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국악교육 연구현황 분석-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이형환,박소현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2 국악교육연구 Vol.6 No.1

        This study analyzed the research status on the studies of Korean music education 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and The Master’s Theses of Korean Music Education written by years, academic abilities, and contents from 1970 through the first half-year of 2011.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Until 2011, 196 papers from Korean Music Education Society, 65 papers from The Society of Study for Korean Music Education, 233 papers from The Master’s theses of Korean Music Education were published. Since the beginning of 2000s, this research quantitatively focused on the Korean music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By contents, these studies mainly featured concerns about teaching methods, status of activation, and analysis of Korean music textbooks. In the 1970s to 1980s especially, the initial studies of Korean music education were usually conducted regarding to the change of social attitudes and educational interest. From the 1990s to 2000s, the studies of Korean music education rapidly grew quantitatively as did the variety of the research contents. In other words, the investigation of these studies expanded the approaches connected with various fields and teaching methods in order to develop and improve Korean music education reflecting social interests. Also, new studies emerged comparing music curricula and music textbooks, or in order words, the analyses of the contents of Korean music education. It is inspiritingly that since 2010 the studies have incorporated more social issues, more Korean musical approaches for multicultural family as well as after school classes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appreciating class materials. Furthermore, this paper expects that the following studies of Korean music education need to more effectively develop the approaches to appreciating Korean music. 1970년대부터 2011년 전반기까지 이루어진 국악교육 관련 연구를 한국국악교육학회,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석사학위 논문을 중심으로 연대별, 교육편제별, 주제별 연구 현황점검과 분석을 통해 도출된 국악교육 연구 현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한국국악교육학회는 2011년 현재까지 196편,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는 65편, 석사학위 논문 233편의 연구 성과를 보이고 있다. 연대별로는 2000년대에 연구 성과의 양적인 측면에서 가장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교육편제별로는 초등학교 관련 연구가 가장 많고 주제별로는 지도방안 연구, 교육실태 및 활성화, 음악교과서 분석 연구가 활발히 연구된 것으로 나타났다. 1970~80년대는 국악교육 연구 초창기로 국악교육의 중요성에 관한 사회적 인식 변화와 교육적 관심이 변화하려는 징후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 이 시기 연구경향의 특징이라 하겠다. 1990년대와 2000년대는 국악교육 연구가 급격한 양적 확대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의 연구 경향이 출현하는 시기이다. 즉 다양한 분야와 형태를 접목시킨 국악교육 지도방안 연구와 경향을 보이고 있고, 국악교육 실태 및 활성화,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사회적 관심을 반영하려는 연구 흐름들이 출현하고 있다. 또한 교육과정 비교와 음악교과서 비교 분석, 국악교육 내용 분석 등 다양한 연구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라 하겠다. 2010년 이후 연구는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다문화가정을 위한 국악교육, 특기적성 교육, 감상워크북 개발과 같은 새로운 연구들도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라 하겠다. 다만 국악교육 연구 분야 중 효과적인 국악교육을 실현할 수 있는 국악감상 영역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점이 향후 국악교육 연구의 새로운 연구 영역 분야라고 사료된다.

      • KCI등재

        전통음악요소를 활용한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 연구-청소년의 집중력․창의성 증진을 중심으로-

