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지역 단체장 및 살무자의 태도에 관한 연구 : 노원구를 중심으로

        洪淳慧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3 사회과학논총 Vol.9 No.-

        본 연구는 노원구 지역단체장 및 실무자 5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였다. 조사결과, 지역단체장 및 실무자들은 북한이탈주민들에 부정적인 인식을 갖고 있지 않았다. 심리적 거리감도 크게 느끼고 있지 않았으며 수용정도도 상당히 긍정적이었으며 북한이탈주민을 돕는 활동에 대해서도 상당히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이들 간의 관련성을 본 결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크면 클수록 이들에 대한 심리적 거리감도 크고 덜 수용적인 태도를 보여 주었다. 또한 북한이탈주민의 특성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일 수록 그들에 대한 지원에 대해 부정적 의견을 보였으며 조직적으로 그들을 돕는 일에도 소극적 입장을 보였다. 한편, 본인이나 부모의 고향이 이북인 지역단체장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더 수용적인 태도를 보인 반면, 홍미롭게도 북한이탈주민을 만나 본 경험이 있거나 그들을 개인적으로 알고 지내는 지역단체장들은 북한이탈주민에 대해 더 부정적 인식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경우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지원에 대해서도 부정적 태도를 보였다. 이런 결과에 근거해 지역단체장의 인식 변화를 위한 방황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학교사회복지실천가의 현장슈퍼비전 현황과 발전 방안

        홍순혜,안정선,조성심,엄경남,방진희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3 학교사회복지 Vol.- No.24

        This study intends to review the status of field supervision to bring up school social workers and figure out the strategy to activate field supervision with the analysis on the issues at field supervision.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searches by e-mails and direct visits were conducted for 89 school social workers and community education specialists and 12 project coordinators from the late July to the early September 2012 over 11 cities.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here are lack of understanding the definitions and roles of Supervision at School Social Work Supervision Field and systems and orders for Supervision are not set up. There are no appropriate models and development for the solutions for Supervision at School Social Welfare, only for the Group Supervision. And, there are no official educations courses for Supervisors and the qualification of Supervisors to provide Supervision is also an problem. In addition, it is reported that it is very hard to provide Supervision due to the big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ences and capability. Consequently, this study presents the Supervisor Qualification, the Supervision Activating Method, the Development Plan for Supervisor, the Model and Standards for Supervision as the solutions to achieve the goals.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사회복지실천가를 양성하기 위한 현장슈퍼비전의 현황을 살펴보고, 현장슈퍼비전을 진행하는데 어떤 어려움이 있는지 검토하여 현장슈퍼비전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들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12년 7월말부터 9월초까지 전국 11개 시․도의 학교사회복지실천가를 대상으로 이메일과 직접 방문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는데, 학교사회복지사 및 지역사회교육전문가 89명, 프로젝트조정자 12명이 응답에 참여하였다. 분석 결과, 학교사회복지실천현장의 슈퍼비전 현황은 슈퍼비전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며 슈퍼바이저의 역할에 대한 혼선이 있고 슈퍼비전 체계 및 지침이 공식적으로 마련되어 있지 못하며 슈퍼비전의 빈도도 비정기적인 경우가 많았다. 학교사회복지현장에 적절한 슈퍼비전 모형과 방법의 개발이 미흡하고 동료 및 집단슈퍼비전에 치중되어 있으며 공식적인 슈퍼바이저 양성과정이 준비되어 있지 못하고 슈퍼비전을 제공하기 위한 슈퍼바이저의 역량 미흡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었다. 또한 슈퍼바이지들의 경험과 역량의 차이가 심해 슈퍼비전을 제공하기 어렵다는 점이 공통적으로 보고되고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슈퍼바이저의 자격요건, 슈퍼비전 활성화 방법, 슈퍼바이저 양성과정 개발, 슈퍼비전 모형 및 지침마련 등의 다각적인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여행을 매개로 한 초등학생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 자기주도력과 협동능력을 중심으로

