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주노동당의 변화: 원내정당화 현상을 중심으로

        채진원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09 의정연구 Vol.15 No.1

        본 논문의 목적은 우선, 민주노동당이 드러낸 정체성의 상이한 특성을 이른바, ‘민주노동당의 원내정당화’라는 개념 틀에 입각하여 구체적인 경험적 지표를 중심으로 민주노동당의 성격변화를 설명하고자 한다. 그동안 전형적인 대중정당모델로서 진보적인 이념과 계급정당을 표방하면서 기대를 모았던 민주노동당이 원내진출이후 기대와는 다르게 대중정당의 특성이 급속하게 약화되는 한편 원내정당의 특성이 일어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한다. 원내정당모델에 가까운 경향들은 대중정당모델에 입각한 당 운영을 표방해온 민주노동당에서 수용될 수 없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수용되고 있다는 점은 매우 역설적이고도 흥미로운 측면이다. 그렇다면, 민주노동당의 이 같은 특성의 혼재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은 대중정당모델의 시대적 적실성과 관련한 이론적 논의와 연결시켜 볼 때, 많은 궁금증을 자아낸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changing nature of Korean Democratic Labor Party, namely the revealed characteristics contrary to the party's original identity, based on empirical framework of so-called “Korean Democratic Labor Party' as a Parliamentary Party". This paper focuses on the unanticipated phenomenon that Korean Democratic Labor Party, in spite of its expectancy as an alternative party model to overcome the challenges of Korean party politics, has lost its characteristics as a mass party but has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parliamentary party since it took parliamentary seats in National Assembly.

      • KCI등재

        이기붕 체제 자유당의 형성과 변화

        김진흠 ( Kim¸ Jin-heum ) 수선사학회 2021 史林 Vol.- No.75

        The Liberty Party secured enough parliamentary seats to reach a constitutional amendment through the 1954 general elections to solidify its position as a parliamentary party. The establishment of a Central Committee through the revision of the party’s constitution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parliamentary committee and the general meeting of assembly members reflected the change in the party`s character. This could serve as the basis for implementing party politics, which was an important immediate policy of the Liberal Party. Immediately after the 1954 general election, the Liberal Party appeared to be changing into a policy party. The Central Policy Committee was established and the organization was entrusted with the implementation of the Liberal Party's immediate policy. Subsequently, seven immediate policies were adopted to materialize the party's policies. The seven immediate policies were partly able to show results in conflict with the government. This change was different from that of the Liberal Party. The Liberal Party's 'misgovernment' deserves criticism, but the Liberal Party's attempts at party politics are nevertheless noteworthy. Shortly after the 1954 general election, the Liberal Party formed the form of the first ruling party as a political party. In particular, the attempt at party politics was important eve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berty Party and Syng-man Rhee. The Liberty Korea Party's attempt at party politics implied the possibility of serving as an alternative to the one-man dictatorship. It could also be a solution to the strong presidential system, which is pointed out as a continuing problem in the party politics of Korea, and the resulting political party alienation. In this regard, the change from the Liberty Party's extraparliamentary party to the parliamentary party and the change from the mobilizing party to the policy party can also be found to be of historic significance.

