니라 각 하위영역에서도 부분적으로 긍정되었다. 또한 연구 대상 교과 중 ‘전체활용도’, ‘국어’, ‘수학’, ‘과학’, ‘영어’ 교과에서는 연수의 양별에 따라 활용도 수준에 의미 있는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가설 Ⅱ-3 : 초등학교 교과서의 활용도 수준은 교사들의 연수의 양별에 따라서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긍정되었다. 셋째,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들의 관심도와 활용도의 관계에서는 관심도가 높을수록 활용수준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의 <가설 Ⅲ : 초등학교 학교 제 7차 교육과정에 대한 관심수준에 따라 활용도 수준과 의미 있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는 전체활용도 및 하위영역 중 ‘총론’, ‘국어’, ‘수학,’ ‘영어’에서 긍정되었으며 ‘사회’, ‘과학’ 영역에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아니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관심도에 있어서 교사들의 학력별, 경력별,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으며, 활용도 측면에서는 연수를 받지 않은 교사보다 연수를 많이 받은 교사가 교과서 활용도의 결과가 높게 나온 것으로 보아 보다 체계적이고 알찬 연수를 많이 해야한다는 시사점을 주었다. ABSTRACT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Teacher's Stages-of-Concern and their Practical Use of Textbook o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Jang, Ji Sung major in curriculum and instruction Dept. of Educ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Chungnam, Korea (Supervised by Han, Seung Lock. Ph.D)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ges of concern and the practical use of textbook on the 7th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Because of the government-centered curriculum development tradition in our country, the teachers have seldom experienced about curriculum development and evaluation. As a result, they have not been interested in curriculum development and active using the textbook based on the curriculum. Therefore, this study is focused on finding out the stages of concern, the levels of using textbook and the relation between them o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ings. First, most of the teachers answered at step 0 (the stage of indifference) concerning the level of teachers' interest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he rest almost responded at step 3 (the stage of management). In the light of teachers' background some variation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different levels of interest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career, region of school, and academic background. In this study, hypothesis I-1 was rejected: 〈The stage of teachers' concern o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as meaningfu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gender〉. However, hypothesis I-2 was accepted : 〈The stage of teachers' concern o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as meaningfu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educational career.〉(p〈.05) Hypothesis I-3 was accepted: 〈The stages of teachers' concern o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as meaningfu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region of school〉(p.〈.05) Hypothesis I-4 was accepted: 〈The stages of teachers' concern o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as meaningfu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academic background〉(p.〈.05) Second, regarding the level of using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st of the teachers responded at level 3 (the stage of mechanical use). In the area of ‘generalities,’ ‘Korean,’ ‘mathematics,’ and ‘sociology’, withi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the level of practical use was meaningfu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educational career. Accordingly, Hypothesis II-2 was accepted in the area of 'generalities" as well as ‘Korean,’ ‘mathematics,’ and 'sociology’, within the 7th elementary curriculum, : 〈The level of teachers' use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as meaningfu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teachers' educational career.〉 In the subjects of ‘Korean,’ ‘mathematics,’ ‘science,’ ‘English,’ there were meaningful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amount of teachers' training. Accordingly, hypothesis II-3 was accepted :〈the level of teachers' use of elementary school textbooks was meaningfully different according to the amount of teacher's training〉 Last,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stages of concern and the levels of using textbook, the more interested teachers are in educational curriculum, the more textbooks teachers are using practically. Accordingly, among the sub-areas, hypothesis III was accepted in ‘generalities,’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except in ‘sociology,’ ‘science’ :〈 there was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level of practical use of textbooks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chers' interest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 중년기 여성의 고등교육 참여를 통한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 : 방송통신대학교 학습자를 중심으로