        손윤영,우덕상,김민,남현우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8 국악교육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5~6학년 생활화 영역에 ‘음악과 건강’ 내용요소가 도입된 것에 주목하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성취 기준을 중심으로 정규 음악 수업에서 자연스럽게 집단 국악치료를 병행할 수 있는 ‘전통음악요소를 활용한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적용하여 국악수업을 통한 국악치료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초등 음악과 교육과정 중 생활화 영역 중 ‘음악과 건강’ 내용요소와 국악교육 영역의 2015 개정 초등 5~6학년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정 내용을 분석 후 ‘2015 개정 교과 교육과정 시안 개발 연구 Ⅱ’에서 제시된 성취 기준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 예시도 분석하였다. 이것을 토대로 초등 5~6학년 대상으로 전통음악 요소와 국악치료 기법을 융합하여 집중력․창의성 증진을 치료목적으로 집단치료활동중심의 학습목표와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적용하고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을 검증함으로써 국악치료가 초등 5~6학년 음악수업 시간에 자연스럽게 도입될 수 있는 실제적인 교수․학습 과정안을 제시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다음과 같은 국악치료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였다. 첫째, 집중력 증진 영역의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 안은 선호하는 국악 듣기, 민요 메기고 받으며 각자에게 주어진 역할에 최선을 다해 노래하기, 자기순서가 될 때까지 기다리다 교사의 지시에 따라 자기 순번에 노래하기, 장단과 간단한 가락 따라 하기, 합주, 합창, 율동에 자기 순서를 기다렸다가 국악 활동에 참여하기, 장단에 맞추어 신체표현하기, 가락선을 그리고 표현하기, 1인 1국악기 배우기 등을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둘째, 창의성 증진 영역의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 안은 가락 바꾸기, 오음음계 활동, 인간조각 기법, 노랫말 바꾸기, 말붙임새 붙이기, 즉흥연주, 국악적 대화, 가락 창작, 즉흥 노래 부르기 등을 활용하여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국악치료교육 교수․학습 과정 안을 수업에 적용하기 전과 적용한 후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결과가 도출되지 못하였으나 집중력․창의성 증진에는 놀라울 만한 긍정적 치유효과가 있었다. 이를 통해 선행연구에서 주로 음악교과 시간 외나 창의적 체험시간을 활용해 행해졌던 국악치료교육을 정규 음악시간을 통해 실행할 수 있는 발판을 구축했으며, 다문화가정, 탈북가정, 특수아, 중증 장애 등의 학생으로 행해졌던 소수의 치료대상을 일반학생으로 전체 확산 시켜 행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초기 단계에서 발견 될 수 있는 집중력 저하로 인한 수업 부적응이나 부족한 창의성 등을 그대로 방치하지 않고 담임교사나 음악 전담교사가 음악시간을 통해 5~6학년 학생들의 유전적 DNA와 사회적 DNA를 함께 공유하는 전통음악 요소를 활용한 국악치료를 해야 하는 당위성과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악교육과 국악치료를 융합한 국악치료교육이 이제 학교 교육현장에서 음악교육과정 재구성을 통해 생활화해야 할 새로운 과제로 제시될 수 있는 기초연구로서 커다란 의미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겠다. The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usic curriculum and to closely observe the introduction of the ‘music and health’ element in the domain of ‘musical application in daily life’ to music education for 5th and 6th grades. Based on this, it also aimed to develop and apply ‘a teaching-learning lesson plan through Korean music therapy,’ with the use of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that could naturally combine Korean music therapy in regular music classes in conformity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elementary music education, thus verifying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usic therapy through Korean music classes. To this, the study examined ‘music and health’ in the domain of ‘musical application in daily life’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usic curriculum and the revised content of music curriculum for 5th and 6th grades in Korean music education and analyzed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examples for each achievement criterion sugges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proposal development research II.' Combining traditional musical elements and Korean music therapy skills to improve concentration and creativity as a therapeutic purpose targeting 5th and 6th grades, the study verified its positive effect through developing and applying a learning objective and a teaching-learning plan that centered on group therapy activities. Afterwards, It proposed a practical teaching-learning plan that enabled Korean music therapy to be seamlessly introduced to the 5th and 6th music classes and sought new direction of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in Korean music classes as follows. For the area of ​​concentration improvement, the plan include the following activities such as listening to one’s favorite Korean music, singing while responding to one’s given role in a call and respond form of folk songs, waiting for one’s turn and then following teacher's instructions to sing in order, playing along rhythmic patterns and simple melodies, participating at Korean music activities such as ensemble, choir, dance in one’s turn, making physical expression to rhythmic patterns, expressing melodic contour, and learning an musical instrument. For the area of creativity enhancement, the plan included the following activities such as music composition, activities using a pentatonic scale, sculpture techniques for human figures, modifying lyrics, exploring rhythmic variations of lyrics, improvised performance, musical dialogue, melodic composition, and improvised singing. As a result of verifying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plan through Korean music therapy develop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effect of music education, but there was a remarkably positive healing effect on concentration and creativity improvement. This contributed to establishing a platform to perform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in regular music classes, which used to take place out of music classes or during creative experiential time in previous studies. Also, the target recipients of therapy were restricted to a small number of groups, such as children from multi-cultural family, refugee children,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severely disabled students, but can be extended to all general students. The findings of the study confirmed the justification and necessity of Korean music therapy in which homeroom teachers and music teachers should share the genetic DNA and social DNA of 5th and 6th grade students during music classes, while not neglecting class maladjustment or lack of creativity due to the deterioration of concentration that can be found at an early stage. Therefore,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as basic research that Korean music therapy, convergence of Korean music education and Korean music therapy education, can be presented as a new task to be made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music curriculum in the school education field.