      • KCI등재

        정의당의 변화: 원내정당화 현상을 중심으로

        정석원,이현우 명지대학교(서울캠퍼스) 미래정치연구소 2020 미래정치연구 Vol.10 No.1

        학계, 언론, 정의당 소속의원 및 관계자들은 정의당을 대중정당의 전형으로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제20대 국회와 제21대 총선을 전후하여 정의당에는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 본 연구는 대중정당을 지향하며 창당한 정의당의 변화와 관련한 성격을 규명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의 정당구조에서 대안정당모델로 제시되는 ‘대중정당모델’과 ‘원내정당모델’의 이론적 배경과 특징을 알아보고, 유사한 특성을 보이는 포괄정당과 원내정당을 비교·분석하였다. 정의당은 대중정당을 지향하면서 발생한 편향적인 당 운영, 국고보조금에 대한 의존증가, 선거에서의 낮은 반응성과 같은 한계에 따라 전략적 차원으로 당의 운영에 변화를 주었다. 변화의 양상은 이념 선명성 약화, 당원 중심 운영의 변화, 원내의원의 영향력과 자율성 확대가 나타남으로써 정의당이 포괄정당화 되어가는 것이 아닌 원내정당화 되어감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서구 정당발전단계를 보편적인 연구 분석틀로 적용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으며, 서구와 다른 환경적 특수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기존의 연구를 재확인하였다. Members of the academic, the mass media and the Justice Party regard the Justice Party as a typical mass party. However, before and after the 20th and 21st general elections, significant changes have been detected in the Justice Party. This study identifies the changing propensities of the Justice Party. A framework of analysis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of the mass party model and parliamentary party model that are presented as alternative party model in the Korean political structure. This article also compares parliamentary party with catchall Party to distinguish the characters of the Justice Party.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Justice Party changed the way the party manages resulting in more dependence on state subsidies, and lower responsiveness in elections than before. The changes in management methods have weakened the party’s major principles, changed party member-centered management, and expanded the influence and autonomy of party’s lawmakers. It means a tendency of parliamentary party rather than that of catch-all Party. In other words, it is not appropriate to apply legitimate research in Western Europe as a framework for universal research analysis, and it is reaffirmed that the existing research should take into account Korean uniqueness different from that in Western Europe.

      • KCI등재

        제2대 국회 전반 의회내 여당형성 활동과 ‘원내자유당’

        이혜영 한국사학회 2018 史學硏究 Vol.0 No.13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activity for the formation of the ruling party in the first half of the second National Assembly. It is generally known that Rhee Syngman came into power without political party, and it was not until December 1951 that he founded the Liberal Party. By the way, that Liberal Party was externally-originated party(‘outside’ Liberal Party), which was formed with mass movement groups as a core. The forces within the National Assembly who participated in the movement for the formation of the new party created a Liberal Party separately(‘inside’ Liberal Party). The reason why the formation work of the ruling party divided into two parts was the fundamental difference in political system they aim at. Rhee and the ‘outside’ Liberal Party wanted to strengthen the presidential system, so they pushed ahead with a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the direct election system. However, the goal of the forces within the National Assembly was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the parliamentary system. In other words, they tried to form a ruling party and take charge of government directly in the parliamentary system by cooperating with Rhee. It was the misrule of the Rhee government which led the ‘inside’ Liberal Party to draw up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the parliamentary system. The government’s inability and misrule revealed during the war were culminated by the National Defence Corps Scandal and the Geochang Massacre occurred in the spring of 1951, so they reviewed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the parliamentary system as a solution. To this end, the New Political Comrades Association(NPCA) and the Republican Club(RC) combined in May 1951 to form the Republican People’s Political Association(RPPA), which was the predecessor of the ‘inside’ Liberal Party. The NPCA was a pro-Rhee faction withi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RC was politically neutral but they took the most critical stance on the misrule of the government. Despite the differences in political orientation, the two groups combined in order to hold the Democratic Nationalist Party(DNP) in check and to rule under the parliamentary system as the first force within the National Assembly. However, their plan to form a ruling party by integrating with the pro-Rhee faction outside the National Assembly began to fail because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ssue. In particular, a bill for constitutional amendment submitted by Rhee in January 1952 was reje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pro-Rhee faction outside the National Assembly started the movement to recall National Assemblymen against the rejection. This was the direct cause of the separation of the ‘inside’ and ‘outside’ Liberal Parties. Moreover, pro-Rhee faction of the ‘inside’ Liberal Party formed a “Pro-amalgamation Liberals” to promote integration of the two Liberal Parties, and consequently the ‘inside’ Liberal Party was divided into the Pro-amalgamation Liberals and the “Remaining Liberals”. In the end, the latter joined with the DNP for the purpose of amending the constitution for parliamentary system while trying to replace Rhee through assembly election. However, their attempts failed because Rhee proclaimed martial law and caused political upheaval. Rhee eventually succeeded in amending the constitution for the direct election system and the ‘inside’ Liberal Party was dissolved and vanished. However, their conception of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for the parliamentary system had continued since then and became the specific goal and base of the opposition movement in the late 1950s. 이 논문은 2대 국회 전반 의회 내에서 전개된 여당 형성 활동을 분석하는 것이 목적이다. 주지하듯이 이승만은 정당 기반 없이 집권했고, 1951년 12월이 되어서야 자유당을 창당했다. 그런데 이때 자유당은 대중운동 단체들이 중심이 된 ‘원외’ 자유당으로 신당운동에 참여했던 원내세력은 따로 ‘원내’ 자유당을 만들었다. 여당 형성 작업이 두 갈래로 나뉜 것은 이들이 지향하는 정치 체제가 근본적으로 달랐기 때문이다. 이승만과 원외자유당은 대통령제 강화를 원했고 이를 위해 직선제 개헌을 추진했다. 하지만 원내세력은 내각책임제 개헌이 목표였다. 즉 현 집권자인 이승만과 제휴해 여당을 형성하고 내각책임제 아래서 직접 정권을 담당하려 한 것이다. 원내자유당이 내각책임제 개헌을 구상한 것은 이승만 정부의 실정 때문이었다. 전쟁 수행 과정에서 드러난 정부의 무능과 실정은 1951년 봄 발생한 국민방위군사건과 거창민간인학살사건으로 절정에 달했고, 의회세력은 그 해결책으로 내각책임제 개헌을 검토했다. 그리고 이를 위해 1951년 5월 신정동지회와 공화구락부가 통합해 공화민정회를 조직했는데, 이들이 바로 원내자유당의 전신이었다. 신정동지회는 의회내 친이승만 세력이었고, 공화구락부는 정치적으로는 중립지대에 있었지만 정부 실정에 대해서는 가장 비판적이었다. 정치적 성향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두 단체가 통합한 것은 민국당을 견제하면서 원내 제1세력으로서 내각책임제 아래서 집권하기 위해서였다. 하지만 이승만의 후원 아래 원외 이승만 세력과 통합해 여당을 형성하려는 이들의 구상은 개헌 문제로 어긋나기 시작했다. 특히 1952년 1월 직선제 개헌안이 의회에서 부결되고 이에 맞서 원외 이승만세력이 의원소환운동을 일으킨 것은 원내외 신당운동 세력이 결별하게 된 직접적인 계기였다. 더구나 원내자유당의 일부가 ‘합동파’를 형성해 원외자유당과 통합을 추진하면서 원내자유당은 합동파와 ‘잔류파’로 분열했다. 결국 원내자유당의 잔류파는 민국당과 합세해 내각책임제 개헌을 추진하는 한편 의회 선거를 통한 이승만 교체를 시도했다. 그러나 이 계획들은 이승만이 계엄령을 선포하고 정치파동을 일으키면서 모두 실패했다. 이승만은 직선제 개헌에 성공했고 원내자유당은 해체‧소멸했다. 하지만 이들의 내각책임제 개헌 구상은 그 후로도 계속 이어져 1950년대 후반 야당운동의 구체적 목표이자 근거가 되었다.

