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복지실천의 전문성과 정체성 확립에 대한 고찰

        이은주(Lee Eun-Joo)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3 비판사회정책 Vol.- No.16

        우리 사회에서 사회복지실천의 전문화가 필요하다는 것에 대해서는 동의되고 있으나, 전문화의 지향점과 내용에 대한 논의는 미흡하다. 우선 사회복지직의 전문성을 설명함에 있어서 전문직에 대한 전통적 모델이 아니라 사회적 할당 모델이 보다 적합하다고 보며, 사회가 우리 직종에게 부여한 사회적 과제인 의존자 관리의 면에서 개인에 대한 치료적 기법 쪽으로 전문화의 방향이 경도되는 점은 문제라고 본다. 따라서 전문화의 초점이 간접적 개업에 맞추어져야 할 것이다. 간접적 개입은 실제로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며 타 인접전문직에 비한 사회복지실천의 특성임에도 불구하고 비전문적 업무로 간주되는 경향이다. 따라서 사회복지실천의 정체성과 전문성을 재정립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간접적 개입의 심화확대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대부분의 사회복지사가 빈곤계층 및 사회적 약자를 위한 기관에 종사하는 우리나라에서는 더욱더 간접적 개입의 중요성 및 실천방법이 부각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간접적 업무의 유능성 개발방안, 즉 간접적 개입의 중요성에 대한 재평가, 업무수준의 명확화 및 세분화, 개입실천기법의 명확화 및 교육훈련의 강화, 효과성 증명에 대한 과학적 방법 개발 등을 제시하였다. 앞으로 간접적 개입에 대한 보다 구체적 연구가 학계와 실무계에서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Although it is generally agreed that social work needs to be professionalized, the discussion on the direction and content of the professionalization seems to be insufficient in our society. In explaining social work as a profession, social assignment model seems to be more adequate than other traditional models. According to this model, the social task which the society assigned to social work is managing dependencies. In terms of this social task, it is insisted that the professionalization should be more focused on indirect intervention rather than individual treatment or psychotherapy. Although indirect intervention is the strong point and the core of the identity of social work comparing with other professions. it has been regarded as less professional work. Therefore the level and range of indirect intervention should be more developed in order for the identity of social work profession to be reconceptualized. Especially in Korea where most social workers work in the agencies for the poor and socially disadvantaged, the importance of indirect intervention need to be emphasized. In order for social workers to be more competent in indirect intervention, several suggestions are made such as revaluation of its importance, clarification and classification of the level of its work, developing its practice skills, education and training of its skills, and developing scientific method for proving its effectiveness. It is expected that more concrete study be facilitated in both academic world and field practice.

      • An Exploratory Study on Group Social Work with Group in Culturally Different Cognitive Intervention on Nursing Home-Residents with and without Cognitive Impairment

        박봉길(Park Bong Gil),김춘택(Kim Choon Taik),정왕용(Jung Wang Yong) 한국복지행정학회 2008 복지행정논총 Vol.18 No.1