      • KCI등재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국악 용어 편수 자료 개발

        변미혜,한윤이,김희라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08 국악교육연구 Vol.2 No.1

        2007년 2윌에 개정 7차 교육과정이 고시되었다. 교육과정의 개정과 더불어 각 개정 시기에 편수 자료가 개발되어 교과 서 편찬의 기준으로 삼았는데, 이 편수 자료는 초ㆍ중등학교에서 사용하는 교과 교육 내용의 범위와 용어를 선정하는 데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지금까지 제9집의 편수 자료가 개발되었으나 국악과 관련된 편수 자료 개발은 제9집에 이르러서야 겨우 시작되었다. 그렇지만 제 9집의 국악 편수 자료는 국악과 관련된 용어에서 외국어 표기가 전혀 제시 되어 있지 않았으며, 그 의미나 해설이 모호한 용어들이 제시된 경우가 있고, 용어들의 활용이 교육 현장에 적절한 지 에 대한 검토가 미흡한 것으로 보인다. 교육용 국악 용어의 정립과 더불어 개정 교육과 정에서는 교사가 교과서 이외 의 내용을 가르칠 때에도 참고하여 적용할 수 있는 국악 용어에 대한 편수 자료의 개발에 대한 요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중동학교는 물론이고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까지 검정 체제로 가고 있는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용어와 관련된 편 수 자료의 개발은 교과서의 질 관리상 매우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악 용어의 원래 의미와 적절한 용례를 고찰하 여 교육용 국악 용어를 선정한 후 그에 대한 적절한 해설을 하여 국악 용어 편수 자료를 개발함으로써 교육적으로 활 용할 수 있도록 국악 용어 편수 자료를 개발하게 되었다. 먼저, 현재까지 우리나라에서 발간된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편수 업무와 관련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함으로써 음악과 편수 자료의 역사적 변천을 살펴보았으며, 기존 음악과 편수 자료의 체제와 내용 구성을 살펴보고 나타나는 문 제점과 편수 자료 개발 방향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국악 용어를 구분하는 기준을 정하고 이에 따라 구분된 영역의 구 체적인 내용을 진술하였고 국악 편수 용어 자료의 구성 형태를 모색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편수 자료의 구성 형 태에 따라 필요한 자료를 탐색하였는데, 용어의 본래 개념과 용례를 고찰하여 가장 적합한 설명을 제시하고 용어에 알 맞은 한자어와 로마자 표기, 그리고 영어 풀이도 살펴 제시하였다. 더 나아가 이렇게 고찰한 내용을 바탕으로 구분별 용어의 선정 기준과 해당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예시하였으며, 특히 개개 용어 선정에 있어서는 유사한 국악 용 어 중에서 교육적으로 활용 가능한 용어를 선정하거나 필요하다고 여겨질 때는 표준어를 기준으로 개발하여 국악 용 어의 표준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첫째, 국악 용어를 그 특성에 따라 구분한 결과 ‘기본 용어’, ‘익곡 용어’, ‘악기 용어’, ‘표현 용어’, ‘관련 용어’ 등 5가지 영역으로 나눌 수 있었다. ‘기본 용어’는 국악의 기본 지식과 관련된 용어이고, ‘악곡 용어’는 악곡과 관련된 용어, ‘악 기 용어’는 음악에 사용되는 악기와 관련된 용어, ‘표현 용어’는 국악의 표현법과 관련된 용어, ‘관련 용어’는 기타 국악 과 관련성이 깊은 용어로 범위를 정할 수 있었다. 이 중에서 ‘기본 용어’는 그 범위가 광범위하므로 다시 세분하여 용어 의 쓰임에 따라 ‘개념’, ‘갈래’, ‘장단’, ‘시김새 및 발성법’, ‘연주법’, ‘연주형태’, ‘형식’, ‘기보법’, ‘연주자’, ‘복식’, ‘의물’ 등으로 나눌 수 있었다. 국악 용어에 대한 연구가 부실한 현 시점에서 기본 지식과 관련된 ‘기본 용어’와 학습 제재곡과 관련된 ‘악곡 용어’ 개발이 보다 시급하고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국악 용어를 고찰하고 구분을 짓는 과정에서 다의어와 유사어가 많이 발견되었다. 특히 그동안 한 가지 의미로 만 사용되었던 용어가 다의어였다는 것과 본래의 의미와는 다른 의미로 고착된 용어도 더러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용어에 대한 핵심적인 설명을 곁들이고 더불어 필요한 경우 그림까지 제시함으로써 용어의 종류뿐만 아니라 자 료로써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용어에 대한 설명은 중요한 내용만 핵심적으로 제시함으로써 용어의 의미를 보다 명확 하게 하고 용어를 사용할 수 있는 경우를 분명하게 짚어 주었다. 넷째, 로마자 표기 및 영문 풀이 등 국악 용어의 외국어표기를 살펴보면서 외국어 표기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었다. 로 마자 표기의 경우는 국악 용어의 우리말 발음을 최대한 살릴 수 있는 방향으로 살펴보았다. 그러나 영어 풀이에서는 의미가 통하는 영어로 번역하기 어렵거나 적절한 영어를 찾기 어려운 국악 용어들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경우는 결국 우리말을 그대로 표기한 용어와 영어권에서 사용하는 영어를 혼용하는 방법이 가장 합리적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본 연구에서 미흡한 점은 국악 용어 전체를 연구하지 못한 것과 영어 풀이의 섬도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못한 것 그 리고 다의적인 용어의 경우 실제 사용자들의 용례를 통한 의미 고찰이 이루어지지 못한 것 등이다. 따라서 앞으로 본 연구에서 부족한 ‘기본 용어’와 악곡 용어‘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위와 같은 미흡한 부분에 있어서의 철저 한 후속 연구가 요구된다. The revised 7th curriculum was noticed in February, 2007. Along with the revision of curriculum, editing material, which was developed in each revision period, was set as a standard of editing. This editing material has been the important standard in the selection of range and terms of education course. Until now, the 9th editing material have been developed but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 related editing material was made only in the 9th collection. However, in the development of editing material in relation to Korean Music Terms, the transcription of foreign language was never suggested and the vague terms in meaning and explanation were suggested. It showed the deficiency of investigation about the appropriate use of terms in the education field.