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2010년의 한국사회학

        양영진(Yang Young Jin) 한국사회학회 2010 韓國社會學 Vol.44 No.5

        2010년 현재 한국 사회학이 처해있는 상황은 겉보기는 화려한 듯 하나 내부의 실상은 많이 힘들고 위축되어 학문과 학과의 앞날을 낙관하기가 어려운 형편이다. 즉, 사회학을 전공하려는 학부학생들의 숫자가 지속적으로 줄고 있어 ‘폐과’나 ‘정원감축’이 거론되기도 하며, 대학원 석사?박사 이상 수준에서의 ‘학문후속세대’들을 지속적으로 양성해 내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이러한 위기상황을 초래한 원인이라면; 1) ‘종합학문?기초학문’이라는 사회학의 학문적 특성, 2)사회학 속에 내재되어 있는 ‘사회비판적 성향’, 3) 1995년부터 실시된 학부제 중심의 대학교육개혁정책, 4)급변하는 전세계적 사회 변동에 유연하게 적응?대처하지 못한 교과과정 등을 들 수 있겠다. 위기를 기회로 삼아 사회학의 위상을 다시금 제고시키기 위해 필자는 교육?연구?학회 등 세가지 차원에서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씩의 아주 구체적인 노력들을 경주해 나갈 것을 제안한다. 첫째, 교육분야의 경우; 1)사회학의 ‘기초학문적 특성’을 긍정적으로 활용 할 것, 2) ‘사회비판적 성향’을 적극적으로 활용 할 것, 3)튼튼한 ‘교육인프라’를 구축해 나가기 위해 (1)『한국사회학사전』,『한국사회학개론』과함께 분야별 교과서를 편찬하고, (2) ‘지역적 특성화’와 (3) 사회학의 ‘대중화’ 노력을 확산시켜 나갈 것 등을 제안한다. 둘째, 연구분야의 경우; 1) ‘한국사회학 자료실’을 설치?운영 할 것, 2)전통적 연구분야를 제대로 지켜내며, 3)새로운 연구분야들을 지속적으로 발굴?개척해 낼 것, 4)국제적 연결고리를 확대시켜 나갈 것 등을 제안한다. 셋째, 학회차원에서는; 1) ‘교육연구위원회’ 설치를 통한 장기 사업의 구상과 실행, 2) ‘국제교류위원회’ 설치를 통한 세계화 사업의 체계적 도모, 3) ‘재정위원회’ 설치를 통한 학회 운영의 안정적 물적토대 구축 등을 제안한다. 이러한 구체적 제안들이 주저없이 하나하나 차근차근 실행되어 나갈 때, 한국사회학은 밝은 미래를 향해 힘차게 뻗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An outward appearance of Korean sociology in 2010 is splended. But unfortunately, she has a lot of problems in the bottom of her heart, i. e. constantly decreasing number of sociology majoring students and researchers at both undergraduate and graduate level. The writer argues following four factors are the main causes of the decline ; 1) the characteristics of sociology as 'fundamental' social science, 2) sociology's preference of 'criticism' toward everything existing in the society, 3) educational reform policies which forces universities to pursue non-educational goals for more than 15 years since 1995, 4) sociology's failure to adapt rapidly changing world situation. Since 'crisis' is the very opportunity to develop, the writer proposes concrete ideas for enhancing relevance of Korean sociology to current environment. Firstly, in the field of education, following 4 tips are suggested for overcoming current crisis of sociology ; 1) use the fundamental characteristic of sociology positively in various lectures, 2) use sociology's ability of social criticism positively in training students' writing ability, 3) edit and publish A Dictionary of Korean Sociology, An Introduction to Korean Sociology as soon as possible, 4) increase the effort to 'localize' all the departments as much as possible, 5) expand the effort to 'popularize' sociology to the general public as broadly as possible. Secondly, in the field of research, following 4 tips are suggested to enhancing the pertinence of Korean Sociology to Korean society ; 1) build and operate the 'Korean Sociology archive', 2) preserve the traditional research areas of Korean sociology such as population studies, sociology of the family, rural (urban) sociology, social survey research method, etc. 3) try to find and develop new field of research as many as possible dealing such areas as environment, medicine, social welfare, sex and gender, unifi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culture, 4) expand international relationship with Japan, China, India, South America, I. S. A., I. I. S. etc.. Finally, in the field of organization of K. S. A. itself, building three independent special committee i. e. 'Educatio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Financial Affairs', suggested for the long term, systematic development of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The future of Korean Sociology and K. S. A. is bright, once all these concrete and easy-to-fulfill proposals are performed sooner or later.

