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통합학급의 인기 장애학생의 인기요인 분석

        박윤희,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07 특수교육학연구 Vol.42 No.3

        Popularity Factors of Popular Students with Disabilitiesin Elementary Inclusive Classrooms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경기지역 초등학교 3-4학년 통합학급 학생들이 인식하는 인기 장애학생의 인기요인이 무엇인지를 최초로 알아보는 것이었다. 인기 장애학생들이 속한 통합학급 학생들 364명을 대상으로 김외열(1988) 질문지를 기초로 수정작업을 통해 최종 완성된 질문지 문항의 응답 자료로 요인분석을 하여, 처음으로 인기 장애학생의 인기요인 추출과 명명, 추출된 인기요인의 순위, 인기 장애학생의 인기요인에 대한 남녀학생의 인식 차이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본 연구자들에 의해 요인명은: I요인 ‘원만한 학교생활’; Ⅱ요인 ‘호감적 특성’; Ⅲ요인 ‘사회경제적 배경’; Ⅳ요인 ‘긍정적 인성’ 으로 명명되었다. 4개의 요인 중 가장 높은 1순위는 공동으로Ⅰ요인 ‘원만한 학교생활’과 Ⅳ요인 ‘긍정적 인성’으로 나타났으며, 2순위는 Ⅲ요인 ‘사회경제적 배경’, 3순위는 Ⅱ요인 ‘호감적 특성’ 순으로 나타났다. 응답한 남녀학생의 인기요인에 대한 점수 차이는 Ⅰ요인 ‘원만한 학교생활’, Ⅱ요인 ‘호감적 특성’ 에서 여학생이 더 높은 점수를 주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일반학교에 통합된 장애학생들 중에는 이미 인기학생의 사회적 지위를 획득한 학생들이 있다는 통합교육의 긍정적 성과를 알리는 기회를 제공한다. 인기 장애학생의 인기요인으로 밝혀진 4개 요인과 그 해당항목들에 대한 검토는 장애학생이 일반학급에 통합될 때 학생들이 긍정적 또래관계를 형성하고 사회적 통합을 증진해 가는데 학생들이 개발될 면과 교사들과 부모들이 지원할 수 있는 측면은 무엇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진로탐색 및 직업체험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 서울 소재 S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

        박윤희 한국진로교육학회 2016 진로교육연구 Vol.29 No.1

        This study is about the verification of effectiveness of the career exploration and work experience progra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impact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of career exploration and indirect work experience program for college students. For this study, the 3rd year 254 students who had taken a career and career choice courses were selected at the S university in Seoul in 2014.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pre and post survey on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were analyzed and open survey on indirect work experience was investigated for career conscious change of the subjec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exploration and work experience program impacted on the significant change of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decision. Second, the result of examining about career conscious changes through indirect work experience, the subjects understood the need to do to prepare for employment through the acquisition realistic career information, had set clear goals and to establish an action plan. Another was confident and positive thinking and could also form human networks. The career exploration and work experience program should be operated at the universities to provide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correct career choice and career realization. Also, indirect work experience through interview with professionals should be considered as an alternative of internship. 본 연구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진로탐색 및 직업체험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에 관한연구로 진로탐색 및 직업체험 프로그램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간접적 직업체험을 통한 진로의식 변화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진행하였다. 이를위하여 2014년 1학기 서울 소재 S대학교에서 진로와 직업선택 교과목을 수강한 3학년 학생254명을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서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진로결정수준에 대한 사전 사후 조사 결과를 분석하였고 간접적 직업체험 실시 후 개방형설문을 실시하여 연구대상자들의 진로의식 변화에 대해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분석을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진로탐색 및 직업체험 프로그램은 대학생의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결정수준의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방형 질문지의 응답내용을 토대로 간접적 직업체험을 통한 대학생들의 진로의식 변화에 대해 살펴본 결과, 연구대상자들은 현실적인 직업정보 습득을 통해 취업을 위해 준비해야할 사항에 대해 이해하였으며, 명확한 목표를 설정하고 실행계획을 수립할 수 있었다. 또 취업에 대한 자신감과 긍정적인 생각을 갖게 되었고 취업을 위한 인적네트워크도 형성할 수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직업인과의 만남을 통한 간접적 직업체험을 포함하는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입증한 것으로 학생들에게 올바른 진로선택과 진로실현의 기회를 제공하기위해 대학은 진로탐색 및 직업체험 프로그램을 다루는 학사운영을 보다 활성화해야 할 것이다. 또 대학생들이 인턴십 기회를 갖기 어려운 현실에서 직업인과의 만남을 통한 간접적 형태의 직업체험은 이에 대한 대안으로 검토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중소기업 HRD 담당자의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인식과 정책적 함의

