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가통계학 교과과정의 개발

        최종후,김기환,진서훈,최보승 한국자료분석학회 2008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0 No.2

        Official statistics is one of infra-structures for national administration and it is even being used for decision making in private companies. Importance of official statistics is getting more and more emphasized. Korean government tries to improve the quality of official statistics through making the laws for obligating to assess the quality of official statistics. However, universities in korea don't have proper curriculum for teaching official statistics. This study is concerned about developing curriculum for teaching official statistics which is suitable for korean circumstance. We have reviewed and compared several cases of education system for teaching official statistics of other countries. Education system of official statistics a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which are government initiated type, university initiated type, and government-university collaborative type. These three types are investigated and a proper type of education system is recommended for korean official statistics education. A proper education system for Korea was proposed based on comparison study of three different type of education. In addiction a case of education of official statistics in Korea was introduced. 국가통계는 국가 행정의사결정의 기반 구조가 되며 기업의사결정 영역에서도 그 중요성이 점차 인지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정부는 국가통계의 품질진단에 관한 내용을 법제화하는 등 국가통계의 질적 수준 제고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렇듯 국가통계의 중요도는 날로 커지고 있지만, 국내 대학 중 국가통계를 커리큘럼에 담고 있는 대학은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차후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국가통계학 교육 커리큘럼 개발을 위한 방안의 하나로 국가통계의 수준이 비교우위에 있는 국외 국가들을 대상으로 국가통계 교육양태를 비교한다. 국가통계 교육양태를 정부 주도형, 대학 주도형, 정부대학 협력형 등으로 구분하였으며 각 양태에 따라 특징적인 커리큘럼과 교육운영 시스템을 비교 연구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국내에 적합한 국가통계 교육양태를 제안하고 현재 국내에 운영되고 있는 국가통계 교육의 사례를 소개하였다.

      • KCI등재

        1990년대 강도 및 철도범죄의 변화추세

        박순진(Park, Soonjin) 한국피해자학회 2003 被害者學硏究 Vol.11 No.1

        This study examines short-term trends in robbery and theft using the Analytical Report on Crimes(official statistics published annually by the Supreme Public Prosecutors' Office) and Crime Victimization Survey(victimization data surveyed every 2-3 years by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While the official statistics showed increasing rates since early 1990s, the victimization data indicated rather decreasing rates. The difference in the trends between the official statistics and victimization data is more obvious in late 1990s, especially since the beginning of economic crisis in 1997. The official statistics and the victimization data can be useful making inference about crime situations in Korea. But the official statistics compiles only the criminal incidents known to the police. The victimization data also has some problems defining and surveying the crime victimization. The study analyses internal consistency of each data and summaries the trends in the rates of robbery and theft since 1990. The rates in official statistics are analyzed by decomposing sub-categories of each crime. Three victimization data are checked their comparability with official statistics. The study concludes that the increase in the official statistics might be taken as a sign of increased reporting.

