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주역을 활용한 한국형 스토리텔링 창작 지원 도구 개발 방향 연구

        윤현정 한국디지털스토리텔링학회 2010 디지털스토리텔링연구 Vol.5 No.-

        본 연구는 동양 철학의 근원인 주역의 원리를 적용해 한국형 스토리텔링 창작 지원 도구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스토리텔링 창작 지원 도구란 영화, 애니메이션 등 선형적인 서사 장르의 시나리오를 개발 및 작성하는 과정을 지원하는 도구이다. 스토리텔링 기술은 크게 ‘검색(browsing) 기술, 저작(authoring) 기술, 시각화(visualization) 기술, 상영(exhibition) 기술, 사용자 생성 스토리텔링(UGS) 기술’의 5대 영역으로 나뉘는데1) 스토리텔링 지원 도구는 이 중 검색 기술과 저작 기술에 특히 주목하여 보편적, 기반적, 원형적 스토리텔링의 최소 요소를 재구성하고, 상품 가치와 완성도 높은 시나리오를 구축하는 데 있어 적극적으로 활용 가능한 프로그램이다. <드라마티카 프로(Dramatica Pro)>, <파이널 드래프트(Final Draft)>, <파워스트럭처(Power Structure)>, <스토리 크래프트(story Craft)>, <터비스 블록버스터(Truby’s Blockbuster)>, <플롯 언리미티드(Plot Unlimited)>, <서트 오피스(Thought Office)> 등 스토리텔링 창작을 위해 사용되는 스토리텔링 창작 지원 도구는 2010년 현재 100여 종이 넘게 출시되어 있으며, 미국을 중심으로 상용화되어 있다. 미디어와 기술의 발전에 따라 나타난 이러한 스토리텔링 창작 지원 도구들은 표준화된 프로그램을 통해 창작에 자동화 공정을 도입했으며, 1인 작가의 절대적 역량에 의존하던 창작 환경을 변화시키고 있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五經百篇』 수록 『詩經』에 대한 연구

