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이후 시민사회의 역사적 형성과정과 성격(1945-1953)

        이혜숙 ( Hye Sook Lee ) 한국사회사학회 2014 사회와 역사 Vol.0 No.102

        시민사회 형성의 과정과 그 구체적인 모습은 국가마다 다르며 한국의 시민사회도 독특한 역사적 경로를 거치면서 발전되어 왔다. 한국 시민사회 형성의 역사적전개과정과 특성에 대한 이해는 시민사회의 성장과 민주화를 위한 출발점이다. 이글은 해방이후 미군정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형성된 국가와 시민사회 관계의 역사적 구조화 경험을 살펴보고 이를 시민사회의 재편과 저발전과 관련지어 보았다. 해방직후 팽창되었던 시민사회는 미군정기를 거치면서 급속히 위축, 재편되었고 한국전쟁은 시민사회의 저발전을 가져오는데 영향을 미쳤는데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민사회의 제도화 면에서 미군정기는 자유민주주의가 제도화됨으로써 시민사회 형성의 법적·제도적 기반을 이룬 시기였으나 시민사회 형성에 외부의 영향력이 크게 작용했으며 제도와 시민사회적 기반의 괴리를 가져왔고 시민사회가 재편되었다. 정부수립 이후에는 국가주의의 바탕 속에서 ‘국민’ 형성이 강조됨으로써 개별 ‘시민’으로서의 권리는 무시되었다. 둘째, 시민의식과 시민문화 면에서 한국전쟁은 가족주의와 연고주의, 편법주의와 기회주의, 물질만능주의, 반공이데올로기의 내면화를 가져옴으로써 시민사회적 기반이 되는 시민의식 및 시민문화의 위축을 가져왔다. 셋째, 조직적 기반과 활동 면에서 한국 시민사회는 분단국가 형성과 한국전쟁을 거치면서 국가 및 반공에 기반한 관변단체들에 의한 동원과 감시·통제 현상이 많아지고 다양한 자율적 조직 기반이 파괴되었다. 따라서 해방이후 한국의 국가와 시민사회는 구조적 불균형을 드러내었는데 무엇보다도 한국의 국가가 전쟁을 통해 대폭 강화된 것에 비해 한국의 시민사회는 자율성과 다양성의 기반이 약해진 것이다. 오랫동안 지속되었던 한국에서의 국가의 우위현상과 권위주의 국가, 시민사회의 저발전, 한국 시민사회의 성격은 미군정기와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형성된 한국 시민사회 형성의 역사적 특수성과 관련된다. The formation process of civil society goes through a unique historical path. It is the starting point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evolution of civil society in order to foresee the growth of civil society and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in Korea.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process of historical formation of civil society in connection with the rule of American occupation and Korean War. Conclusions are as follows First, liberal democracy was institutionalized during the period of American occupation. But the explosion of civil society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weakened in the collapse of civil society. Besides, Korean War led to the underdevelopment of civil society. ‘Nation’ was emphasized and individual ‘citizenship’ was ignored. Second, Korean war has brought familism, opportunism, materialism and anticommunism. So it was difficult to form civic consciousness and civic culture. Third, mobilization and social control were enhanced by Korean state and pro-governmental organizations. Various voluntary organizations were destroyed. With structural imbalance in the state and civil society, Korea came to have the sociopolitical conditions vulnerable to the rise of authoritarian state. The strong state over weak civil society in contemporary Korea was closely associated with the historical experience during the American occupation and Korean War.

