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탐구적 과학 글쓰기’에 근거한 연구보고서 쓰기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주민재 한국교양교육학회 2014 교양교육연구 Vol.8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ttempt to improve in scientific think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ability, logical thinking ability and writing ability of college freshman for science major course through research paper writing program based on Science writing heuristic.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are constructed established writing research paper program can’t improve writing ability, scientific or logical thinking ability of students in science and engineering and what are improving methods. This study gave attention to Science Writing Heuristic(SWH) that students are able to play a leading role in research. Data source were from 39 college freshmen in science and engineering participated in research paper writing program based on Science writing heuristic for 10 weeks. Questionnaires and analysis were conducted from participants’ responses, their research papers and observation of discussion with peer/teacher.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showed that 1) actual improvement of research paper writing ability by apply research paper writing program based on Science writing heuristic, 2) improvement scientific, logical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of presentation and feedback as peer/teacher reviews and 3) possibility that group research paper writing can contribute to writing ability for studying science major course. 본 연구는 ‘탐구적 과학 글쓰기에 근거한 조별 연구보고서 쓰기’ 프로그램을 개발, 대학의 과학 글쓰기 교육에 적용하여 학생들의 과학적 사고력 및 비판적·논리적 사고력 증진과 전공과목에서 요구되는 쓰기능력의 향상을 시도했다. 조별 연구보고서 쓰기 프로그램은 연구계획서/연구보고서 작성 방법 강의 및 아이디어 생성, 개인 연구계획서 작성 및 발표, 조별 연구계획서 작성 및 발표, 시각 자료의 활용 방법 강의, 조별 연구보고서중간 발표, 조별 연구보고서 최종 발표의 5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이공계 열 1학년 학생 39명으로 하여금 ‘탐구적 과학 글쓰기에 근거한 조별 연구보고서 쓰기’는 6단계 총 10주간에 걸쳐 수행하도록 한 결과, 연구계획서/연구보고서 및 1,2차 인터뷰 분석을 통해 ‘탐구적 과학 글쓰기에 근거한 조별 연구보고서 쓰기’는 각 단계별로 동료/교수자와의 논의와 조별 활동에서 발생하는 가시적/비가시적 피드백을 통해 학생들은 스스로 연구 주제 및 연구 가설의 설정, 연구 방법의 정교화 그리고 연구 결과를 해석하는 능력이 향상되고 이를 연구계획서와 연구보고서 쓰기에 적절하게 활용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학생들은 연구계획서/연구보고서 쓰기의 단계를 거치면서 비판적·논리적 사고 능력 및 과학적 사고 능력 그리고 의사소통능력 및 전공과목에서 요구되는 쓰기 능력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근거를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교수 · 학습 방법의 개발 및 적용

