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갈대 생육지에서 질소 시비가 사초의 생육과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서성,박진길,김원호,김맹중,이상학,정종성,박형수,성하균,이종경,Seo, Sung,Park, Jin Gil,Kim, Won Ho,Kim, Meing Jooung,Lee, Sang Hak,Jung, Jong Sung,Park, Hyung Soo,Sung, Ha Guyn,Lee, Joung Kyong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3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3 No.2

        본 연구는 질소(N) 시비가 부존 조사료자원인 갈대(Phragmites communis)의 생육과 수량 및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2012년에 충남 천안과 경기 안산지역에서 실시되었다. 천안 국립축산과학원 갈대 재배지에서는 N 무시비구, N 50 kg/ha구, N 100 kg구 등 3처리를 두고 4월 30일 시비, 6월 21일 수확하였으며, 안산 시화간척지 갈대 자생지에서는 N 무시비구, N 60 kg/ha구 등 2처리를 두고 5월 1일 시비, 8월 1일 수확하였다. 갈대의 초장과 엽색은 N 시비구에서, 그리고 N 시비수준이 높을 때 양호하였다. 건물률은 N 시비구에서 약간 낮아지는 경향으로 천안지역은 무시비구 39.8%, N 시비구 37.6%, 36.7%, 안산지역은 무시비구 39.4%, N 시비구 37.6%였다. 천안지역의 건물수량, 조단백질 수량 및 가소화 건물수량은 무시비구에서 ha당 각각 4,026 kg, 235 kg, 1,850 kg, N 50 kg 시비구는 각각 4,658 kg, 306 kg, 2,388 kg, N 100 kg 시비구는 각각 5,622 kg, 446 kg, 3,143 k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p<0.05), 안산지역은 무시비구에서 각각 2,802 kg, 177 kg, 1,288 kg, N 60 kg 시비구는 각각 3,876 kg, 294 kg, 1,853 kg으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p<0.05). 천안지역의 조단백질 함량, 건물 소화율 및 상대사료가치 (RFV)는 무시비구에서 각각 5.85%, 45.96%, 64.0 (품질 5등급), N 50 kg 시비구는 각각 6.58%, 51.27%, 72.3 (5등급), N 100 kg 시비구는 각각 7.94%, 55.91%, 72.7 (5등급)로 높아졌으며, 안산지역도 무시비구에서 각각 6.30%, 45.98%, 70.2 (5등급), N 60 kg 시비구는 각각 7.59%, 47.80%, 78.3 (4등급)으로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갈대 생육지는 시비가 가능한 조건이라면(하천변이나 강변 등 수질오염이 우려되는 지역이 아닌), ha당 N 60~100 kg을 생육기에 시용해 주는 것이 생산량과 사료가치를 크게 개선시켜줄 수 있어 바람직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itrogen (N) fertilization on the forage growth, production and quality of native reed (Phragmites communis) grasses. Field experiments were conducted in Cheonan and in Ansan, 2012. Treatments were control (no N fertilization), 50 kg/ha and 100 kg/ha in Cheonan plots (fertilization on April $30^{th}$, and harvest on June $21^{st}$). Treatments in Ansan plots were control (no N fertilization) and 60 kg/ha (fertilization on May first, and harvest on August first). Forage growth and leaf colors were improved in N fertilized plots. However, the drymatter (DM) percentage was slightly decreased with N fertilization. Forage yields, in terms of DM, crude protein (CP) and digestible DM (DD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with N fertilization in both sites. In Cheonan, DM, CP and DDM yields per ha were 4,026 kg, 235 kg and 1,850 kg, respectively, in the control plot, and were 4,658 kg, 306 kg and 2,388 kg, respectively, in the N 50 kg plot, and 5,622 kg, 446 kg and 3,143 kg, respectively, in the N 100 kg plot. In Ansan, DM, CP and DDM yields per ha were 2,802 kg, 177 kg and 1,288 kg, respectively, in the control plot, and were 3,876 kg, 294 kg and 1,853 kg, respectively, in the N 60 kg plot. Forage quality in terms of CP content, in vitro DM digestibility (IVDMD) and relative feed value (RFV) were also increased with N fertilization in both sites. In Cheonan, the CP content, IVDMD and RFV were 5.85%, 45.96% and 64.5 (grade 5), respectively, in the control plot, 6.58%, 51.27% and 72.3 (grade 5), respectively, in the N 50 kg plot, and 7.94%, 55.91% and 72.7 (grade 5), respectively, in the N 100 kg plot. In Ansan, the CP content, IVDMD and RFV were 6.30%, 45.98% and 70.2 (grade 5), respectively, in the control plot, and 7.59%, 47.80% and 78.3 (grade 4), respectively, in the N 60 kg plot. In conclusion, N fertilization of 60~100 kg/ha was desirable for greater forage production, with a higher quality of native Phragmites communis achievable. This should only be applied if the fertilization area is not located at a riverside/streamside or in riparian land where there is a high risk of water pollution by fertilization.