      • 범죄현상에 대한 경험적 연구 방법론 성찰

        황지태 ( Ji Tae Hwang ) 한국범죄비행학회 2011 범죄와 비행 Vol.1 No.-

        본고는 과학적 범죄학 연구의 기본 토대에 대한 성찰을 목적으로 하였다. 그리고 그 초점은 과학적 인과관계론의 핵심축의 하나인 종속변수, 즉 범죄와 범죄량(혹은 범죄발생량)에 대한 측정의 문제에 두었다. 이는 현재 국내 다수의 범죄학자들이 범죄현상 설명에 있어 범죄를 설명하고자 하는 요인(즉 독립변수)에 대해서는 지대한 관심을 보이면서도 정작 종속변수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둔감한 편이라는 지적을 하는 것이기도 하다. 혹 그러한 평가가 지나친 것이라고 할지라도, 최소한 현 시점에서는 이 문제에 대해 조금이라도 자극적인 환기가 필요하다고 판단한 것이다. 과학적 연구에서 종속변수 측정이 중요하다는 것을 모르는 연구자는 없을 것이다. 그에 대한 측정이 크게 잘못 되어 있을 경우 독립변수를 아무리 정교하게 측정한다고 하더라도 정확한 인과론적 이론을 구축하고 검증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특히 범죄학이론의 최종적인 검증방식은 결국 특정한 요인 (독립변수)이 범죄(종속변수)를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킬 수 있음을 어느 정도라도 보여주는 형식이 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그러하다. 문제는 범죄학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는 현재의 종속변수들이 흔히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불안정하다는 것이고, 이 때문에 수많은 범죄학 연구의 기본 토대부터 흔들리는 현재까지 과학적 범죄학 연구에서 사용할 수 있는 범죄량 증감에 관한 종속변수의 형태는 크게 세가지 범주, 즉 공식범죄통계 자료, 범죄피해자조사 추세 자료, 범죄가해자조사 추세 자료뿐이라고 할수 있다. 적어도 아직까지는 그 외의 것을 생각해 내기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그런데, 작금의 문제는 우리나라에서 최소한 최근 십여간 공식범죄통계 자료에 나타난 범죄발생 추세와 범죄피해조사에서 나타난 추세가 서로 역방향으로 나타났다는 점이다. 공식범죄통계는 증가 중이고, 범죄피해조사 결과는 감소하였던 것이다. 이 문제는 주로 필자의 선행 논문에서 제시했던 문제인데, 어느 것이 실제 진실이 든 간에 이러한 상황은 특정 독립변수가 범죄량 증감에 미칠 수 있음을 보여주고자 시도하는 수많은 범죄학적 분석 연구들을 혼란에 빠뜨릴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판단된다. 선행연구와 달리 본고는 이와 같은 종속변수의 불안정성에 대해 굳이 범죄피해조사 결과를 다시 제시하지 않고, 오로지 공식범죄통계 자체 내의 모순과 균열 지점들을 지적함으로써 이 문제를 재차 환기시키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우리나라 공식범죄통계에서의 이른바 강간범죄와 살인범죄에서 나타난 모순과 균열에 대한 지적이다. 즉 이 두 범죄의 전체적인 발생통계에서는 범죄의 증가현상이 나타나지만 각 범죄 내의 상해사건 혹은 사망사건 통계에서는 범죄의 감소현상이 나타났던 것이다. 이 현상에 대한 해석은 크게 두 가지 방향으로 전개할 수 있다. 그 하나는 그동안 범죄암수로 노출되지 않던 비교적 가벼운 범죄들이 범죄신고율 향상과 범죄통계 입력 의무화 조치 등으로 인해 해가 갈수록 더 많이 노출됨으로써 전체 수준에서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지만, 시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신고율이나 입력률의 변화가 상대적으로 안정될 수 있다고 판단되는 상해사건이나 사망사건과 같이 심각한 유형에 있어서는 범죄가 감소해 왔음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해석하는 것이다. 다른 한 가지 해석은 전체 범죄발생률 통계는 여러 가지 개선책에 힘입어 그 입력률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각 범죄의 하위 카테고리 입력에 있어서는 입력 누락 등의 부실이 해가 갈수록 증대되어 이 같은 현상이 발생하였다고 해석하는 것이다. 현재 법률적으로도 관행적으로도 공개되지 않고 있는 범죄통계 원자료 및 그 입력 과정에 대한 전면적인 정보 개방 없이는 어느 해석이 더 타당한지 검증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 가지 분명한 것은 위 어느 해석의 경우에도 범죄 추세의 실상을 파악하여 과학적 범죄연구를 수행하는데 기여하는 데 있어서는 커다란 문제가 된다는 점이다. 지금이라도 범죄학 연구의 기초부터 제대로 다지게 위한 작업을 본격화해야 함은 물론이다. This paper aims to reflect fundamentally on the methodology of criminology in Korea by showing the discrepancy within Korean official crime statistics, especiaIIy statistics of rape and murder. Nobody who study criminology will not deny that in empirical criminological researches dependent variables(the measurement of crime itself) are very important as weII as independent variables. But during the recent decades there has been serious problems about which is the true trends of crime rate(dependent variables) in Korea. The official crime rates in Korea have increased almost continuaIly, but in the recent results of crime victim survey the crime rates have decreased also almost continuaIly. In such situation, it will be very difficult to study which independent variables mainl-y explain the true cause of crime(or the changes of crime rates) in Korea I think that until now most of Korean criminologists have taken for granted. the approximate buth of the trends of official crime statistics in Korea. If so, it should be the drastic false of crime victim survey in Korea. But I assume the reverse carefully. I think that recent Korean official crime statistics have undergone great quality changes and. they may not be the real trends of recent Korean crime rate. In this paper, I presented the crucial discrepancies within statistics of rape and murder in Korean official statistics system. In overall statistics the crime rates of rape and murder have increased for ten years or more. But in the specific statistics, i.e., incidents including wounded rape victims or incidents of death in murder(In Korean offi.ciaI statistics, the murder crime category includes the incidents in which the victims did not die. It includes failed murder trial!) have decreased almost continuaIly during the same period. There may be two interpretation about such statistics. The one is the possibility of the truth of recent trends which Korean crime victim survey have showd(The declines of crime rates are real). The other is the possibility of terrible and systematic omission of data of subcategories of rape and murder crime report format in the entry stage of procedure of making official crime statistics by policemen, while the overall entry rates having increased. Any of possibilities will be quite matter. H we do not solve such problems, I think the foundation of criminological researches in Korea will be very unstable. So I think it is urgent to solve such problems for the stable methodological condition.