        본 조사는 다민족국가인 미국에 거주하는 인지기능이 상당히 손상된 치매노인과 인지기능의 손상이 덜된 노인들간에 문화적으로 서로 다른 치료기법이 노인의 인지능력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연구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본격적인 연구를 위해 필요한 구체적인 내용이 어떠한가에 초점을 둔다.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텍사스 그린빌 주민의 인구, 환경적 특성은 무엇인가? 2. 그린빌너싱흠의 목표, 리드쉽, 규범, 그룹단계, 그룹의 길이, 형태는 무엇인가? 3. 인지기능의 손상정도에 따라 문화적으로 서로 다른 노인의 인지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어떤 개입방법이 좋겠는가? 4. 그룹사회복지의 사정과정은 어떠한가? 5. 그룹사회복지의 평가는 어떠한가? 이다. 택사스 그린빌 건강재활센터의 인구 환경적 특정은 다음과 같다. 그린빌 건강재활센터는 텍사스 그린빌에 위치해 있으며 남자노인 31명, 여자노인 84명으로 그중 백인이 84명, 흑인이 15명, 허스패닉이 3명, 동양인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린벌 건강재활센터 노인의 인지향상 목적을 위해서는 그룹을 13-14개 그룹으로 나누는 것이 좋다. 인지향상개업을 위한 사정을 위해서 초기단계에는 클라이언트와 접촉하여 문제를 파악을 하고, 중간단계에는 인지향상을 위한 사정, 개입을 한 후 마지막으로 평가하여 종결한다. 전략적으로는 인지적 손상이 심한 노인과 심하지 않는 노인을 분리하여 문화적으로 서로 다른 실천방법으로 4부문에 실천전략을 수립한다. 실천과정에 대한 전략, 사회복지사 -시스템간 실천이슈에 관한 전략, 클라이언트-시스템간이슈에 관한 전략, 복지사-클라이언트 업무에 관한 전략. 본격적인 연구를 위해서 사회복지사는 노인의 심리, 인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그룹의 성질인 규범과 리드쉽에 대한 연구가 중요하며, 사정과 개입의 경우 행동과 인지모델을 바탕으로 한 문화적으로 다른 개입을 할 경우 개입의 효과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한계는 탐색적인 연구인 관계로 본격적인 연구를 통한 검증을 제시하지 못한 한계가 있다. This article is exploratory research which focuses on what group social work with group in culturally different cognitive intervention affects on nursing home-residents with and without cognitive impairment. Therefore this article focuses on what necessary contents are in order to study field research. Questions are followings. Questions of this article are followings. The demographic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Texas Greenvil health and rehabilitation centert, the development, objectives, leadership, norms, stages of group, the selection of clients, the type and length of group, types of intervention to increase the cognition ability of the culturally different elderly with and without cognitive impairment, the assessment process of group social work, and the evaluation of this group social work. The demographic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the residents in Texas Greenvil health and rehabilitation center is situated in calm and convenient Greenvil, clients are male 31persons female 72 persons, white 84 persons, African American 15 persons, Hispanic 3 persons, Asian American 0 persons. Average age is 68. MediCare is 101 persons, MediAid is 1 persons. This population can be divided into 13-14groups by the groups’ characteristics in order to treat these groups effectively. As usual, the beginning process stages are contact and problem identification; the middle stages include assessment and intervention; and the ending stage is termination. Strategy shows the four categories within the framework for social work practice for the culturally different elderly with and without cognitive impairment: practice process stages, worker-system practice issues, client-system practice issues, and worker-client tasks. In order to study concrete research, social worker needs to understand elderly’s psychology, cognition, group social norm and leardership is important, and if social worker uses culturally different intervention based on bahavior/cognitive theory, effects of intervention will be higher. This article is exploratary research, therefore this article doesn’t suggest testification of hypothesis, which is not only limitation of this article but also next work.

      • KCI등재

        이야기책 독서활동을 통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전공과 지적장애인의 직장 내 식사준비기술에 미치는 효과

        김영준 ( Young Jun Kim ),도명애 ( Myung Ae Do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5 중등교육연구 Vol.63 No.4