      • KCI우수등재
      • KCI우수등재

        한국사회학회와 사회학연구, 1964-2017년: 한국사회학회 발표 논문의 연구분야별 내용분석

        설동훈,고재훈,유승환 한국사회학회 2018 韓國社會學 Vol.52 No.1

        This paper reviews research outputs in Korean Sociological Association (KSA) 1964- 2017, and identifies the topic trend in the research areas of sociology in Korea. To this end, we collected full text of all the available research papers published/presented at the KSA and analyzed those by dividing into three categories of time spans: 1964-1979, 1980-1999, and 2000-2017. The areas of sociology in Korea are divided into sixteen categories by referring to the Academic Research Area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and the Classification Scheme of Panels in Annual Meeting of the KSA. We conducted the analyses in two steps. First, using classical quantitative content analysis, we classified the total of 4,317 papers into one of the sixteen areas of sociology, and found the changing pattern of research areas. Second, we also applied computer-assisted content analysis‒Structural Topic Model(STM)‒to the text corpus of 4,317 papers, which is a large and structured set of texts. The results of the STM show that the number of topics is 71 in 1964-1979, 65 in 1980-1999, and 74 in 2000-2017. We presented each topic with three key words by each area of sociology. We also conducted text network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of one-mode networks among topics in each area of sociology for each of the three eras, we presented links among the topics. In addition, since there are lots of cases in which a certain topic at a specific era appears simultaneously in several research areas of sociology, we also conducted two-mode network analysis. Through the analysis of two-mode networks among areas of sociology and topics, we found that specific clusters are composed of several areas of sociology in each era. This paper shows the growth, continuity and decline of sixteen areas of sociology, and the changes in research focus in each area of sociology in Korea during the period of 1964-2017. 이 연구는 1964-2017년 한국사회학회에서 출판·발표된 모든 논문의 전문 텍스트 내용을 분석하여 한국 사회학의 연구분야 변동의 양상을 포착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분석 대상 시기는 1964- 1979년, 1980-1999년, 2000-2017년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사회학의 세부 연구분야는 ‘한국연구재단 학술연구분야 분류 표’와 ‘한국사회학대회 정기사회학대회 세션 분류’ 등을 참조하여 16개로 나누었다. ‘고전적 계량 내용분석’에 의해 4,317편의 논문을 16개 연구분야 중 하나로 분류하여, 각 연구분야의 성장·지속·쇠퇴 형태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전체 논문 텍스트 데이터를 이용하여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화된 텍스트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구조적 토픽모델’ 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산출된 토픽의 개수는 1964-1979년 71개, 1980-1999년 65개, 2000- 2017년 74개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는 토픽들을 세 개의 핵심단어로 요약하여 제시하였다. 연구분야별 토픽의 시기에 따른 변동 분석을 통해, 각 연구분야의 성장·지속·쇠퇴의 방향을 확인하고, 각 분야에서 연구초점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설명하였다. 연구분야별·시기별로 토픽들의 일원연결망 분석을 수행하여, 토픽들 간의 연결 방식을 파악하였다. 또한 특정 시기의 어느 한 토픽이 여러 연구분야에 등장하는 사례가 다수 발견되므로, 시기별로 ‘연구분야와 토픽 간 이원연결망’ 분석을 아울러 수행하였다. 이원연결망 분석을 통해, 공통의 토픽을 가진 연구분야들의 집락이 생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논문은 한국 사회학의 16개 연구분야의 성장·지속·쇠퇴 형태와 더불어, 각 분야에서 연구 초점의 변화 양상을 보여준다.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한국사회경제학회 30년의 회고와 전망: 이른바 86세대의 시각

        류동민 한국사회경제학회 2018 사회경제평론 Vol.31 No.2

        이 글은 이른바 86세대의 시각에서 한국사회경제학회의 지난 30년을 회고하고 전망한다. 한국사회경제학회가 진보라는 정체성을 잃지 않으면서도 넓은 의미에서 주류경제학에 속하나 진보적ㆍ자유주의적 입장을 지닌 중견 및 소장 경제학자들과도 소통할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해야 함을 주장한다. This article looks back on the past 30 years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Political Economy from the perspective of so-called 86 generation. It is argued that KAPE should promote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radical economists and liberal economists who are critical of mainstream economic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한국사전학회 20년과 한국 사전학의 과제

        남길임,안의정 한국사전학회 2022 한국사전학 Vol.- No.40

        본 연구는 2003년 한국사전학이 발간된 이후부터 현재까지 『한국사전학』에 등재된 논문들을 분석함으로써 한국의 사전학이 변혁기를 거쳐 온 과정과 발전상을 고찰하고, 이를 통해 한국의 사전학의 발전 방향성을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2003년 한국사전학회의 창립 전후부터 지금까지 한국사전학이 도출한 성과를 양적으로 분석하고(2장), 사전학 관련 논문에서 사전학의 연구 경향을 각각 거시구조적 측면과 미시구조적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3장), 최근 20년간의 연구의 경향성을 분석한다. 이를 통해 본 연구에서는 한국 사전학계가 말뭉치 혁명과 컴퓨터와 IT의 발달, 사용자의 참여 확장 등 사회 변화에 따른 요구를 한국사전학계가 어떻게 수용해 갈 것인지를 함께 논의한다.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사전학』에 등재된 모든 논문이 주요 대상이나, 『한국사전학』 이전에 사전학 전문지로서 관련 주제들을 담당했던 『사전편찬학연구』와 이외 KCI 학술지 중 현대 한국사전학의 주요 성과를 모두 포함한다. 또 분석의 체계는 사전학 이론의 내적 체계인 이론사전학과 사전편찬학의 체계를 따르는 한편, 국내외 사전학계의 주요 연구 동향을 참고하기 위해 한국사전학회, 아시아사전학회, 유럽사전학회의 주요 연구 분야를 고려하여 논의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