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음악예술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석문주 ( Moon Joo Seog ),권덕원 ( Doug Won Kwon ),김명숙 ( Myung Sook Kim ),최미영 ( Mi Young Choi ),정지혜 ( Ji Hye Jeong ) 한국예술교육학회 2010 예술교육연구 Vol.8 No.3

        본 연구는 학교에서 실시되고 있는 음악예술교육프로그램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교사의 인식, 선호도 및 태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초·중등학교 교사 14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 분석 결과는 초·중등학생의 음악예술향수기회 확대를 위하여 국가교육과정에 기초한 음악예술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1) to examine the status of music education in schools, 2) to investigate the preference and attitudes of the music teachers with regard to musical arts programs, 3) to apply the musical arts program that can be used continuously as communication between school teachers and professional musicians and 4)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musical arts program and teaching strategies based on the national music curriculum. One hundred forty seven teacher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responded a survey that designed questionnaire used to ascertain attitudes; musical activities needed for school music education; and the problems the teachers felt in current teaching practices. Most teachers highly agreed that music education improves students` creativity, imagination, and cooperation. The data revealed: 1) over the half of the current music education activities was musical performance; 2) people had low perception of the musical needs; 3) one third of the music education programs in schools was after-school programs; 4) most of the school music teachers would be willing to attend the future-developed musical arts program and 5) music mediators should be professional musicians who lead the musical arts programs with the regard to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data, the results supported and clarified that perception regarding to music education should be changed. Although music educators agreed that music education helps social development as well as personal development, national (or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did not bolster up music educators` claims with curriculum and programs. Musical arts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enjoyment, not to cultivate professionals. For activating those programs, local society should join and utilize their resource. Musical arts program should take a role that makes up for weak points of the national curriculum. Music mediators should be cultivated professionally.

      • KCI등재

        평생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과 실제

        김선미 미래음악교육학회 2024 미래음악교육연구 Vol.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으로서의 음악교육의 방향성을 모색해보고 실제 평생 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에 있다. 최근 지속적인 학령인구의 감소와 늘어나는 노령인구로 인 하여 평생음악교육에 대한 관심과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현대사회의 구성원들은 그들의 삶 속에서 웰빙과 행복을 추구하며 늘어나는 기대수명과 함께 적극적으로 삶의 질을 높이려고 한다. 또한 음악을 비롯한 문화예술 향유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늘어나면서 평생음악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은 더 커져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와 요구와는 달리 학교음 악교육에 비해 평생음악교육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방법,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 로 부족하고 실제 운영되고 있는 평생음악교육기관에서의 음악프로그램은 그 영역과 내용에 있어서 다양성이 부족한 현실이다. 본 연구에서는 특별히 데이비드 엘리엇의 실천주의 음악 교육이 추구하는 가치와 지향점을 조명하고 관련 문헌과 선행연구 등을 통해 평생음악교육 프로그램의 방향과 방법을 도출하여 구체적인 내용 영역과 교수학습방법을 고안하고 6개의 주제영역을 가지고 12세션으로 이루어진 ‘음악과 함께’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안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보다 많은 사람들이 그들의 삶 속에서 음악을 즐기고 음악을 통한 삶의 가 치를 실현할 수 있는 평생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이 되길 기대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methods of music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and to develop a specific program. Recently, interest in and need for lifelong music education is increasing due to the continuous declin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nd the increasing aging population. Members of modern society pursue well-being and happiness in their lives and actively prepare for life in old age as life expectancy increases. In addition, as interest in and expectations for enjoying music and other cultural arts grow, the need for lifelong music education is growing. However, contrary to these expectations and demands, there is a relative lack of research on the curriculum,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programs of lifelong music education compared to school music education, and the scope and content of music programs in actually operated lifelong music education institutions are limited. The reality is that there is a lack of diversity.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considered the values and goals pursued by David Elliott's ‘Praxial music education’, and derived the direction and method of a lifelong music education program through related literature and previous researches.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designed specific contents an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provided 12-session ‘With Music’ program with 6 topic areas.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help develop a lifelong music education program that more people can enjoy music in their lives and realize the values of life through music.