        본 연구는 이야기책 독서활동을 통한 상황이야기 중재가 전공과 지적장애인의 직장 내 식사준비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특수학교 전공과 재학 가운데 지역사회 내 농식품 공장에서 생산 포장직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지적장애인 세 명을 몇몇 선정 기준에 의거하여 최종 선정하였다. 실험 환경은 사업체 내 식당(수행평가 환경)과 휴게실(중재 환경)의 두 가지로 구성되었다. 실험 설계는 단일대상연구의 기법 중 하나인 대상자간 중다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이에 따른 실험 조건은 기초선, 중재, 유지의 세 가지로 구성되었다. 독립변인인 이야기책 독서활동을 활용한 상황이야기 중재는 시각적 이미지와 문자언어를 통합적으로 반영하는 가운데 구성되었다. 또한, 몇몇 선행연구들과 선정된 목표행동 및 사업체 내 식당문화에 근거하여 연구 대상들이 목표행동을 보다 바람직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 자기관리의 하위 근거들(예: 안전관리, 청결관리, 시간관리, 도구관리, 대인관계관리 등)을 추출하여 중재프로그램의 구성 내용과 절차로 반영하였다. 이로써, 중재프로그램은 연구 대상들이 보다 세분화되고 타당한 인과관계적 내용 구조 속에서 목표행동의 수행을 친사회적 성향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촉진하는데 가치를 두었다. 목표행동인 직장 내 식사준비기술은 세 가지의 하위 기술(식사도구 준비, 밥 짓기, 밥 푸기)로 구성되었으며, 10가지의 단계로 과제분석 되었다. 연구 결과, 연구 대상들은 중재프로그램을 통하여 목표행동을 효과적으로 습득 및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ocial story intervention through storybook reading activities on meal preparation skills at work for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is in the transition classroom of a special education school. For this, three individual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erforming production packaging work at an agricultural food factory in the community. The two experimental environments included cafeteria at the work site (performance evaluation environment) and resting room (intervention environment). The experimental design used multiple-prob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as a single subject research technique. Thre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Social story intervention through storybook reading activities was constituted as an independent variable that comprehensively reflects visual image and written language. Also based on previous studies, selected target behavior, and cafeteria culture of the work site, sub grounds of self-management (e.g. safety management, cleanliness management, time management, utensil management,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nagement, etc.) that facilitate the subjects to desirably perform the target behavior were extracted and reflected as components and procedures of the intervention program. The value of the intervention program was in facilitating the subjects to recognize performance of the target behavior within more segmented and appropriate causal relationship with a social-friendly tendency. Meal preparation skills at work, the target behavior, consisted of three subordinate skills (preparation of utensils, cooking rice, and scooping rice) and 10 steps of task analysis. As a result of study, the subjects were found to effectively acquire and maintain the target behavior through the intervention program.

      • KCI등재

        「실종아동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 운영에 대한 탐색적 연구

        정익중(Chung, Ick-Joong),유정아(Yoo, Jeong Ah),안은미(An, Eunmi),이민주(Lee, Minjoo),남성희(Nam, SungHee)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8 비판사회정책 Vol.- No.59

        본 연구는 「실종아동등의 보호 및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실종아동법) 제도와 그 운영 실태를 이해하기 위하여 실종과 관련한 업무를 일선에서 수행하고 있는 경찰들에게 경험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현장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회복지개입의 가능성과 방향성을 타진해보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3개의 지방경찰청에서 각 권역 경찰관들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으며 총 23명의 경찰관이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3개의 집단에서 공통적으로 논의 되었던 내용을 근거로 13개의 소주제, 6개의 중주제, 그리고 궁극적으로 법률 및 제도적 측면, 수사/수색적 측면, 그리고 관계적 측면의 3개의 대주제로 분류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현장에서 경찰들의 업무와 한계를 이해하고 사회복지사 및 관련기관의 정책적, 실천적 개입 방안을 살펴보았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law of 「ACT ON THE PROTECTION AND SUPPORT OF MISSING CHILDREN, ETC.」 is applied and operated in the missing cases. This study listens to police officers who mainly take charge of the run of this Act in the case of missing. Based on the experience of police officers, this study tries to find the ways social workers intervene for missing persons and the families. Twenty three police officers participated into the three different focus group interviews. This study found 13 categories. These 13 categories ultimately grouped into three themes 1) Law and policy; 2) Seeking process; 3) Relationship with parents and media. Based on the finding from the police officers, this study suggests the possible social work policies and programs using enhanced cooperation between police and social work.