      • 한국 근대 민간사회복지 연구 동향과 과제 : 관련 저서를 중심으로

        이방원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20 사회복지역사연구 Vol.3 No.-

        본 논문은 사회복지역사 개설서와 한국 근대(1876-1945) 사회복지에 관한 심화된 연구서의 내용 분석 을 통해 한국 근대 민간복지의 연구동향을 분석한 연구이다. 먼저, 한국 근대 사회복지에 대한 내용이 수록된 21종의 사회복지역사 개설서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 서구 중심의 선진국 사회복지 변화의 한 부분으로 한국의 사회복지 변천을 살펴보고 있어 한국 복지의 변천을 집중적으로 살펴보는 것에는 한계가 있었다. 본 연구 대상인 근대 민간복지 부분에 대한 서술은 한국 최초의 사회복지역사서라고 할 수 있는 구자헌의 한국사회복지사 이후 최근 출간된 사회복지역 사 개설서까지 서술 내용은 크게 발전되었다고 볼 수 없다. 또한 각 저서에 소개된 민간복지 기관의 기 본정보가 잘못 서술된 것이 종종 눈에 띈다. 한국 사회복지역사 연구가 집적되고 있는 현 시점에서 내 용 보완 및 수정에 대해 앞으로 전면적인 고민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한국 근대 사회복지에 관해 이전 사회복지역사 개설서와 차별되는 심화된 내용이 수록되어 있 는 홍금자, 안상훈 외, 박정란, 오토모, 이방현 외의 저서 5개를 분석했다. 5종의 저서를 통해 한국 근 대 민간복지에 대한 시대구분 및 개관, 각 시기에 존재하였던 주체, 대상, 민간복지 기관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었고, 주요 기관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활동의 내용과 그 평가를 읽을 수 있었다. 그러나 각 저자마다 활용 사료의 범주가 상이하고, 관점의 차이로 서술의 내용과 평가에도 차이가 나타난다. 앞으 로 한국 근대 민간복지의 주체별, 분야별, 지역별 연구가 다양한 각도에서 이루어져 연구자들 간에 존재 하는 차이의 간극을 메꾸어 나가고, 한국사회복지역사의 비어 있는 내용들이 채워지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modern Korean private welfar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opening of the social welfare history and the in-depth research on modern social welfare in Korea(1876-1945). First of all, the analysis of 21 types of social welfare history books containing information on social welfare in modern Korea showed that there was a limit to focusing on the transformation of Korean welfare as it was part of the social welfare changes in advanced countries centered on the West. The description of the modern private welfare section,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cannot be considered to have been greatly improved since Koo Ja-heon's "Korean Social Welfare History," the first Korean social welfare history book. It is also often noticeable that the basic information of private welfare institutions introduced in each book is misrepresented. In a situation that research on Korean social welfare history is being concentrated, it is necessary to consider supplementing and revising the contents. Next, five books on modern social welfare in Korea written by Hong Keum-ja, Ahn Sang-hoon, Park Jeong-ran, Otomo, and Lee Bang-hyun which are different from previous social welfare history books were analyzed. The five books provided information on the classification and opening of modern Korean private welfare, subjects, and private welfare institutions that existed during each period, and detailed activities and evaluations of major institutions were read. However, differences in the content of the description and evaluation are seen due to differences in each author's perspective and each author using a different category of utilization feed. Through future research, it is believed that evaluation of modern Korean private welfare by subject, sector, and region should be conducted from various point of view.

      • KCI등재

        한국사회사학 30년의 성과와 과제

        정근식 ( Keun-sik Jung ) 한국사회사학회 2013 사회와 역사 Vol.0 No.100

        한국사회사연구회는 1980년에 창립되고, 1996년 한국사회사학회로 개칭된 이래 현재까지 30여 년간 활동하면서, 사회학과 역사학의 강점을 흡수하여 한국사회를 설명하는 하나의 학문 분야로서의 사회사를 발전시키는데 기여하여왔다. 이 학회의 결성은 1980년대 한국의 대학구조의 변화와 인문사회과학의 학문적 전환을 반영하는 것이다. 이 학회는 1986년부터 1996년까지 사회사연구회논문집 50권, 1997년부터 2013년까지 사회와 역사 50권 등 총 100권의 학술지를 발간하면서,식민지 근대성이나 탈식민 국가형성에 관한 이론적 탐구를 주도하였다. 그러나 점차 악화되고 사회적 환경하에서 한국사회사학회는 많은 도전을 받고 있다. 학회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학문적 의제설정능력을 강화하고, 일국사적 접근을 넘어서서 지역사적, 지구적 접근을 통해 역사적 경험의 이론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Korean Social History Association (Hankook Sahoesa Yonguhoe) has been established in 1980 and renamed as Hankook Sahoesa Hakhoe in 1995. This academic association has been contributed to the reformulation of Social History as a discipline, absorbing the combined strengths of Sociology and History. The formation of this association was a reflection of the big turn of Korean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fluenced by 1980’s democratic movement, and has been helped by the expansion of Korean University System and the development of the printing industry. Korean Social History Association has published one hundred volumes of his academic Journal, including Collected Papers Journal 50 volumes and Society and History 50 volumes. Main academic agenda, Colonial modernity and Post-colonial state building has been suggested and reformulated in this academic association’s 30 years activities. However, under the more degenerating social condition, Korean Social History Association is confronted by many academic and institutional challenges. For the renovation and sustainable development of the Korean Social History,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the agenda setting capacity and theory oriented approach, accepting the regional and global scale beyond the nation-state scale.

