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교사회복지사들이 표현하는 “일과 나”: 포토보이스(Photovoice) 방법론 적용

        이재희,라미영,방실,Karen Elizabeth Canape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2 학교사회복지 Vol.- No.23

        The roles of school social workers are more important than any other time given the worsening school violence and mental health problems among adolescents in Korea. school social workers experience job stress and unstable professional identities due to the lack of legal status for school social workers, which is expected to adversely affect not only their quality of life, but also their roles of taking care of students. This article organizes photos and narratives on the lived experiences of the 36 participants at a workshop led by the Korean Association of School Social Workers. The participants expressed and shared their experiences through photos and discussions using the Photovoice methodology under the theme of “work and myself” during the 2-day workshop. The main themes were 1. ‘School social work,’ its meanings and my inner strength; 2. Overwhelming work and job stress; 3. Identity confusion and burnout; 4. Torn between work and myself; 5. Quilt toward my family and children; and 6. Visions. The participants expressed their feelings and stories about their professional identities, burnout, ambitions, and reality. The innovative methodology enabled the participants to actively express their experiences and share and support for each other. The article also discusses the ways to intervene in their professional challenges. 학교 폭력 및 청소년 정신 건강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은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학교사회복지사의 처우에 대한 법적 조치가 미흡한 상황에서 학교사회복지사들은 높은 직무스트레스와 직업정체성에 대한 회의를 경험하는 것으로 보이고, 이런 현상은 학교사회복지사들의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 뿐 아니라, 학교와 학생들을 위해 그들이 맡고 있는 다양한 돌봄의 역할에도 영향을 주게 된다. 본 논문은 학교사회복지사들이 질적연구방법의 하나인 포토보이스(Photovoice)를 이용하여, ‘일과 나’를 주제로 그룹 토의와 사진작업을 통해 본인의 생각과 경험을 표현하고 나누는 작업을 정리한 것이다.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에서 주최한 워크숍에 참가한 36명의 학교사회복지사들이 1박2일 동안 소그룹 논의를 통해 ‘일과 나’에 대한 다양한 주제를 논의하고 사진을 찍어 표현 및 공유하였다. 참여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다룬 주제들은 1. ‘학교사회복지’, 그 일의 의미와 내안의 힘 2. 과중한 업무와 직무 스트레스 3. 정체성 혼란과 소진 4. ‘일과 나’의 경계에서의 고민 5. 가족, 그리고 아이에 대한 죄책감 6. 앞으로의 비전이다. 이에 대해 참여자들은 학교현장에서 일을 하면서 느끼는 정체성 혼란, 소진 그리고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유지하며 일을 하고 싶은 마음과 열악한 처우 및 여건 등에서 오는 현실적인 개인의 삶 사이에서 느끼는 갈등에 대해 그들의 내면의 이야기를 사진이라는 이미지를 통해 직접 표현할 수 있었다. 포토보이스라는 이색적 방법론을 통해 학교사회복지사들의 경험이 사진과 논의를 통해 적극적으로 표현되었고,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서로를 격려하고 지지하는 기회가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사회복지사들의 직업적 애환에 대한 대안과 모색을 위한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Covid 19상황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협력에 대한 기대: 아동복지종사자 인식을 중심으로