      • 사회복지학위와 자격증유형이사회복지옹호실천에 미치는 영향

        전선영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5 임상사회사업연구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사회복지사들의 학위와 자격증유형 즉, 사회복지 전공 학사 및 석사학위와 사회복지사와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증유형이 사회복지 옹호실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사회복지사의 최종학위 및 학부 전공 여부에 따라 사회복지옹호실천의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사회복지사와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증 소지가 사회복지 옹호실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옹호자로서의 사회복지사 역할수행의 실태를 점검하고 사회복지 옹호실천을 위한 사회복지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갖는다. 연구문제 1, 한국 사회복지사들의 사회복지 옹호(정책옹호, 계층 및 사례옹호)실천은 어느 정도인가? 연구문제 2, 사회복지학위유형과 자격증은 사회복지 옹호(정책옹호, 계층 및 사례옹호)실천에 영향을 미치는가?본 연구의 조사는 대학교를 졸업하고 사회복지사 자격증 또는 정신보건사회복지사 자격증을 취득한 뒤 현장에서 일하고 있는 사회복지 실천가 461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조사도구로는 사회복지 옹호개입 척도, 자존감 척도, 통제소재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 11.5를 사용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과 t-검증, 신뢰도 검증, 탐색적 요인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의의는 사회복지 교육이 옹호자로서의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국내에서 처음 확인해 봄으로써 사회복지 교육과 옹호실천의 연구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복지사로서의 옹호자의 역할수행의 강조뿐 아니라 사회복지 실천을 위한 교육의 방향 정립에 기여할 것으로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Korean social workers' level of social work advocacy intervention, and to verify the relations between social work education and social work advocacy by examining whether social work education influences social work advocacy. Accordingly, this study wishes to suggest the direction of social work education to promote social work advocacy. To achieve this goal, this study poses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1)What are the social workers' degree of social work advocacy(policy advocacy, class and case advocacy)intervention ? (2)Do social work education influences social work advocacy(policy advocacy, class and case advocacy)?The research of this study was conducted on 461 social work practitioners who have obtained either social worker licenses or mental health social worker licenses and are currently working in the field. As survey tools, this study utilized social work advocacy attitude, social work advocacy intervention, outcomes of social work education, social work values, self-esteem and locus of control.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using SPSS/PC+ 11.5 for one-way ANOVA and t-test,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The theore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 would be that this study expands the scope of the study on social work education and social work advocacy. Such results are expected to contribute not only to the study of social worker's advocate role, but also to the theory building of the study of social work education.

      • KCI등재후보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종교와 영성의 의미와 역할에 대한 고찰

        손신(Shin Son),신효진(Hyo-jin Shin) 연세대학교 신과대학(연합신학대학원) 2010 신학논단 Vol.59 No.-

        ??This study aims to provide justification about the inclusion of spiritual/religious content in social work practice and education. Subsequently, this justification gives the practitioners an alternative means to both pre-pare them to work effective and ethically with the clients and to be fully engaged in their missionary tasks and social responsibilities as christians.<br/> ??Despite the primary identification with voluntary helping activities embracing Christianity in the early social work profession, the past century reflect the fluctuation in the profession's position on incorporating spiritual/religious content into the social work curriculum and the field of practice. Underprepared professionals who are unaware of the diversity of spiritual and religious elements have continued to struggle in addressing spiritual/ religious issues caused by the lack of the required guidelines for assessments, intervention decisions, and action strategies.<br/>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is dilemma, in this study, the authors takes a broad look at the Four major developmental phases of social work profession, and then, continues to go into some depth regarding the specific practice methods and skills, utilizing spirituality as one major source of strength for social work practitioners to use in their work with clients in the he1p/change process. As is apparent throughout this study, these are paradigm shift in the traditional model to include the spiritual/religious aspects of healing, giving special attention to respect for spiritual and religious beliefs as significant environmental resources and strengths as well as ways of appropriately incorporating missionary activities into professional social work practice. ??This study aims to provide justification about the inclusion of spiritual/religious content in social work practice and education. Subsequently, this justification gives the practitioners an alternative means to both pre-pare them to work effective and ethically with the clients and to be fully engaged in their missionary tasks and social responsibilities as christians.<br/> ??Despite the primary identification with voluntary helping activities embracing Christianity in the early social work profession, the past century reflect the fluctuation in the profession's position on incorporating spiritual/religious content into the social work curriculum and the field of practice. Underprepared professionals who are unaware of the diversity of spiritual and religious elements have continued to struggle in addressing spiritual/ religious issues caused by the lack of the required guidelines for assessments, intervention decisions, and action strategies.<br/>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is dilemma, in this study, the authors takes a broad look at the Four major developmental phases of social work profession, and then, continues to go into some depth regarding the specific practice methods and skills, utilizing spirituality as one major source of strength for social work practitioners to use in their work with clients in the he1p/change process. As is apparent throughout this study, these are paradigm shift in the traditional model to include the spiritual/religious aspects of healing, giving special attention to respect for spiritual and religious beliefs as significant environmental resources and strengths as well as ways of appropriately incorporating missionary activities into professional social work practice.