      • Capturing Heterogeneous Regressor Configurations in a Choice Model

        Ha, Young-Won,Kim, Jin Gyo 서강대학교 경영학연구원 2004 서강경영논총 Vol.15 No.1

        This paper empirically investigates whether consumers use different decision variables (covariates, regressors) for their purchase decisions in a supermarket shopping setting. To this end, this paper presents a new methodology that allows one to identify relevant regressors for each consumer. The proposed model was fitted to a scanner panel data set and we found extremely strong evidence supporting large variation in terms of relevant repressors configurations across consumers.

      • KCI등재

        RapidEye 영상을 활용한 대형산불피해지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

        원명수 ( Myoung Soo Won ),김유승 ( You Seung Kim ),김경하 ( Kyong Ha Kim ) 한국지리정보학회 2014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17 No.3

        본 연구는 RapidEye 영상을 활용하여 2013년 발생한 대형산불 피해지역(울주, 포항, 봉화)을 대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하였다.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은 2006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하는 추정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최대우도법을 기반으로 한 감독분류를 실시하여, 산불피해지역의 강도등급 및 피해면적을 산출하였으며, 현장정보와 비교하여 정확도 검증을 실시하였다. 산불피해 등급별 정확도 평가 결과는 평균적으로 전체정확도 73.93%과 Kappa 계수 0.67로 나타났다. 2013년 대형산불피해지의 온실가스 배출량 추정은 울주지역 CO2 63,260, CO 5.207, CH4 360, N2O 28.0, NOx 4.4 g/kg-1·ha-1, 포항지역 CO2 28,675, CO 2.359, CH4 163, N2O 12.7, NOx 1.9 g/kg-1·ha-1 그리고 봉화지역 CO2 53,086, CO 1,655, CH4 114, N2O 23.5, NOx 3.6 g/kg-1·ha-1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stimate Greenhouse gases(GHGs) emissions from biomass burning at large forest fire(Ulju, Pohang and Bonghwa) in 2013. The extended methodology to estimate GHGs adopted the IPCC(Intergover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Guidelines(2006) equation. For classifying fire damaged area and analyzing burn severity of total three large-fire area damaged, this study used post-fire imagery from Rapideye imagery to compute the Maximum Likelihood Classifiction (MLC). The result of accuracy assessment on burn severity from imagery showed that average overall accuracy was 75.93% and Kapp coefficient was 0.67 Finally, GHGs emissions from biomass burning in the three large-fire area 2013 were estimated as follows: Ulju CO2 63,260, CO 5.207, CH4 360, N2O 28.0 and NOx 4.4 g/kg-1·ha-1, Pohang CO2 28,675, CO 2.359, CH4 163, N2O 12.7 and NOx 1.9 g/kg-1·ha-1 and Bonghwa CO2 53,086, CO 1,655, CH4 114, N2O 23.5 and NOx 3.6 g/kg-1·ha-1.