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al meaning and illustration of Korean Music Terms and attempted to suggest the appropriate explanation by selecting Korean Music Terms for education in order to develop editing material of Korean Music Terms, which are likely to be used for educ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historical change of music and editing material of music, and suggested the direction of editing material development through problems, appearing in the existing music and the system and contents of editing material. Next, it examined the contents according to the division by setting the standard, dividing the Korean Music Terms, and suggested the composition form of material of Korean Music editing terms. Lastly, it suggested the most appropriate explanation by investigating the real concept and illustration of terms around 'Basic terms' and 'terms of Musical pieces', along with examining Chinese Characters, the Roman Alphabet, and English clarification, suitable for terms. Especially, in the selection of terms, educationally usable terms were selected and the standard form of Korean Music Terms was suggested by developing terms under the range of standard language among similar Korean Music Terms. This study comes to the result as followings: First, as a result of dividing Korean Music Terms according to the features, they are classified into 5; 'Basic terms', 'terms of Musical pieces', 'Instrument terms', 'Expression terms' and 'Relevant terms'. 'Basic terms' are terms related to the basic knowledge of Korean Music, 'terms of Musical pieces' are terms, related to the musical pieces, 'Instrument terms' are terms, related to instrument, and 'Expression terms' are related to the expression way of Korean Music. The range of 'Relevant terms' was deeply related with Korean Music. Among those terms, 'Basic terms' are subdivided in more detail according to the use of terms; 'Concept', 'Genre', 'Jangdan', 'Sigimsae and Vocalization', 'Playing method'. 'Performance formation', 'Form', 'Music Notation', 'a Player', 'Costumes', 'Dance instrument'. Second, in the process of classifying the Korean Music Terms, a lot of polysemy and similar words were found. Especially, we can discover that the terms, which were used in one meaning, was polysemy and they were fixed with meaning, different from the real meaning. Third, we could suggest the standard of foreign language transcription while investigating the foreign language transcription of Korean Music Terms such as the transcription of the Roman Alphabet, and English clarification. In case of transcription of the Roman Alphabet, direction to make words clear at maximum was sought. However, in English clarific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ere Korean Music terms, which are difficult to translate in English and find the appropriate words. Therefore, we came to a conclusion that the minglement of Korean words and English is the most rational. This study has the limit in setting the entire Korean Music Terms as study object, and in case of in-depth English clarification and various terms, there is a deficiency in the investigation of meaning through the illustrations of real users. Accordingly, thorough following up study is required for the complement.