      • KCI등재

        민주화 이후의 정치제도: 원내정당화를 중심으로

        정진민 세종연구소 2007 국가전략 Vol.13 No.2

        For a consolidated democracy it is important to have workable political institutions playing their expected role properly, which are lacking in Korean democracy.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desirable models of political party and parliament which are workable and compatible with Korean presidential system. A party model for a parliament as transformative rather than arena legislature, that is, a parliamentary party model is put forward in this article, considering rapidly changing party environment and general trends of party politics in advanced democracies. Key questions addressed in this article include: what are major features of parliamentary party, how different parliamentary party is from traditional mass party, and how the responsibility of political party can be secured in the case of parliamentary party. This article maintains that the productivity of parliament under Korean presidential system can be raise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parliamentary party model emphasizing autonomy of legislator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the responsiveness of political party is as important as party responsibility and parliamentary party can contribute to enhancing party responsiveness through facilitating extended communication with party voters as well as party members. 본 논문의 목적은 대통령제 정부형태를 포함한 우리 정치현실을 감안하여 작동 가능한 정치제도를 모색하는 데 있다. 우리의 민주주의가 공고화되는 데 있어 중요한 정치제도들 중에서 특히 정당과 의회의 바람직한 형태 및 운영방식과 관련하여 본 논문의 초점은 정당의 원내조직 및 의원들의 자율성과 정책역량의 강화를 중시하는 원내정당화에 맞추어져 있다. 본 논문에서 다루고 있는 주요 문제들은 정당과 의회를 둘러싸고 있는 제반 환경적인 요인과 민주국가 정당들의 일반적인 변화 추세 등을 고려하여, 첫째 원내정당화의 주요 내용은 무엇이며 왜 우리 정당과 의회가 원내정당을 중심으로 운영되는 것이 바람직한지, 둘째 원내정당과 맞물려 논의되고 있는 대중정당이 우리의 정치환경에 비추어 볼 때 적실성이 있는 것인지, 셋째 논란이 되고 있는 정당의 책임성 문제와 관련하여 원내정당에 있어 정당의 책임성은 어떠한 방식으로 확보될 수 있는지 등이다.