      • KCI등재

        2010 파주, 안산지역 갈대, 억새 등 야초류의 이용실태와 사료가치 평가

        서성(Sung Seo),김원호(Won Ho Kim),정민웅(Min Woong Jung),박형수(Hyung Soo Park),심재진(Jae Jin Shim),박진길(Jin Gil Park),성하균(Ha Guyn Sung),김종덕(Jong Duk Kim),이종경(Joung Kyong Le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1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1 No.2

        본 연구는 부존 조사료자원의 이용을 활성화하여 수입사료를 줄이고 가축 사료비를 절감하고자 2010년도에 경기 파주 (민통선 지역)와 경기 안산 (시화지구)에서 갈대와 억새 등 야초자생지를 탐색하고, 수확?이용실태 조사와 함께 사료가치를 분석하였다. 파주 민통선 내억새 (Miscanthus sinensis)와 갈대 (Phragmites communis) 혼합 자생지는 90~100 ㏊ 규모로, 1차 곤포작업으로 사일리지 520톤 (㏊당 6톤), 2차로 380톤 (㏊당 4톤)을 조제하여, 연 사일리지 900톤 (㏊당 10톤)을 생산하였다. 곤포의 유통가격은 롤당 52~55천 원으로 ㎏당 130~137.5원이었다. 곤포는 자가소비 50~70%, 판매유통 30~50%로, 수익성은 인건비 정도로 추정되었다. 초장 70 ㎝의 재생 억새는 조단백질 9.6%, 상대사료가치 82.4 (건초 4등급), 건물 소화율 67.7%, 초장 70 ㎝의 재생 갈대는 각각 13.8%, 84.3 (4등급), 67.9%로 사료가치는 높았으며, 수확이 늦어짐에 따라 사료가치는 크게 낮아졌다. 안산 시화지구 (3공구)의 갈대 등 야초류자생지는 100 ㏊ 정도로 2009년도에는 50 ㏊에서 사일리지 550톤 (㏊당 11톤)을 생산하여 롤당 50천 원에 유통하였으며, 2010년도는 잦은 강우와 장마로 부분 이용에 그쳤다. 고초기의 갈대는 건물률 89.8%, 조단백질 2.2%, NDF 80.6%, ADF 55.4%, 상대사료가치 52.9 (5등급), 건물 소화율 36.4%로 볏짚에 비해서도 사료가치는 크게 낮았다. 초장 80 ㎝의 재생 갈대는 조단백질 12.9%, 상대사료가치 99.8 (3등급), 건물 소화율 66.6%로 사료가치는 양호하였으며, 개화기의 초장 150 ㎝ 갈대는 조단백질 4.5%, 상대사료가치 59.9 (5등급), 건물 소화율 42.2%로 볏짚의 사료가치와 비슷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볼 때, 갈대, 억새 등 야초류는 현 상태에서 최대한 수거?이용하되, 사료가치를 유지하고 가축 기호성을 고려한 시기에 수확하는 것이 중요하며, 최소한 볏짚과 비슷하거나 그 이상의 사료가치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7월 중순 이전 (늦어도 7월까지)에 수확?이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본 연구에서 조사된 대부분의 야초류는 상대사료가치가 75 이하인 건초 5등급으로 사료가치는 매우 낮았으며, 키가 작은 영양생장기에 수확한 경우에만 4등급으로 나타났다. 부존 조사료자원의 이용은 양질의 사료작물 생산과 병행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2010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and nutritive value of native grasses, such as Phragmites communis and Miscanthus sinensis which might reduce the cost of feeding domestic cattle. The regions within the Civilian Control Line in Paju and Sihwa region in Ansan were surveyed. In Paju, the yearly silage production was 900 MT harvested from 90 ha (10 MT/㏊). About 30~50% of these were sold out at the marketing price of 52,000~55,000 Won per roll (130~137.5 Won/㎏). Regrown Miscanthus sinensis of 70 ㎝ in length contained 9.6% of crude protein (CP), 82.4 of relative feed value (RFV), and 67.7% of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Regrown Phragmites communis of 70 ㎝ in length contained 13.8% of CP, 84.3 of RFV, and 67.9% of IVDMD. As harvesting was delayed, the quality was decreased dramatically. In Ansan region, Phragmites communis plantation covers 100 ha. The silage production was 550 MT from the area of 50 ha (11 MT/㏊) in 2009. And the marketing price was 50,000 Won per roll. But in 2010 only a small amount of grasses could have been baled due to frequent and much rainfall from spring to summer season. However, the good forage quality was observed from regrown Phragmites communis of 80 ㎝ in length, 12.9% CP, 99.8 RFV and 66.6% IVDMD, while that of late matured grasses was very low, 2.2% CP, 52.9 RFV and 36.4% IVDMD, greatly lower than forage quality of rice straw. The quality of grasses at bloom stage of 150 ㎝ in length was similar to that of rice straw, showing 4.5% CP, 59.9 RFV and 42.2% IVDMD. In conclusion, the overall quality of most native grasses in this survey were very poor. Therefore, we recommend that Phragmites communis and Miscanthus sinensis should be harvested during June or July to obtain better forage quality which is richer in forage values than rice straw. Production of high quality forage crops was also desirable for self sufficiency of forage.