      • KCI등재후보

        국악 지도를 통한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관한 연구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4 국악교육연구 Vol.8 No.1

        From our past, we used music as a means of expressing the virtues of humanity such as allegiance, filial piety, manners, righteousness, and beliefs. Because Korean music is closely related to our personal humanity, we have to re-enforce humanity education through teaching Korean music. For this reason, it is logical and intelligent to establish humanity education utilizing Korean music and establishing an educational provision for it to be carried out. Therefore, in this study I have developed a humanity educational program to be of help to elementary schools, middle schools, and high schools. First, I examined the theory of humanity education from the viewpoint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for the sake of argument. On the basis of this examination, I selected Korean music pieces and their teaching contents as suitable for establishing humanity education. Next, I developed a humanity education program utilizing the Korean music pieces and selected the teaching contents. Korean music contains purpose, content, and a method of humanity education from the claims of Confucianism, Buddhism, and Taoism. Based on this, I selected Korean music pieces and teaching contents, and developed a humanity education program. This Humanity Education Program is composed of seven separate topics. I specifically presented teaching contents corresponding to its expression through activities, music appreciation activities, and music actualization in each of the seven topics. Looking forward, I hope that the study about a humanity education program utilizing Korean music is incorporated into the music curriculum.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인성과 음악을 결부시켜 왔고 ‘충, 효, 예, 의, 신’ 등의 인성 덕목을 표현하는 도구이자 수단으로 악(樂)을 사용했다. 국악은 음악 자체가 인성과 밀접한 관련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국악을 지도할 때에는 이를 고려해야만 한다. 이러한 점에서 국악교육 또는 국악지도를 통한 인성교육은 매우 타당하며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국악은 그 자체가 인성교육 요소와 내용을 상당히 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연구가 그다지 활발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 도움이 되는 인성교육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국악지도를 통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을 구체적으로 구안해보았다. 먼저, 국악과 관련된 사상의 인성교육론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인성교육에 적합한 국악 제재곡과 지도 내용을 선정한 다음, 선정한 제재와 내용을 토대로 학교 수업에서 실질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구체적인 인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국악의 사상적 기반이 되고 있는 유교․불교․도교사상은 국악을 통한 인성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등 여러 면에서 시사하는 바가 크다. 세 가지 사상에서 주장하는 인성교육론을 살펴본 결과 각 사상의 인성교육 내용은 국악 제재곡에 녹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국악을 통해 가능한 인성교육 요소와 내용을 선정하였고 선정한 인성교육 요소와 내용을 토대로 구체적인 인성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국악지도를 통한 인성교육프로그램은 ‘부모님의 은혜’, ‘나라에 바치는 마음’, ‘마음 다스리기’, ‘위인들의 삶을 본받아’, ‘함께 하는 우리’, ‘마을 축제 속으로’, ‘자연을 사랑하는 마음’ 등 7가지 주제를 정하고 각 주제별로 표현활동, 감상활동, 생활화로 나누어 구체적인 지도 내용을 제시하는 것으로 구성해보았다. 이를 통해 국악은 지도할 수 있는 인성교육 요소와 내용이 상당하며 그렇기 때문에 국악지도를 통한 인성교육은 학교에서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는 본 연구에서 다루지 못한 부분의 인성교육에 대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 국악을 통한 인성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기를 바란다.

      • KCI등재

        초등학생 대상 세계음악 교육프로그램 개발 사례연구: 가람도서관의 ‘음악으로 만나는 세계 친구들’을 중심으로

        배나경 ( Nakyung Bae ) 세계음악학회 2021 음악과 문화 Vol.- No.45

        The goal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 world music education program at a music library and thereby ascertain its educational meaning and limits. The first season of the “Friends Across the World Met through Music” program held at the Garam Music Library was conducted as a world music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2017 and was revised, supplemented, and expanded into a second season in 2018. Both versions looked once a month at the musical characteristics of each cultural sphere by continent and in the last month students watched a performance that was given by expert artists of one of the repertories covered in the program. The program characteristics of “Friends Across the World Met through Music”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gained an understanding of other cultural spheres’ music expression methods and performance methods by observing actual performances with the instruments and by using the instruments themselves. Second, the program enhanced students’ appreciation for other cultural spheres’ music and dance by linking the education program with performances. Third, students developed creative expression abilities through an integrated art program that incorporated hands-on activities. Fourth, the program established a network of regional cultural facilities by linking libraries, theaters, and museums. Fifth, the program reinforced the use of music materials by incorporating information search methods. By presenting a program that was conducted in an actual educational setting against a backdrop of an increasing emphasis on the need for intercultural music education coupled with a lack of study materials, it is hoped that this paper can be used as useful material for intercultural music education research.