      • KCI등재

        성인국악교육 연구성과 분석을 통한 평생국악교육 연구사 고찰

        장윤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3 국악교육연구 Vol.17 No.2

        This research scrutinizes academic papers and thesis discussing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specifically targeting adults, and sees life long gugak educ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ts research history. The writings on adult gugak education deal with various programs like event, music therapy, culture welfare, college affiliated coursework, online learning, and stage participatory trainings, revealing how the life long gugak education has unfold showing its developing process. Also, the adult learner group becomes subdivided into middle aged ladies, demented elderly, foreigner, youth, office workers, college students, and members in a club for more detailed academic discussion. Research methodology has also widened its application of reference and materials using data collected from the field observation/participation, interview, questionnaire, actual distant class, and course evaluation. The achievement and tendency of the study on adults’ gugak education in the perspective of life long gugak education are as follow. First of all, the growing academic interest during the early 2000s began with master’s thesis, and gradually proceeds to Ph. D. dissertation and scholars’ papers in academic journals. Secondly, Chung Ang University has conferred many degrees to the research on elderly gugak therapy program as well as its remedial value, and therefore the relevant research set one of the major paradigms. Thirdly, after 2015, scholars began to design many gugak programs applying various genres such as creative music, literati songs, vulgar folk vocal music, gayageum, haegeum, changgeuk (theaters), and percussive ensemble music.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mmunication and communal harmony were highlighted in foreigner gugak education. Fourthly, recent study pays attention to the learner’s point of view and actual teaching scene reflecting and accepting individual ideas or the meaning that the learners imposed to their learning. Moreover, researchers have begun to write about distance learning and media applied education on the basis of VR, e-learning platform, Zoom, and smartphone applications. 본 연구는 성인국악교육 논문 검토분석을 통해 평생국악교육의 연구사적 전개와 발전 과정을 고찰하였다. 성인 국악교육은 공연행사, 음악치료, 문화복지, 대학기관 교과, 온라인학습, 무대참여 등 다양하며, 연구내용은 실태조사, 현장 수행, 수업안, 콘텐츠 구축방안 등 광범위하다. 학문적 성장은 연구방법의 확대와 함께 발전하여, 문헌과 수치통계 중심의 연구에서 점차 현장관찰, 면담, 설문조사 등 학습자 관점을 반영하는 연구로 전환한다. 학습자집단의 구분도 단순히 ‘성인’에서 중년여성, 대학생, 보호시설 이용자, 장애인, 외국인, 20대, 동호회 회원 등으로 세분된다. 평생국악교육 연구의 시기별 경향과 연구사적 관점의 성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0년대 초 복지기관 국악교육 실태조사, 현황 연구, 노인 국악활동의 연구가 시작되고, 초기 학위논문 연구는 한계점이 있다. 둘째, 전문 학술논문의 발표와 후속세대 학자의 등장으로 연구성과가 이어지나 연구주제에는 큰 변화가 없다. 셋째, 2010년 이후 노인치료 목적의 국악교육 연구와 학습자 증상 변화에 관한 수치분석 연구가 전형적 형태로 나타난다. 넷째, 2015년 전후 다양한 프로그램 연구가 국악창작곡, 가곡, 산타령, 가야금, 해금, 창극, 민속악, 모듬북, 난타를 활용한 수업구성안을 제시하며, 외국인 국악교육은 문화교차적 소통과 이(異) 집단 화합의 의미가 부여된다. 최근 연구는 학습 참여자와의 상호소통을 바탕으로 한 의견수렴을 중요한 자료로 활용하고, 원격교육에 관한 연구가 영상매체, e-러닝 플랫폼, 비대면 줌, 앱 개발 등을 주목한다소속감과 대면 활동의 의미가 컸던 성인, 평생국악교육이 교육공학적 방식 도입으로 비대면, 젊은층 참여 확충, 자기 주도적 활동의 새로운 방향성을 갖게 된다. 향후 다양한 사례 연구와 타집단과의 비교 분석 연구가 요구된다.