      • KCI등재후보

        돈분뇨 액비 시용이 양파의 생육, 양분흡수량 및 토양 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이종태(Jong Tae Lee),하인종(In Jong Ha),김희대(Hee Dae Kim),문진성(Jin Seong Moon),김우일(Woo Il Kim),송원두(Won Doo Song) 한국원예학회 2006 원예과학기술지 Vol.24 No.2

        벼와 양파 2모작 논토양에서 효율적인 돈분뇨 액비 시용을 위하여 액비 시용에 따른 양파의 생육, 양분흡수량 변화와 토양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사용된 액비의 질소, 인산 및 칼륨 함량은 각각 4.2, 0.34, 1.2g kg⁻¹ 등이었다. 추비용 액비는 시용 10일 전에 물로 2배 희석하여 월 2회씩 4회와 6회로 나누어 시용하였다. 기비는 질소표준시비량 기준으로 19,280kg ha⁻¹로 시용하였으며 추비에 사용된 액비량은 101,910kg ha⁻¹이었다. 양파의 초장은 정식 136일 후부터 186일까지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화학비료구, 액비기비+화학비료 추비구 및 액비기비+액비 4회 추비구 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무비구와 액비전량 기비구는 양분부족으로 생육이 저조하였다. 구 비대초기의 구경은 무비구에서 가장 컸으나 그 이후 화학비료구와 액비시용구에서 크게 증가하였다. 엽 생체중의 변화는 초장과 유사한 경향을 보인 반면 구 생체중은 구경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초장과 엽중은 화학비료구와 액비전량 기비구 및 액비기비+액비 6회 추비구간 다소 작았으나 구경, 구중 및 엽수는 처리간 차이가 뚜렷하지 않았다. 양파 구와 잎의 양분흡수량은 전 생육기간에 시그모이드 형을 나타내었으며 잎과 구의 양분흡수량은 각각 잎과 구의 생육이 진전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화학비료구와 액비기비+화학비료 추비구 및 액비 4회 추비구간에 양분흡수량의 차이는 없었고 액비전량 기비구에서 잎의 질소와 칼륨흡수량이, 구의 질소흡수량이 화학비료구보다 적었다. 무비구는 질소, 칼륨 및 마그네슘 흡수량이 다른 처리구보다 적었다. 액비기비+액비 4회 추비구에서 질소와 인산이용률이 각각 23.5%, 13.2%로 가장 높았으나 액비기비+액비 4회 추비구에서 칼륨이용률이 높았고 상품 수량도 55.0Mg ha⁻¹로 가장 많았다. 구의 질소, 인산 및 칼륨함량은 생육이 진전됨에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잎의 질소함량은 생육초기에 가장 많은 반면 칼륨함량은 구비대 초기에 가장 많았다. 수확 후 토양 pH, 질산태 질소, 교환성 칼륨 및 EC 농도는 화학비료구보다 액비시용구에서 약간 증가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돈분뇨 액비를 기비로 시용하고 3배 희석한 액비를 2월과 3월에 4회 추비하면 균형적인 양분공급이 가능하고 적정 수량도 확보할 수있었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effect of liquid pig manure (LPM) on the nutrient uptake, yield of onion and soil properties. The LPM applied to onion field contained 4.2 g kg⁻¹ N, 0.34 g kg⁻¹ P, 1.2 g kg⁻¹ K and it was diluted with water by 1:2 for top-dressing, which was applied separately 4 or 6 times from February to April. The LPM application rate for basal fertilization was 19,280 kg ha⁻¹ which included 80 kg N, 6.6 kg P, and 22 kg K. The application rate for top-dressing