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핀란드의 교사양성교육 프로그램의 특성

        김병찬(Kim Byeong-chan) 한국비교교육학회 2013 比較敎育硏究 Vol.23 No.1

        본 연구는 핀란드 교사양성교육의 특징을 분석하기 위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핀란드 교원양성대학교 두 곳을 선정하여 두 대학의 교사교육 철학 및 목적,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구조 및 체제, 교사교육 교육과정 등 세 측면을 분석 틀로 삼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핀란드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이론과 실제의 조화, 각 담당기관들 간의 분업적 협력체제, 충분한 교과내용학 교육, 철저한 교직학 교육, 연구기반 교사교육 등의 특징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한 교사교육에 주는 시사점으로 교직학 정립의 필요, 교사교육 철학과 방향 정립, 중등교사 양성과정에서 내용학 교육의 강화 등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Finnish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this purpose, I chose two Finnish Universities having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I made the framework for analysis. The framework is consisted of the philosophy of teacher education, the structure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and curriculum of teacher education.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ings: 1) There is a harmony between theory and practice in Finnish teacher education program. 2) They have distributed cooperation system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3) Students are enough learning the contents of their subject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4) Students are also enough learning pedagogical studie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 5) Finnish teacher education program is based on research. From these results, I can get some hints for improving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 1) We have to develop the pedagogical studies in our teacher education program. 2) We should establish the philosophy of our teacher education program. 3) We have to magnify the contents of subject which pre-service teachers will teach in their schools.

      • KCI등재

        독일과 한국의 중등학교 교원 양성 기관의 교직과정 운영 현황 비교 연구

        이주호 한독교육학회 2024 교육의 이론과 실천 Vol.29 No.1

        This study aims to compare the current status of secondary school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German and Korean Universitie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discussions on the operation and improvement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Korea.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Germany, we first selected one or two German universities that currently operate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each federal state, and then collected and analyzed information on teacher education programs posted on the official websites of each university. The focus of the analysis was on identifying the detailed operation status of the five components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which are practice, pedagogy, and other areas, except for the major and teaching method. To identify the operation status of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we collected and analyzed the information on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s posted on the official website of the College of Education at University A in Korea. This study then compared the detailed operation status of the German and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cusing on practical, pedagogical, and other areas, and found that the proportion of practical areas in Germ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is higher than in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hat, unlike Kore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which have only practical courses in schools, German teacher education programs have practical courses in various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 other than schools. Based on these differences, this study suggests three implications: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practical course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troducing practical courses that take place in education-related organizations other than schools, and offering a variety of pedagogy-related elective courses at universities.

      • KCI등재

        지적장애특수학교 중등교육프로그램 구성요인 및 운영에 대한 교사인식

        박영근,조인수,이건성 한국특수교육학회 2014 특수교육학연구 Vol.49 No.1

        In order to live a successful life after graduating from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need to be provided high-quality special education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quality of various program components, to evaluate the current quality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and to investigate the teachers' perception difference on the quality of various program components in order to provide the foundation knowledge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secondary special education program. We first asked special education teachers to share their perceptions on the quality of various program components and then asked them if these components were implemented in their classroom. Second, we studied how background variables affected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garding program quality. The study included a survey of 104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middle- and high schools. Descriptive analysis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and u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among five quality components of program, including curriculum and instruction, cooperation, transition, documentation, and administration support, the quality of transition was perceived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special schools perceived transition to be the most important, but the quality of transition was perceived as relatively low. Documentation was being done most satisfactorily. Among the background variables, content-area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ived the quality of program to be more important than high school special education teachers. 지적장애를 가진 학생들이 고등학교를 졸업한 이후에 성공적인 성인의 삶을 살아가기 위해서는, 양질의 특수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 특수학교 중등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구성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프로그램 질적 향상을 위한 요구를 알아보고, 둘째, 특수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질적인 특수교육 프로그램의 구성요소에 대한 인식차이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 실현을 위해서 지적장애 특수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기술분석, 일원분산분석(ANOVA)을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다섯 가지 중등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요소, 즉, 교육과정과 교수, 협력, 전환교육, 문서화, 행정적 지원 중에서 전환교육의 질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인식하고 있지만 그에 비해서 실제 학교의 전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수준은 높지 않다고 인식하고 반면에 문서화 작업 등이 가장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교사들은 인식한다. 현재 지적장애 특수교육 프로그램의 질적 향상을 위해서는 지역사회 속에서 실제적인 직업경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사회기반교수에 의한 직업훈련이 가장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교사들은 인식하고 있다. 배경변인에 따라서는 전공과 교사들이 고등부 교사들에 비해서 교육과정과 교수, 협력, 전환교육, 문서화 등의 질적인 특수교육 프로그램 구성요인에 대한 중요성을 더욱 크게 인식하고는 있지만, 실제적인 프로그램 운영의 질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등 교사의 융복합교육 연수 만족도 및 요구 조사