      • KCI등재

        ‘국악교육연구’ 게재 논문의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한 연구 동향 파악

        김경태,이수연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1 국악교육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국악교육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의 주제어 연결망 분석을 통해 국악교육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년 9월 이후부터 2020년 12월까지 ‘국악교육연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00편의 초록을 대상으로 언어 네트워크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여 주제어의 빈도수, 연결망 및 중심성을 분석한 결과, 총 2872개의 주제어가 추출되 었다. 이에 대한 결과는 첫째, 주제어 빈도는 ‘음악’이 가장 높고, ‘국악’, ‘음악교과서’, ‘교육’, ‘내용’, ‘교육과정’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주제어 간 연결빈도는 ‘음악과’와 ‘교육과정’ 이 가장 높고, ‘개정’과 ‘음악과’, ‘지도’와 ‘내용’, ‘교수학습’과 ‘방법’, ‘중학교’와 ‘음악교과 서’, ‘국악’과 ‘교육’, ‘음악교과’와 ‘수록’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제어의 연결중심성은 ‘국 악’, ‘음악교과서’, ‘내용’, ‘음악’순으로 나타났고, 매개중심성은 ‘음악’, ‘국악’, ‘음악교과서’, ‘교육’, ‘내용’, ‘교육과정’, ‘활동’, ‘활용’, ‘교수학습’, ‘음악과’, ‘문화’, ‘지도’, ‘제시’, ‘이해’, ‘개정’, ‘학생’, ‘방법’, ‘집단’, ‘필요’, ‘분석’, ‘영역’, ‘요소’, ‘연구’, ‘민요’, ‘방안’, ‘연계’, ‘표 현’, ‘특징’, ‘제재곡’, ‘감상’, ‘적용’이 동일하게 높았으며, 위세중심성은 ‘국악’, ‘음악교과서’, ‘내용’ 순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현재 국악교육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반영한 음악교과서의 지도 내용, 교수학습방법이 주요한 주제로 연구되고 있으며 향후 교육현장에서의 국악교육의 실천적 수행과 다양한 장르의 국악 제재곡, 역량 강화를 위한 국악의 통합적 활용, 국악창작활동 영역에서의 연구 수행이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국악교육연구’의 주제어 분석 연구를 수행하여 연구동향의 흐름을 파악하고 향후 연 구가 필요한 분야에 대해 제시한 것에 의의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국악교육연구 주제어의 범위를 세부화하여 전문화되고 심도 있는 연구주제 도출 및 국악교육의 저변을 확대할 수 있는 연구가 수행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Korean music education through keyword network analysis of the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Music Education Research.’ For this, 100 abstracts published between September 2015 and December 2020 were analyzed for keyword frequency, co-occurrence frequency, and centrality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a total of 2872 keywords were extrac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keyword frequency analysis revealed that ‘music,’ ‘Korean music,’ ‘music textbook,’ ‘education,’ ‘contents,’ and ‘educational curriculum’ were the main keywords. Secondly, the analysis of co-occurrence frequency among keywords showed that ‘the subject of music’ & ‘curriculum,’ ‘revision’ & ‘the subject of music,’ ‘instruction’ &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 ‘method,’ ‘middle school’ & ‘music textbook,’ ‘Korean music’ & ‘education,’ and ‘the subject of music’ & ‘include’ were highly relevant keywords. Thirdly, the centrality analysis showed that ‘music textbooks,’ ‘contents,’ and ‘curriculum’ were a core subject domain while ‘application,’ ‘appreciation,’ ‘music pieces for class use,’ ‘characteristics,’ ‘expression,’ and ‘linkage’ played a role in linking keywords of Korean music education research as a domain with expandability to be studied in the future. In particular, ‘appreciation,’ ‘competency,’ and ‘integration’ were keywords with the academic value that could increase the importance of research.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research on the keyword analysis of ‘The Journal of Korean Music Education Research’ to understand research trends and to suggest fields for further research. In future studies, it is expected that research on Korean music education that can support learners in terms of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and research that can promote the qualitative growth and utilization of Korean music linking with related studies will be conducted.

      • KCI등재

        Korean Music of Some Textbooks for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in the U.S.A.

