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사회복지실천에서의 문화적 다양성과 한국사회로의 새로운 전망

        심의경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1 임상사회사업연구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서구이론이 다양한 문화권에 적용하는 것에 대한 문화적 다양성에 대한 기본적인 전제를 설명하면서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지배적인 기본 가치체계인 가족주의와 이에 최근의 다문화에 대한 현상을 주목하여 접근하고자하였다. 21세기 한국의 전통적 사회구조적 특성에 특정사회관계 유형화(patterned) 혹은 제도화(institutionalized)의 현상이라 설명할 수 있는 다문화주의에 대해 사회복지실천에서의 문화적 다양성 패러다임을 요구되고 있는 현실이다. 즉, 서구이론이 한국의 사회복지실천현장에 적용될 때 그대로 받아들여지기보다 한국적 문화를 수용하는 측면에서 다문화주의 현상을 설명하고, 이러한 맥락에서 문화적다양성에 대한 한국적 사회복지실천의 방향성을 설명하고자 하였다.

      • EU와 한국의 노인고용정책에 관한 연구

        심의경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0 임상사회사업연구 Vol.7 No.3

        한국의 경우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고, 국가의 경제적 부담이 증가가 예상되며 이에 따른 국가부담을 줄이기 위해 이와 관련된 노인의 경제력 향상을 위한 사회적 일자리가 크게 증가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 노인의 사회적 일자리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사업의 시행과 한국의 노동시장에서 노인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변화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노인의 사회복지서비스 부문 고용창출에 관하여 EU의 노인고용 정책을 검토하여 향후 한국의 고령화 사회에서의 사회적 일자리 영역을 넓혀 노인의 사회적 일자리에 대한 정책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 지방화시대의 사회복지에 대한 NGO의 현황과 과제

        박종선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8 임상사회사업연구 Vol.5 No.2

        오늘날 우리 사회가 산업화로 인해 점점 다원화 되어가고 시민 사회가 활성화 되어감에 따라 복잡하고 다양한 사회문제들도 발생하고 있다. 그로인해 NGO의 역할이 정부 및 기업의 성공적인 운용에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으며 소비자 행동주의의 발달과 함께 국내의 다양한 NGO들 역시 기업 활동의 감시자로서 기업의 사회 책임성을 비롯한 다양한 이슈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지켜보고 있으며, 그 중에 사회복지 분야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점점 커지는 실정이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NGO는 역사가 그리 오래되지 않았으며 아직 연구의 시작단계라 할 수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단일 이슈를 중심으로 활동한 단체들에 관한 연구들이 대부분이며 종합적인 대책으로 지역사회복지의 측면에서 접근하는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고 국내 복지 분야 NGO가 발전하기 위해서는 NGO 자체가 명확한 목표와 비전을 가지고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조직의 전문화를 도모하고 전문성과 사명감을 지닌 실무자를 확보 지역의 요구를 대변하는 활동 기반을 구축하여야 하며 외부평가도 필요하겠지만 자체적으로 조직의 투명성과 도덕성을 확립하여야 한다. 또한 정부와의 협력 및 견제를 위한 대안 마련이 필요하며 기타 비영리민간단체 지원법 개정을 통한 정부 차원의 간접지원방안 확대 등의 검토가 필요하다. 무엇보다도 정부는 이제 NGO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접근방법의 변화를 가져와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민간사회복지의 기능과 역할이 날로 커지는 오늘날 NGO에 대한 개념과 발전과정 선진국에 NGO 현황과 복지활동을 알아보고 우리나라 사회복지에서 NGO의 현황과 과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앞으로 사회복지분야에서 NGO가 나아 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사회복지기관 사회복지사의 역량분석및 교육 방향성