      • KCI등재

        선진국 공식통계의 패러다임 변용에 관한 연구

        전광희(Kwang-Hee Jun) 충남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1 사회과학연구 Vol.22 No.3

        This paper aims to describe a paradigmatic shift in the production of official statistics in developing countries, focusing on two statistical subject matters: population and business or enterprise Paradigmatic shift, as used in the paper, refers to the shift from statistical survey to registers and other administrative data as the data source for the production of official statistics in population and business matters. In the first part, the paper begins to review the development of register-based census in Denmark and Finland, including the historical experience of construction of population and related registers and their first uses in the production of register-based population statistics in Nordic countries. Second, it traces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development of business registers in the US Census Bureau, the UK Office for National Statistics, and Statistics Canada. Third, the paper delineates five preconditions for such a paradigmatic shift: (1) legal basis and data protection (2) social climate favorable to the use of administrative data (3) quality improvement in administrative data and backbone registers and (4) inter-governmental cooperation. Such statistical paradigm shift has critical implication because data from population register, dwelling register, and business register are treated as those from “target” population, and those are “entry” data for the production of official statistics based on sample surveys related to the subject matter. In particular, administrative-purpose data have multiple uses in improving quality of other official statistics, and more frequent use of administrative-purpose or register-based data will contribute to improve the overall quality of official statistics.

      • KCI등재

        패널조사의 통계품질관리에 대한 논의

        김현지,변종석 통계청 2022 통계연구 Vol.27 No.2

        Panel survey is similar to general sample survey in aspect of survey statistics on Statistics Act article 2. Between panel survey and cross-sectional survey, there are noticeable differences which are the survey subjects, sample design, and the handling of the sample etc on account of the character of the repeated measures over time on the sample sampled elements. However, the official statistical quality control system for panel surveys which is managed as approved statistics in Korea is carried out based on general survey statistics. Therefore, it is not easy to answer that the official statistical quality control system which is basis of ordinary survey statistics is good working to capture fundamental improvement of statistic quality for the major issue of panel survey. This paper reviews the concept of official statistical quality control system for survey statistics based on the approved statistics in Korea and investigates the major issues the design and analysis of panel surveys. We suggest diagnostic factors considered the character of panel study to improve the quality of panel survey on the official statistical quality assessment. 패널조사는 통계법 제2조에서 정의된 조사통계 측면에서 일반적인 표본조사와 유사성이 있다. 그러나 최초 구축된 표본을 시간 경과에 따라 장기간 추적 조사한다는 조사방법은 일반적인 표본조사와는 조사대상, 표본설계, 표본 관리 등에서 특성은 현저히 다르다. 국가승인통계로 관리되고 있는 패널조사는 일반적인 조사통계를 위한 품질관리 체계하에서 수행하고 있다. 일반적인 표본조사 중심으로 품질체계가 구성되어 있는 현행 통계품질관리가 패널조사의 여러 특성들을 적절하게 포착하고 있는지, 패널조사의 품질관리 및 개선을 위해 적절하게 작동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쉽게 답하기 어렵다고 생각한다. 본 논문은 패널조사의 통계품질관리에 관한 것으로 통계품질관리의 개념과 진단지표, 패널조사의 특징을 살펴본 후, 패널조사의 품질관리를 위해 현행 통계품질관리에서 반영되어야 할 품질차원별 진단 요소의 보완 내용을 논의함으로써 패널조사를 위한 적절한 품질관리 체계가 필요함을 제안하는 것이 목적이다.