        윤현정 한국서지학회 2016 서지학연구 Vol.65 No.-

        본 연구는 正祖朝 親撰 『五經百篇』 제 3권 「詩」 수록 작품을 대상으로, 내용 분석을 통해 주제와 인용 양상을 고찰하여 작품 선별 기준을 추측해보고, 나아가 『오경백편』의 편찬 목적을 파악하는 데에 목적을 지닌다. 『오경백편』은 문장의 正宗을 제시해야 했던 시대적 상황과 고문을 지향하고 주자학을 존숭했던 정조의 문체관 및 초록하는 것을 중요시하는 학문적 사상이 융합되어 행해진 ‘선본 편찬’이라는 배경에 의해 편찬되었다. 『오경백편』은 易經, 書經, 詩經, 春秋, 禮記 오경 중에서 99편의 글을 선정하여, 각 경서별로 한 권씩 총 5권이 한 帙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제 3권 「시」는 67편을 차지하고 있어 가장 양이 많은데, 유가에 있어서 ‘시’라는 의미를 뛰어넘어 정치적․사회적․외교적 측면에서 그 가치를 재조명 받아 반드시 익혀야 하는 경전인 『詩經』을 대상으로 선별하였다는 점, 그리고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는 『시경』 중에서 일부를 선별하였다는 점에서 『오경백편』의 편찬 목적과 선별 기준을 분석하기에 적합하다. 『오경백편』 「시」 수록 작품의 내용을 분석해보면, 먼저 「風」 160편 중 21편, 「雅」 105편 중 36편, 「頌」 40편 중 10편을 수록하여, 각각 13.1%, 34.3%, 25%의 비율을 보인다. 수록된 「풍」 21편의 내용은 주로 天子와 后妃의 덕을 찬미하는 내용, 어진 임금을 찬미하는 내용, 잘못된 정사를 풍자하는 내용과 의로써 군대를 일으키는 내용, 백성들의 농사일에 대해 노래한 내용, 병사들의 노고를 표현하고 주공과 성왕의 행적에 대해 서술한 내용 등이다. 「아」 36편은 연회자리에서 불리는 대표적인 시, 벗과 이웃 사이의 우정을 노래한 시, 전쟁에서 돌아온 병사들을 위로하는 시, 公卿大夫가 농사에 힘써서 종묘 제사를 받드는 과정을 서술한 시를 비롯하여 훌륭한 정사를 펼친 聖王들의 행적에 대해 노래한 시를 수록하였다. 「송」 10편은 성왕의 출생과 업적 및 말씀을 상세하게 서술하거나 나라를 다스리는 데에 살펴야할 덕목을 서술하여 역사적, 교훈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시를 수록하였다. 이를 ‘人倫’, ‘愛情’, ‘讚美’, ‘行蹟’, ‘諷刺’, ‘儀禮’ 등 6가지 주제로 분류해보면 ‘행적’ 주제의 작품이 27수로 40%를 차지하며 가장 많이 수록되었고, 그 다음으로 ‘인륜’, ‘의례’ 항목 순으로 그 수가 많았다. 여기에서 정조가 『오경백편』을 통해 성왕, 현인의 모범적인 모습을 제시하여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귀감으로 삼을 수 있게 하려는 교육적 의도와, 夏․殷․周 삼대시절의 성왕과 자신을 동일시하고자 한 정치적 의도를 지니고 있었다는 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한편 수록된 작품들은 중요한 공통점이 있었는데, 다른 경서에서 직접 인용되었거나 널리 쓰이는 고사의 원전이 되는 작품이라는 점이다. 그 인용 양상을 분석한 결과, 문장의 형용을 목적으로 다양한 범위의 문체에서 폭 넓게 인용된 경우, 문장의 품격을 높이고 일반 문장과 차별화를 꾀하기 위해 인용된 경우, 유가의 학자가 자신의 주장을 개진할 때에 근거로 삼기 위해 인용된 경우, 유가의 성현으로 받들어지는 여러 인물들의 구체적인 행적을 서술하고자 인용된 경우 등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정조가 『오경백편』 「시」에 적용한 작품 선별 기준을 추측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모범적인 인륜상인 삼강오륜을 묘사하여 읽는 이를 교화시킬... The primary purposes of this research are to identify the aim of compiling Ogyeong- Baegpyeon and infer the selecting criteria of the compliation through the contents analysis of the King Jungjo’s Ogyeong-Baegpyeon which are composed of the Shigyeong, the third volume of the Ogyeong-Baegpyeon. Ogyeong-Baegpyeon is a compilation of an anthology which consists of 99 essential stories from Five Classics during the King Jungjo’s period. The King Jungjo’s anthology is compiled by Munchepanjung and his academic perspective on styles of writing, and it reflects these clear purposes of the anthology by including the word ‘Seon(選)’ in the names of each chapter in the anthology and providing exemplary sentences of various category with numbers that are multiple of ten. The Ogyeong- Baegpyeon is a literary work that suggests typical sentences in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As the third volume of the Ogyeong-Baegpyeon, the Shigyeong, it takes 67 percent of the Ogyeong-Baegpyeon. In addition, the Shigyeong has various themes over other volume. Due to these reasons, the Shigyeong is the most suitable part for studying the aim of the Ogyeong-Baegpyeon compilation and the selecting criteria which appear on it. First, the Shigyeong mainly consists of 「Poong」(13.1 percent), 「Ah」(34.3 percent), and 「Song」(25 percent). The main themes of 「Poong」 are praise for emperor, satire on society, and portrayal of the sage king. The main themes of 「Ah」 are poems that are party songs, songs of friendship, sodier’s songs, and stories of great king. The theme of 「Song」 is historical and edifying poem describes biography of wise kings. Next, they can be divided into six types of theme - humanity, affection, praise, biography, satire, formality. There were stories about one’s past (27 peice, 40 percent), ethics, and ritual. It represents the fact that King Jungjo had educational intention to emulate the sage king for readers and political intention to identify himself as a great king. In addition, the facts that all the compiled stories are referenced in other the Confucian classics and various literature as original texts reflect that the king Jungjo compiled them as educational purpose reading samples. In result, there are four criteria selecting which are applied in the Ogyeong- Baegpyeon third volume, the Shigyeong. First, literature pieces that can edify a person such as the Three Bonds and Five Relationships in Confucianism which describes moral starndard were selected. Second, the selected poems show the king Jungjo’s political ideology which aims for ‘scholar king’ theory and the age of Yao-Shun as a typical model of governing nation. Third, sages in Confucianism and their stories were selected in the compilation. Last, the King Jungjo selected poems which have fables and phases that are referenced in other the Confucian classics and various literature. Therefore, Ogyeong-Baegpyeon is a not only the special 99 compilations of the Confucian classics which is selected by the King Jungjo, but also the king-edited book which reflects the political ideology of the king Jungjo which includes Munchepanjung. In addition, its educational purpose should not be ignored. Ogyeong-Baegpyeon is an important literature that helps understand the political and literary ideology of the king Jungjo, academic trends during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and educational history of the period.