      • KCI등재

        ‘07 대선이후 한국정당의 발전가능성, 나아가야 할 방향과 과제 : 독일 기민련의 사례를 중심으로

        이경호 한독사회과학회 2008 한독사회과학논총 Vol.18 No.2

        정당에 대한 포괄적인 이해 없이 실행된 부분적인 정당개혁, 국민경선제, 지구당폐지, 기간당원제, 원내정당화 등은 한국 정당의 폐해를 더욱 증폭시키고 있다. 정당이 실종된 지난 2007년 대선은 이러한 한국 정당개혁의 한계를 다시 한번 더 체험케 한 장이었다. 때문에 정당개혁의 문제는 ‘정당민주주의’라는 큰 틀에서 그리고 정당개혁 과제 역시 ‘정당의 탈정당화’나 ‘정치의 탈정당화’로 규결되지 않도록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물론 사회의 변화, 가치의 변화, 언론의 변화, 정치의 변화에 따른 정당의 변화, 즉 (대중)정당에 함의되어 있는 과거 강령ㆍ조직ㆍ당원정당의 전통적인 기능으로부터 좀 더 선거정당과 원내정당의 기능으로 무게중심이 이동되는 것은 부정할 수 없는 시대의 현상이다. 그러나 대중 정당과 원내정당으로 도식화하여 후자를 바람직하고 선택 가능한 유일한 대안으로 선정하여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논의는 분명 재고(再考)되어야 할 것이다. 바람직한 정당개혁의 방향과 과제는 결국 ‘어떻게 (대중)정당에 함의되어 있는 여러 다른 순기능들이 회복될 수 있는지’, ‘어떻게 이념ㆍ조직ㆍ당원정당의 토대위에 선거ㆍ원내정당의 기능들이 조화롭게 균형 발전할 수 있는지’에 초점이 맞춰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정당개혁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적어도 헌법이 의도한 방향으로 개혁에 대한 논의와 연구가 집중되어야 할 것이다. A partial party reform, a national primary race, a demolition of local chapters, a limited -period party member system and a parliamentary party that are implemented without a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n political parties are further amplifying the damage of the Korea's parties. The past 2007 president election in which political parties were lost was a chapter that made us experience the limit of the Korean party's reform. Thus, the issue of the party's reform should be discussed in the big framework of "party democracy" and the task of party's reform also should be discussed so that it may not be led to "delegitimation of political party" or "delegitimation of politics. Of course, the change in political party in wake of a change in society, a change in value, a change in the press and a change in politics, that is, the shift in weight to the functions of more election party and parliamentary party from the past traditional platform, organization and party member party that are implicated in mass party is a phenomenon of the times that cannot be denied. However, the discuss that schematizes the party into a mass party and a parliamentary party and then seeks a change by selecting the latter as a desirable and the only and single alternative that is possibly selected will be surely reconsidered. In the end, the direction and task of the reform of the party that is desirable will be focused on "how several different eufunctions that are implicated in mass party are recovered" and how the functions of election and parliamentary party are developed in smoothy and balanced way on the ground of the ideology, organization and party member party. In order for this party reform to be implemented, the discussion and research on the reform will be focused towards the direction of at least the Constitution intends.