        Heo, Seon-Hyeong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1 국악교육연구 Vol.5 No.1

        20세기 초부터 미국사회는 세계 각국으로부터 몰려온 이민자들의 다양한 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 지기 시작했다. 이러한 시대적․사회적 배경은 학교 교육에도 영향을 미쳐, 미국음악교육계에서는 유럽의 클래식 음악 일색의 제재곡 및 교육내용에서 벗어나, 다른 문화권의 다양한 음악을 음악수 업을 통해 제공할 수 있는 다문화주의 음악교육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본 연구는 이 교재들의 동아시아 편에 소개된 한국음악제재곡과 교수법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학교종’과 ‘아침바람’을 수록한 『Roots and Branches』, ‘아리랑’과 ‘도라지 타령’을 수록한 『Silver Burdett Making Music Series K-12』, ‘거문고 산조’와 ‘아악(문묘제례악)’을 소개한 『Teaching Music Globally』 그리고 서양음악에 없는 개념인 한국의 장단과 구음 등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한 『Thinking Musically』 등 4종류의 책을 연구의 대상으로 삼았다. 위 책들에 나타난 한국음악에 관한 내용과 지도법을 다음 3가지 기준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첫째, 위 제재곡들이 한국음악을 대표하는 곡으로 의미가 있는지 알아보겠다. 둘째, 이 제재곡들이 어떻게 가르쳐 지고 있는지 살펴보겠다. 셋째, 위의 책들에 실린 한국음악의 설명, 악보, 그림, 참고 자료 등이 정확한지 확인하고, 혹 오류가 있다면 시급히 고쳐서 바른 정보를 줄 수 있어야 할 것이 다. 이와 같이 본 글은 미국의 음악수업시간에 소개되고 가르쳐지는 한국음악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교수법을 적용하여 어떻게 가르쳐지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미국 다문화주의 음악교육의 석학이자, 시애틀의 워싱턴 주립대학의 페트리샤 쉐한 캠벨 교수는 초기 월드 뮤직 소개서인 『Roots and Branches』라는 책에 ‘학교 종’과 ‘아침바람’과 같은 두 곡의 한국음악을 소개하고 있다. 오선보를 사용한 악보에 한국어 가사의 영어 표기와 미국학생들이 가사내 용을 이해하기 쉽게 풀이한 영어해석을 함께 소개하였다. ‘아침바람’에서는 노래와 ‘가위, 바위, 보’ 놀이, 그리고 신체표현을 한국음악의 특징으로 보고 지도하였고, ‘학교종’에서는 학생들이 선생님을 존경하는 한국문화의 특징과 4/4박자 리듬에 맞춰 신체표현과 리듬악기로 즉흥 연주를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교수법들을 적용하기 전에 가장 먼저 고려해야할 점은 바로 그 제재곡이 가르쳐질 만한 곡인가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본다. ‘아침바람’은 홍양자의 연구에 의해, 2박자 계통의 리 듬을 사용하는 일본 동요라는 것이 밝혀졌고, ‘학교 종’ 역시 서양음악의 특징인 으뜸화음과 딸림화 음을 사용한 화성음악으로 전통적 한국음악 양식과 거리가 멀다. 1990년대 초반까지도 한국의 음악 교과서에 이런 음악들이 제재곡으로 자주 나왔으나, 현재 전통적 한국음악어법에 따른 전래동요들 이나 새로운 창작동요들이 그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따라서 미국에서 다른 문화권의 독특한 음악 과 문화를 배우기 위해 한국음악을 제재곡으로 선택한다면, 반드시 한국음악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가능한 제재곡의 선택이 무엇보다 신중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Silver Burdett Making Music Series K-12』는 ‘아리랑’과 ‘도라지 타령’등과 같은 한국음악을 소개하였다. 그러나 아쉽게도 지도내용은 한국음악의 특징은 외면한 채, 오선보에 기보된 악보와 피 아노 반주, 그리고 벨칸토 창법의 소프라노처럼 서양음악교수법에 따라 적용되었다. 또한 ‘세마치장 단’에 맞춰 부르는 노래를 3/4박자에 기보하여 진정한 장단감을 느끼기 어려움으로 9/8로 기보된 악보를 사용해야 할 것이다. 이 노래를 배우는 학생들이 한국의 민요가창자의 음원을 들어보고 음 원의 가락과 오선보에 기보된 가락과의 차이 그리고 그들이 이제까지 익숙했던 소리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음악이 연주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면, 세상의 모든 음악이 같은 방식으로 연주되지 않는다는 좀 더 넓고 다양한 음악적, 문화적 식견을 가질 수 있게 될 것이다. 