      • 고트프레드 레키보(Gotfred Rekkebo)의 『한국 사회사업 1955~1965』 고찰

        최원규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18 사회복지역사연구 Vol.1 No.1

        이 글은 노르웨이 부제(deacon)이자 간호사·사회사업가로 1955년부터 1972년까지 한국에서 활동한 고 트프레드 레키보(Gotfred Rekkebo, 1911~1993)의 사회사업 관련 활동에 관한 것이다. 그는 1950년 에 발발한 한국전쟁에 간호사로 파견되었다. 그는 현임 사회사업 종사자를 대상으로 개별사회사업 (social case work) 훈련을 실시하였다. 그들을 병원, 고아원, 지역사회복지관 등에 파견하고, 그들에 대한 슈퍼비젼을 제공하였다. 1959년에는 그가 훈련시킨 개별사회사업가들과 함께 한국개별사회사업가 협회(Korea Case Workers’ Association)를 만들어 1967년 한국사회사업가협회 발족의 한 축을 담당 하였다. 17년(1955-1972)에 달하는 한국에서의 레키보의 활동은 한국 사회사업가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기여로 평가되는데, 특히 병원 기반의 의료사회사업의 출발을 이룩한 것은 주목할 만하다. 서울 마 포와 전남 목포 등지에서 그의 활동은 오늘날 수백개에 이르는 지역사회복지관 사업의 원형으로 자리매 김할 수 있다. 아울러 목포에서의 MAVA의 결성은 지역사회복지 증진을 위한 네트워크의 형성이라는 점에서 그 의미가 각별하다. 한편 교육훈련의 방법론과 관련하여 볼 때, 현장의 사례들에 대한 토의를 중심으로 한 그의 노력은 실용적, 실천적 사회사업 교육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는 이론교육 중심이 라는 비판을 받아 온 한국 사회사업 대학교육과는 대비되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on Gotfred Rekkebo’s social work activities in Korea from 1955 to 1972. He was a deacon, a nurse, and a social worker from Norway. He was sent to Korea as a nurse during Korean War of 1950. He conducted social work training for the active social workers. He dispatched them to hospitals, orphanages, community welfare centers, and provided them with a supervision. In 1959, he created the Korea Case Workers' Association, along with individual social workers who were trained by him. He was responsible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in 1967. 17 years(1955-1972) of Rekkebo’s activities in Korea could be evaluated as a contribution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Korean social workers. It is also noteworthy that the start of the hospital-based medical social work in Korea had been achieved by his endeavors. His activities in Mapo area in Seoul and Mokpo city in Chonam province could be regarded as the prototypes of hundreds of community welfare centers. In addition, the formation of MAVA in Mokpo city was considere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was a network for promoting community welfare. On the other hand, in relation to the methodology of social work education and training, it could be concluded that his efforts centered on discussion of cases in the field were a practical method of social work education. This was contrasted with the Korean social work education, which had been criticized as the theoretical education centered.