        김선숙,김진숙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0 학교사회복지 Vol.0 No.52

        The spread of Corona19 infection and social distancing, which began in early 2020, are having a big impact on children’s lives. The longer time left at home due to school restrictions, academic gaps, abuse and safety issuesare affecting not only education-vulnerable students, but also general children. With the COVID19 Pandemic, cooperation among families, schools, and communities is more emphasized on the protection and growth of childre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what the school and the community would connect with, the community’s desire, expectation, and necessary activities for cooperation. The responses of 274 child welfare workers who provide services for children in the community were analyzed. As a result, the difficulties of children due to COVID-19 that workers think are ‘longer neglect time’ and ‘learning gaps’, and the difficulties of workers are ‘worries about children’s risk of infection’, ‘difficulty in monitoring of child safety without face-to-face’. Most of the respondents said they needed to connect with the school, but about half said they had no experience of actually connecting. The reason was that “no social workers were assigned to schools in the region” and “there were no programs or projects associate with”. The most cooperated are ‘information sharing’ and ‘monitoring and referral for children at risk’. Children’s problems that the school social worker should intervene were responded in the order of school maladjustment, abuse, and poor learning.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bridge between community institutions and schools” and “discovery and referral of children at risk’ are important roles for school social workers in COVID 19 Pandemic. The more experienced respondents had related to school social workers, the more respondents said that the need for connection with school social workers for various occupations in the Corona 19 situation, and the higher expectations for the role of school social workers.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 of cooperation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was discussed. 2020년 초부터 시작된 코로나19 감염의 확산과 그에 대한 사회적 거리두기 상황은 아동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등교제한으로 인한 돌봄의 공백, 학업격차, 학대와 안전문제 등 전통적인 교육취약학생이 아닌 아동에게까지 광범위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런 아동들의 상황에 대한 대응은 가족, 학교, 지역사회가 함께 협력해야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학교에 대한 연계 협력의 욕구, 기대, 협업을 위해 필요한 활동 등이 무엇인지 확인하고자 학교외 지역사회기관의 아동복지종사자 274명의 응답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응답자들이 생각하는 코로나19로 인한 아동의 어려움은 ‘방임시간이 길어지는 것’과 ‘학습격차’로 나타났으며, 응답자 자신의 어려움은 ‘아동의 감염위험에 대한 걱정’, ‘아동안전에 대한 비대면 모니터링의 어려움’ 순서로 대답하였다. 학교와 연계 필요성은 대부분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나 실제로 연계한 경험이 없는 응답자도 절반 정도로 나타났다. 그 이유는 ‘지역내 학교에 사회복지사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과 ‘연계할 프로그램이나 사업이 없기’ 때문이었고, ‘정보공유’와 ‘위기아동 모니터링과 사례연계 역할 수행’ 방식의 연계가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사회복지사가 발굴하거나 개입하길 기대하는 아동의 문제는 학교부적응, 학대피해, 학습부진 등의 순서로 나타났으며, 응답자들이 코로나19 상황에서 학교사회복지사에게 가장 많이 기대하는 것은 ‘기관과 학교의 가교역할’과 ‘대상아동의 발굴 및 의뢰’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응답자 중 학교사회복지사와의 연계경험이 있는 경우에 코로나19 상황의 다양한 직무에 학교사회복지사와의 연계가 더 필요하다고 응답하였고,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기대도 더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학교와 지역사회가 아동의 건강한 발달을 위해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협력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roblem-Based Learning)을 활용한 학교사회복지론 교과목 운영에 관한 연구