      • KCI등재

        민주노동당의 변화

        채진원(ChinWeon Chae) 한국정당학회 2010 한국정당학회보 Vol.9 No.2

        본 논문은 원외 대중정당모델로 출발한 민주노동당이 2004년 원내진출 이후 대중정당의 특성이 약해지고, 그에 대한 반작용으로 ‘원내정당화 현상’이 촉진되면서 당의 성격이 변화했다는 선행연구에 주목한다. 그 선행연구에 이어서 본 논문에서는 이 같은 ‘민주노동당의 원내 정당화 현상’이 일시적이고 상황적인 성격의 것인지 아니면 시대불가역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후기산업화와 지구화와 같은 시대전환적인 구조변동과 연동되어 있는 성격의 것인지 여부를 확인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민주노동당의 원내정당화의 촉진배경이 시대전환적인 사회구조변동과 연관되어 있다면, 민주노동당 변화사례는 원내정당모델과 관련하여 거리가 먼 ‘least-likely case(가설에 가장 잘 들어맞을 가능성이 없는 사례)’ 로서 대중정당모델의 한계를 설명하는 것을 포함하여 한국적 시대상황에 부합하는 대안정당모델의 하나로서 원내정당모델의 시대적 적실성을 논할 수 있는 사례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중정당모델로 출발한 민주노동당이 원내정당모델로 변화하는 성격이 무엇인지를 확인하는 데 그 방법적 효율성과 유용성이 큰 ‘표적집단심층인터뷰(F.G.I.: Focus Group Interview)’ 내용을 활용하고자 한다. This paper pays attention on the primary research having shown that Korean Democratic Labor Party, set out as a mass party model, has lost the traits of mass party and, as a reaction, it has adjusted since it attained parliamentary seats in 2004. Subsequently,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whether such a phenomena is temporal and circumstantial or this is a part of unavoidable social transition just like that of post-industrialization and globalization. If the accelerated nature of Korean Democratic Labor Party as a parliamentary party is related to the structure change of social transition, then this case can be regarded as a least-likely case of parliamentary party. In other words, this is a suitable case to address the periodical relevance of parliamentary model party and explain the limitation of mass model party as an alternative party model in the context of Korean society. This paper utilizes F.G.I. to clarify the changing nature of Korean Democratic Labor Party, that started as a mass party model but adjusted to a parliamentary party.

      • KCI등재

        민주노동당의 변화: 원내정당화 현상을 중심으로

        채진원 ( Chin Weon Chae ) 한국의회발전연구회 2009 의정연구 Vol.27 No.-

        본 논문의 목적은 우선, 민주노동당이 드러낸 정체성의 상이한 특성을 이른바, `민주노동당의 원내정당화`라는 개념 틀에 입각하여 구체적인 경험적 지표를 중심으로 민주노동당의 성격변화를 설명하고자 한다. 그동안 전형적인 대중정당모델로서 진보적인 이념과 계급정당을 표방하면서 기대를 모았던 민주노동당이 원내진출이후 기대와는 다르게 대중정당의 특성이 급속하게 약화되는 한편 원내정당의 특성이 일어나고 있는 현상에 주목한다. 원내정당모델에 가까운 경향들은 대중정당모델에 입각한 당 운영을 표방해온 민주노동당에서 수용될 수 없는 것임에도 불구하고, 수용되고 있다는 점은 매우 역설적이고도 흥미로운 측면이다. 그렇다면, 민주노동당의 이 같은 특성의 혼재를 어떻게 이해할 것인가에 대한 질문은 대중정당모델의 시대적 적실성과 관련한 이론적 논의와 연결시켜 볼 때, 많은 궁금증을 자아낸다.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ain the changing nature of Korean Democratic Labor Party, namely the revealed characteristics contrary to the party`s original identity, based on empirical framework of so-called "Korean Democratic Labor Party` as a Parliamentary Party". This paper focuses on the unanticipated phenomenon that Korean Democratic Labor Party, in spite of its expectancy as an alternative party model to overcome the challenges of Korean party politics, has lost its characteristics as a mass party but has revealed the characteristics of parliamentary party since it took parliamentary seats in National Assembly.

      • KCI등재

        4.19 직후 내각책임제 개헌논의와 ‘보수합동’