was 101,910 kg ha⁻¹ which included 160 kg N, 13 kg P, and 53 kg K. The plant height was not almost different among treatments until 136 days after planting. Thereafter, it enlarged abruptly until 186 days, on May 4. Th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CF and LPM + top-dressing by CF or LPM I was not shown, but no fertilizer and LPM only (it was applied totally as basal fertilization) made plant height of onion lessen at the maximum growth stage because of insufficient nutrients. The plant diameter increased after 136 days, a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F or LPM and no fertilizer from 186 days after planting. The leaf weight was similar tendency to plant height while bulb weight was similar to plant diameter. The amount of nutrient uptake in leaf coincided with leaf growth and the nutrient uptake in bulb swelled simultaneously with bulb growth. The difference between CF and LPM + top-dressing by CF or LPM I was not significant in nutrient uptake of onion leaf and bulb. But LPM only decreased in nitrogen and potassium of leaf and in nitrogen of bulb. And no fertilizer made a remarkable difference to others in nitrogen, potassium and magnesium of leaf and bulb. The utilization of nitrogen and phosphorus in LPM + top-dressing by CF were 23.5%, 13.2% respectively, more than the others. The LPM + top-dressing by LPM I was most available with potassium, and it leaded the most abundant marketable yield by 55.0 t ha⁻¹ as well. The nitrogen, phosphorus, and potassium contents in bulb were inclined to decrease with progress of onion growth. The nitrogen contents in leaf maximized at the initial growth stage while potassium contents increased at the initial bulbing stage. The LPM application increased pH, nitrate nitrogen, potassium and EC in soil more than chemical fertilizer (CF) did.

      • KCI등재

        2010 해남, 평창, 원주지역 갈대 등 야초류의 이용실태와 사료가치 평가

        서성(Sung Seo),한대덕(Dae Duk Han),장선식(Sun Sik Jang),김원호(Won Ho Kim),정민웅(Min Woong Jung),최진혁(Jin Hyuck Choi),김진숙(Jin Sook Kim),김하영(Ha Young Kim),이종경(Joung Kyong Lee) 한국초지조사료학회 2012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Vol.32 No.1