      • KCI등재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과 창의적 활동을 포함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

        박영신(Youngshin Park),박호걸(Hogul Park),백성혜(Seoung-Hey Pai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0

        목적 본 연구에서는 포디프레임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오르골을 만들고 창작활동에 참여하는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를 조사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포디프레임을 활용한 오르골 제작과 창의적 활동을 포함하는 융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그리고 중학생 명4, 초등학생 8명 등 총 12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학생들은 4개 팀으로 나누어 수업을 하였으며,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개 항목의 리커트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다6.또한 질적 연구를 위하여 명의 연구자가 학생들의 3활동, 심층 인터뷰, 관찰 기록, 평가 회의 등을 포함한 영상 녹화 및 전사 내용을 독립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총 10차시로 구성된 융합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생들에게 투입하여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음악교육과 공학, 과학, 기술 활동을 연계한 융합교육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의 오르골 만들기의 즐거움, 과학적 탐구능력에 대한 자기평가, 창작 능력에 대한 인식, 음악 협주에 대한 선호도, 악보공부과 악기연주에 대한 도움, 음악 창작에 대한 욕구 등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확인되었다. 특히, 학생들이 악보를 읽으면서 피아노를 연주하는 전통적인 음악 수업과 달리, 포디프레임으로 오르골을 만들고, 이를 다양하게 변형하는 창의적 활동을 통해 음악 연주에 대한 구체적이고 직관적인 이해를 얻을 수 있었으며, 음악 관련 활동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할 수 있었다. 결론 교사는 학생들의 사고 과정을 자극하기 위해 학생들의 아이디어를 적극적으로 경청하고, 학생들이 만들어낸 작품을 인정하고, 이러한 활동의 중요성을 탐구하기 위해 학생들과 협력하여 노력함으로써 교육적 성공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기술로 인해 작곡가, 연주자, 청취자의 역할을 동시에 맡는 것이 가능해졌다. 앞으로 교육에서 학생들이 음악에 참여하는 방식의 변화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교사들은 새로운 기술이 제공하는 기회를 활용하는 교수법을 설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Objectiv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of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in which students make music boxes and participate in creative activities using 4Dframes. Methods For the purpose, we developed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at includes music box production and creative activities using 4Dframes. And this research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12 students, including 4 students of middle school, and 8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divided into four teams and took classes, and a survey consisting of 6 items on a Likert scale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Additionally, for qualitative research, three researchers independently analyzed video recordings and transcriptions, including students' activities, in-depth interviews, observation records, and evaluation meetings. Results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consisting of a total of 10 sessions was developed and administered to students to confirm its educational effectiveness. Through the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that links music education, engineering, science, and technology activities developed in this study, changes in perception regard-ing students' enjoyment of music box making, self-evaluation of scientific inquiry ability, awareness of creative ability, preference for music concerto, heip with studying sheet music and playing musical insturments, and desire for music creation were confirmed. In particular, unlike traditional music classes where students play the piano while reading sheet music, they were able to gain a specific and intuitive understanding of playing music through creative activities such as making a music box with a 4Dframe and modifying it in various ways, and had a positive experience with music related activities. Conclusions Teachers can contribute to educational success by actively listening to students' ideas to stimulate their thinking processes, acknowledging the work students produce, and working collaboratively with students to explore the significance of these activities. Additionally, as digital technology makes it possible for students to take on the roles of composer, performer, and listener simultaneously. As future changes may occur in the way stu-dents engage with music in education, teachers must be equipped to design teaching methods that take advant-age of the opportunities offered by new technologies.