        주미경,문종은,박모라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2

        본 연구는 융복합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융복합교육에 대한 현장 교사의 준비도와 현재 시행되고 있는 융복합교육 관련 교사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현장 교사의 만족도 및 요구를 조사하였다. 설문 조사 결과, 융복합교육 준비도에 대하여 현장교사의 평가 수준이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이 융복합교육 준비도에 대하여 가장 낮은 평가를 한 것은 ‘융복합교육의 특성을 반영한 수업 설계’와 ‘교사 및 전문가 집단과의 협력적 관계속에서 융복합교육 실천’ 항목이었다. 중등 수학교사들의 경우 준비도 평가 수준이 중등 과학교사의 준비도 평가 수준보다 낮게 나타나고 있어서 중등 수학교사들이 융복합교육 실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더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수학교사의 융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연수 개선이 시급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중등 수학교사는 융복합교육실행에 필요한 교육과정 범위와 계열에 대한 지식 및 교육과정 재구성, 그리고 융복합교육의 교수-학습 지원에 활용가능한 자원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다고 평가하여 수학교사의 융복합교육 전문성 향상을 위하여 교육과정과 교과 내용 측면과 연결된 연수가 보강되어야 할 필요성을 보여주었다. 교사들의 연수 만족도는 보통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교사의 만족도 평가가 학생에 대한 지식에 대하여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융복합교육이 학생의 개별성과 다양성을 고려하는 교육을 지향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에 대한 교사 연수의 개선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연수 만족도 수준에서도 수학교사의 연수 만족도가 중등 과학교사의 연수 만족도 수준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융복합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 요구 분석 결과는 교육 내용의 현장 적합성과 융복합교육에 관련된 다양한 교육전문가 사이의 협력을 가능하게 하는 네트워크 활용 방안에 대한 탐색이 효과적인 융복합교육 교사연수 프로그램 개발에서 핵심적인 요소로 다루어져야함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 결과는 현장 교사의 융복합교육에 대한 준비도와 연수 만족도를 향상하기 위한 방안탐색이 요구됨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를 위해 기존 연수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 및 운영 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을 비롯하여 연수에 참여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적인 질적 탐구를 통한 원인분석이 후속 연구로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factors involved in designing an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t would enhance teachers’ competence for Yungbokhap education. The researchers administered a survey questionnaire to discover the teachers’ evaluation of their competence in teaching in class based on Yungbokhap education, and their opinion of th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to develop teachers’ competence in Yungbokhap education.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content of th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relevant to the teachers’ practice of Yungbokhap education in the context of the school level. Moreover,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s need to be based on the work of a solid network of diverse types of education specialists who share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of Yungbokhap education. Finally, Yungbokhap education needs to be conceptualized to provide a solid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n appropriate in-servic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Yungbokhap education.

      • KCI등재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최현정,박찬옥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학논집 Vol.1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ose a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pply it to actual scenes of education,thus examining its influence upon teachers’multicultural efficacy and attitude and its changing process. For this, study questions we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development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application effect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The composition of an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 for multicultural education was carried out by three steps: a preparation step, an analysis step, and a composition step.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60 early childhood teacher s who were working for edu-care facilities in J-gu, Seoul were sampled.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the program, multicultural efficacy and attitude were examined before and after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 Based on the above process, the effect of application of the program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the applica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 training programs for multicultural education, the average multicultural efficacy of the experimen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e program seemed to be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teachers’ multicultural efficacy. Second, the average multicultural attitude of the experiment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difference between both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refore, the program seemed to be effective in the improvement of teachers’ multicultural attitudes. Third, as teachers’ changing process presented in the course of application of the program, presented a positive change in multicultural efficacy and attitude. 본 연구의 유아교사를 위한 다문화교육 연수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현장 교사들에게 적용하여 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과 다문화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변화 과정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프로그램 적용 효과를 검증하였다. 관련 문헌을 검토하고 다문화교육 연수에 대한 요구조사를 실시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적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서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프로그램 적용 사전과 사후에 다문화적 효능감과 태도에 대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프로그램은 교사의 다문화적 효능감과 태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프로그램 적용과정에서 나타난 교사의 변화 과정은 다문화적 효능감과 태도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 KCI등재후보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술교사의 인식과 교육요구도 분석

