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서울의 똥오줌 수거체계의 형성과 변화

        서호철 서울역사편찬원 2016 서울과 역사 Vol.- No.93

        In the absence of the flush toilet and the sewage disposal system, the night soil disposal troubled municipalities. But human waste had been used as fertilizer until the early 20th century. In Seoul, the farmers of suburban villages or the night soil peddlers picked human waste up for free until the end of the 19th century. After Gabo Reform the City of Seoul tried to introduce the night soil peddler's license and assign business districts. Since 1904 the night soil disposal began to be municipalized. Hanseongwisaenghwoe(漢城衛生會), a hygiene association led by Japanese denizens of 1908 was the completion of this system. The residents of Seoul were charged the monthly fee for the association’s exclusive collecting of human waste, and the association sold the human waste to suburban farmers. In 1914, the human waste disposal business was taken over by the City of Seoul. Now, collecting fees were abolished, and the collection costs were covered by the current budget of the city. The cost for the human waste and garbage collection accounted for 81% of recurring expenditures of Seoul in 1914, and exceeded 50% of the current expenditure over the second half of 1910s. On the other hand, the trade of the collected human waste as compost was always dull. The human waste and garbage disposal was one of the most important business in Seoul in colonial period, and controversy over area and ethnic discrimination, corruption allegations continued concerning this business. Key Words human waste disposal system, fertilizer, hygiene, Seoul, colony 도시지역의 재래식 변소에서 똥오줌을 수거・처분하기란 꽤 번거로워서 결국 시 당국의 행정적 개입이 요구된다. 그래도 20세기 전반까지는 똥오줌은 거름으로 쓰였다. 19세기말까지 서울의 똥오줌은 근교 농민이나 전업 똥장수가 무상으로 가져갔는데, 갑오개혁 이후 똥장수에 대한 구역 지정과 면허제가 시도되었다. 1904년부터 유상수거・유상처분 방식의 시영화가 시작되었고, 그것은 1908년 관제 위생조합인 ‘한성위생회’ 체제로 굳어졌다. 일본인 세력이 주도한 ‘한성위생회’는 한성부 전주민에게서 준조세 성격의 위생비를 징수하는 한편, 수거한 똥오줌을 근교 농민에게 독점판매해서 양쪽으로 이익을 보았다. 1914년 한성위생회가 해체되고 경성부가 사업을 인계하여 똥오줌 수거를 완전히 시영화했다. 무상수거・유상처분 방식이었고, 수거비용은 경성부 예산으로 지출했다. 쓰레기 수거까지를 포함한 ‘오물소제비’는 1914년 경성부 경상지출의 81%를 차지했고 1910년 후반 내내 경상지출의 50%를 상회했다. 반면, 모은 똥오줌을 거름으로 파는 사업은 내내 부진했다. 쓰레기・똥오줌 치기는 식민지기 경성부의 가장 중요한 사업 중 하나였고, 지역과 민족 차별 논란, 부정 의혹 등 잡음도 가장 많은 사업이었다.