      • KCI등재

        “2미터를, 3미터를 더 간 다음에” -『사회와 역사』 100집의 발자취와 과제

        서호철 ( Ho-chul Seo ) 한국사회사학회 2013 사회와 역사 Vol.0 No.100

        1980년 설립된 한국사회사연구회가 발간하는 학술지사회와 역사 가 2013년 겨울호로 통권 100집을 맞았다. 1986년부터 1996년까지는 부정기간행물인 『한국사회사학회논문집』 형식으로 간행되었는데, 한국학의 경험적 연구성과를 집적하며 학문의 주체성을 추구하는 새로운 시도로 창간 당시부터 학계와 언론의 큰 주목을 받았다. 이후 학회 내부의 요구와 학계 상황의 변화에 따라 1997년부터 지금과 같은 형태의 학술지 사회와 역사로 체제를 바꾸었으며, 2006년부터 반년간에서 계간으로 바꾸어 발간했다. 사회와 역사는 인접학문과의 교류 속에 외연을 크게 넓히면서 한국의 사회사·역사사회학 연구, 그것의 ‘문화적 전환’을 주도하고 있다. 그러나 한국 학계가 양적 경쟁과 신자유주의적 시장상황으로 바뀌어가는 가운데학술지의 주도적 기획력, 학문적 의제 설정 능력이 둔화되고 있지 않나 우려된다. Society and History, published by Korean Social History Association(KSHA), reaches the 100th issue in this volume(Winter 2013). From 1986 to 1996, Society and History has be en in existence in the form of The KSHA``s Collected Papers, more like edited books in a way. The Collected Papers celebrated its 50th volume in 1996, and was changed into the present journal, Society and History since 1997. Society and History was a biannual journal at first, and it has been issued quarterly from the 69th issue(Spring 2006). This scholarly journal has been exploring the social history and the historical sociology in the broadest interdisciplinary sense, and continues to be one of the most exciting and influential resources for scholars in history and the social sciences in Korea. However, under the current neo-liberalistic higher education policy and quantitative evaluation system on researchers performance, Society and History and KSHA are confronted by many internal and external challenges. Above all, Society and History should develop its faculty to set and lead academic agenda.

      • KCI등재

        강한 사회학자 결속, 약한 사회학적 지향 ― 학술지<사회와 역사>에 나타난 한국 사회사/역사사회학의 분과성과 학제성(2008-2018)

        박천웅 ( Park¸ Chunwoong ) 한국사회사학회 2021 사회와 역사 Vol.- No.131

        이 연구는 학술장의 분과성과 학제성을 이론화하고, 한국 사회사/역사사회학이라는 학술장에서 분과성과 학제성이 어떻게 구조화되어 있는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 사회사/역사사회학은 한국근현대사의 여러 사건과 그에 관한 서사와 담론을 분석, 설명하는 사회학의 한 세부 분야이자, 사회학이라는 분과 학문 분야 외부의 연구자들이 한국근현대사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는 학제 연구의 장이다. 이는 사회사/역사사회학이 내적으로는 사회학이라는 분과 학문 속에서 이론적, 방법론적 정통을 둘러싼 투쟁으로 구조화된 장이면서도, 외적으로는 사회학 이외 학문 분야에 의해 관계적으로 형성되는 장 사이의 공간이라는 점을 가리킨다. 사회사/역사사회학이 어떤 방식으로 분과성과 학제성에 의해 구조화되었는지를 보여주기 위해 학술지 <사회와 역사> 2008년의 77호부터 2018년 120호 사이 발표된 381편 논문의 저자, 인용 문헌의 유형과 숫자, 주요어와 발표자 연결망, 인용한 학술지의 학문 분야 등을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식민주의, 냉전 등 20세기 한국 근현대사회의 변동을 연구하는 사회학자들이 <사회와 역사>의 주류 연구자인 반면, 이들 연구자들이 인용하는 문헌의 유형과 분야가 사회학뿐만 아니라 여타 사회과학 제 분야, 역사학, 어문학을 아우르는 경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 결과를 토대로, 이 글은 한국 사회사/역사사회학의 학술장이 사회학 연구자들의 강한 결속이라는 분과성과 약한 사회학적 연구라는 학제성을 동시에 가진 특징이 있다고 주장한다.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truggle for disciplinary citizenship in sociology melds with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sociology in the field of Korean historical sociology. It analyzes how these two aspects counterintuitively manifest in the academic journal Society and History from 2008 to 2018. As a leading journal for historical sociology in South Korea, Society and History provides evidence of the evolutionary changes in the field and presents substantial evidence of sociology as an interdisciplinary field that weds the ideas of trained sociologists and non-sociologists. As a field marked with the struggle against the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orthodoxy characteristic of the mainstream sociology but also the product of intellectual cross-disciplinary relationships with humanities, Korean historical sociology has proposed explanatory frames and perspectives for understanding 20<sup>th</sup> century Korean society. To illustrate the coexistence of both disciplinary citizenship and interdisciplinarity, the study analyzed the authors, the types and numbers of cited literature, the keywords, the author networks, and the maps of cited journals of 381 papers published in Sociology and History between the 77<sup>th</sup> issue and the 120<sup>th</sup> from 2008 through 2018. The analysis finds that trained sociologists (with PhDs in sociology) who research on 20th century Korea focus primarily on colonialism and the Cold War make up the core research group. However, the works that they cite are not necessarily oriented toward sociology and in turn the journal Society and History performs a brokerage role linking sociology to other social sciences and humaniti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historical sociologists in South Korea find unity topically. At the same time, historical sociology as an academic discipline in the country remains weakly oriented to sociology inwards but instead directs outwards.