        홍순혜,최수은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6 학교사회복지 Vol.0 No.33

        The research, by applying PBL method to a school social work class, analyzes how students perceive a PBL class different from a preexisting lecture class, what benefits the PBL class provided to an overall understanding of school social work and social welfare, what difficulties they had faced and what needs to be improved for the smooth progress of the class. The school social work PBL course was held for 15weeks in the 2nd semester of 2014. Eleven class students in their junior and senior years were divided into 3 groups and ran a PBL project in each school. The professor/researcher proposed two learning problems to the students in steps. The task of the first learning problem was ‘finding needs/problems students have in each of their selected schools’, and the second was ‘suggesting intervention plan to resolve the students’ needs and problems, execute the plan and evaluate it’. After the semester-long PBL course, the material/data from the reflection reports filled by PBL class students, a class assessment meeting, the project evaluations filled by each group, and the online class evaluation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research problems to extract core themes. The class students perceived the PBL class provided live field experiences, in comparison to a standard lecture class, positioned students as prime movers and led to take creative approach. The students evaluated that the PBL class provides clearer understanding on the actual tasks of school social workers, elevates the ability to design programs and communication skills with school, and contributes to provide constructive understanding on capabilities needed to school social workers. Additionally, the evaluation reported PBL’s positive aid to build relationships with various social work related parties, a broad understanding on social services for child and youth, self-examination on their competencies, and the elevation of self-esteem as a social worker. Based on the results, including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class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suggested by PBL class students,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PBL to school social work classes and other social welfare classes are discussed. 본 연구는 학교사회복지론 수업에 PBL 방법론을 적용한 후, 학생들이 학교사회복지론 PBL 수업이 기존의 강의식 수업과 어떻게 다르다고 인식하는지, 이 수업 방식이 학생들의 학교사회복지 및 사회복지의 전반적 이해에 어떤 도움을 주었는지, 그리고 이 수업의 어려운 점은 무엇이며 원활한 수업 진행을 위해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이라고 인식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학교사회복지론 PBL 수업은 2014년도 2학기에 15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11명의 사회복지학과 3-4학년 학생들이 3개 집단을 구성하여 학교사회복지 초등학교, 교육복지 남녀공학 중학교, 교육복지 여자중학교에서 각각 PBL 프로젝트를 진행하였다. 교수자(연구자)는 학생들에게 ‘선정한 학교 학생들의 욕구/문제를 파악하라’는 1단계 학습문제와 ‘선정한 학교 학생들의 욕구/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개입방안을 제시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라’는 2단계 학습문제를 단계적으로 제시하였다. 한 학기의 PBL 수업 종료 후, 학생들이 제출한 개인성찰보고서, 수업평가회, 각 집단이 작성한 프로젝트 평가서, 학교에서 주관한 인터넷 무기명 주관식 강의평가 등의 자료를 연구 문제에 따라 내용을 분석하여 핵심주제를 선정하는 방식으로 분석하였다. 학생들은 학교사회복지론 PBL 수업이 기존의 강의식 수업에 비해 현장감 있으며, 학생 주도적이고 창의적인 수업이라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교사회복지 실무자들의 활동에 대한 보다 명확한 이해, 프로그램 기획력 및 학교와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 학교사회복지사에게 필요한 역량에 대한 구체적 이해에 기여하였다고 평가하였다. 이외에도 다양한 사회복지현장 이해관계자들과의 관계형성 방법, 아동청소년 대상 복지서비스에 대한 폭넓은 이해, 사회복지사로서의 자신의 역량 파악 및 점검, 사회복지사라는 직업에 대한 자부심 취득에 도움을 주었다고 보고하였다. 학생들이 제시한 수업의 어려움과 개선 방안을 포함한 연구 결과에 기초하여 학교사회복지론과 기타 사회복지 교과목에 원활하게 PBL을 적용하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 KCI등재후보

        대학에서의 학교사회복지 교육내용에 대한 분석: 교과과정 및 교재분석을 중심으로

        이상균,윤철수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0 학교사회복지 Vol.- No.18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textbooks and curricula on school social welfare in Korea. For this purpose, a questionnaire survey of 69 universities sampled out of the member schools of Korean Council on Social Welfare Education and school social workers was conducted. In addition, a focus group interview was made with school social workers having more than 3 year experiences in school settings, and five textbooks on school social welfare were chosen to analyze their contents.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of the surveyed universities offered subjects on school social welfare for the 3rd grade students and operated the subjects in connection to practice in the fields of social welfare. Education on school social welfare needed to reinforce basic contents such as basic concepts, school environment and related policies, to develop standardized practical cases, and to supplement contents for understanding the fields of school social welfare. In addition, it was required to provide continuous education contents in connection to introductory subjects related to school social welfare. Textbooks of school social welfare should be improved through clarifying concepts related to school social welfare, strengthening education on school social workers’ intervention skills and evaluation tools for their practices, and suggesting the forecasts of school social welfa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future direction and implications for school social welfare education were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4년제 대학 교육과정에서 학교사회복지과목의 교육 내용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회원교 중 69개 대학과 24명의 학교사회복지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현장경력 3년 이상의 학교사회복지사 5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5권의 학교사회복지론 교재를 선정하여 내용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설문 조사에 응답한 대부분의 대학에서 학교사회복지론은 3학년에 개설되어 사회복지현장실습과 연계되고 있었다. 학교사회복지 교육은 학교사회복지의 기본 개념, 학교환경 및 관련정책 등 기초 내용 등이 강화가 되어야 하며, 표준화된 학교사회복지 실천 사례를 개발하고, 실천현장을 이해할 수 있는 내용이 보완되어야 한다. 또한 학교사회복지와 관련된 기초 과목들과도 연계하여 연속적인 교육내용이 제공되어야 한다고 조사되었다. 또한 학교사회복지교재는 학교사회복지 개념의 명료화, 대상 및 체계에 대한 명확화, 학교사회복지사의 개입과정 교육 강화, 학교사회복지 실천의 효과성 평가방법과 학교사회복지의 과제와 전망 등의 내용 보완이 되어야 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사회복지 교육방향성 모색에 필요한 의견을 제언하였다.