        손정우,정은주 이화여자대학교 사범대학 교과교육연구소 2013 교과교육학연구 Vol.17 No.3

        현대의 학습자는 다양한 매체를 통한 지식과 정보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과 새로운 언어로 재창조할 수 있는 실천적 능력을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과학에 대한 흥미 와 호기심을 높일 수 있도록 과학자 이야기, 과학사, 시사성 있는 과학 내용을 도입하였다. 그리고 과학 글쓰기와 토론을 통하여 과학적 사고력, 창의적 사고력 및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과학 수업의 흥미, 과학적 사고력과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으로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방법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먼저 내러티브, 스토리, 스토리텔링, 탐구적 과학글쓰기 등의 문헌 연구를 통해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방법을 제안하였다. 탐구적 과학글쓰기의 6단계 과정을 스토리텔링 기반 학습 모형의 3단계와 결합하였다. 이 교수․학습 방법은 스토리 중심의 스토리텔링 전 활동, 학습자들 간의 내러티브와 탐구가 진행되는 스토리텔링 본 활동, 수업 전체 활동에 대해 피드백을 받는 스토리텔링 후 활동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수업 전 과정을 모둠별 스토리로 완성하는 활동과 이를 스토리텔링하는 활동이 포함된다. 수업 중에 완성하는 스토리는 문제 인식과 관련된 배경스토리, 문제 해결과 관련된 해결스토리, 수업 전 과정을 반성하는 반성스토리가 있다. 다음으로 과학자 스토리(갈릴레이, 뉴턴, 패러데이)를 기반으로 하는 스토리텔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초등영재학생 20명에게 적용하였더니, 과학 수업의 흥미, 과학 관련 직업의 선호, 과학에 대한 성차 인식이 유의수준 5%에서 의미 있는 향상이 있었다. 면담을 통해, 학생들은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수업을 통해 과학자의 논증 과정과 학생들 간의 내러티브를 경험하였고, 과학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탐구적 과학글쓰기를 활용한 스토리텔링 교수․학습 방법은 흥미, 탐구, 글쓰기, 토론, 논증, 내러티브 등을 경험할 수 있고, 현장적용성이 높은 교수․학습 방법이 될 수 있다. The modern learner requires a practical capacity can be re-created through new language and the ability to interpret information and knowledge through various media. To this end, the 2009 revised curriculum introduced the stories of scientists, the history of science, and the topicality of science in order to raise curiosity and interest in science. In addition, its purpose was to cultivate scientific thinking, creative thinking, and communication skills through discussion and science writ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torytelling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s a new teaching-learning method for the improvement of communication skills, scientific thinking, and a greater interest in science class. We have developed a storytelling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through research reviews of narratives, stories, storytelling, and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We have combined the three stages of storytelling based on an instructional model and the process of the six stages of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This teaching-learning method is composed of storytelling before activities focusing on stories, storytelling activities progressing through narrative and inquiry among students, and storytelling follow-up activities receiving feedback on the activities of the whole class. This model includes activities to complete the group’s story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the class and the activities involved in the storytelling. With respect to the stories to be completed in class, there are: the ‘Background story’, related to problem recognition; the ‘Solving story’, related to problem solving; and the ‘Reflection story’, which reflects on the entire lesson. We then developed a storytelling program which is based on the stories of scientists (Galileo Galilei, Sir Isaac Newton, and Michael Faraday). The participants were twenty gifted, elementary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class, favorite science-related career, and gender difference awareness in science all showed asignificant improvement at the 5 percent significance level. Through interviews, we found that the students developed an increased interest in scientists and experienced a narrative between the students and the argument processes of the scientists. A storytelling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is therefore a way to enhance interest, inquiry, writing, discussion, argument, and narrative; it’s applicability in schools is high.

      • KCI등재

        중등학교 과학교사 교육을 위한 과학 글쓰기 내용, 목표 및 방법 탐색

        어선숙,조희형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2014 교과교육학연구 Vol.18 No.2

        과학 글쓰기는 과학교육학 연구의 중요한 주제이며, 과학 교수-학습의 한 분야다. 이 연구는 중 · 고등학교 과학 글쓰기 교수-학습의 목표 · 내용 · 방법을 결정하여, 중등학교 과학교사의 연수 및 예비과학교사가 학부에서 이수할 과학 글쓰기 교과내용을 제시할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과학 글쓰기 교수-학습의 목표와 내용은 설문지 조사결과와 설문지 조사에 참여한 과학교사들의 의견을 참조하여 결정하였으며 ,과학 글쓰기 교수-학습 방법은 문헌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추출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24개 영역의 81개 항목으로 구성된 과학 글쓰기 교수-학습 내용, 12개의 과학 글쓰기 교수-학습목표, 그리고 7가지의 과학 글쓰기 교수-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중등학교 과학교사들은 과학 글쓰기의 본성, 과학교실 글쓰기, 실험 · 조사 글쓰기와 아울러 실용적 글쓰기 방법을 가르치는 것을 매우 중요하게 인식하였다. 그들은 또한 과학 글쓰기의 목표로 사고력, 과학 학습, 과학글쓰기 기량 신장을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는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과학 글쓰기의 목표를 더욱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으며 예비교사 및 현직교사를 위한 과학 글쓰기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과정에서 추출한 7가지 과학 글쓰기 교수-학습 방법을 활용하여 예비과학교사의 이수교과와 현직교사를 교육하기 위한 과학 글쓰기 교수-학습 지도 교과계획을 예시안의 형태로 제안하였다. Science writing is one of the major themes for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as well as one of the important subjects of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some of the teaching/learning objectives, content, and methods of science writing, and to suggest a plan for the subjects of science writing. The teaching/learning objectives and content for science writing were determined based on the results of a questionnaire survey, and on the opinions suggested by the secondary scien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survey. In addition, some teaching/learning methods of science writing were identified by analyses of the related literature. This paper describes 12 teaching/learning objectives for science writing, and teaching/learning content that consists of 81 items, which are organized into 24 areas. The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recognised that it is important to teach practical writing skills as well as the nature of science writing, science writing in the classroom, and research report writing. They also suggested that thinking skills, science learning, and scientific writing skills were the principal teaching objectives for the teaching/learning of science writing. Examples of subjects for science writing are also suggested in the paper..