        김지형 ( Kim Ji Hyung ) 호남사학회 2021 역사학연구 Vol.83 No.-

        4.19 직후 내각책임제 개헌은 민주당 주도 하에 일사천리를 진행되었다는 통설과 달리 자유당과 이승만, 이기붕 등 여권에서 먼저 제기된 사실을 우선 주목하였다. 이른바 ‘정국 수습책’으로서 제시된 내각제 개헌론은 자유당의 입장에서 볼 때, 국회 해산을 방지할 강력한 명분을 얻게 될 뿐만 아니라 민주당의 전통적 당론이었던 내각제를 공유하면서 자신들의 생존을 도모하기 위해 최적화된 전략이었다. 특히 자유당 혁신파와 민주당 구파를 중심으로 ‘보수합동’의 원리에 따라 개헌논의의 주도세력이 형성되었으며, 이 점에서 자유당과 민주당의 이해관계가 중첩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민주당 신·구파의 갈등이 초기 보수합동의 균열을 야기한 측면이 있으나 이승만의 4.26 하야에 이어 4.28 경무대 퇴거라는 가시적 조치가 나타나면서 장면과 신파의 입장은 ‘현 국회 내에서의 개헌’으로 바뀌었고, 이후 내각제 개헌이 본격 추진되었다. 내각제 개헌을 매개로 한 보수세력의 정치적 이해관계에 기초하여 정치권력 구조의 변화를 모색하려는 보수합동 의식의 배경에는 3.15와 4.19의 원인을 이승만·자유당 독재에서 찾는 것이 아니라 대통령중심제라는 제도의 문제 때문이라는 판단이 작용한 결과였으며, 바로 이 점이 내각제 개헌론의 맹점이었다. 개헌 추진과정에서 드러난 보수합동의 모순점들도 확인된다. 부정선거사범에 해당하는 자당 의원들을 보호하기 위해 자유당은 개헌안 통과를 담보로 몽니를 부렸으며 민주당은 속수무책으로 자유당을 보호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공소 만기를 하루 넘겨 개헌안이 통과된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었다. 애초 민주당이 3.15 부정선거의 원흉인 자유당과 공조하는 순간 이미 예견된 결과였다. 개헌 통과 후 7.29총선을 거쳐 제2공화국 장면 정부가 출범함으로써 보수합동의 정치사적 귀착점에 도달했으나 불과 열달 만에 5.16쿠데타로 전복됨에 따라 내각책임제 구현의 이상도 함께 사라졌다. 이러한 정치사적 결과는 ‘권력 집중의 방지’를 명분으로 한 내각제 개헌이 그 궁극적 목적을 달성하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그 과정을 견인한 보수합동이라는 가치의 당위성마저 의미 부여하기 곤란하다는 점을 확인시켜줄 뿐이다. The amendment to th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which was made immediately after April 19, 1960, was completed very quickly over 46 days. The Liberal Party which is responsible for the March 15 unfair election, began discussing the constitution of he Parliamentary Cabinet System first, and the Democratic Party also actively conducted it. In particular, the phenomenon of cooperation between the Liberal Party's revolutionary party[Hyeogsinpa] and the Democratic Party's former party[Gupa] was greatly observed, and it became the basic driving force for the amendment of the cabinet system to the end. The theory of amendment to the cabinet system spread further with the agreement of Vice President-elect Lee Ki-poong, who was the main culprit in the unfair election, and Syngman Rhee. The April 26 Resignaion[Haya] was possible in this context, and the transitional cabinet Heo Jeong, who was in charge of the government afterwards, also stably supported and supported the amendment of the cabinet system. The Democratic Party's constitutional amendment solidarity, which used to be an opposition party based on the tradition of the cabinet system and the ruling party forces was in fact strong intent to reorganize political power through a “conservative union” and to operate the National Assembly in a stable manner by conservative forces. However, in the process of promoting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the interests of the Free-Democratic parties constantly clashed in the political reality. It was to reveal that the two parties' cooperation to amend the constitution was based on a fundamental contradictory relationship. The logic of the conservative union for the amendment of the cabinet system was based on the diagnosis that Syngman Rhee's 12 year dictatorship was caused by the presidential system, and it was bound to fall into the trap of overlooking the mistakes of the Liberal Party including Rhee. That was the biggest problem with the amendment of the cabinet system.

      • KCI등재

        한국 의회민주주의의 대표성 평가

        박영환(Young Hwan Park) 동아시아국제정치학회 2016 국제정치연구 Vol.19 No.1

        This article focuses on representation of political parties as representational agents of parliamentary democracy and explores representational roles and problems of Korean political parties. Political linkage between citizens and parties as their representatives in a developmental process of parliamentary democracy has played a pivotal role in change and reinforcement of representation in a modern parliamentary. Factors of intensifying political linkage between citizens and parties include as follows: party’s responsiveness, party’s stability, interaction between party and voter, party recruitment, party’s accountability, and party’ minority representat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low levels of political representation of Korean political parties contribute to weakening representational functions of Korean parliamentary democrac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