      • KCI등재

        안전한 학교에 대한 학교사회복지사의 인식과 과제

        전구훈,윤철수,진혜경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1 학교사회복지 Vol.- No.21

        This work was an exploratory study that investigated what a safe school was and what the practice of school social work and school social workers' role was. For this purpose, We carried out literature review on the definition of the school safety, conducted an e-mail survey for social workers and local social education experts working at schools across the country, and carried out in-depth focus-group interviews. The interviewees were 5 persons who had some experiences with school social work, and were engaged in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We-start programs, and community fund-raising activities. With them, we explored the definition of the school safety, the conditions of school safety that were recognized by school social workers, and the role of school social workers to keep school as safe environment. The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y recognized the school safety as a concept which not only included physical safety but also included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afety. In other words, the school social workers' perception on school safety included not only the safety against crimes and accidents, but also safety networks of ecological environments including local society and homes as well as schools where cultural differences and diversities were appreciated and mutual respect were acknowledged. The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of school safety revealed that the safety of schools, safety education, and safety measures were not satisfactory, and the interviewees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building network between educators and local society. The interviewees also emphasized the roles of practitioners and educators as well as the promotion of school social workers' sensitivity to safety issue. Though it was an exploratory study, this work was expected to further extend the debate on school social workers' role on safe school, and ultimately to build a foundation for promoting students' quality of life for making schools that could be trusted by parents and local society. 본 연구는 안전한 학교란 무엇이며 안전한 학교를 위한 학교사회복지실천과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을 모색하기 위한 탐색적 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국내에서 논의되고 있는 안전한 학교에 대한 정의와 외국의 사례에 대한 문헌 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전국의 학교에서 근무하고 있는 사회복지사, 지역사회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이메일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초점집단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면접대상자는 3년 이상 학교사회복지 경력자로 교육복지, we-start, 공동모금회 사업을 진행하는 5인으로 안전한 학교에 대한 정의와 학교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학교의 안전 실태, 안전한 학교를 만들기 위한 학교사회복지사의 역할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안전한 학교는 물리적 안전 뿐 아니라 심리·정서적 안전의 의미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범죄나 사고로부터의 안전 뿐 아니라 문화적 차별과 다양성을 인정하고 상호 존중하는 인격적 장의 마련과 이를 위하여 학교를 넘어선 지역사회, 가정 등 학생의 생태체계적 환경의 안전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학교사회복지사들은 인식하고 있었다. 대체로 학교의 안전도나 안전교육, 안전대책은 충분하지 못한 것으로 실태조사에서 나타났으며, 이를 위하여 학교사회복지사의 안전에 대한 민감성 증진과 함께 개별개입과 함께 교육자, 지역사회네트워크 구축, 중재자, 교육자 등의 역할이 강조되었다. 본 연구는 학교 안전에 대한 탐색적 연구이나 지금까지 안전한 학교에 대한 학교사회복지의 논의를 보다 더 확장시켜 나가며, 이를 실천 현장에서의 경험을 통하여 발전시키고 궁극적으로는 학생의 삶의 질 향상과 학부모나 지역사회가 신뢰할 수 있는 학교를 구축하는데 기여하는 초석이 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을 활용한 학교사회복지와 교육복지 연구동향 비교 분석