        안정선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9 임상사회사업연구 Vol.6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복지기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들의 역량(Competency)은 무엇이며 각 역량의 중요도와 우선도는 무엇인지 주요욕구를 분석하고 차후, 사회복지인력을 교육훈련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역량 관련한 선행문헌을 고찰하고 법정 사회복지교육기관에서 보수교육을 받은 기관장 패널집단을 대상으로 개방형 설문 예비조사를 실시하여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보수교육 참여자에 대한 직접 및 이메일설문조사를 통해 총 216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인력에게 필요한 필요 역량은 지식, 기술, 태도(KSA)영역의 총 41개 역량이 규명되었다. 개발된 역량을 기초로 중요도, 숙달도의 기준을 고려하여 차후 교육과정개발을 위해 욕구가 높다고 판단되는 영역을 도출하였다. 중요도에 비해 숙달도가 낮아 시급히 역량강화가 요구되는 영역으로, 지식역량에서는 조직경영, 리더십, 영역별 사회복지정책 동향과 과제, 환경 및 시장분석, 인사관리, 마케팅과 홍보 영역이, 기술역량에서는 수퍼비전과 코칭, 지역사회자원개발 및 자원 활용, 사례관리, 팀워크 및 팀운영 기술이, 태도역량에서는 자기개발, 스트레스관리, 자기관리, 사회변화에 대한 민감성, 조직사명의 내재화영역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인력들의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핵심역량 기반의 교육과정 개발, 세부 교육욕구조사 필요성, 조직차원의 역량모델링의 적용 등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present the fundamental direction in training social workers, defining the core competency of social workers and analyzing the competency priority and the main desire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have executed the research on the papers related to the competency and developed the questionnaire for the open preliminary interview to the panel group of the chief in the official social wel-fare training organizations. Finally, this study has analyzed total 216 sets of data through the direct and email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in the learning. As a result of it, it has defined totally 41 competencies in the areas of knowledge, skill, and attitude(KSA). Based on the developed competencies, the factors, to have high demand in the development of the training course and learning program in terms of the priority and proficiency, have been described. This study has presented the direc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training courses, the research of the detailed education demand, the educational organization of the social welfare institutions, the application of the competency model in the organization.

      • 학교 내 복지서비스 전문 인력의 보수교육 실태와 욕구에 관한 연구 : 한국학교사회복지사협회의 교육을 중심으로

        주석진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0 임상사회사업연구 Vol.7 No.1

        본 연구는 학교 내 복지서비스 전문 인력들의 개인의 자질 및 업무능력향상을 위한 보수교육의 욕구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음에 기초를 두고 선행연구에서 다루고 있지 않은 기존 보수교육의 만족도, 보수교육 욕구(교육내용, 교육방식, 교육형태, 교육시간)등을 조사했다. 이에 경기지역 학교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 3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추가적으로 3명의 학교사회복지사와 지역사회교육전문가를 대상으로 초점집단 면접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현재 학교 내 복지서비스 전문 인력들의 보수교육에 대한 욕구는 매우 높았으며 보다 실제적인 보수교육 프로그램을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 내 복지서비스 전문 인력의 전문성 신장과 역량강화를 위한 보수교육의 활성화 방안을 몇 가지 제안하였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클라이언트의 욕구를 해결하면서 학교 내 복지서비스 전문 인력의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는 보수교육의 기회를 확대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학교사회복지사의 경력과 보수교육 이수정도에 따라 차별화된 보수교육과정을 마련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현장 실무자의 욕구에 근간한 교육내용과 교육방식으로 보수교육을 운영하여야 할 것이다.

      • 다문화가정교육프로그램연구의 경향분석 : 2006~2014년을 중심으로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5 임상사회사업연구 Vol.12 No.2