        본 연구는 부존 조사료자원 이용으로 수입사료를 줄이고 사료비를 절감하고자 2010년도에 전남 해남(간척지), 강원 평창(강변), 원주(섬강변), 전남 영광(와탄강변) 등 4개 지역에서 갈대와 억새 등 야초 자생지를 탐색하고, 수확·이용실태 조사와 함께 사료가치를 분석하였다. 전남 해남 해남목장 내 갈대(Phragmites communis) 위주의 야초 자생지는 300 ha로 예년에는 2회 곤포작업하여 연간 사일리지로 2,300~2,500톤(ha당 8톤)을 생산하였으나 2010년도는 1회 곤포조제로 사일리지 2,000톤(ha당 7톤)을 생산하였다. 유통가격은 롤 당 53천원으로 ㎏당 110원이었다. 곤포는 전량 자가소비하며, 외부 작업단에 롤 당 26천원의 작업비를 지불하였다. 연간 조수입은 2억 2,260만원이며, 소득은 1억원 수준(345천원/ha)이었다. 초장 150 ㎝의 갈대는 조단백질 8.4%, 상대사료가치 71.9 (건초 5등급), 건물 소화율 60.1%로 사료가치는 볏짚에 비해 약간 나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갈대 사일리지의 사료가치와 유기산 함량은 동일 지역에서 동일한 재료로 사일리지를 조제하더라도 수확시기에 따라 차이가 컸으며(CP 4.7~6.4%, RFV 62.2~78.9, 건물 소화율 41.9~53.9%), 갈대 사일리지의 품질은 수단그라스에 비해 불량하였다. 강원 평창 강변 자생갈대의 사료가치는 초장이 79, 117, 121, 142㎝로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낮아져, 조단백질은 각각 13.9%에서 7.6%로, 상대사료가치는 90.7 (건초 3등급)에서 76.1 (건초 4등급)로, 건물 소화율은 72.9%에서 54.7%로 감소하였다. 원주 섬강 주변 야초류는 곤포수확 작업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초장 130 cm의 갈대는 조단백질 8.5%, 상대사료가치 82.3 (건초 4등급), 건물 소화율 70.2%로 사료가치는 높았으며, 220㎝의 성숙한 갈대는 조단백질 10.2%, 상대사료가치 65.1 (건초 5등급), 건물 소화율 48.9%로 볏짚 대비 조금 나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전남영광지역에서는 와탄천 주변에 자생하는 갈대를 수거 이용하고자 시도하였으나 경제성이 없어 중단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볼 때, 갈대, 억새 등 야초류는 현 상태에서 최대한 수거·이용하되, 사료가치를 유지하고 가축 기호성이 양호한 시기에 수확하는 것이 중요하며, 최소한 볏짚과 비슷하거나 그 이상의 사료가치를 기대하기 위해서는 7월 중순 이전(늦어도 7월까지)에 수확·이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2010 to investigate the utilization and forage quality of native grasses, such as Phragmites communis which might reduce the cost of feeding domestic cattle. The regions surveyed were the Haenam ranch in Haenam, Pyeongchang, Wonju, and Yeonggwang. In Haenam, yearly silage production harvested from 300 ha was 2,000 MT (7 MT/ha). All of those round bale silages were self-consumed in that region, and marketing price was 50,000 55,000 won per roll (110 won/㎏). Phragmites communis of 150 ㎝ in length contained 8.4% crude protein (CP) with relative feed value (RFV) 71.9 and 60.1% in vitro dry matter digestibility (IVDMD), which was somewhat more favorable than forage quality of rice straw. The silage quality of Phragmites communis varied greatly by the time of harvest (CP 4.7 6.4%, RFV 62.2 78.9, and IVDMD 41.9 53.9%), even with the same district and of the same original forage materials. Generally, the quality of Phragmites communis silage of was poorer than that of sorghum * sudangrass hybrid. In Pyeongchang, forage quality of Phragmites communis was decreased from 13.9% to 7.6% in CP, 90.7 to 76.1 in RFV, and 72.9% to 54.7% in IVDMD, as plant was getting mature, from 79 ㎝ to 117 ㎝, 121 ㎝ or to 142 ㎝ in length. In Wonju, the quality values of Phragmites communis of 130 ㎝ in length were 8.5% CP, 82.3 RFV and 70.2% IVDMD, while those of matured grasses of 220 ㎝ in length were lower (10.2% CP, 65.1 RFV and 48.9% IVDMD), but this was a little more favorable than quality of rice straw. In Yeonggwang, feeding Phragmites communis was tried in a Hanwoo feed, but stopped due to low profitability. In conclusion, the overall quality of most native grasses including Phragmites communis in this survey was poor. Therefore, we recommend that Phragmites communis and native grasses should be harvested on June or July to obtain richer forage quality in forage values than rice straw.