      • KCI등재후보

        Preparing Social Work Students for Working with Disaster Survivors

        Adi Fahrudin 한국사회복지학회 2012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Vol.6 No.2

        This paper is an overview of disaster social work and preparing social work students for workingwith disaster survivors. Disaster has common immediate, and medium- and long-term problemsand needs. Experiences from various countries throughout the world suggest a range of helpingroles and tasks that social work is suited for. A social work professional has particular expertise inunderstanding and addressing the immediate, and medium- and longer term effects of loss on individuals,families, and communities affected by a disaster. In preparing social work students forworking with disaster survivors, social work programs do not introduce enough subject matteror course work about disasters. Practice training, field work, collaboration work, and communityservice in disaster relief are important academic environments for social work students when learningand practising in disaster settings.

      • KCI등재

        자기관리전략을 적용한 사회성 기술 교수가 지적장애인 근로자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김수미,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2 특수교육학연구 Vol.47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kill teaching using self-management strategies on social behaviors of three public library employee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ree young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have little social skills required in the work plac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in integrated employment working four days a week, eight hours a day.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was used to assess the changes in appropriate and inappropriate social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in the work place. First, social behaviors of the participants on duty were measured for baseline data. During teaching sessions, social skill teaching using self-management strategies were implemented to the participants while their social behaviors were measured. Maintenance data were collected 4 weeks after withdrawal of the teaching.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e that social skills teaching using self-management strategies are useful for increasing appropriate social behaviors and decreasing inappropriate social behaviors of employee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ntegrated employment settings and are effective for maintaining the change resulted from social skill teaching using self-management. This result suggests that social skill teaching using self-management strategies can help three employee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etter adapt to their work places and positively change their work attitudes. Some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ideas for future studies were suggested. 본 연구는 자기관리전략을 적용한 사회성 기술 교수가 공공도서관의 지적장애인 근로자의 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데 목적을 두었다. 자기관리전략을 적용한 사회성 기술 교수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기도 D시의 A, B, C 세 곳의 다른 공공도서관에 고용된 지적장애인 근로자 세 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실험은 각 연구참여자의 직무환경인 세 곳 도서관의 아동실에서 대상자간 중다간헐기초선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및 유지단계로 진행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직무환경에서 필요한 10가지 사회성 기술을 선정하여 ‘직장생활 가이드 북’을 제작하여 자기관리전략을 이용하도록 교수하였다. 그 결과, 자기관리전략을 적용한 사회성 기술 교수는 통합고용 환경에 있는 지적장애인 근로자의 직장 내 적절한 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고 부적절한 사회적 행동을 감소시키고 그 긍정적 변화를 유지시키는 데 유용한 전략임이 확인되었다. 자기관리전략은 연구참여자들의 적절한 사회적 행동의 습득 및 유지에 효과를 보였을 뿐 아니라 부가적으로 이들의 직장생활 태도가 보다 능동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는 지적장애인 근로자의 통합고용이 증대되는 시점에 비장애인 직장 상사나 동료와의 원만한 직장생활 요구가 높아지는 맥락에서 적절한 사회적 행동을 실제 직무환경에서 자기관리전략을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교수한 한 연구결과를 제시한다. 직무지도원이나 비장애인 직장동료의 외적 통제보다 지적장애인 근로자 자신의 내적 동기를 강화시켜 자기관리능력을 함양시킴으로써 통합고용 환경에서 원만한 직장생활을 해 나갈 수 있도록 적절한 사회적 행동을 증가시키고 부적절한 사회적 행동을 감소시키고 그 긍정적 변화를 유지시킨 한 교수 방법을 제시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학교 현장 사회복지 슈퍼바이저 양성 교육과정 개발 및 효과분석