        다문화가정의 이주여성, 그리고 그 자녀들이 꾸준히 증가하고 성장하면서 나타나는 생애주 기별 특성의 변화로 다양한 문제와 욕구들이 발생하고 이것이 사회문제로까지 넓혀짐에 따라 이들의 한국사회 적응과 학교적응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었다. 그것을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교육프로그램들이 연구 개발되었다. 현재까지 진행되고 있는 다문화가정교육프로그램 의 연구의 흐름을 살펴보면 초기의 연구는 ‘다문화’라는 새로운 사회변화에 대한 전반적인 이 해의 내용들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다문화가정의 증가로 이들의 적응문제와 자녀의 양육․ 교육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다문화에 대한 정책등도 빠르게 변화되어 갔다. 이에 발 맞추어 교육적인 연구도 빠르게 변화를 가져왔다. 하지만 여전히 이들은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교육프로그램 연구가 본격적으로 시작된 2006년부터 2014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다문화가정교육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총 600여 편을 검색하였고, 논문 들의 초록을 중심으로 살펴 다문화가정교육프로그램과 연관성이 깊은 연구들을 조사하였고 최종적으로 160편을 선별하였다. 선별한 논문을 내용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게재년도, 연구방 법,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내용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리하여 앞으로의 교육의 방향성을 제 시하기 위해 연구 방향에 대한 제언을 하고자 한다. Today, immigrant women of multicultural family and their children are steadily increasing. As they grow up, their characteristics develop in each stage facing varieties of problems and desires. Since multiculturalism has expanded into one of the main society issues, passions of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adapt in Korean society and Korean School programs have caught society’s attentions. Therefore, different kinds of policies and education programs have been developed thoroughly to solve problems shown above. Until today, looking at the flow of the research of The Multicultural Family Education Program, the first attempt was based on the overall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ism’ as a new change in the society. However, policies on multiculturalism have rapidly developed due to the increase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ir possible adaptability and their children education became the main social problems. Even though educational research also has developed alongside, many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continuously battle through the new society today. The Multiculturalism Family Education Program officially began to grasp the contents of “Education Program for Multicultural Family” since 2006, which brought us to uncover around 600 pieces of study from domestic scientific journal until 2014. Those pieces of articles were centrally investigated by examining studies that had correlation with The Multicultural Family Education Program. Finally 160 articles have been selected to be the most efficiently related to The Multiculturalism Family Education Program. Using the content analysis method on the selected pieces, they were analyzed according to publication date, method of study, target of study, subject of study, and content of study. Therefore, in order to suggest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this trend analysis is attempted to propose direction of research.

      • L구 지역사회복지욕구조사보고서 실태 분석 : 이론적 접근에서 살펴본 욕구조사방법과 조사내용 유형을 중심으로

        김한나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08 임상사회사업연구 Vol.5 No.1

        최근 우리나라는 2003년 개정된 사회복지사업법의 영향으로 시군구 지역단위의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하여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법적 장치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각 지자체들은 지역단 위의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하기 위하여 지역사회주민들을 대상으로 하여 욕구조사를 활발히 실시하 였고 그 결과를 토대로 하여 4년 단위의 지역사회복지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인해, 공계순(2001)이 이론 중심의 욕구조사실태 파악을 위해서 제시한 분석틀을 중심으로 L구를 대상으로 이루어진 지역사회복지욕구조사 결과물 즉 조사보고서를 분석하는 것이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욕구조사보고서에 나타난 욕구조사기법을 분석한 결과 대부분이 서베 이 욕구조사기법에 집중되어 있었다. 둘째, 욕구조사를 실시할 때 수혜자의 욕구에 대한 3가지 관점의 차원이 모두 활용되지 않았다. 셋째, 다양한 자원 및 조사기법을 활용한 욕구조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좀더 정확한 욕구조사를 위하여 Harlow & Tuner가 제시한 욕구조사 4단계의 방법을 제안하였다. 이것을 통해서 각각의 지역사회특성을 반영한 서비스 개발과 제공이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Local Social Welfare Master Plan in City, County and Territory regional areas obtained the legal basis according to the revision of Social Service Act in July 2003. In order to Local Social Welfare Master Plan in City, Korean local government investigate needs assessment for community. It establishes the area social welfare plan of 4 year uni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ed Assessment Reports in “L”gu district by using need assessment analysis frameworks devised by In-Hae, Seo and Gye-So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 (1) Need Assessment Reports tended to use only the need assessment survey method (2) Need Assessment did not apply three perspectives about consumer's needs (3) Need Assessment did not utilize various resources and need assessment method. For the craving investigation which is accurate, the researcher proposes a method of needs assessment 4 phase devised by Harlow & Tuner.