        홍기혜,최민지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9 학교사회복지 Vol.0 No.46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the trends of research papers on school social welfare and educational welfare, which had been recognized in the same vein in Korea, and to analyze the recent trends in these areas. Korean academic papers published from 1993 to 2018 were collected by using databases. A total of 562 academic papers were selected in the end, excluding papers that were not suitable for the research purpose or overlapped. The followings were the main findings applied to the text network analysis. First, there were 206 papers on school social welfare and 356 papers on educational welfare. Second, the most distinct differences in the two areas were ‘social workers’ intervention in families’ and ‘operations to guarantee learning rights for vulnerable groups’. Third, characteristics of school social welfare papers according to the times were ‘development and expansion of school social welfare’, ‘adaptation of students’ school life’, and ‘applying school social welfare to prevent and manage violences or conflicts in schools’, respectively. Also, characteristics of educational welfare papers according to the times were ‘construction of educational welfare programs’, ‘principles of educational welfare operations’, and ‘confirming the effectiveness and change after implementation and practice’, respectively. Lastly, the sub-topics of recent research trends were ‘effects of programs’, ‘educational welfare as a practice’, and ‘educational welfare as a policy’.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current position of school social welfare research and educational welfare research was identified, and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were derived. 본 연구는 동일한 맥락으로 인식되어 오던 학교사회복지와 교육복지에 대해, 관련된 연구주제 논문의 경향을 비교 분석하고 최근의 연구동향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석을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우리나라에서 학교사회복지가 처음 시행된 1993년부터 2018년까지 발행된 국내 학술논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2,423편의 논문 중에서 연구목적에서 벗어나거나 중복된 논문들을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총 562편의 학술논문을 선정하였다. 논문의 초록을 대상으로 하여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 방법을 적용한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분석대상 학술논문에서 학교사회복지 관련 연구주제 논문은 206편이며, 교육복지 관련 연구주제 논문은 356편이었다. 교육복지투자우선지역지원사업(2003년)과 교육복지우선지원사업(2011년)의 실시를 기준으로 세 개의 시기별로 나누어 살펴본 출판 편수는 학교사회복지 관련 논문이 각각 48편, 93편, 65편이었고, 교육복지 관련 논문이 각각 8편, 125편, 223편이었다. 둘째, 학교사회복지 연구주제 논문과 교육복지 연구주제 논문은 중첩되는 영역과 고유한 영역이 나타났다. 가장 뚜렷한 경계가 나타나는 고유한 주제는 학교사회복지 영역의 ‘가족에 대한 사회복지사의 개입’과 교육복지 영역의 ‘취약 계층에 대한 학습권 보장을 위한 운영’이었다. 셋째, 학교사회복지 관련 논문의 시기별 특성은 1기에 ‘학교사회복지의 발전 및 확대’, 2기에 ‘학생의 학교생활에 대한 적응’, 그리고 3기에 ‘폭력과 갈등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학교사회복지의 적용’으로 나타났다. 교육복지 관련 논문의 시기별 특성은 각각 ‘교육복지사업의 구축’, ‘교육복지 운영의 원리’, 그리고 ‘수행과 실천에 따른 변화와 효과의 확인’으로 나타났다. 넷째, 최근 연구의 동향 파악을 위해 분석하여 도출된 하위주제 그룹은 ‘프로그램의 효과’, ‘실천으로서의 교육복지’, 그리고 ‘정책으로서의 교육복지’ 클러스터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사회복지 연구와 교육복지 연구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고 미래 연구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 KCI등재후보