      • KCI등재

        학교 과학에서 과학 글쓰기의 위상과 교육적 의미

        이선경,김찬경,고훈영,윤진희,민경진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7 교육문화연구 Vol.23 No.6(A)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status of science writing and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in school science. According to science curriculum and literature reviews, writing in school science is mainly dealt as a role to provide communication opportunities to promote knowledge and inquiry from an instrumental point of view. In this paper, beyond the comprehension of science writing as an instrumental viewpoint of science learning, a new point of view is suggested as an expression of empathy and communicating the understanding of ourselves in the world. From this point of view, science writing has been understood as a collaborative process of paradigm thinking and narrative thinking, expanding into the process of participating in science culture as part of life. Based on this, science writing as a discourse space of school science is not an singular experience but it is required to be treated as a long-term communication process. Finally, the educational meanings of them were discussed. We presented Science Writing Heuristic(SWH), Observation-based Science Writing, Science Column that deals with Socio-Scientific Issues (SSI) and discussed their educational significance. 이 논문은 학교 과학에서 과학 글쓰기의 위상과 교육적 의미를 탐색하는데 궁극적 목적이 있다. 과학과 교육과정과 여러 문헌에 따르면 학교 과학에서의 글쓰기는 주로 도구적 관점에서 지식 및 탐구를 촉진하기 위한 의사소통의 기회를 제공하는 역할로서 다루어졌다. 이 논문에서는 과학 글쓰기를 과학 학습의 도구적 관점으로 이해하는 것을 넘어서 글쓴이가 자신과 세상에 대한 이해를 공감하고 소통하는 표현으로 보는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과학 글쓰기는 삶의 일부로 과학 문화에 참여하는 과정으로 확장하고 패러다임 사고와 내러티브 사고의 협력적 과정으로 이해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학교 과학의 담론 공간으로서 과학 글쓰기는 일회적 경험이 아니라 호흡을 길게 하는 의사소통 과정으로 다루어질 것이 요구된다. 구체적인 활동으로서 탐구 과정을 통해 지식 생성을 촉진하는 탐구적 과학 글쓰기(SWH), 관찰 대상에 대한 민감성을 키울 수 있고 충분한 글감을 토대로 하는 관찰기반 과학 에세이, 과학적 소양을 갖춘 민주시민으로서 일상에서 직면하는 과학 관련 사회적 논제(SSI)를 다루는 과학 칼럼 쓰기를 제시하고 교육적 의미에 대해 짚어보았다.

      • KCI등재

        탐구적 과학 글쓰기(SWH)를 적용한 고등학교 과제연구의 효과

        문샛별,최원호 대한화학회 2018 대한화학회지 Vol.62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esearch project activities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on science inquiry abilities and attitudes toward science in high school students. For this purpose, we conducted the research project activities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consisting of questioning, experimental design, observation, argument and evidence, reading, and reflection steps for 73 students of the second year of science core course in high school in Jeonnam.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program, we surveyed the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attitude toward science, investigated the perception of the research project class applying science writing heuristic, and conducted interviews when there was difficulty in interpreting the result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mong the science inquiry abilities, the score of Reasoning, Hypothesis setting, Finding variables, Operational definition, Experimental design, Graphing and data interpretation, Generalization was significantly improved statistically (p<.05), but the score of Expectation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05). Second, among the attitudes toward science, the score of ‘Leisure interest in science’, ‘Enjoyment of science lessons’, ‘Career interest in science’ was significantly improved statistically (p<.05). And the score of ‘Attitude to scientific inquiry’ decreased but it’s not significant statistically. The high school research project applying science writing heuristic had a positive effect on scientific inquiry ability and scientific attitude but it could be burden to students because it is led by students in a form different from general science class for a long time. And so continuous study on research project that minimize these disadvantages and maximize their merits is needed. 본 연구의 목적은 탐구적 과학 글쓰기(Science Writing Heuristic)를 적용한 과제연구의 활동이 고등학생의 과학 탐구 능 력 및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남 소재의 고등학교 과학중점과정 2학년 학생 73명을 대상으로 의문 만들기, 실험 설계, 관찰, 주장과 증거, 읽기, 반성의 단계로 구성된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과제연구 프로 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을 위해 과학 탐구 능력과 과학에 대한 태도를 검사하였고,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 용한 과제 연구 수업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으며, 결과 해석의 어려움이 있을 경우 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 다. 첫째, 과학 탐구 능력 중 추리, 가설 설정, 변인 찾기, 조작적 정의, 실험설계, 그래프화 및 데이터 해석, 일반화 능력은 통계 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p<.05), 예상 능력은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p>.05). 둘째, 과학에 대한 태 도 중 과학에 대한 취미로서의 관심, 과학 수업의 즐거움, 과학 직업에 대한 관심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으나(p<.05),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는 통계적 유의하지 않았지만 점수가 감소했다. 탐구적 과학 글쓰기를 적용한 고등학교 과제 연구 수업은 과학 탐구 능력 및 과학 태도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지만 오랜 기간 동안 일반 과학 수업과는 다른 형태로 학생이 주도하며 진 행되기 때문에 학생들에게 부담이 된다. 그래서 이러한 단점을 최소화하고 장점을 최대화한 과제 연구 수업 전략에 대한 지속적 인 연구가 필요하다.