        홍순혜,한정은,홍윤경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18 학교사회복지 Vol.0 No.4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that fosters the abilities of self-directedness and cooperation, which are essential for children, execute a field test for it, and modify the program based on the field test results. This study developed the program which implements travel experiences to include self-directed and cooperative learning components, and conducted a field test and evaluation on 12 children in 4th to 6th grade in G-city. The program consisted of 15 sessions with four modules: self-understanding, basic education on travels, planning, executing and evaluating on its one-day trip and 4-day trip. The evaluation of the field test was conducted regarding 1) how applicable the program was to the site, 2) how satisfied the participating children and their guardians were with the program, and 3) how helpful it was to enhance the children’s abilities of self-directedness and cooper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ogram had less difficulties in terms of its execution in the actual field, yet it highlighted the necessities to increase the number of sessions and modify program contents for basic education on travels and sessions for planning and evaluating the trips. Participating children were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program, and the guardians showed a big satisfaction and found it beneficial as it provided an opportunity for children to act self-directedly on the travel. The children reported that the program was particularly helpful in enhancing their abilities of self-directedness, information research, and communication. The changes of three children through out the whole program were recorded by the program providers, and the positive results were shown on their abilities of self-directedness and cooperation. The study confirmed that the entire framework and contents of the program were appropriate and applicable to the field, and further possible and needed modification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여행을 매개로 아동에게 필요한 핵심역량인 자기주도력과 협동능력을 함양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현장실험하여 차후 프로그램을 수정ㆍ보완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목적 달성을 위해 자기주도학습 및 협동학습의 구성요소들을 여행경험과 혼합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으며, G시 초등학교 4~6학년 12명의 아동을 대상으로 현장실험하였다. 프로그램은 나 이해하기, 자기주도 여행을 위한 기초교육, 당일 미니여행 및 3박4일 제주도 여행의 계획ㆍ실행ㆍ평가의 4개 모듈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행을 포함하여 총 15회기로 되어 있다. 현장실험에 대한 평가는 프로그램이 얼마나 현장에 적용 가능한지, 참여아동과 보호자는 프로그램에 얼마나 만족하는지, 프로그램은 아동에게 자기주도력과 협동능력 측면에서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의 3가지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평가결과, 프로그램이 실제 현장에 적용되는데 큰 어려움은 없으나 자기주도적으로 여행을 준비하는데 필요한 기술훈련과 여행계획 및 평가를 위한 충분한 회기 수 확보 및 내용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여아동은 프로그램에 대체적으로 만족하였으며, 특히 보호자는 아동이 자기주도적으로 여행할 수 있는 기회였다는 점에서 매우 만족하며 유익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동들은 자기주도적 여행능력, 정보검색능력, 의사소통능력 측면에서 특히 도움이 된다고 보고하였다. 3명의 개별 아동 변화에 대한 프로그램 진행자 평가에서도 자기주도력 및 협동능력 향상에 도움이 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를 통해 프로그램의 전체 구성틀 및 내용이 적절하며 현장에 적용 가능함이 확인되었고, 일부 수정ㆍ보완이 필요한 내용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였다.

      • 국민의 입양인식과 입양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洪淳慧,朴美貞 서울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07 사회과학논총 Vol.14 No.-

        본 연구는 국민들의 입양인식과 태도는 어떠한지, 그리고 입양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은 무엇인지 탐색하고자 하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전국 5개 대도시 지역에서 18세 이상의 성인 남녀 1,163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기술통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응답자의 55.4%는 입양의사가 있거나 입양의사에 대해 보통이라고 대답하였다. 요보호아동에 대한 일차적인 책임은 국가에 있으며, 요보호아동을 위해서는 국내입양이 가장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보다 많았다. 입양저해요인으로는 입양아동에 대한 책임감, 입양아동의 성장과정상의 문제 발생, 양육비용 부담, 혼자서 결정할 문제가 아니어서 등이 나타났다. 태도관련 변수들 중 10대 미혼모에 대한 태도가 입양의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10대 미혼모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주변에 아동을 입양한 사람이 있을수록, 입양을 바람직한 보호양육 형태로 받아들일수록, 모든 국민들이 요보호아동대한 책임이 있는 것으로 생각할수록, 국내입양을 선호할수록 입양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변수들 중 입양저해요인들은 입양의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입양은 불임인 사람이 하는 것이므로 나하고는 관련이 없다는 생각과 아동에 대한 책임감이 무거워 입양이 꺼려진다는 응답이 입양의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근거로 국내입양 활성화를 위한 현실적인 방안들이 제시되었다.