        박윤희 한국농·산업교육학회 2011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Vol.43 No.1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SMEs) in Korea play a pivotal role in the national economy, accounting for 99.9% of all enterprises(3 million SMEs), 87.5% of all employees(10.8 million employees), and 49.4% of production. While the economic status of SMEs is greatly important in Korea, SMEs face difficulties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competitiveness. The hardship is recognized as mainly being derived from the lack of skills formation. Then, Korean government has adopted various skills development policies to encourage SMEs to train their employees. In particular, Korean government has used policy strategies focused on employees in SMEs, which have inferior training infrastructure relative to large companies. However, the participation rate of SMEs is still much lower than that of large enterprises, even though policy outcomes of SMEs are increased annually in terms of the number of places, the budget, and the number of participating employees. Thus, task is still remained to raise the participation rate of SMEs in skills development programs. Therefor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human resource development (HRD) practitioners' perceptions of skills development in SMEs and suggest recommendations for policies to promote skills development in SME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reviewed the concepts of skills development, and the outcomes of government policies or programs were reviewed. Next, the current status and needs of SMEs were investigated by conducing survey to HRD managers in SM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implications for skills development policy in Korea are suggested as follows. First, a skills development system focused on SMEs and their employees should be established by highlighting the demand for education and training. Second, a market-friendly system must be established for skills development, which is oriented toward on-site training or learning activities in SMEs. Finally, a customized system for skills development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needs of SMEs. 정부는 그간 중소기업의 경쟁력 향상을 목적으로 다양한 직업능력개발 사업을 통해 중소기업을 지원하여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의 직업능력개발 참여는 대기업에 비하여 여전히 저조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이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직업능력개발에 대한 실태와 요구를 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정부지원 중소기업 직업능력개발 사업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도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연구에서는 중소기업의 HRD 담당자를 대상으로 중소기업의 직업능력개발 실태와 정부지원 요구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중소기업의 HRD 담당자들은 정부지원 직업능력개발 사업에 대해 그다지 만족스러워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정부지원 사업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중소기업은 사업 참여 경험이 전혀 없는 기업에 비하여 직업능력개발 사업을 유용하게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참여시간의 부족’과 ‘업무 공백의 우려’는 중소기업에서 형식학습이 활발하게 시행되지 않는 가장 큰 이유와 걸림돌로 각각 밝혀졌다. ‘업무 과다로 인한 참여시간의 부족’, ‘근로자의 관심 부족’, ‘무형식학습 실행 방법에 대한 이해 또는 정보부족’ 등은 무형식학습 시행의 애로 사항으로 드러났다. 또한 중소기업에서는 업무현장에서 실시하는 학습활동 지원자 양성, 개별 중소기업에 맞는 근로자 교육훈련 프로그램 정보 제공, 교육훈련 내용의 요구조사 지원 서비스, 업무현장에서 실시하는 무형식학습 시행 방법 관련 매뉴얼 및 가이드라인의 개발 및 보급 등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중소기업의 직업능력개발 활성화를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Edmund Spenser's Class-Consciousness in the Squire of Dames' Tale of The Faerie Queene

        박윤희 한국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 2006 중세근세영문학 Vol.16 No.2