        김영민,김현정,이창훈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2 實科敎育硏究 Vol.18 No.4

        이 연구는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기술교사들의 인식과 교육요구도를 분 석하여 형식 기술교육과 비형식 기술교육의 체계적인 연계방향과 비형식 기술교육 프 로그램의 효과적인 개발 및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개발된 설문지는 권역별 기술교사들(280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여 회수된 189부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대부분의 기술교사들은 현재의 기술교육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하지만 기 술교육이 공학과 기술에 대한 흥미를 부여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기술교사들은 현재의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해 낮은 만족도를 갖고 있었다. 타 교과에 비해 비형식 교육 프로그램이 적고,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이 필 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교 기술교육의 제한점을 해결할 수 있고,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과 기술교사 연수가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 다. 비형식 기술교육 기관의 기술교사 연수 주제로는 ‘생활 속의 기술’과 ‘최신 공학 기술’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넷째, 기술교사들은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 운영 시 교사, 산업체 기술자, 연구원, 교수들의 인사들을 활용할 필요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그리고 8~16시간의 체험이나 캠 프 유형의 프로그램과 ‘생활 속 기술’, ‘최신 공학 기술’ 관련 주제의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러한 비형식 기술교육 프로그 램은 학생들에게 기술교과나 이공계 진로에 대해 흥미를 줄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foundational information abou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by analyzing perceptions and educational needs of technology teachers. This study was carried out by survey. 280 sheets were sent to technology teachers and 189 of them were collec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echnology teachers were not satisfied with present technology education. But, they perceived that technology education motivates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engineering and technology. Second, survey results showed that technology teachers had a low level of satisfaction about presen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And they perceived that technology subject have less informal education program than other subjects do. Thus, they answered tha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in technology subject is very necessary. Third, technology teachers have a perception tha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can solve some restrictions of current technology educations and various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Also, they perceived the high levels of needs for various teacher-training-programs related to 'technology in living' and 'advanced engineering technologies'. Fourth, technology teachers perceived that teacher, engineer, researcher and professor should be utilized for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Also, when conducting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s,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institutes should develop and operate some kind of informal programs including camps and subjects related to 'technology in living' and 'advanced engineering technologies'. At the end, they perceived that informal technology education program will motivate students to be interested in the technology subject and science and engineering careers.

      • KCI등재

        예비화학교사의 TPACK 발달을 위한 실천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및 방해 요인 분석