      • KCI등재

        일반인의 통계인식 수준 조사연구

        이부일,이석훈,신지은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3

        Since 2000 enhancement of statistical thinking and understanding of the citizens including the officers of non-statistics major has been set as one of the strategical targets for reinforcement of the official statistical infrastructure. Thus efforts has been made mainly by KOSTAT and official statistics suppliers and it seems to be agreed that much improvement has been done. But this conclusion tends to be made only based on some basic figures like the number of participations in the program and the number of the programs offered. In this paper we set up the research object as the real evaluation of the current level of statistical recognition of the government officers who are supposed to use official statistics. A survey has been carried out using 25 questionnaires we generated and showed the officers would feel pressured in learning statistics related knowledge even though they were eager to learn it with familiarity and they well agreed the statistics were profitable. Also it is known that profitability stimulates the eagerness of learning which implies that profitability of statistics should be more emphasized in the statistical education curriculum. 2000년 이후 우리나라는 통계를 이용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일반 공무원, 언론 종사자, 그리고 여러 매체를 통하여 통계를 접하고 있는 일반 시민에 이르기까지 일반인의 통계인식 제고를 국가통계인프라의 강화를 위한 주요 전략목표 중 하나로 설정하여 왔다. 이에 따라 그 동안 통계청과 주요 국가통계작성기관 등은 일반인의 통계인식 제고를 위한 노력을 꾸준히 진행하고 있다. 많은 사람들은 이러한 통계인식 제고를 위한 노력의 결과로 통계인식이 향상되었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은 실질적인 통계인식 제고를 의미하기 보다는 교육 횟수, 피교육자 수 등의 피상적인 수치와 홍보 노력에 근거한 추측으로 보는 것이 더 타당하다. 본 연구는 이러한 피상적이고 심증적인 추측으로는 현재 진행되고 있는 일반인에 대한 통계교육의 효과를 체계적으로 평가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향후 효과적인 통계교육의 내용, 방향을 결정하기 어렵다는 인식에서 출발하였고, 현재 일반인의 통계인식을 파악할 수 있는 문항을 개발하고, 개발된 문항을 사용하여 일반인의 통계인식 실태 및 수준을 파악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일반인의 통계인식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25개의 문항을 수집 개발하고,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조사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서 일반인의 통계에 대한 유용도, 호감도, 학습열망은 높게 나타났지만 용이도에서는 낮은 것으로 나타나 여전히 통계에 대한 부담을 많이 느끼고 있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유용도가 학습열망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서 통계 유용도 측면을 강화시키는 통계교육의 구성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KCI등재