        김철호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이 연구는 중년기 여성의 고등교육을 통한 학습경험에 관한 연구이다. 학령기에 배움의 꿈이 좌절된 여성이 어떠한 맥락을 통하여 고등교육을 경험하는지, 그 과정에서의 학습경험은 어떤 것이며, 그 경험이 어떻게 유의미한 변화로 이어지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그들이 살아온 삶의 맥락에서 의미를 분석해 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문제 해결을 위하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학위과정을 이수한 40세 이상 60세 이하 중년기 여성 8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이들의 내면적 경험을 밝혀내기 위해서 성장배경, 학령기 경험, 결혼 및 가정생활, 고등교육 경험, 평생학습 경험 등을 삶의 맥락에서 도출하고, 질적 연구의 한 방법인 현상학적 연구로 분석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도출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년기 여성의 고등교육 참여 배경은 생애경험과 매우 밀접한 인과적 관계가 있다. 둘째, 고등교육을 통한 학습경험은 낯선 대학교육의 극복과정 외에 방송대의 고유한 대학문화를 경험하고, 이를 통한 학습경험이 다양한 양상으로 나타난다. 셋째, 중년기 여성은 고등교육의 학습에서 만남과 지지의 변화과정을 경험하고, 그 과정에서 경쟁적 관계에서 동반자적 관계로 발전된다. 넷째, 학습 과정의 변화 양상은 ‘보상 차원의 학력성취’, ‘심미적 지식 추구’, ‘꿈의 확장과 구체화’ 단계로 발전하며, 이 과정은 나선형으로 중첩되어 발달한다. 다섯째, 고등교육에서의 학습경험은 자기 성찰을 통한 사회적 자아를 형성하여 시민적․사회적 책임감을 갖는다. 여섯째, 반성적 학습경험은 실천 차원의 ‘배움 나누기’를 통한 자아실현으로 나타난다. 본 연구는 후속연구를 위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중년기 여성의 학습경험이 원격대학뿐만 아니라, 일반대학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고등교육에서 중도 포기한 학습자를 포함한 잠재적인 학습자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즉, 성공한 성인학습자뿐만 아니라, 학습적응에 실패한 성인학습자의 욕구도 파악해야 한다. 그럼으로써 중년기 여성의 배움에 대한 의미를 올바르게 통찰할 수 있을 것이며, 이들에게 더욱 친화적인 학습여건이 갖추어질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중년기 여성, 현상학적 연구, 고등교육, 한국방송통신대학교(방송대), 학습경험 This research is about learning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in higher education. It analyzed the meaning in context of their lives to know what kind of contexts helps a frustrated woman for learning experience higher education, what the learning experience in the process was, and how it connects with meaningful chang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this subject for inquiry, it chose 8 of women in mid-life as participants of research, having bachelor degree in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in over the age of 40 and less than 60. It analyzed their background of life, experience in school age, marriage and family life, experience of higher education, and experience of lifelong learning as phenomenological study, one of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es in order to reveal their internal experience. The result derivation from this research is following as below. First, the background of participation in higher education of Middle-aged Women closely relates with life experience. Second, the learning experience through higher education doesn't only offer the process to overcome education in University, other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of also experience unique university culture and it appears various aspects of learning experience. Third, Middle-aged Women experience the process of changes in meeting and supporting during higher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develops from competitive relationship to partnership. Fourth, the change aspect of leaning process develops steps in 'achievement the level of education as a compensation', 'pursuing aesthetic knowledge', 'expanding of dream and materialization' and develops these being spirally overlapped. Fifth, The learning experience in higher education has social and civil responsibility building social self-identity with self-examination. Sixth, the reflective learning experience appears as self-realization with 'sharing of learning' in practice level. This research suggested as following below for a follow-up study. The experience of learning in Middle-aged Women should offer diverse curriculums including cyber university also general university. And there needs research about potential learner including learner who gave up in higher education. In other words, it should understand adult learner's desire who failed in adaption for learning, as well as successful adult learner. Therefore, it can exactly have an insight into the meaning of leaning in Middle-aged Women and have more qualified and friendly learning condition for them. Key words: Middle-aged Women, phenomenological study, higher education,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learning experience

      • 중학교 2학년 과학 '물질의 특성' 단원을 중심으로 기본·심화·보충형 실험안내서 개발