        안정선,엄경남,방진희,홍순혜,조성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4 학교사회복지 Vol.- No.29

        본 연구는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들이 클라이언트에게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한 사회복지 슈퍼비전의 실행을 위해, 이를 주도적으로 실천할 슈퍼바이저 양성 교육과정을 개발하고 개발된 교육과정의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분석과 정보수집, 설계와 시범실행, 평가와 수정에 이르는 개입연구방법(intervention research)에 따라 2011년 7월부터 2014년 9월까지 연구가 수행되었다. 연구참여자는 2012년 7월 1차 교육과정부터 2014년 6월 11차 교육과정까지에 참여한 17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교육과정 내용개발과 평가를 위해 4가지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는데, 이는 문헌고찰, 전문가 간담회, 평가내용분석, 설문조사였다. 먼저, 문헌고찰과 전문가 간담회를 통해 1차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참여자 피드백과 평가기록 내용분석 그리고 개발자 간담회를 병행한 시범실행(pilot testing) 과정을 통해 최종 기초 및 심화교육과정이 확정되었다. 교육과정의 효과성 평가는 시범실행 1기를 제외하고 기초과정 2~7기, 심화과정 1~3기 참여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졌는데, 개발된 기초 및 심화 교육과정 모형은 사전사후 검증결과, 각각 학교 내 사회복지실천가들의 슈퍼비전 기능과 직무수행 능력을 향상하는 데에 효과가 있었다. 다각적 평가결과를 토대로 교육과정 모형 보급과 개발방법론의 활용, 참여자의 역량 수준 및 현장별 과정개발, 교육내용 활용을 위한 사후관리체계, 슈퍼바이저 양성을 위한 정책적 대안 등의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raining curriculum for social welfare supervisors who will take the initiative to take action for social work supervision so that school social work practitioners can provide the best service to clients to support social welfare for the execution of the supervision an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developed.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the study by the intervention research method from analysis and information gathering, design and pilot testing, to evaluating and modifying from January 2012 to September 2014. We targeted at 175 people took part in the curriculum from the first curriculum conducted in July 2012 to the eleventh curriculum conducted in june 2014. We utilized four research methods for the curriculum development and assessment such as literature review, expert meeting, assessment and analysis, survey. First, we designed the first curriculum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 expert meeting and finalized the final base and deepening curriculum through participants' feedback and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n the evaluation record and the developer conference running a parallel pilot testing.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curriculum were conducted aimed at the seventh base curriculum and the third deepening curriculum participants. And the base and deepening curriculum model developed were effective to improve the supervision functions and duty skills of school social work practitioners. Based on the results of a multifaceted assessment we suggest the development policy such as the task of practical use and dissemination of the curriculum model developed, curriculum developments based on participant's competence level, the post management system to take advantage of education contents and the policy options for supervisor training.

      • KCI등재후보

        Family Characteristics and Traumatic Consequences Associated with the Duration and Frequency of Sexual Assault

        Adi Fahrudin,Durin Edward 한국사회복지학회 2009 Asian Social Work and Policy Review Vol.3 No.1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characteristics and thetrauma associated with the duration and frequency of sexual assault on child survivors in the stateof Sabah, Malaysia. Eighty children who reported sexual assault through a one stop crisis centre inan urban hospital were studied. The main research instrument used was adapted from the traumasymptoms checklist for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between the symptoms of trauma of victims according to the frequency of sexual assault, but notaccording to its duration. Social workers need both to understand and to take note of the relationshipof the variables of family characteristics, frequency of sexual assault and trauma effects on thevictims in their intervention work with child sexual assault survivors who report having beenabused.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re discussed in the context of providing crisis interventionby social workers in Malaysia for child victims of sexual assaul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