        The Squire of Dames' tale is a tale adopted from one of Ludovico Ariosto's indecent novelle, Orlando Furioso, 28. The Squire of Dames' cynical attitude toward women and love undercuts Spenser's idealistic celebration of chastity in Book III of The Faerie Queene. However, the most problematic question in this tale of the Squire is Spenser's choice of a country damsel, instead of a noble lady, as the only chaste woman who refuses the Squire's lewd temptation for the sake of chastity itself. This choice is indeed strange, for Spenser was one of the most conservative Elizabethans who were keenly conscious of the hierarchical structures of society or different qualities of human blood.This paper is to bring to light Spenser's class-consciousness reflected in this tale by examining several points at issue: how Spenser has dealt with his source, why he has chosen a country girl as a model of chastity, and whether she is really a woman of low degree or not. On the whole, it is hard to believe that the country damsel is really of low degree. One should therefore consider that the damsel might have an unidentified noble origin like Pasrorella. And Spenser himself might not have felt the necessity to reveal her secret origin as he does in the case of Pastorella in Book VI, for the Squire of Dames is never equal to Sir Calidore (the Squire is even a man base enough to visit the whorehouse), and he is a man of low quality and degree, who cannot be matched with the gentle chaste country damsel.(Dongguk University)

      • KCI등재

        대학생의 코칭역량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고용가능성, 진로장벽의 관계

        박윤희 한국코칭능력개발원 2024 코칭능력개발지 Vol.26 No.3

        본 연구는 최근 대학교육 현장에서 진행되는 코칭의 확산에 발맞추어 대학생 코칭역량의 효과성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대학생의코칭역량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고용가능성, 진로장벽의 관계에 대해 검증하였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서울에 있는 4년제 대학교에서 진로관련 교양 선택과목을 수강한 3,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후 356명의 최종자료를 회귀분석를 통해 결과를 도출하였다. 다음은 연구결과이다. 첫째, 변인들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대학생의 코칭역량, 코칭역량의하위요인들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 고용가능성 간에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학생의 코칭역량, 코칭역량의 하위요인들과 진로장벽 간에는 부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대학생의 코칭역량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진로장벽에는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학생 코칭역량의 하위요인들과 진로변인들간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자기다움, 커뮤니케이션과 행동변화 요인들은 모두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고용가능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자기다움과 행동변화 요인들은 진로장벽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커뮤니케이션 요인은 진로장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대학생의 코칭역량이 자신에게 적합한 진로를 결정하고 입직에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며 진로발달 과정에서 직면하게 되는 내·외적인 장애요인들을 극복하게 하는 주요 변인이라는 것을 입증하는것이다. 따라서 대학교육 현장에서는 대학생의 코칭역량 강화를 통해 대학생들이 바람직한 진로발달을 해 나갈 수 있도록 지원해야할 것이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를 뒷받침할 수 있는 후속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employability, and career barriers with the aim of exploring the effectiveness of college student coaching competencies in line with the recent spread of coaching in the university education field.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ird and fourth graders who took career-related liberal arts electives at a four-year university in Seoul. After the survey, the final data of 356 people were derived through regression analysis. The following were the results of the stud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sub-factors of coaching competency,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ability.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sub-factors of coaching competency, and career barriers. Second, it was found that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ability and had a negative effect on career barriers. Third, as a result of confirm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ub-factors of college student coaching competency and career variables, it was confirmed that self-esteem, communication, and behavioral change factors all had a positive effect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employability. Self-worth and behavioral change factors were found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career barriers, but communication factors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barriers.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college students' coaching competency is a major variable that determines their appropriate career path, gives them confidence in their employment, and overcomes internal and external obstacles encountered in the course of career development. Therefore, in the field of universit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support university students to develop desirable career paths by strengthening their coaching capabilities. Finally, a follow-up study that can support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suggested.