      • 사회보장심의위원회의 설치와 운영에 관한 연구

        이용교 한국사회복지역사학회 2022 사회복지역사연구 Vol.5 No.-

        이 글은 1963년에 사회보장심의위원회는 왜, 어떻게 설치되었고, 초기에 어떤 활동을 하였는지를 연구하 였다. 주요 정책의 결정과정에서 시대상황과 대통령, 장관, 사회보장심의위원회 위원 등 참여자의 역할을 살펴보았다. 최천송은 1960년 12월에 열린 전국종합경제회의에서 사회보장제도의 도입을 제의하고, 제도모형의 연구 심의를 위한 사회보장제도심의위원회의 설치를 제안하였다. 국가재건최고회의는 빈곤을 타파하고 민심을 얻고자 보건사회부 정희섭 장관에게 위원회를 설치하게 하였다. 사회보장심의위원회는 초기에 의료보험법과 산업재해보상보험법 초안을 만들었다. 1963년에 제정된 산업 재해보상보험법은 1964년부터 시행되었고, 의료보험법은 1965년 9월에 처음 적용되었지만 1977년 7월까 지 강제 적용이 도입되지 않았다. 사회보장심의위원회는 1967년 9월에 ‘사회개발’을 위한 정책연구 프로젝트를 추진하였다. 이 프로젝트는 유엔이 사회개발을 강조하는 상황에서 연구실이 정희섭 장관에게 제안하고, 지속적인 경제개발을 위해 사 회개발이 필요하다는 논리로 박정희 대통령을 설득한 것으로 보인다. 사회개발 구상은 보건사회부의 기획 이었기에 정부의 경제개발계획에 반영되기는 쉽지 않았다. 사회보장심의위원회는 한국 사회보장의 청사진을 제시했고, 산재보험과 의료보험을 도입하여 사회보험의 기초를 다진 역사적 사명을 수행했다. This article studied why and how the Social Security Review Committee was established in 1963, and what activities were carried out in the early stages. In the process of determining major policies, the situation of the times and the roles of participants such as the president, the minister, and members of the Social Security Review Committee were examined. At the National Economic Conference held in December 1960, Choi Cheon-song proposed the introduction of a social security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a social security system review committee for research and deliberation on the system model. The Supreme Council for National Reconstruction had Minister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Jeong Hee-seop set up a committee to overcome poverty and win public sentiment. The Social Security Review Committee initially drafted the Medical Insurance Act and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The Industrial Accident Compensation Insurance Act, enacted in 1963, took effect from 1964, and the Medical Insurance Act was first applied in September 1965, but compulsory application was not introduced until July 1977. The Social Security Review Committee promoted a policy research project for ‘social development’ in September 1967. The project seems to have persuaded President Park Chung-hee with the logic that social development is necessary for continuous economic development and that the laboratory proposed it to Minister Chung Hee-seop at a time when the United Nations emphasizes social development. Since the social development plan was planned by the Ministry of Health and Social Affairs, it was not easy to reflect it in the government's economic development plan. The Social Security Review Committee presented a blueprint for social security in Korea, and carried out the historical mission of laying the foundation for social insurance by introducing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and medical insurance.