      • 망막전위도의 전력 산출

        원철호,조진호,김상하,임정훈 경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9 경북대학교병원의학연구소논문집 Vol.3 No.1

        주파수영역에서 망막전위도의 총전력을 계산하고, 시간영역에서 망막전위도의 면적을계산할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함으로써 전기생리학적 진단의 효능을 향상시키는데 목적을 두었다. 총전력은 망막전위도 신호를 Fourier 변환을 이용하여 주파수 영역의 신호로 바꾼 다음 스펙트럼의 제곱을 적분함으로써 구하였다. 우세전력은 우세주파수의 전력으로 이부분의 전압을 제곱후 적분하여 얻은 값이다. 원하는 부분은 수동입력하여 구간주파수의 제곱적분을 할 수 있게 하였다. 이 소프트웨어는 시간 영역에서 진동양소파의 진폭의 합 및 면적도 구할 수 있는 기능을 가졌으며, 사용자에게 편리하도록 그래픽 환경 하에서 마우스와 팝업 메뉴에 의하여 각 기능들이 작동되며, UTAS-E2000 시스템과도 상호 호환성을 갖고 있다(한안지 38:817∼823, 1997). The Calculation of the Electroretinographic Power Chul Ho Won*, Jin Ho Cho, Ph.D.**, Sang Ha Kim, M. D., Jung Hoon Lim, M. D. To promote the electrophysiologic diagnostic efficiency, the program for calculation of the total power in the frequency domain and of the area in the time domain of the electroretinogram was designed. The total power is calculated by integration of the squared power spectrum obtained by Fourier transform (Parseval theorem) in the time domain. The dominant power is the power of the dominant frequency in power spectrum and is calculated by integration of the squared peak area spectrum. The sectional integration of the square power spectrum can be established by manual input. The implemented software also has the functions that calculate the summed amplitude and area of the oscillatory potentials in the time domain. And it performs each functions by selection of pop-up menu with mouse to use conveniently under graphic interface, compatible with UTAS-E2000 system (J Korean Ophthalmol Soc 38:817∼823, 1997).

      • KCI등재
      • Regeneration of Bovine Mammary Gland in Immunodeficient Mice by Transplantation of Bovine Mammary Epithelial Cells mixed with Matrigel

        Woo Tae Ha1,Hyun Jung Park,Won-Young Lee,Ha Yeon Jeong,Hyuk Song 한국동물생명공학회(구 한국동물번식학회) 2017 Reproductive & Developmental Biology(Supplement) Vol.41 No.2

        With the global demand for dairy protein for consumption growing annually, there has been increasing activity in the research field of dairy protein synthesis and production. From a manipulation perspective, it is more difficult to use live cattle for laboratory studies on the production of milk as well as of dairy protein such as casein, as compared with using laboratory animals like rodents. Therefore, we aimed to develop a mouse model of bovine mammary alveolar ducts for laboratory-scale studies. We studied the formation of the bovine mammary gland ductal structure by transplanting the MAC-T bovine alveolar cell line into mice. MAC-T cells (1×107) were suspended in Matrigel and injected into the dorsal tissue of 8-week-old male BALB/C nude mice. Histological analysis of tissue dissected from the MAC-T cell-transplanted mice after 6 weeks showed the typical morphology of the tubuloalveolar female gland, as well as glands made up of branching ducts that were surrounded by smooth muscle with small alveoli budding off the ducts. In addition, the epithelial markers CK14 and CK18 were expressed within the duct-like structure. Prolactin was detected in the duct interior in these CK14+ and CK18+ cells but not in the non-transplanted MAC-T cells. These results showed that duct-like tissue had been successfully formed after 6 weeks of transplantation of the CK14+ and CK18+ MAC-T cells into mice dorsal tissue. This mouse model will be a useful tool for further research on the bovine mammary gland.