      • KCI등재

        식민지기 인권의 제도화와 담론

        서호철 한국사회사학회 2019 사회와 역사 Vol.0 No.124

        Human rights are defined as each individual’s natural rights, but in reality they cannot be properly guaranteed outside the hedge of a state. With the colonization, Korea’s dream of a virtuous circle in which human rights and national sovereignty strengthen each other was thwarted. The absolute task at that time was national liberation. However, it could not solve all of the human rights problems of Koreans under the colonial rule. This research presents a rough sketch of the institutionalization and discourses of human rights during Korea’s colonial period, which has not received much attention so far. The human rights of Koreans were not guaranteed by the Meiji Constitution. Koreans were oppressed with their political rights and suffered social discrimination. On the one hand, however,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made in terms of criminal proceedings and the punishment was mitigated, and at least in principle, torture of the interrogation process was banned. Of course, the police investigation was still notorious for harsh torture and the Korean suspect suffered a long detention, but now it was an ‘illegal practice.’ Korean newspapers kept trying to report human rights issues and the reality of discrimination against Koreans despite strict censorship. Not only ethnic discrimination, but also the estate system of the Joseon Dynasty and the discriminatory ethics based on it were criticized. Through the negative cliche of ‘human rights abuses’ and ‘depersonalizing’, the concept of human rights has penetrated into everyday life. 개인의 타고난 자연권이라고 정의되는 인권은, 현실적으로는 국가의 울타리 없이는 제대로 보장받을 수 없다. 그러나 자주독립국가의 건설을 통한 ‘인권’·‘민권’ 과 ‘국권’의 선순환이라는 꿈은,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면서 좌절되었다. 민족이 존망의 위기에 처한 때의 지상과제는 당연히 국권 회복이었지만, 식민지지배하의 인권 문제는 그것으로 다 환원될 수 없었다. 이 글은 지금껏 주목받지 못한식민지기 인권의 제도화와 담론의 지형에 대한 거친 스케치다. 조선인의 인권은메이지헌법의 권리장전으로 보장받지 못했다. 정치적 권리의 억압과 각종 차별은당연히 예상할 수 있는 바였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근대적 형사소송 절차가정립되고 형벌이 완화되었으며, 법규상으로는 고문이 금지되었다. 물론 여전히 경찰 수사는 가혹한 고문으로 악명 높았고 피의자는 오랜 구류에 시달렸지만, 이제적어도 그것은 ‘불법’이었다. 조선어 신문들은 조선인의 인권 문제와 차별의 실상을지속적으로 담론화했다. 이민족의 지배와 차별뿐 아니라 조선시대의 신분제와 그것에 기초한 綱常의 차별적 윤리도 비판의 대상이 되었다. ‘인권 유린’, ‘인격 무시’ 라는 부정적 상투어를 통해서나마, 인권 관념은 일상에 스며들었다.

      • KCI등재

        ‘七情’에서 ‘感情’으로 — 감정 관련 번역어의 수용과 사용

        서호철 한국사회사학회 2018 사회와 역사 Vol.0 No.118

        The words ‘感情(gam-jeong)’ and ‘情緖(jeong-seo)’ meaning ‘emotion’, were coined in the late 19th century when the Japanese started to translate Western philosophical and psychological works. The trichotomy of ‘reason’, ‘emotion’ and ‘will’ were rather unfamiliar in East Asia. Such words as ‘情(jeong)’ or ‘七情(chil-jeong, seven emotions)’, among traditional lexicon, can be viewed to be close to ‘emotion(s)’. The word ‘感情’ was introduced to Joseon through academic journals and articles since Yoo Kil-jun’s Seoyugyeonmun(1895). In 1910s, Lee Gwang-soo claimed that realistic descriptions of emotions should be the core of modern literature. Meanwhile, in other areas, such as newspaper articles, ‘感情’ was often used to mean the (negative, in many cases) attitude of one nation or ethnic race toward another. It wasn’t until the late 1920s that such new words as ‘感情’ and ‘情緖’ were entered into dictionaries of various kinds. However, the exact connotations of ‘感情’ used in the area of literature and international politics was slightly different and did not correspond to psychological definitions or dictionary meanings. This may be due to the polysemic characteristic of the Chinese character ‘情’. This might also be attributed to the traditional system of thought interfering with the imported one, or to the Japanese impact on the Korean language during the colonial rule. The meanings of ‘感情’ and ‘情緖’ used now in our daily lives seem to be settled in such a way. As Ludwig Wittgenstein pointed out, we learn the meanings of a word not by referring to the dictionary but by learning how and when to use them in our daily lives. More attention should be paid to the problems of use in the study of concept words. 감정·정서 같은 말은 19세기 후반 일본에서 서구 철학·심리학 저작들을 번역하면서 만들어졌다. 이성·의지와 구별되는 감정 개념은 동아시아에서는 낯설었지만, 전통적 어휘 가운데 그나마 비슷한 것으로는 情이나 七情을 들 수 있었다. 조선에는 유길준의 『서유견문』(1895) 이래 학회지와 논설을 통해 심리학의 감정 개념이 소개되었다. 감각적·감정적 존재로서 개인의 자각은 중요한 근대화의 과제로 부각되었고, 1910년대 이광수는 (感)情의 표현을 근대문학의 핵심으로 내세웠다. 그러나 그런 정이란 무척 다의적으로 해석될 수 있었다. 한편 『황성신문』 이래 신문 기사에서 감정은 한 국가나 민족이 타자에 대해 갖는 태도를 가리켜 사용되기도 했다. 감정·정서 등의 신조어가 여러 종류의 辭典에 확실히 등재되는 것은 1920년대 후반 이후의 일이다. 그러나 문학과 국제정치의 영역에서 사용되는 감정의 개념은 각기 달랐고, 심리학적 정의나 사전적 의미와도 맞지 않았다. 지금 우리가 쓰는 감정·정서라는 말의 의미는 그런 과정을 거쳐 정착되었다. 우리는 사전적 의미를 익혀서가 아니라 일상에서 그 말을 언제 어떻게 사용할지를 배움으로써 그 말의 의미를 알게 된다. 개념어의 연구에서 사용의 문제에 조금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융희연간의 통계체계 구축과 농업통계