      • KCI등재

        한말·일제하의 사회학 교육(1906~1945) ― 전문학교를 중심으로

        김필동 ( Kim Pil-dong ) 한국사회사학회 2021 사회와 역사 Vol.- No.130

        이 글은 한말·일제하 한국의 사회학 교육의 전체상을 전문학교의 교과과정과 사회학 담당 교수(강사)에 초점을 두고 연구한 것이다. 한국에서 사회학 교육은 1907년 보성전문학교에서 처음 실시할 계획을 세웠으나, 실제 교육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최초의 사회학 강의는 1914년 평양의 숭실대학에서 편하설(C. F. Bernheisel)에 의해 ‘기독교사회학’이란 이름으로 개설되었고, 일반 사회학 강의는 1918년 연희전문학교에서 원한경(元漢慶)이 처음으로 개설했다. 1920년대 이후 사회학 강의는 숭실대학(후에 숭실전문학교)과 연희전문학교에서 꾸준히 개설되었으며, 1930년대에는 이화여자전문학교도 이 흐름을 따랐다. 한편 보성전문학교는 1925년부터 사회학 강의를 개설했고, 중앙불교전문학교는 1929년부터 사회학 및 관련 강의를 꾸준히 개설했으며, 마지막으로 명륜전문학교도 1942년 이 흐름에 합류했다. 이처럼 한국인이 주로 다니던 전문학교에서 사회학 교육은 거의 일반화되었다. 이는 관공립전문학교와 일본계 사립전문학교에서 사회학 강의가 전혀 개설되지 않았던 것과 뚜렷이 대비되는 점이다. 이렇게 된 데는 미션계 전문학교가 미국의 교양대학을 모델로 했던 데다가 당시 미국에서 사회학이 크게 확산되고 있었던 영향도 받은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밖에 한국인 운영자나 교수들은 사회학이 학생들로 하여금 변화하는 세계를 이해하고 사회의식과 민족의식을 고취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생각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이 연구를 통하여 식민지기에 적어도 20명의 사회학 담당 교원이 활동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들 중에는 학부 또는 대학원에서 사회학을 전공한 경우도 있었지만, 대학에서 사회학 강의를 수강했거나 개인적인 관심으로 공부한 경우도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강의의 내용과 수준에는 상당한 편차가 있었을 것이다. 이들 중 5년 또는 5회 이상 사회학 강의를 했던 인물은 백남운, 한치진, 하경덕, 채필근, 고황경, 김현준이다. This paper studies the sociology education in the late Old Korean and Colonial Periods (1906-1945) with a focus on college curriculums and sociology professors. The educators of Boseong College (普成專門學校) initially planned to give sociology lectures in 1907, but this lecture was not implemented. However, C. F. Bernheisel (片夏薛) gave the first lecture, in the name of “Christian Sociology,” at Union Christian College (崇實大學) in Pyongyang in 1914, while the first lecture in general sociology, taught by H. H. Underwood (元漢慶), took place at Chosen Christian College (延禧專門學校) in 1918. Since the 1920s, sociology lectures have been steadily given at Union Christian College and Chosen Christian College, and various other schools have followed suit: the Boseong College in 1925, the Central Buddhist College (中央佛敎專門學校) in 1929, Ewha Woman’s College in 1930, and Myeongryun College (明倫專門學校) in 1942. As such, sociology became a common subject in colleges where Koreans usually attended. This is in stark contrast to the fact that no sociology lectures were given at the government, public, and private colleges where Japanese usually attended. This can be said to have been influenced by the fact that mission schools were modeled after liberal arts colleges in the U.S. and that sociology was spreading significantly in the U.S. at the time. In addition, Korean operators and professors seem to have thought that sociology helps students understand the changing world and promote social and national consciousness. This study found that at least 20 professors and lecturers in charge of sociology engaged in student teaching during the colonial period. While some had formal undergraduate or graduate training in sociology, others had self-educated themselves in the subject. As a result, there must have been significant variation in the content and level of the lectures. Among them, Paik Nam-woon (白南雲), Hahn Chi-chin (韓稚振), Har Kyung-durk (河敬德), Chae Pil-geun (蔡弼近), Koh Whang-kyung (高凰京), and Kim Heun-chun (金賢準) have taught sociology over five years or times.