      • KCI등재

        뉴 실버 세대를 위한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새로운 음악교육 프로그램

        장은언(Chang, Eun-Un)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20 음악교육공학 Vol.0 No.42

        본 연구는 현재 노인세대에 진입하기 시작하는 뉴 실버 세대의 음악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욕구를 파악하여 그들에게 적합한 음악교육의 방안과 이를 적용한 음악교육 프로그램 예시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뉴 실버 세대를 위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새로운 방안은 첫째, 레퍼토리 확장을 통한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다양화 및 질적 수준 향상, 둘째, 음악프로그램에의 적극적인 참여와 활동의 기회 제공, 셋째, 세대 통합 및 세대 공감 음악교육 프로그램의 확대, 마지막으로는 음악 프로그램과 인문학과의 연계이다.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내용으로 세대를 통합한 노래부르기, 신체움직임을 포함한 음악감상, 인문학으로서 음악사 강좌를 제시하였다. 이 프로그램 예시는 노인문화예술교육 현장에서 교육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문화예술교육으로서 음악교육의 다양한 영역에 균형적인 발전을 가져올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proposes some new guidelines and patterns of the music education program for ‘New Silver Generation,’ who are relatively young and intelligent. The purpose of this program is to actualize the diversity of the music education for ‘New Silver Generation‘ into the cultural art education. I suppose three new guidelines for the music program: firstly, to expand the repertoire and to raises the quality of the program; secondly, to offer an active participation in the music program; last, to link the program with the other area. The specific contents of the music programs include singing with all generations, and listening to music with Dalcroize pedagogy, history of music from the perspective of human science, . Throughout the proposed program,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seniors can be more professional and become classified in The culture and art education for seniors. Moreover, the proposed program can be used as the teaching materials in the near future. In due course, the proposed program will contribute to the well-balanced development in the area of culture and art education.

      • KCI등재

        지역아동센터의 예체능교육에 대한 현황과 만족도에 관한 조사 연구

        배나래(Na-Rae B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0

        본 연구는 지역아동센터에서 운영하는 예체능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만족도를 조사하여 향후 예체능교육이 보다 내실화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의 17개 지역아동센터이며,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운영된 예체능교육 현황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예체능교육을 받은 아동 419명에게 만족도 조사를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예체능교육 현황을 살펴보면, 3년동안 예체능교육을 전혀 운영하지 않은 지역아동센터는 17개 기관 중 3개 기관이고, 3년 동안 지속적으로 예체능교육을 실시한 지역아동센터는 17개 기관 중 6개 기관이다. 2년동안 예체능교육을 실시한 기관은 17개 기관 중 2개 기관이였으며, 3년동안 한해라도 예체능교육을 지속한 기관은 17개 기관 중 6개 기관이였다. 예체능교육 진행교사의 전공 일치도를 살펴보면, 17개 기관의 미술, 음악교육은 모두 교양과정으로 자격을 이수한 비전공 경력자였다. 그러나 체육교육에서는 체육을 전공한 대학생들이 교육을 실시하였다. 예체능교육에 대한 서비스만족도를 살펴본 결과 예체능교육은 아동의 전반적인 생활에 많은 도움이 되었으며, 성별로 보면 여학생에 비해 남학생이 예체능교육에 대한 도움이 컸다고 했다. 예체능교육에 대한 만족도는 교육 참여학생 대부분 만족도가 높았으며, 특히 남학생의 만족도가 여학생보다 높았다. 추후 예체능교육에 대한 재참여 희망도를 살펴본 결과, 응답학생 대부분 참석하겠다라는 응답을 하였으며 여학생보다 남학생의 경우 재참여 희망도가 더 높았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몇 가지 제안을 하고자 한다.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의 창의력 향상과 인성교육을 함양하기 위해 질 높은 예체능교육은 더 많이 필요 하다고 하겠다. 친구들과의 원활한 의사소통을 배우는데 예체능교육이 활용될수 있다. 또한 아동들의 신체적 건강성과 정서적 안정감을 주는 창의적인 예체능교육이 되기 위해서는 목적에 맞는 목표를 설정하여 교육을 보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needed to improve the arts,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provided by local child care centers based on aninvestigation of the current status of and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 local child care centers in Gyeonggi-do, South Korea, and the situation of the arts,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programs operated from 2014 to 2016were examined. In addition, 419 children who received the education were surveyed to evaluate their level of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As regards the status of the arts education from 2014 to 2016, it wasobserved that three of the 17 local child care centers did not have any arts, music orphysical education at all, while six of them continuously implemented all threeof these programs during this period of time. Two and six of the 17 institutes had arts,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programsfor two years and one year, respectively. All of the teachers who ran the arts and music education programs of the 17 institutes were arts and music majors who were certified teachers of the liberal arts. However, the physical education programs were run asvolunteer activities bycollege student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The survey on the level of satisfaction of 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arts,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programsshowed that they werehelpful forthe overall life experience of the children and that they were more helpful for the boys than for the girls. The level of satisfaction with the education was high formost of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s,howeverthe boys were more satisfied than the girls. When asked whether they would participatein thearts,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programs again, most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would do so. The boys we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again than the girls. Based on this study, in order to enhance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of the children using the local child care centers, higher quality education is needed. Arts and music education can be used to help children to learn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their friends. In addition, it seems to be necessary to enhancethe education by setting goals that are suitable for itspurpose, in order to providecreative arts and music education that contributes to thephysical health and emotional stability of the children.