      • KCI등재

        듀센형근이영양증 유전자의 결실 돌연변이 검출을 위한 Dual Priming Oligonucleotide 다중 PCR법의 평가

        박윤희,김주원,최종락,송재우,정종신,이경아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08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28 No.5

        Background : Exon deletions of Duchenne muscular dystrophy (DMD) gene account for most of the alterations found in DMD and Becker muscular dystrophy (BMD).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dual priming oligonucleotide multiplex PCR (DPO PCR) in detection of exon deletions of DMD gene. Methods : Thirty-seven DMD or BMD patients who had known exon deletions detected by conventional multiplex PCR (conventional PCR) and nine control subjec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When a discrepancy was shown between the results of conventional PCR and DPO PCR, the multiplex ligation-dependent probe amplification (MLPA) technique was performed as a confirmation test. Results : The same deletions previously identified by conventional PCR in 32 out of 37 subjects were also detected by DPO PCR. For the five subjects (13.5%) showing discrepant results between the conventional PCR and DPO PCR, MLPA was performed and its results were found to correlate better with those of DPO PCR. The discrepancies were due to false positive or false negative results of the conventional PCR. Conclusions : DPO PCR shows a high agreement of results with the conventional PCR and is considered an adequate method to be used as a primary genetic test for the diagnosis of DMD. Because of an improved accuracy, especially for determining the boundaries of DMD gene deletions, DPO PCR can be very useful as a supplement to the conventional PCR. (Korean J Lab Med 2008;28:386-91)

      • KCI등재

        중소기업 근로자의 일터학습 참여가 직무능력향상에 미치는 영향

        박윤희,최우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11 직업능력개발연구 Vol.14 No.3

        This study pursue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workplace learning on employee competence improvement, and investigate the influences of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on workplace learning. This study employed a set of sample collected from 497 employees through a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The results showed that personal characteristics and supportive learning environment have significantly positive impact on workplace learning, and workplace learning has significant and positive impact on employee competence improvement. It is found that employee competence can be improved by workplace learning such as planned and structured programs as well as social interactions and self-initiated learning activities. 본 연구는 중소기업에서 근로자들의 일터학습 참여가 직무능력향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또 개인특성 및 학습지원환경이 일터학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의 중소기업을 업종, 규모, 지역에 따라 표집하였으며, 최종적으로 중소기업 근로자 497명의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개인특성과 학습지원환경은 근로자들의 일터학습 참여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일터학습 참여는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직무능력향상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중소기업의 학습지원환경이 근로자 일터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은 개인특성이 일터학습 참여에 미치는 영향력보다 큰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중소기업 근로자들의 직무능력은 구조화되고 계획화된 교육훈련 참여와 동료 및 선후배 등과의 상호작용을 통한 자기주도적 학습활동에 의해 향상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향후 연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Diagnostic Performance and Comparative Evaluation of the Architect, Liaison, and Platelia Epstein-Barr Virus Antibody Assays

        박윤희,박금보래,하지혜,김현숙 대한진단검사의학회 2018 Annals of Laboratory Medicine Vol.38 No.5

        Background: Epstein-Barr Virus (EBV)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causes of viral infection in humans. EBV infection stage (acute, past, or absent infection) is typically determined using a combination of assays that detect EBV-specific markers, such as IgG and IgM antibodies against the EBV viral capsid antigen (VCA) and IgG antibodies against the EBV nuclear antigen (EBNA). We compared the diagnostic performance and agreement of results between three commercial EBV antibody assays using an EBV performance panel (SeraCare Life Science, Milford, MA, USA) as a reference. Methods: EBV antibody tests of EBV VCA IgM, VCA IgG, and EBNA IgG antibodies were performed by the Architect (Abbott Diagnostics, Wiesbaden, Germany), Liaison (DiaSorin, Saluggia, Italy), and Platelia (Bio-Rad, Marnes-la-Coquette, France) assays. Agreement between the three assays was evaluated using 279 clinical samples, and EBV DNA and antibody test results were compared. Results: The three EBV antibody assays showed good diagnostic performance with good and excellent agreement with the performance panel (kappa coefficient, >0.6). The overall VCA IgM positivity rate was higher in EBV DNA-positive samples than in EBV DNA-negative samples for all three EBV antibody assays (P=0.02). The three EBV antibody assays exhibited good agreement in results for the clinical samples. Conclusions: The diagnostic performance of the three EBV antibody assays was acceptable, and they showed comparable agreement in results for the clinical sampl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