        융희연간의 통계체계 구축과 농업통계

        서호철 한국사회사학회 2022 사회와 역사 Vol.- No.134

        This article traces the history of government statistics from the Gabo Reform (1894) to the protectorate period (1906~1910), a topic which has not yet been studied. Since the Gabo Reform, “statistics” were defined in regulations as part of the government's routine administr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achievement in government statistics during the Gwangmu era (1897~1907). The traditional bureaucratic reporting system still worked, but little information was published. It was from the Yunghee era (1907~ 1910) that change began. However, this change was led by the Japanese. The Ministry of Finance (Takjibu), which inherited the personnel and know-how of Megata Jūtarō’s (目賀田種太郞) Bureau of Financial Advisers, established a statistical system one step ahead of other ministries and created a small “avalanche” of printed numbers at this time. Since 1908, the Ministry of Finance an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Commerce and Industry (Nongsanggongbu) competitively conducted investigations and compiled statistics. The former mobilized the manpower of the tax collection organization, and the latter mobilized the manpower of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The Takjibu published a number of statistical periodicals, not only for finance, but also for administration as a whole, and the Nongsanggongbu produced brochures about Joseon to attract Japanese immigrants. Of course, these early statistics, especially agricultural statistics, were very inaccurate and incomplete. The investigators were barely trained, and sampling and investigation at the survey site were unlikely to have been carried out properly. The people had little understanding of surveys and statistics, and above all, the fact that the expansion of surveys and statistics was linked to the progress of colonization would have served as a major limitation. 이 글은 지금껏 연구된 바 없는 갑오개혁기부터 보호국기까지의 정부통계에 대한 것이다. 갑오개혁 이래 ‘통계’는 정부의 일상적 문서행정의 일부로 규정되었으나, 고종 재위 동안에는 이렇다 할 성과가 없었다. 전통적 관료제의 보고체계도 여전히 작동했지만, 그런 정보들은 거의 공간되지 않았다. 상황이 바뀌는 것은 순종 즉위 이후, 일본 세력에 의해서다. 메가타 쥬타로 재정고문부의 인력과 노하우를 물려받은 탁지부가 한발 앞서 통계체계를 구축하고, 인쇄된 숫자의 작은 ‘쇄도’를 만들었다. 1908년부터 탁지부는 징세기구의, 농상공부는 지방행정기관의 인력을 동원해서, 경쟁적으로 조사를 하고 통계를 집계했다. 탁지부는 재정뿐 아니라 행정 전반에 걸친 통계서를 다수 간행했고, 농상공부는 일본인 이민 유치를 위해 한국 사정을 소개하는 책자들을 제작했다. 물론 초창기의 통계, 특히 농업통계는 매우 부정확·불완전했다. 조사원의 훈련도 없었고 현장에서 표본추출과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졌을 것 같지도 않다. 조사와 통계에 대한 일반의 이해가 부족했고, 무엇보다 조사·통계의 확장이 식민지화 과정과 맞물려 있었던 점이 큰 한계가 되었을 것이다.

      • KCI등재

        공식통계의 추론통제 전략

        이덕성(Duck-Sung Lee),최인수(In-Soo Choi)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9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14 No.11

        정부와 지역사회를 위해 나라에서는 공식통계를 수집하는데, 이러한 공식통계는 정부 정책이나 프로그램의 유효성을 평가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따라서 공식통계는 정확한 사실을 바탕으로 수집되고 공표되어야 한다고 본다. 정확하지 못한 공식통계는 정부 정책이나 프로그램의 평가를 그르치게 하기 때문이다. 오늘날 여러 통계기관이 주가 되는 공식통계 전달 매체로서 집계기능을 발휘하는 OLAP 데이터 큐브를 채택하고 있는데, 이러한 데이터 큐브에서의 기밀을 보호하는 것도 아주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왜냐하면 데이터 큐브가 악의적 추론을 당하게 되면 데이터 큐브에서 기밀유지를 해야 할 중요부분이 누설될 수 있기 때문이다. 저자들은 먼저 정확한 큐브를 작성하게 하고 큐브에서의 기밀누설을 막을 수 있는 OLAP 데이터 큐브에서의 추론통제 프로세스를 제안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추론통제 프로세스를 사용하여 공식통계의 추론통제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정부의 특허경비지원사업을 사례로 삼고 있다. Official statistics which are collected for governments and the community can be used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governments' policies and programs. Thus, official statistics should be collected and presented based on correct findings. Erroneous official statistics will lead to lower quality results in assessing those policies and programs. Many statistical agencies, today, use on-line analytical processing (OLAP) data cubes which support OLAP tasks like aggregation and subtotals as a key part of their dissemination strategy of official statistics. Confidentiality protection in data cubes also should be made. However, sensitive parts of data cubes including micro data may be disclosed by malicious inferences. The authors have suggested an inference control process in OLAP data cubes which preventing erroneous cube creating and securing cubes against privacy breach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strategy for inference control of official statistics using the inference control process by taking the case of the Patent Application Expense Support Project.