        Seoung-Hey Paik 대한화학회 2022 대한화학회지 Vol.66 No.4

        In this study, a practice-based teacher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improve the TPACK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Also the program effect and obstacles were confirmed by measuring the development of TPACK.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0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of 3rd grade and 2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of 4th grade who took chemistry education courses at K University located in Chungcheongbuk Province. The developed teacher education program consisted of four stages: preparation, rehearsal, practice, and reflection. The feedbacks from researchers and colleagues pre-service teachers were provided in preparation, rehearsal, and reflection stage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program of this study did not show an educational effect in the “constructive learning activities” of preservice teachers, but it was found to have an educational effect in “problem solving”. In other words, in “constructive learning activity”, most pre-service teachers were at 0 level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pre-service teachers designed the class to unilaterally provide technology to simply use it as a tool to explain subject content or revise misconceptions, and learners can passively acquire knowledge. However, in the case of “problem solving”, the pre-service teachers who were at level 0 before the educational program changed to level 1. Before the program, the pre-service teachers designed classes to solve problems by memory without using technology, but after the program they planned classes that provides opportunities to approach and solve various problems through the technology presented by the teacher. However, there were not many pre-service teachers corresponding to level 2, which constitutes voluntary learning in which learners use technology to solve various problems while selecting and variously manipulating technology. In addition, as obstacles to the TPACK development of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there were external factors such as lack of classroom support environment for TPACK implementation, lack of time for education planning, and inadequate technology competency. And there were internal factors such as perspectives of traditional education and negative attitude toward technology. In particular, the proportion of pre-service teachers who preceived inappropriate technical competency as an external obstacles of TPACK development was high.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corresponding to type 2 or type 3 that enables TPACK development through TK for pre-service teachers. 본 연구에서는 예비화학교사들의 테크놀로지 활용 수업전문성(TPACK)을 향상시키고자 실천기반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또한 TPACK 발달 측정을 통해 프로그램 효과 및 방해요인을 확인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충청북도에소재한 K 교사양성대학교에서 화학교육강좌를 수강하는 화학교육과 3학년 20명과 4학년 2명이었다. 개발한 교사교육프로그램은 준비, 리허설, 실습, 성찰의 네 단계로 구성되었으며, 준비, 리허설, 성찰 단계에서는 연구자와 동료의 피드백을 제공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예비교사들의 “구성적 학습 활동”에서는 교육적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문제해결”에서는교육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구성적 학습 활동”에서는 사전과 사후에 대부분의 예비교사들은 0수준으로, 테크놀로지를 단순히 교과 내용 설명이나 오개념 개선을 위한 도구로 사용하기 위하여 예비교사가 일방적으로 제공하고, 학습자는 이를 통해 수동적으로 지식을 습득하도록 계획하였다. 그러나 “문제해결”의 경우 사전에 0수준이었던 예비교사들이 1수준으로 변화하였다. 즉,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지 않고 단순 기억에 의존해서 문제를 해결하도록 수업을 구상하였던 학생들의 대부분이 교사가 제시한 테크놀로지의 관찰을 통해 다양한 문제에 접근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기회를 제공하는 수업을 계획하는 것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학습자가 스스로 테크놀로지를 선택하고 다양하게 조작하면서 다양한 문제를 테크놀로지를 활용하여 해결하는 자발적 학습을 구성하는 2수준에 해당하는 예비교사들은 많지 않았다. 또한, 예비화학교사들이 TPACK 발달에 대한 방해요인으로 인식한 외적요인으로는 TPACK 구현을 위한 교실지원환경 미흡, 교육 계획을 위한 시간 부족, 부적절한 기술 역량 등이있었으며, 내적요인으로는 전통적 교육관, 그리고 테크놀로지에 대한 부정적 태도 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그 중에서 부적절한 기술 역량을 외적 방해요인으로 인식한 비율이 높기 때문에 예비교사들을 위해 TK를 통해 TPACK 발달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TPACK 발달 유형 중 유형 2나 유형 3에 해당하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증강현실 기반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발달지체유아 특수교사의 인식 고찰

        송미정 ( Song Mi-jung )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21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Vol.60 No.2

        본 연구는 증강현실 기반 중재 프로그램에 대한 발달지체유아 특수교사의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우편과 E-mail을 통하여 설문지를 배부 및 회수 하였다. 총 210부의 설문지를 3개 지역(세종특별자치시, 대구광역시, 전라북도)의 발달지체유아 특수교사에게 배부하여 180부(86%)의 설문지가 회수되었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특수교사의 일반적 정보와 증강현실 기반 중재프로그램에 대한 특수교사의 인식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근무지역은 대구광역시에서, 기관유형은 병설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교사의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교육대상에서는 남자는 만 3세, 여자는 만 5세에 증강현실 기반 교육효과가 높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지역별, 기관유형별, 교사 연령별로 차이가 있었다. 발달지체유아에 대한 증강현실 기반 교육이 필요한 원인으로는 학부모의 요구보다는 현 교육의 동향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고, 증강현실 기반 교육을 시행하지 못하는 이유는 진행할 준비가 미흡하다는 응답이 52.2로 가장 높았다. 셋째, 증강현실 기반 교육 활동 시 고려할 사항에서는 20세에서 50세까지의 교사는 중재 활용방법, 51세 이상의 교사는 증강현실 기반 중재의 폭 넓은 활용을 고려할 사항으로 여겼다. 또한 특수교육에서 증강현실 기반 교육활동 시행 후 가장 기대되는 효과는 남자 교사는 언어발달, 여자 교사는 인지발달을 꼽았다. 넷째, 증강현실 기반 교육실행에 예상되는 어려움은 남자 교사는 교수방법과 교사역량부족, 여자 교사는 교육기관의 교재 및 자료부족이란 대답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In this stud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through online surveys and mail in order to find out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the augmented reality-based(hereinafter referred to as AR) intervention program. A total of 21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 three regions (Sejong City, Daegu City, and Jeollabuk-do), and 180 (86%)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is. As for the analysis method, the SPSS 26.0 program was used for cross tabulation test. As a result, first,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he perception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about the AR programs, and teachers who worked in Daegu City as the working area and the affiliated kindergarten as the institution type were highly recognized. Second, in the special education object, the AR education effect was recognized as high at 3 years old for male children and 5 years old for female children, but there were differences by region, institution type, and teacher age. The reason for the need for AR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was found to be due to current education trends rather than the needs of parents. The reason why AR education was not available was the highest with 52.2 of respondents saying that they were not ready to proceed. Third, in terms of consideration for AR educational activities, teachers aged 20 to 50 considered the use of intervention methods, and teachers aged 51 and over considered the widespread use of AR intervention. In addition, after implementing AR educational activities in special education, male teachers cited language development and female teachers had cognitive development as the most expected effects. Fourth, as for the expected difficulty in implementing AR education, the answers were high for male teachers, lack of teaching methods and teacher competency, and female teachers, lack of textbooks and materials of educational institu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직무 역량 강화를 위한 보육교사 교육프로그램이 사회적 자본과 교사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 어린이집교사를 중심으로