      • KCI등재

        우표로 본 한국사회와 상징정치 — 해방부터 한국전쟁 시기까지를 중심으로

        이혜숙 한국사회사학회 2018 사회와 역사 Vol.0 No.120

        Political stamps are important data for political and social research because they visually reflect the issuing country’s political stance and policy. This study examined the symbolic politics of Korean stamps issued during the period from liberation(1945) to the end of Korean War(1953). During this period, postal stamps reified national legitimacy embedded in the politics of memory and nationalism. They were also instrumental inventing tradition and national symbols through design. The conclusion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uth Korea’ issued its own stamps on May 1, 1946, while ‘North Korea’ issued its own stamps on March 12, 1946. This suggests that the process of dividing the nation had already begun in early 1946. Second, Taegeukgi and Mugunghwa as national symbols appeared on stamps. At that time, the process of national symbolization was very important, and stamps were important means in national symbolization. Taegeukgi and Mugunghwa were common symbols of both Koreas just after the liberation. Third, postal stamps were thus used as means of justifying the system and legitimating the state. Stamps were the main means to promote the creation of the nation. Fourth, both South and North Korea issued stamps on the Korean War and used stamps for political purposes. When we compare the stamps of the two Koreas, we can see the different position toward the Korean War. 우표는 발행 국가의 사회상을 반영하고 국가의 정치적 입장이나 정책이 나타나는 중요한 수단이므로 정치사회적 연구의 중요한 자료이다. 이 연구는 1945년 8월 해방 이후부터 한국전쟁이 끝나는 1953년 7월까지 시기에 발행된 우표를 통해 해방 이후의 한국의 사회상과 우표를 통한 상징정치를 검토하였다. 국가상징, 국가정당성, ‘전통의 발명’, 권력이미지 등이 우표 도안에 나타났다. 우표는 국가의 정당성 확보와 국민적 통합을 유도하는 홍보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한 것이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해방 후 한국은 1946년 5월 1일 해방조선기념우표 발행을 시작으로 우표를 발행하였다. 북한은 남한이 여전히 일본 식민지시대 우표를 가쇄하여 쓰고 있던 때인 1946년 3월 12일 남한보다 먼저 독자적인 우표를 발행했다. 이처럼 남북한이 독자적인 우표를 발행했다는 것은 우표로 본다면 분단국가의 진행과정이 1946년 초에 이미 시작되었음을 시사한다. 둘째, 국가상징으로서 태극기와 무궁화가 우표 도안에 많이 나타났다. 태극기와 무궁화의 국가상징화 과정을 통해 대한민국 국민을 만들고자 했던 것이다. 북한에서도 최초의 우표와 해방1주년 기념우표에서 태극기와 무궁화를 사용해서 태극기와 무궁화는 해방 직후 남북한 모두의 공통 상징이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우표는 상징정치의 기능을 하였으며 국가정책적인 측면에서 홍보 역할을 했음을 알 수 있다. 국가는 체제를 정당화하는 수단 중의 하나로 우표를 이용했으며 우표는 국가상징과 국가만들기, 국가정당성 확보와 국민만들기, ‘전통의 발명’, 권력이미지 홍보의 수단이었다. 넷째, 남북한 모두 한국전쟁에 대한 시각을 우표에 담았고 전쟁홍보나 정치적 목적으로 우표를 이용하였는데 한국전쟁기 남북한 우표를 비교해 보면 한국전쟁을 보는 남북한의 시각차가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