      • KCI등재

        학교인성교육에서 지역사회 연계 현황 및 활성화 방안

        홍순혜,엄경남 한국학교사회복지학회 2023 학교사회복지 Vol.- No.61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urrent situation of linking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in character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o search for ways to activate the linkage betwee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To achieve this goal, the study conducted a literature analysis and focus group interviews(FGI). The literature analysis focused on the operation status of the character education network based on the “Collection of Results of Operation of Regional Unit Character Education Network”, and FGIs were conducted with teachers currently working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to listen to their experiences, reasons for linking with local communities, problems encountered during linkage, reasons for continued linkage, and opinions on ways to activate regional linkage. The results showed that teachers, students, and private sector stakeholders had the most participation in regional linkage activities in character education. The main activities included student character improvement activities, village competency enhancement activities, discovery and network building of local community resources related to character education, and school and teacher capacity building activities.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implementing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s in cooper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include a lack of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the school and local institutions, differences in time and administrative procedures for cooperation between the school and institutions, a lack of understanding and participation of school principals, institutional directors, and stakeholders in local cooperation, and a lack of systematic support for the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and local residents, as well as a lack of systems and culture. To minimize difficulties in linking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in character educa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nd to activate the linkage between schools and local communities, it was found to be necessary to simplify administrative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inter-institutional cooperation, establish an organization that plays a bridge role between the school and institutions, and expand schools’ support for the teachers who try to discover community resouces and link them to character education.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 인성교육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현황을 탐색적으로 파악하고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분석과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진행하였다. 문헌분석으로 ‘지역단위 인성교육 네트워크 운영결과 자료집’을 토대로 인성교육 네트워크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으며, 초․중․고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그룹인터뷰를 진행해 학교 인성교육에서 학교와 지역사회 연계 경험과연계 이유, 연계 시 문제점과 연계 지속 이유, 지역 연계 활성화 방안에 대한 의견을 청취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인성교육에서 지역연계 활동에 교사와 학생, 민간기관 관계자가 가장 많은 참여를 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의 인성함양 활동, 마을역량 강화 활동, 인성교육 관련 지역사회 자원 발굴 및 네트워크 구축 활동, 학교나 교사의 역량 강화 활동이 주를 이루고 있었다. 학교에서 지역사회와 연계한 인성교육 진행 시 겪는 어려움으로 학교와 지역기관간 서로에 대한 이해도가 낮음, 학교와 기관간 협력을 위한 시간이나 행정 절차의 차이가 있음, 학교장이나 기관장, 연계 당사자들의 지역 연계에 대한 이해도와 참여도 미흡, 지자체와 지역주민 등의 역량을 체계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시스템과 문화 부재 등이 보고되었다. 학교인성교육에서 지역연계 시 어려움을 최소화하고 지역연계 인성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해 기관간 연계에 따르는 행정 처리의 단순화, 학교와 기관 간 다리 역할을 하는 기구 마련, 학교인성교육을 위한 교사의 지역 자원 발굴 및 연계활동에 대한 학교의 지원 확대 등의 개선점이도출되었다.

      • KCI등재

        교육복지현장 사회복지사의 전문직 정체성과 직무수행에 관한 연구

        홍순혜,방진희,엄경남,조성심,안정선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7 한국사회복지교육 Vol.38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professional identity of social workers who are working as educational welfare workers on the performance of various tasks for educational welfare projects.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questionnaires to social workers who were working as educational welfare workers in Gyeonggi-do and Busan. A total 16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The regression analysis was execut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fessional identity(utilization of professional organizations, ethical awareness, sense of autonomy, and sense of calling and community) and job performance, while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school characteristics were set as controlled variable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higher the ethical consciousness, the higher the level of performance of counseling and evaluation. The more using professional organizations, the higher the level of performance of system construction and management, project operation and support, networking, and evaluation. The higher the sense of calling and community, the higher the level of performance of student outreach and management. 본 연구는 교육복지사로 활동하는 사회복지사들의 전문직 정체성이 교육복지사업을 위한 다양한 직무의 수행에 어떤 관련성을 갖는지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경기와 부산 지역 교육복지사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에 대해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총 16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사회복지사의 개인특성(연령, 사회복지 총경력)과 학교특성(학교급, 교육복지사업 진행 연차수, 교육복지 대상 학생 수)을 통제변수로 하고 전문직 정체성(전문조직활용, 윤리의식, 자율성, 공동체 및 소명의식)을 독립변수로, 사회복지사의 직무수행을 종속변수로 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문직 정체성 중 윤리의식이 높을수록 상담과 평가에 대한 수행도가, 전문조직활용이 적극적일수록 체계구축 및 관리, 사업 운영 및 지원, 네트워크, 평가에 대한 수행도가, 공동체 및 소명의식이 높을수록 학생 발굴 및 관리에 대한 수행도가 높았다. 자율성은 직무수행과 유의미한 관련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 결과를 근거로 교육복지현장 사회복지사들의 전문직 정체성과 관련하여 직무 수행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