        박영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중학교 2학년 과학 '물질의 특성'단원을 중심으로 기본·심화·보충형 실험안내서 개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영희 본 연구는 7차 교육과정의 수준별 교육과정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는데 필요한 수준별 실험안내서 자료의 부족과 교사들의 실험서 개발에 어려움이 많음에 착안하여 중학교 2학년 과학 교과서'물질의 특성'단원의 네 개의 실험주제를 7차 교육과정에 기초하여 기본·심화·보충형 실험안내서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련문헌과 선행연구, 교과서분석을 하였으며 심화·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이 대단원별 운영보다는 중소단원별 운영이 효과적임을 알고 중단원 별로 기본·심화·보충형 실험안내서를 개발하였다. 실험안내서는 학생용 실험안내서와 교사용 실험안내서로 나누어 개발하였는데 학생용은 중학생의 수준을 고려하여 안내된 실험서이며 조별 협동학습의 형태를 취하였고 교사용은 실험보고서 문항의 모범답안 외에 실험시 주의점, 실험측정값의 해석요령 등을 함께 제시하여 교사가 실험 학습을 준비할 때 자세한 지침서가 되도록 하였다. 과학적 탐구능력에 대한 사전검사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는데 사후검사 결과는 t검증하였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심화형·보충형 실험안내서를 적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탐구 능력 신장에 효과적이다 ( p<.01) 2. 심화형·보충형 실험안내서를 적용한 수업이 탐구 능력 신장에서 학습자의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p>.05) 3. 심화형·보충형 실험안내서를 적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수준에 따라 탐구 능력 신장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즉, 상위 수준의 학습자가 하위 수준의 학습자보다 더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p<.001) 이러한 검증결과를 근거로 본 연구는 심화·보충형 실험안내서에 의한 수업이 탐구능력 신장 면에서 적용한 집단 모두에게 효과가 있었는데 하위수준보다는 상위수준에 더 많은 효과가 있고 남녀에 모두 효과적임이 밝혀졌다. 그러므로 심화형·보충형 실험안내 서는 수준별 교육과정에 근거한 가치 있는 개발로 결론지었다. ABSTRACT Development of Experiment Guidebooks for the Basic, Intensive and Supplementary Course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of Middle school 2nd Grade Science Park, Young Hee Department of Chemistry education Graduate School, Kong Ju National Univers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xperiment guidebooks for the Basic, Intensive and Supplementary Courses based on 'Characteristics of Materials' of Middle school 2nd Grade Science of the 7th curriculum. Because It was true that there were some difficulties to develop teachers' experiment guidebook, and the teachers were short of multi-leveled experiment guidebooks which were necessary to teach students the 7th multi-leveled curriculum effectively. Some former and related studies were studied, and textbooks were also analysed to complete this study. Experiment guidebooks for the Basic, Intensive and Supplementary Courses were develop according to middle chapters, because it was more effective than according to big chapters. Experiment guidebooks were developed for students and teachers. Guidebooks for students contains small group cooperative activiti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ose for teachers will help teachers to prepare experiment classes by giving not only model answers of experiment questionary but also some ways to read experiment determination figures and what should be watched out during experimenting. Contents validity was verified with 5 point Likert technique based on the items of purposes, contents, and levels of experiments, and then reformed, and full up. First of all 4 classes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mid-term examination and the final examination of the 1st semester, to study the effects that the experiment guidebooks give to the learner's scientific investigation ability. For 8 weeks, two of them were put only the basic experiment guidebook, rest of them were put the intensive and supplementary experiment guidebook and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groups according to their wants, ability, and schoolwork achievement after application of the basic experiment guidebook. There were taken a pr-test and a post-test about the scientific inevestigation ability, and the result of the post-test was verified by t-test. Following is the result. 1. The class with the intensive and supplementary guidebook effected the learner's investigation ability. ( p<.01 ) 2. There was no differences according to the learners' sex in the investigation ability, when the intensive and supplementary experiment guidebook were put into the class. ( p>.05 ) 3. There was a meaningful effect on the investig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leaners' level when the intensive and supplementary experiment guidebook were put into the class. In other words, they were more effective to the high-level learners than the low-level learners.( p<.001 ) On the base of the result, this study was effective to all the groups and both sexes put the intensive and supplementary experiment guidebooks. It was more effective to the high-level learners than the low-level learners. Therefore the conclusion is that the development of the intensive and supplementary experiment guidebooks were valuable on the base of multi-leveled curriculum. Following is the suggestion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1. The developed experiment guidebooks helped the learners with investigation ability, but they were more effective to the high-level students. Therefore, the guidebooks for the low-level students should be developed. 2. It is necessary to apply this study for more students, and study units, and grades. 3. Teachers groups should be more active to develop and share the materials through the network of the teachers. 4. This study adapted some former studie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try studying with untreated experiment equipments and chemicals. 5. Open space and opne time are necessary to apply materials effectively 6.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class times of dividend to apply all the intensive and supplementary experiment guidebook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