        장애학생을 위한 학교사회복지 서비스에 대한 연구 -특수학교 내 학교사회복지 시범사업을 중심으로-

        이준우,임경선,박경현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09 학교사회복지 Vol.- No.17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tudy the experience of school social work pilot project in special schools and to suggest a school social work model for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Literature study and the case study about the model project at special schools were taken to develop an analytical framework of school social work services for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which contains three dimensions such as individual intervention, family support, and school-family-community liason. In the pilot project, various school social work services were performed in the all three dimensions in the analytical framework and most of the services were relatively successful. But at the same time, a lot of obstacles were found in the way of effective school social work services to be offered.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e researchers suggested and argued a school social work service model for the students with special needs. 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 내 학교사회복지시범사업의 경험을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향후 장애학생을 위한 학교사회복지서비스 모델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시범사업 사례연구를 병행한 결과 특수학교 내 학교사회복지서비스 분석의 틀은 1) 관찰자료․사회적 발달연구․적응행동 평가․생태행동학적 사정 제공과 교실 내 행동관리 및 긍정적 행동개입 지원, 사회기술훈련 지원 등을 포함하는 개별개입, 2) 가정방문과 부모참여 지원 등을 요소로 하는 가정지원, 그리고 3) 지역사회기반 의뢰절차 개발 지원, 학교-지역사회간 의사소통 유지, 부모-교직원 간 연계강화, 전환계획 지원 등을 포함하는 학교-가정-지역사회 간 연계 등으로 도출되었고 이에 따른 시범사업의 분석결과 각 영역별 내용이 고르게 시행되고 일정의 성과도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효과적인 학교사회복지 서비스 수행에 많은 장애요소들이 있어서 이를 해소하기 위한 노력도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향후 장애학생을 위한 학교사회복지서비스 모델을 제안하고 논의하였다.

      • KCI등재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의 현황과 방향 -대학 학부 교육을 중심으로-

        홍순혜,조성심,방진희,엄경남,안정선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5 학교사회복지 Vol.0 No.3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at the undergraduate level of universities in the country and is aimed at setting a direction that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education should be carried out in the future. To achieve this purpose, we examined school social welfare and case management education course opened trackings at four-year colleges focusing on the Korea institute for school council members and we had interviews with the professors and instructors who taught in school social work courses at four-year colleges and universities for last 3 years. In addition, we had focus group interviews to collect more detailed comment on the current status, problems and direction of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educati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social welfare course in regular university curriculum was about 71%, case management education course was to open approximately 48% and were found to have a case management information on school social work curriculum covers approximately 80%. The difficulties of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education operating in university were the lack of time to teach the case management, the lack of a specific application examples to use during class, the lack of sufficient understanding on the uniqueness of school field, the variations of students' understanding according to whether case management education course completion. the lack of textbooks and related materials and the lack of field experience of educators. And we have some suggestions for the role of the preferred university school social work case management education content and methods and development measures, and the role of the institutes and associations for case management education. Based on this result, we suggest some direction and development measures for school social welfare case management education in the university. 본 연구는 현재 우리나라 대학의 학부 수준에서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를 어떻게 교육시키고 있는지 그 현황을 살펴보고, 추후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이 어떤 내용과 방법으로 진행되어야 할지에 대한 방향성을 설정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에서의 학교사회복지 및 사례관리 교과목 개설 현황을 한국교육협의회 회원교를 중심으로 살펴보았고, 최근 3년 동안 4년제 대학에서 학교사회복지 교과목을 가르친 전임교수와 강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또한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방향에 대해 보다 상세한 의견을 수합하고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병행하였다. 연구결과, 대학 정규교육과정 내 학교사회복지 교과목은 조사 대상 중 약 71%, 사례관리 교과목은 약 48%의 대학이 개설하고 있었으며 학교사회복지 교과목 내에서 사례관리 내용을 약 80%의 대학이 다루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 운영의 어려움으로는 사례관리를 가르칠 시간부족, 수업 시 활용할 구체적인 적용 사례 부족, 학교현장의 특수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 부족, 사례관리 교과목 이수 여부에 따른 학생들의 이해도 편차, 관련 교재와 자료 부족 및 교육자의 현장경험 부족 등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육자가 인식하는 바람직한 대학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 내용과 방법 및 발전방안, 사례관리 교육을 위한 학회와 협회의 역할에 대해 제안 하였으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에서의 학교사회복지 사례관리 교육의 방향성과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의 인권실태와 개선방안