      • 포커스 그룹을 이용한 소아암 환아 주부양자의 의료사회복지서비스에 관한 욕구 탐색

        윤은영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1 임상사회사업연구 Vol.8 No.3

        현대의 의학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암은 조기에 발견하면 완치가 가능하다는 긍정적인 측면이 있지만 한편으로는 치료가 장기화되고 그럴수록 가족의 도움과 부양부담이 커진다고 할 수가 있겠다. 치료가 진행될수록 환자를 주 부양하는 일차적인 부양자는 심리.사회적인 스트레스와 자신의 삶의 일정시간을 환자에게 내주어야 하는 희생을 강요받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즉 가족 안에서 암환자가 발생하게 되면 그에 따라 환자를 주 부양 하게 되는 부양자가 자신의 삶을 일정부분 희생해 가면서 환자를 돌보게 되고 그에 따라 돌봄 역할을 하는 부양자는 과중한 스트레스와 삶에 있어서의 큰 변화를 경험하게 된다. 소아암 발병은 환아 자신뿐 아니라 부모에게도 큰 스트레스를 준다. 소아암 발병은 새로운 환경에 부딪치게 한다. 육체적으로는 병원, 의사, 항암치료, 외과적 수술, 방사선 치료 같은 환경에 접해야 하며, 심리적으로는 외상, 상실, 변화, 죽음, 그리고 애도 같은 환경에 접해야 한다. 이 모든 과정에 부모 자신에게도 큰 고통으로 다가가며 동시에 환아를 보살펴야 하기 때문에 소아암 환아의 부모는 이중고를 겪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도 소아암 환아가 증가함에 따라 이에 따른 주부양자의 부양부담에 관한 관심도 높아지면서 부양부담을 완화 시킬 수 있는 의료사회사업 서비스도 점점 많아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병원 안에서도 가족을 위한 교육이라 던지 가족의 지지모임 등의 사회적지지 프로그램 등이 증가 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의료사회사업 서비스가 얼마나 효과적인지에 관한 효과성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병원 사회사업과에 협조를 구하여 소아암 환아의 가족이 실제로 병원 사회사업과에 바라는 의료사회사업서비스가 무엇인지 기존의 서비스에 만족하는지 서비스가 어떠한 방향으로 가기를 바라는지에 대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소아암 환아 주부양자의 요구를 심층적으로 인터뷰하고 분석하여 기존의 연구와의 차이를 좁히고 서비스를 받는 클라이언트의 입장에서 클라이언트가 원하는 의료사회사업서비스의 방향을 탐색해 보고자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한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암 환아 어머니들은 환아를 돌보면서 예측 불가능한 아동의 상태에 대한 불안함과 세균 감염 위험성에 대한 걱정과 불안 속에서 치료에 대한 걱정으로 심리적인 부담감이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치료 중 암환아의 고통을 지켜보는 어려움을 경험해야 하고 재발과 전이에 대한 걱정도 높았다. 대부분의 암 환아 들이 2-3년 정도의 긴 투병생활을 거치기 때문에 오랜 기간 걱정과 긴장 속에서 암 환아를 돌봐온 주부양자의 심리적인 스트레스는 상당할 것으로 사료 된다. 이에 따라 치료 종결 후 암 환아 엄마들은 극심한 우울증을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암 환아 뿐만이 아니라 암 환아 어머니를 위한 심리치료 프로그램 연계나 심리치료 서비스 지원 욕구가 나타났다. 오랜 병원 생활로 인해 암환아 주부양자들은 신체적인 피로와 돌봄 과정에서의 스트레스가 상당하다고 나타났다. 암환아를 돌보느라 병원에만 있다 보면 다른 집안일을 할 시간이 없고 딱딱한 간이침대에서 자면서 몸살을 앓는 경우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돌봄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 다른 가족들의 참여를 유도한다던가 하는 방향의 가족교육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암환아 들은 치료과정 중 신체적인 변화와 외부 생활과의 단절로 인하여 심리적으로 우울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들의 이러한 우울감을 극복 할수 있도록 음악치료나 미술치료와 같은 유쾌하게 참여할 수 있는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절실하다고 세 포커스 그룹 모두에서 의견이 모아졌다. 또한 오랜 병원 생활로 인해 학업부진으로 인한 스트레스가 상당하고 밖에 나가서 공부를 할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에 치료 후 학교에 돌아가서도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학업에 관한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가 나타났다. 따라서 자원봉사자를 통한 학습과외 연결이나 학습지원 프로그램 등의 서비스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암환아 어머니들은 오랜 병원 생활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증가 한다는것이 나타났다. 치료비에 대한 경제적인 부담은 당연한 것이고 뿐만 아니라 교통비와 생활비 에서도 상당한 부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정한 고정된 수입이 있어서 지원을 받지 못하는 가정의 경우 단시간에 큰돈을 구하기가 어렵고 어느 곳에서도 지원을 받지 못함에 따라 가정경제가 크게 흔들리고 조금의 지원이라도 절실한 상황임이 밝혀졌다. 이에 따라 암 환아 어머니들은 교통비 부담을 줄이기 위한 클린 카 서비스의 확대시행과 치료비뿐만 아니라 생활비도 일부 지원해주기를, 또 서류상이 아닌 좀 더 실질적이고 다차원적인 경제적 지원이 이루어지길 바라는 의료사회복지 욕구를 나타냈다.