        이선애(Lee, Sun-Ai),강혜경(Kang, Hye-k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3

        목적 본 연구는 어린이집교사를 대상으로 교사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해 사회적 자본과 교사효능감의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방법 서울 및 수도권에 소재한 어린이집교사 13명을 대상으로 2020년 1월 2일부터 3월 6일까지 주2회 2시간씩 총 16회기의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사회적 자본과 교사효능감의 효과 검증을 위해 교육프로그램 실시 전 사전 검사를, 교육프로그램이 완전히 종료된 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계패키지 SPSS 21.0을 이용해 윌콕슨의 대비된 쌍의 부호 순위 사전-사후 z검정을 실시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교사교육프로그램 적용 전⋅후 어린이집교사의 사회적 자본은 유의미하게 변화되었다. 둘째, 교사교육프로그램 적용전⋅후 어린이집교사의 효능감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교사효능감 수준에 따른 집단별 교사교육프로그램 적용 전⋅후, 교사효능감 수준이 높은 집단(N=7)에서만 사회적 자본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넷째, 교사교육프로그램 적용 전⋅후 사회적 자본 수준 집단별로 교사효능감의 변화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결론 이를 통해 교사교육프로그램이 보육 구성원의 사회적 관계의 중요성에 대한 어린이집교사의 내면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과 더불어 교사의 효능감까지 향상시킬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specify variables related to convergence competency, and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Methods From January 2 to March 6, 2020, a total of 16 educational programs were applied to 13 daycare center teachers located in Seoul and the metropolitan area twice a week.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social capital and teacher efficacy, a pre-test was conducted before the education program was implemented, and a post-test was conducted after the education program was completely completed.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21.0, data were analyzed by performing a pre-post z-test of Wilcoson s control code ranking pair.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social capital of daycare center teachers changed significantly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Second,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the work efficiency of daycare center teachers improved significantly. Third, social capital has improved significantly only in groups with high teacher efficacy (N=7) before and after applying teacher education programs for each group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cher efficacy. Fourth,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teacher effect by social capital level before and after the application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Conclusions first, it was suggested that through this,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can positively change the inside of daycare center teachers and increase the teacher s efficiency on the importance of the social relationship of childcare members.

      • KCI등재

        유아 소프트웨어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이재은(Lee, Jae Eun) 한국육아지원학회 2022 육아지원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 소프트웨어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먼저, 소프트웨어교육 관련 국내외 문헌을 분석하여 프로그램 모형의 이론적 기틀을 마련하였고 현직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어려움 등을 조사하였다. 문헌분석 및 요구조사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의 시안을 구성하였고 전문가 협의내용을 토대로 최종 프로그램 모형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유아 소프트웨어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목적은 유아의 소프트웨어 교육활동 지원을 위한 유아교사의 역량을 계발하는 데 있다. 교육내용은 유아교육에서 적용 가능한 소프트웨어교육의 내용 이해, 컴퓨팅 사고와 프로그래밍의 핵심개념 구현, 유아 소프트웨어교육의 실제 등 크게 3영역으로 나누어진다. 본 프로그램은 4단계의 교수-학습 과정과 5가지의 교수전략을 적용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유아 소프트웨어교육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은 인공지능 기반 디지털 전환시대에 유아교사의 소프트웨어교육에 대한 이해를 돕고 유아교사들이 소프트웨어교육을 현장에서 계획·실행할 수 있는 역량을 계발하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er education program model for early childhood software education. First, the literature related to software education was analyzed to establish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program model. Second,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demands, and difficulties regarding software educa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a survey. Based on the literature analysis and survey, the final program model was developed. The purpose of the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software education designed in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competency of early childhood teachers to support young children’s software educational activities. Educational content is divided into three main areas: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software education applicable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identification of core concepts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programming, and implementation of software education in practice. Four stages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five teaching strategies were applied to the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a teacher education program for early childhood software education should focus on helping early childhood teachers understand software education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developing early childhood teachers’ capabilities to plan and execute software education in practi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