      • KCI등재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용 수업이 메타인지와 과학적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이은아,김용권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 2014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Vol.7 No.1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using the inquiry-based science writing heuristic approach in class on metacognition and scientific creativity to enhance the ability of solving problems in science classrooms of elementar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usage of metacognition necessary for learners to solve the problem with science. Second,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In the process of inquiry-based approach, learners used scientific knowledge to come up with ideas and produce outcomes, therefore they could seek sanswers to scientific problems for themselves. Third,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produced a positive awareness of science process skill because learners had more opportunities to think on their own than an existing passive class. In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inquiry-based science writing heuristic approach encouraged learners to do inquiring activities in school classrooms, therefore contributing to the application of metacognition and the improvement of scientific creativity.

      • KCI등재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SWH)이 중학생의 과학 학습 환경 인식 및 메타인지적 과학 학습 경향에 미치는 영향

        김선영,유선미 韓國生物敎育學會 2012 생물교육 Vol.40 No.3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on students' perception of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and metacognitive science learning orientation.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 of students experienced five different inquiry activities in the unit of respiration and excretion.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utiliz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template, while the control group was taught with the traditional laboratory report. The result indicated that students in the SWH group represented the better perception on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after the intervention. On the contrary, no difference was found on metacognitive science learning orientation between the two groups. Finally, about 47% of students responded that the SWH was helpful to study science. This study implicated that the SWH dedicated to the changes of science learning environment from teacher-centered to student-centered.

      • KCI등재

        사회적 상호작용과 도구 개선을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에 대한 중학교 과학 영재 학생들의 인식

        신은지 ( Eunji Shin ),최원호 ( Wonho Choi ) 한국과학교육학회 2021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41 No.1

        본 연구에서는 전라남도 소재의 국립대학교 과학영재교육원 소속 중학생 10명을 대상으로 사회적 상호작용과 도구 개선을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을 실시하여 STS 관계와 수업의 효과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사회적 상호작용과 도구 개선을 강조한 탐구적 과학 글쓰기 수업 후 학생들은 STS 관계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인식을 가지게 되었다. 과학 영재 학생들은 실험 도구와 기술이 과학이론 발전에 기여하며, 과학 기술만으로 모든 사회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어려우며, 과학이 사회적 상호작용 활동이라는 인식을 갖게 되었다. 또한 과학 영재 학생들은 동일 주제로 여러 시간 진행한 집중 탐구, 동료 평가 등을 이용한 다른 조원과의 의사소통, 같은 조원과 문제를 해결하는 의사소통, 탐구 과정에서 도구를 개선하는 활동, 익숙한 재료와 현상을 이용한 탐구 등을 통해 STS의 관련성을 인식하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중학생 대상의 과학 영재 수업에서 학생들이 STS의 관계를 효과적으로 인식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실험도구를 활용한 문제 해결 경험, 동일 주제로 탐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시행착오 경험, 연구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도구의 개선 경험, 동일한 주제로 탐구 활동을 진행하는 동료와의 의사소통 경험, 다른 조와 탐구 결과를 공유하는 경험, 학생에게 익숙한 소재와 현상을 이용한 탐구 활동 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In this study, a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with emphasis on social interaction and tool improvement for 10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National University Science-Gifted Education Center in Jeollanamdo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 of STS (science technology society) relationship and students’ perception of the effects of class. After science writing heuristic class emphasizing social interaction and tool improvement, the students became aware of the STS relationships as follows: Science-gifted students have come to perceive that experimental tools and technolog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theory, that it is difficult to solve all social problems with only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at science is a social interaction activity. In addition, science-gifted students responded that they became aware of the relevance of STS through intensive inquiry conducted on the same subject for several hours, communications with colleagues in another group through peer reviews, communication to solve problems with colleagues in the same group, activities to improve tools in the process of inquiry, inquiry using familiar materials and phenomena. In order for students to effectively recognize the relationship of STS in science-gifted class for middle 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provide experience to solve problems using various experimental tools, experience to have trial and error in the process of solving inquiry problem under the same subject, experience to improve tools in the process of solving inquiry problem, experience to communicate with colleagues who conduct inquiry activities under the same subject, experience to share the results with other groups, and inquiry activities using familiar materials and phenomena.