      • KCI등재

        개발도상국 통계역량강화를 위한 국제개발협력 현황 및 정책적 시사점

        진유강(Youkang Chin) 국제개발협력학회 2011 국제개발협력연구 Vol.3 No.2

        Sound national statistical system,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infrastructures of a country to produce and disseminate high-quality official statistics and to utilize it in the process of policy-making. The needs of strengthening national statistical system have been highlighted since most countries were committed to achieving the Millennium Development Goals in 2000. Since then, the international statistical and development communities began to initiate global statistical activities of supporting the countries with weak national statistical capacity by establishing PARIS21, Global Trust Fund for Statistical Capacity Building and by adopting Marrakech Action Plan for Statistics. Apart from these major global initiatives, donor countries and regional development banks have conducted a series of technical cooperation projects assisting developing countries to improve their national statistical system, which is relatively new in Korea as one of the emerging donors of OECD DAC. This article explains how the international communities have developed the agenda and expanded the activities for strengthening statistical capacity over the last decade and presents major programs for developing countries. This article also analyzes whether such global efforts have made a difference and suggests the way forward to enhancing statistical capacity building of developing countries.

      • KCI등재

        식민지시대 대만에 있어서의 통계시스템의 정착과 그 역사적 조건

        문명기(Moon, Myung-ki)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4 역사문화연구 Vol.50 No.-

        본고는 일본의 식민지 중 하나일 뿐만 아니라 이후 일본 식민통치의 모델로도 기능했던 대만에 대한 통치와 통계의 상호연관성을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식민제국 일본의 식민지 통치의 실상에 좀 더 다가가고자 했다. 특히 조선과 달리 일본의 대만 통치에 관해서는 성공을 강조하는 경우가 유독 많은데, 본고는 대만통치 성공의 원인의 하나를 통계시스템의 정착 및 확산에서 찾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1) 총독부관료의 통계와 관련된 인식과 실천의 문제, 2) 통계시스템의 정착과 지방행정 개편과의 관련, 3) 통계시스템이 실제로 활용된 사례로서의 臨時臺灣戶口調査(1905년)와 토지조사사업의 상호 연관성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했다. 그 결과 대만에 있어서의 근대적 통계시스템의 도입과 정착에는 과학적 조사와 연구를 통한 '문명'의 이식을 열망한 고토 심페이 등 식민지관료의 열정이 중요한 배경을 이루고 있었다는 점, 통치 초기부터 비교적 정확한 통계자료를 양산하는 데는 통계시스템 자체의 정비 못지않게 정확한 통계 산출을 강제할 수 있는(주로 경찰력을 중심으로 한) 지방행정체제의 정비, 특히 기층 주민조직의 정비가 큰 역할을 했다는 점, 그리고 통치 초기의 토지조사사업과 임시대만호구조사 등의 각종 조사사업은 완성도 높은 통계시스템과 통계자료 생산의 중요한 계기가 되었다는 점 등을 확인했다. 다만 '작은 메이지유신'이라 불릴 만큼 대만 통치에서 거둔 식민제국 일본의 '성취'는 그 과정에서 대만 주민을 철저히 타자화하는 '이성의 독재'이자 '문명의 虐政'의 결과라는 점, 그리고 식민지배 과정에서 훼손된 주체성을 회복하려는 노력이 식민지시대 이래 현재까지 진행되어온 조선의 사례와 분명한 대조를 이룬다는 점도 동시에 고려할 필요가 있다. This article aims to approach the historical reality in more practical way by pursu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colonial government and the statistics in colonial period. Unlike Korea under Japanese rule, government of Taiwan by Japanese Colonial Empire is evaluated to have been successful, therefore this article tries to explore the historical causes of that phenomenon, especially by describing the reality of establishment and spread of statistics system. For this purpose, I focused on three points: 1) the colonial officials' theories and practices on governing Taiwan 2) settlement of the statistics system and its relation to the reform of local administration and 3) the relationship between census in 1905 and land survey. As a result, I found: 1) behind the successful establishment and spread of statistics system lies colonial officials' passion and interest in the statistics and scientific research 2) reform of local administration(especially reform of police system) was more important than the statistics system itself in producing accurate statistic materials and 3) land survey and census in 1905 set the foundation for the more complete statistics system. But the achievements of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in Taiwan was paid high price, especially in that the Japanese marginalized Taiwan People. We can call japanese' rule of Taiwan 'rational dictatorship' or 'civilizational tyranny', and this is sharply contrasted with the case of colonial experience of Korea, which has tried strenuously to revive the subjectivity damaged by the Japanese colonial ru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