      • KCI등재

        전통음악놀이의 융복합 활동을 통한 인성교육 프로그램 연구

        조정은 한국문화융합학회 2019 문화와 융합 Vol.4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ogram for analyzing convergence and personality education by examining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music play. In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school life and arts education of adolescents were considered to raise students’ sensitivity and emotion, as well as strengthen character education, such as cooperation and consideration, by revitalizing arts education. Through traditional music play, this study explored the music elements that can be encountered in school music education and the relationship, activity metho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program, including elements of character education. Recognizing that traditional music play is appropriate for the youths’ emotions and is another form of culture that teens can enjoy, we designed a convergenc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at includes diversity. In addition, the form of traditional music play consisted of discussion-oriented activities and a process to enhance musical literacy. This led students to recognize that traditional music play is not just entertainment but also part of their precious cultural heritage. Furthermore, students learned to select and express novel themes to understand the activities of convergence and connect aesthetic and life experiences. The convergenc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hrough traditional play will be activated as a school arts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the free semester system at the school site.

      • 미국 공립학교 음악 교육의 새 방향성에 대한 고찰 : 협력 프로그램을 통한 현대음악 교육

        윤은혜 The Pianissimo 음악예술학회 2015 음악예술연구 Vol.5 No.1

        본 논문은 현재 미국 공립학교 음악 교육의 열악한 상황 때문에 생긴 음 악 교육의 부재로 인한 문제점들과, 이런 문제의 해결을 돕기 위해 자발적 으로 생겨난 협력 교육 프로그램 (partnership program) 이 제시하고 있 는 현대음악을 통한 새로운 교육 방법을 관찰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새로 작곡되는 현대 음악들의 소리와 박자의 구성은 대중들에게는 종종 이해가 어려운 음악으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며 학교 음악 프로그램에서도 현대음악 에 대한 교육은 활발하지 않았었다. 2001년 미국에서 발표된 새 교육제도 의 영향으로 공립학교의 음악교육 과목이 점점 줄어들게 된 이후로 학생들 이 음악을 대해 배울 수 있는 기회는 더욱 낮아지게 되었으며 그로인해 학 생들은 현대음악에 대해 더욱 어려워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현대음악을 전문으로 연주하는 음악인들은 앞으로 그들의 음악을 이해하고 들어줄 대 중이 대폭 줄어들 것을 인지하고 전문 연주 단체들을 중심으로 협력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되기 시작했다. 본 논문 하단에는 New York과 Chicago의 공립학교들과 협력 교육을 활발히 하고 있는 International Contemporary Ensemble (ICE)의 교육 담당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ICE가 추구하는 현대 음악을 통한 음악교육이 미국의 공립학교와의 협력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어떻게 지도 되고 있는지에 대해 나눈 얘기를 소개하고 있다. In this article, the author raises the issue of music education within the American system of public education. Music and art programs in many public schools in the United States have been gradually decreasing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No Child Left Behind educational policy in 2001. Compounding the problem of classical music's lackluster appeal to the general population and in particular, young students, is the lack of opportunity to study the discipline through the public educational system. Because of this, the genre is foreign to most young people; putting professional performance organizations especially those that specializing in modern music and independent musicians in danger of losing their audience. In the article, the author makes the case for robust partnership programs between underfunded public schools and professional modern music organization. This study urges professional musicians and performing organizations to seriously consider employing this fresh, innovative model of music education. By doing so, they will not only strengthen music programs in public schools but also secure future generations of enthusiastic audience members to preserve the genre of modern classical music. In order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new approach to classical music education, the author conducted an in-depth interview with Dr. Jacob Greenberg, a director of education in International Contemporary Ensemble (ICE).