      • KCI등재후보

        과학 글쓰기 교육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제안 ―탐구적 과학 글쓰기에 근거한 연구보고서 성취도 차이의 원인 분석을 중심으로―

        주민재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14 리터러시 연구 Vol.-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ttempt to suggest methods that improve professional skills of science writing through emerging phenomenon process of research paper writing program based on Science writing heuristic. In research paper in writing program, some students showed high level of achievement because securing disambiguation in subject of research and systemization/elaboration in method of research through asking professors and research assistants for help whereas other students writing research paper autonomously showed low level of achievement. It couldn't be discovered any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in research result and analysis. It can suggest that buliding system between writing professor and major professor or research assistants is realistic alternative to improve professional skills of science writing. This research result show cooperation or communication between writing lecturer and science and engineering lecturer is important to secure realistic educational contents. 본 연구는 ‘탐구적 과학 글쓰기에 근거한 연구보고서 쓰기 프로그램’ 수행과정에서 나타난 현상을 통해 과학 글쓰기의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보고서 쓰기 프로그램에서 일부 학생들(A그룹)은 연구 주제 설정 및 연구 방법 설계를 하는 과정에서 학과 전공 교수 및 조교들에게 도움을 요청하여 연구 주제의 명확화, 연구 방법의 체계화·정교화를 확보함으로써 외부자의 도움 없이 실험 진행 및 연구보고서를 작성한 학생들(B그룹)에 비해 높은 성취도를 보였다. 하지만 전공 교수 및 조교들이 개입하지 않은 연구 결과 분석에서는 연구 방법과는 달리 두 그룹에서 별다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현상은 전공 교수 및 학과 실험실 조교와의 연계 시스템 구축이 과학 글쓰기 교육의 전문성을 높이는 현실적인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고의 연구 결과는 과학 글쓰기에 필요한 교육 콘텐츠를 마련하기 위해서는 글쓰기 교수자들이 이·공학계열 교수자들과 협업 내지는 충분한 의사소통을 해야 한다는 사실을 잘 보여준다.

      • KCI등재

        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논의구조에 미치는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의 효과 분석

        장경화 ( Kyung Hwa Jang ),남정희 ( Jeong Hee Nam ),최애란 ( Ae Ran Choi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2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2 No.8

        이 연구의 목적은 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논의 구조의 특징을 통해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의 효과를 심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탐 구적 과학 글쓰기 전략을 바탕으로 개발된 중학교 2 학년 프로그램 7개 주제를 적용한 후 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난 논의 구조의 특징을 비교해 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광역시 소재 중학교 2학년 2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1개 학급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여, 실험 집단에는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에는 전통적인 강의 및 실험 수업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처치 후 두 집단에게 요약 글쓰기를 실시하였고, 요약 글쓰기를 통해 학생들의 글쓰기에 나타나는 논의 구조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프로그램의 처치 결과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을 실시한 실험집단 학생들이 전통적 강의 및 실험 수업을 실시한 비교 집단에 비해 요약 글쓰기에서 논의 구조를 많이 사용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험집단 학생들의 증거에서 설명과 함께 그림, 그래프, 예시 등의 다양한 표현 제시되어 있었다. 그리고 증거 제시 수준에서도 비교집단은 증거를 제시할 경우 단순한 용어 나열하는 반면 실험집단의 경우 상대방이 이해하기 쉽게 용어에 대한 설명을 하거나 예를 적절히 사용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탐구적 과학 글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글쓰논의 구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비교집단 과 구별되는 특징을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argument structure on students` writing in implementation of argument-based inquiry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approach.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08 8th grade students (three classes). Two classes (68 students) were assign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class (35 students) was assigned to a comparative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argumentbased inquiry using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approach, while the comparative group was taught with the traditional teaching strategy. After implementing this program, the two groups were asked to write summaries using structured argumentation in their writing.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used better argument structure and multimodal representation such as pictures, graphs and examples in evidence than the comparative group. The quality of evidence used in the students` writing was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Students of the comparative group only listed fragments of science concepts for evidence to support their claims, but students of the experimental group explained science concepts by giving specific examples. The findings show that argumentbased inquiry using the SWH approach was effective on argument structure in students` writ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