      • 전문대학교 재학생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윤지혜(Ji-Hye Yun),정선미(Sun-Mi Jung),오영림(Yong-Rim Oh) 한국임상사회사업학회 2018 임상사회사업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전문대학교 재학생의 사회적응을 성인으로서 개인에게 주어진 사회적 의무와 사회에서 자립할 수 있는 개인의 힘을 기르는 것 으로 개념화하여 개인의 자아탄력성, 진로결정 수준, 가족체계, 학교 환경과 같은 요인들과의 관계를 확인해봄으로써 전문대학생의 사회적응 정도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전문대학교에 1학기 이상 등록한 20세 이상 재학생 9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자 일반적 사항과 독립변인에 포함되는 개인요인(자아 탄력성, 진로결정수준), 가족요인(가족건강성), 학교요인(학교환경) 그리고 종속변인에 속하는 사회적응능력(대인관계성, 적응성, 충동성, 책임성)으로 구성된 척도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요인별 특성으로 가족요인의 평균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자아탄력성, 학교환경 순으로 나타났다. 종속변수인 사회적응능력은 평균 3.24점이었으며, 하위척도 중에서는 적응성, 책임성, 대인관계, 충동성 순이었다. 개인, 가정, 학교 요인과 전문대학교 재학생의 사회적응과의 상관관계는 진로결정수준과 사회적응이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였으며, 학교환경과 진로결정수준과도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마지막으로 단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자아탄력성(β=0.249, p<.05), 진로결정수준(β=0.251, p<.05)이 대인관계성에 영향을 미치며, 자아탄력성(β=0.263, p<.05), 진로결정수준(β=0.366, p<.01)이 적응성에 영향을 미쳤다. 진로결정수준(β=0.447, p<.01)은 충동성에, 자아탄력성(β=0.233, p<.05)과 가족건강성(β=0.229, p<.05)은 책임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문대학생 사회적응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정책 마련을 제안함으로써 전문대학생들의 사회적응과 삶의 질 향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ceptualize social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as their own efforts to develop social obligation given to individuals as adults and power to be socially independent, analyze the associations between their social adjustment and such factors as ego-resilience, level of career decision, family system, and school environment, and determine the level of their social adjustm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in 91 students who are now in college(aged ≥20) and had been registered at college for at least one term at the time of the survey. To explore the personal, family, and school factors for social adjustment of college students, the respondents’ general characteristics, the personal factors (ego-resilience and level of career decision), the family factor (family strengths), and the school factor (school environment), which are independent variables, and social adjustment capability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daptability, impulsivity, and responsibility), which is a dependent variable, were rated on a scale.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the need to develop curriculums and policies for improving social adjustment capability of college students was suggested, and the plan for improving their social adjustment and quality of life was presen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