      • KCI등재

        분포형 토양침식지도를 이용한 한강상류지역 토양유실 위험성 평가

        박찬원(Chan-Won Park),손연규(Yeon-Kyu Sonn),장용선(Yong-Seon Zhang),홍석영(S. Young Hong),현병근(Byung-Keun Hyun),송관철(Kwan-Cheol Song),하상건(Sang-Keun Ha),문용희(Young-Hee Moon) 한국토양비료학회 2010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3 No.6

        본 연구에서는 1:25,000 정밀토양도 등 가용한 공간자료를 이용하여 작성된 토양유실도를 이용하여 한강 상류지역 10개 중권역 108 소유역에 대하여 토양유실량 평가하고 토지이용별 토양유실 위험지역을 분석하였다. 대상유역 총 토양유실량은 895만 Mg yr<SUP>-1</SUP>으로 예측되었으며, 면적당 평균 토양유실량은 6.1 Mg ha<SUP>-1</SUP>yr<SUP>-1</SUP>이었다. 중소유역 단위로 살펴보면 남한강지역이 북한강지역의 유실량 뿐만 아니라 면적당 유실량이 더 많았다. 이는 북한강 권역의 경우 화강암 및 화강편마암이 주요 모재인 반면에 남한강 권역의 경우 토양모재가 퇴적암지대를 많이 포함있어 토양침식성 인자 (K factor)와 경사 인자 (LS factor)가 상대적으로 높고, 남한강 지역의 경우 농경지 토양이 상대적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대상유역의 토지이용별 연평균 토양유실량을 분석한 결과 산림/초지 > 밭 >> 도심/대지 >> 논 > 과수의 순로 분석 대상유역 중 10.7%를 차지하고 있는 농경지에서 유실되는 토양의 추정량은 41.3%이였으며, 이중 6.2%면적을 차지하는 밭이 40.6%으로 44.2%의 산림/초지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한강상류지역 토양유실 위험성 평가시 분포형 토양침식지도와 항공사진을 비교한 결과 토양유실에 대한 공간인 정보를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으며, 토양침식위험성은 남한강권역의 남한강 상류 (1001), 평창강 (1002), 충주댐 (1003) 권역에서 각각 토양침식위험성이 “보통”이상으로 높은 지역이 각각 8.7%, 7.9%, 7.8%로 평균인 5.9%보다 높았으며, 이에 대한 보전방안이 강구될 필요가 있고 판단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soil erosion risk with a standard unit watershed in the upper Han river basin using the spatial soil erosion map according to the change of landuse. The study area is 14,577 ㎢, which consists of 10 subbasins, 107 standard unit watersheds. Total annual soil loss and soil loss per area estimated were 895 × 10<SUP>4</SUP> Mg yr<SUP>-1</SUP> and 6.1 Mg ha<SUP>-1</SUP> yr<SUP>-1</SUP>, respectively. A result of analysis with a subbasin as a unit showed that annual soil losses and soil loss per area in Namhan river basins was more than in Bukhan river ones. Predicted annual soil loss according to the landuse ranked as Forest & Grassland > Upland >> Urban & Fallow area > Paddy field > Orchard. Upland area covered 6.2% of the study area, but the contribution of total annul soil loss was 40.6% and that of Forest & Grassland was 44.2%. As a evaluation of soil erosion risk using the spatial soil erosion map, we could precisely conformed the potential hazardous region of soil erosion in each unit watersheds. The ratio of regions, graded as higher “Moderate” for annual soil loss, were respectively 8.7%, 7.9% and 7.8% in 1001, 1002 and 1003 subbasins in Namhan river basin. Most landuse of these area was upland, and these area is necessary to establish soil conservation practices to reduce soil erosion based on the field observ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