        조성심,엄경남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6 학교사회복지 Vol.0 No.3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human rights situation in exploratory for social work practitioners in school settings in Korea, and to provide policy measures to improve the provision of these rights. For this purpose, we examined school employment status and working conditions of social work practitioners in school settings, and we conducted a focus group interviews (FGI) to collect more detailed comment on the level of human rights, issues and improvement measures that practitioners in school settings are actually experiencing. The research results confirm that the level of employment status and working conditions for social work practitioners in school settings were poor. And In particular the results show that all personnel employed in the form of temporary workers give a variety of challenges in the area of human rights. Specifically, as well as insecurity for a job and discrimination between employees within the school and relative deprivation were found to be experiencing such as verbal abuse or assault, sexual harassment, emotional abuse for social work practitioners in school setting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ed some improvement policy and institutional measures to improve the human rights of social work practitioners in school settings.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의 인권 실태를 탐색적으로 파악하고, 이들의 인권을 개선하기 위한 정책적 방안을 마련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의 고용현황 및 노동환경을 조사하였으며,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들이 실제로 체감하는 인권보장 수준과 문제점 및 개선방향에 대해 보다 상세한 의견을 수합하고자 포커스 그룹 인터뷰(FGI)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의 고용현황 및 노동환경은 매우 열악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전원이 비정규직이라는 고용형태가 다양한 인권 영역에서 어려움을 주고 있음을 볼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고용 불안정과 학교 내 직원 간 차별, 상대적인 박탈감 등을 비롯하여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에 대한 폭언이나 폭행, 성희롱, 정서적 학대 등을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현장 사회복지실천가들의 인권 향상을 위한 정책적, 제도적 개선방안에 대해 제언하였다.

      • KCI등재

        학교사회복지분야에서의 사회복지 현장실습교육의 실태와 과제 -학교상주형을 중심으로-

        홍순혜,방진희,엄경남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1 학교사회복지 Vol.- No.20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field placement of social work students in schools where school social work or education welfare programs were running. Research questions included how school social work field practicum was under way in schools, why some schools did not provide field placement opportunities, what were the difficulties of school social workers in educating field practicum students, and what characteristics of schools and school social workers were related to becoming a field placement site. A survey was conducted with 115 school social workers or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who were working at schools in Seoul, Inchon, and Kyungi areas. It was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schools which became school social work field placement sites out of 115 schools was 18.3% and it was especially low among the schools running education welfare programs. The schools in Inchon or Kyungi rather than Seoul, with more students, and with longer program experiences were more likely to become field placement sites. Those of which school social workers had longer working experiences in previous and current schools and had a school social worker certificate were more likely to provide field practicum opportunities to social work students. School social workers who did not provide or did not have a future plan to provide field placement reported lack of understanding of school administrators about school social work field placement, lack of their competence as a field practicum supervisor, pressure to provide good supervision, and excessive workload as reasons why they did not accept social work students for field practicum. The result implied how the school social work field placement could contribute to the education for the future school social workers. 본 연구는 다양한 사업 유형으로 진행되고 있는 학교사회복지분야에서 학교상주형 현장실습교육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그 실태를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 지역 학교사회복지 및 교육복지에 참여하는 115개 학교의 학교사회복지 및 교육복지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실습이 진행되고 있는 학교 비율이 매우 낮았으며, 실습교육 제고여부는 학교 특성과 전문가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실습생을 받지 않는 이유, 실습 지도시 어려운 점, 실습 지도를 계획하고 있지 않는 이유로 주로 실습 지도에 대한 사업 주체의 이해 부족, 실습지도자로서의 자질 부족, 제대로 된 실습교육에 대한 부담감, 과중한 업무부담 등을 지적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전문 인력 양성에 기여하기 위해 앞으로 학교상주형 학교사회복지에서 현장실습교육이 나가야 할 방향에 대해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