      • KCI등재

        正祖 親撰 「兩京手圈」의 編纂에 관한 硏究

        윤현정 한국서지학회 2022 서지학연구 Vol.91 No.-

        Yangyeongsugwon is an abridgment book extracted from the Shiji and Hanshu. King Jeongjo abstracted it by himself and categorized by writers. In this study, Yangyeongsugwon is compared with Sagiyoungseon because it is not clear why King Jeongjo made Yangyeongsugwon again from the same subject in a similar way but in two different sets. As results of this study, it is discovered that the Yangyeongsugwon was compilated as a personal study tool for King Jeongjo himself to recite based on three reasons as follow. First, King Jeongjo considered the Shiji, Hanshu, and Huhanshu as only officail historical publication not just educational anthology book. Second, The construction of this book shows King Jeongjo did not consider other people as readers. It is hard to find information of title because they are written different from original text on the Yangyeongsugwon. Third, it turns out that there is the unique characteristic of Jeongjo’s abridgment which is unsuited for other readers except Jeongjo himself. He chose the instructive ones which might be helpful for king, not for students. This research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because it points out the clear difference between the Yangyeongsugwon and the Sagiyoungseon by comparing them as anthology and abridgment book. 「兩京手圈」은 司馬遷의 「史記」와 班固의 「漢書」, 范曄의 「後漢書」를 대상으로 하여 엮은 정조 親撰 抄本 「四部手圈」 중 史部 문헌으로, 본고는 정조가 이전에 選本 「사기영선」을 편찬 및 유통한 이후 재차 초본 「양경수권」을 편찬하였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양경수권」 편찬 과정과 구성을 「사기영선」과 비교 검토하고, 그 절록 내용을 분석하여 「사부수권」 편찬 의도를 추측하였다. 그 결과, 「양경수권」은 정조가 초본이라는 문헌의 특성을 활용하여 개인적으로 외워두면 좋을만한 구절들을 모아 효율적으로 구성하여 곁에 두고 자주 읽어 암송하기 위한 목적으로 편찬된 문헌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 근거로는 첫째, 「양경수권」 편찬 시 三史에 대한 정조의 관점은 문장학습서가 아닌 긴 시대를 정리한 역사서에 해당한다. 둘째, 편찬 과정은 15일 가량으로 매우 짧고, 그 구성에 있어 일관성이 부족하며 주관적인 편명 표기 등 불친절하게 느껴질 정도로 소략한 면모를 보인다. 셋째, 편찬자 정조 이외의 인물이 읽고 활용하기에는 다소 부적합한 인용구가 절록되어 있으며, 그 주제에 있어서는 위정자에게 도움이 될 만한 내용들이 다수이다. 본 연구는 정조의 선본과 초본을 구분하여 문헌 내적 분석을 통해 두 문헌의 편찬 의도가 다르다는 점을 추측한 것에 학술적 가치를 지닌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