        서호철 한국사회사학회 2022 사회와 역사 Vol.- No.134

        This article traces the history of government statistics from the Gabo Reform (1894) to the protectorate period (1906~1910), a topic which has not yet been studied. Since the Gabo Reform, “statistics” were defined in regulations as part of the government's routine administration,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achievement in government statistics during the Gwangmu era (1897~1907). The traditional bureaucratic reporting system still worked, but little information was published. It was from the Yunghee era (1907~ 1910) that change began. However, this change was led by the Japanese. The Ministry of Finance (Takjibu), which inherited the personnel and know-how of Megata Jūtarō’s (目賀田種太郞) Bureau of Financial Advisers, established a statistical system one step ahead of other ministries and created a small “avalanche” of printed numbers at this time. Since 1908, the Ministry of Finance and the Ministry of Agriculture, Commerce and Industry (Nongsanggongbu) competitively conducted investigations and compiled statistics. The former mobilized the manpower of the tax collection organization, and the latter mobilized the manpower of local administrative agencies. The Takjibu published a number of statistical periodicals, not only for finance, but also for administration as a whole, and the Nongsanggongbu produced brochures about Joseon to attract Japanese immigrants. Of course, these early statistics, especially agricultural statistics, were very inaccurate and incomplete. The investigators were barely trained, and sampling and investigation at the survey site were unlikely to have been carried out properly. The people had little understanding of surveys and statistics, and above all, the fact that the expansion of surveys and statistics was linked to the progress of colonization would have served as a major limitation. 이 글은 지금껏 연구된 바 없는 갑오개혁기부터 보호국기까지의 정부통계에 대한 것이다. 갑오개혁 이래 ‘통계’는 정부의 일상적 문서행정의 일부로 규정되었으나, 고종 재위 동안에는 이렇다 할 성과가 없었다. 전통적 관료제의 보고체계도 여전히 작동했지만, 그런 정보들은 거의 공간되지 않았다. 상황이 바뀌는 것은 순종 즉위 이후, 일본 세력에 의해서다. 메가타 쥬타로 재정고문부의 인력과 노하우를 물려받은 탁지부가 한발 앞서 통계체계를 구축하고, 인쇄된 숫자의 작은 ‘쇄도’를 만들었다. 1908년부터 탁지부는 징세기구의, 농상공부는 지방행정기관의 인력을 동원해서, 경쟁적으로 조사를 하고 통계를 집계했다. 탁지부는 재정뿐 아니라 행정 전반에 걸친 통계서를 다수 간행했고, 농상공부는 일본인 이민 유치를 위해 한국 사정을 소개하는 책자들을 제작했다. 물론 초창기의 통계, 특히 농업통계는 매우 부정확·불완전했다. 조사원의 훈련도 없었고 현장에서 표본추출과 조사가 제대로 이루어졌을 것 같지도 않다. 조사와 통계에 대한 일반의 이해가 부족했고, 무엇보다 조사·통계의 확장이 식민지화 과정과 맞물려 있었던 점이 큰 한계가 되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