      • KCI등재

        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현황 및 개발 과정 연구 -국립국악원 국악박물관 상설 전시해설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신혜주,이예은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4 이화음악논집 Vol.28 No.1

        본 연구는 국악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의 현황을 검토하고, 2022년 시행된 가족 대상 상설 전시해설 프로그램 <박물관 나와라, 쿵딱!>의 개발 및 운영과정의 분석을 통해 국악 관련 박물관 교육의 발전 방향을 논의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선행적으로 프로그램 운영 형태에 따른 국악박물관 교육프로그램을 검토하였다. 현황 검토를 통하여 국악박물관의 기존 교육프로그램이 이론·감상 중심 프로그램 및 일반 참여 형태가 대다수를 차지하며, 주기가 짧고 간헐적으로 운영되고 있어 개선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이후 2022년부터 운영된 체험형 전시해설 프로그램 <박물관 나와라, 쿵딱!>의 개발과 운영 과정 검토를 진행하였다. 해당 프로그램은 국악박물관에서 처음으로 기획된 상설 교육프로그램으로 유·초등 가족 구성원에게 체험 중심의 교육 활동을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다. 프로그램 운영은 국악박물관 상설 전시를 중심으로 실감 콘텐츠 및 멀티미디어 활용, 초등 교과과정 연계, 이야기 중심의 설화를 소재로 전시해설을 운영하고, 체험적 요소를 강화한 1:1 가야금 연주 체험과 박물관 키트 제작 등을 구성하였다. 이러한 가족 대상 프로그램은 박물관 교육의 새로운 모델로 참여자들의 높은 만족도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유·초등 어린이의 연령대를 다소 넓게 설정한 부분 등과 지속적인 참여 관람객에 대한 추가적인 콘텐츠가 제작되지 못한 한계점 역시 확인되었다. This research aims to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educational programs in Korean traditional music museums and discuss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for education related to Korean traditional music museums, with a focus on the analysis of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the family-oriented permanent exhibition interpretation program "Come to the Museum, kungddak (korea beat sounds)!" implemented for the first time in 2022. Korean traditional music museum educational programs were reviewed chronologically to achieve this goal. It was confirmed that the existing educational programs mainly consist of theory-oriented and appreciation-centered programs, with general participation being the majority. Still, they are operated at short intervals and intermittently, indicating the need for improvement. Furthermore, the interactive exhibition interpretation program "Come to the Museum, kungddak!," operated since 2022, was developed as the first permanent educational program planned by a Korean traditional music museum, targeting family members with young children to provide interactive educational activities. The program operation centered around the permanent exhibitions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Museum, utilizing realistic contents and multimedia, linking with th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conducting exhibition interpretation based on story-centric narratives, and operating 1:1 Gayageum playing experiences and museum kit production to enhance interactive elements. Such family-oriented programs are perceived as a new model for museum education and have shown high participant satisfaction. However, despite the expansion of the program's target audience to include family members of various ages, the absence of a systematic curriculum for operating differentiated educational programs and ensuring continuous participation was identified as a limitation. Therefore, the necessity of developing and operating educational programs considering target audience segmentation and continuous participation is raised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museum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