세 번째 음악교재는 페트리샤 쉐한 캠벨의 『Teaching Music globally』로, 이 책에서 한국음악은 거문고 산조와 문묘제례악 두 가지가 소개되고 있다. 거문고 산조에서는 독주악기 거문고와 반주악 기 장구, 그리고 산조라는 음악장르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그리고 거문고의 농현과 대점을 치는 연주법에 대한 설명 뿐 아니라, 한국음악에서 거문고의 위상이나 문화적 의미까지 설명한다. 또한 이 곡의 감상법으로 수차례 음악을 듣고 나서는 한 번에 그 음악의 특징, 즉 3분박의 장단, 농현과 같은 시김새, 우아한 선율, 장구반주 등에 하나씩 집중하여 들어보고 다시 이를 종합적으로 감상하 도록 제시하고 있다. 그 다음은 1116년 중국에서 수입된 그대로의 모습을 가지고 전래되어 12세기 아악의 연구에 귀 중한 자료가 되고 있는 문묘제례악(“A-ak”)으로, 유교제례음악이라는 객관적, 역사적 설명들과 함께 독특한 음조직, 여음 등에 집중하며 소개되었다. 오늘날 한국의 음악교육은 문묘제례악보다는 종묘 제례악에 더 큰 의미와 비중을 두고 가르치고 있어 공자와 맹자를 비롯한 중국의 유교 성인뿐만 아니라 조선의 위대한 선대 학자들에 대한 예와 존경을 다한 우리의 전통이 거의 잊히고 있는 실정 이다. 따라서 이 교재에서 종묘제례악보다 문묘제례악을 소개하고 있는 것이 인상적이며, 그 음악의 문화적 배경과 의미에 대해 좀 더 구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 음악은 동아시아 국가 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유교제례악으로, 서로 공유하고 있는 유교적 정서와 문화적 배경이 다른 나라에서 한국음악을 배울 때 또는 동아시아 음악의 전체적 특징을 찾을 때 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Wade가 쓴 『Thinking Musically』는 음악수업을 위한 제재곡 중심이 아니라, 다른 문화권의 음 악을 이해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하는 기본적인 음악개념에 대해 나타낸다. Wade는 흔히 한국음 악의 장단이 중동아시아 음악의 리듬선법과 비슷하다고 보는 것은 옳지 않으며, 한국음악에서 장단 은 박의 단위라기보다 한배라는 그룹단위로 이해하는 것이 옳다고 설명하고 있다. 또한 장단은 단 위박의 속도, 음악 반복의 단위, 긴장과 이완의 표현, 그리고 산조의 악장 등의 다양한 의미를 내포 하고 있다고 하였다. 이와 같이 이 책을 통해 음악교사들이 한국음악의 핵심개념인 장단에 대해 제 대로 이해한다면, 한국음악 제재곡에서 세마치장단이나 굿거리장단을 만났을 때 그 음악을 제대로 표현하고 학생들에게 좀 더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글은 미국에서 다문화 음악교육을 위한 음악교재들에 나타난 한국음악 제재곡들과 교수법들 이 한국의 음악적 특징과 문화적 배경을 얼마나 잘 나타내고 있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이 연구에 서 다문화 음악교육의 제재곡으로 한국음악은 단 몇 곡 사용되었을 뿐이지만, 그 제재곡들로부터 학생들이 한국의 음악적․문화적 특징을 탐색하고 이해하는데 초점을 두고 다양한 교수법들을 적용 시키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어떤 노래의 악보는 어린 학생들을 위해 단조롭게 편곡하였고, 원곡의 느낌을 살리지 못하는 박자로 그 음악을 제대로 배우지 못하는 등 여러 면에서 부족한 점도 많았다. 따라서 본 글에서는 한국음악을 비롯한 다문화 음악교육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음 악을 그저 펼쳐 보이는데 그칠 것이 아니라, 단 한 곡을 통해서라도 진정으로 그 음악의 문화적 측 면, 의미, 그리고 전승과정들을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게 지도되길 당부하고자 한다. Since the early 1900s, the interests of culture, education, and music of immigrants have been increased in the U.S.A. Under this background, music classes in the school have been requested to serve the musical and cultural needs of immigrated students. For this reason, several scholars in music education have published various literatures on the teaching materials and approaches for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leading scholar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orld published the teaching materials and approaches to introduce an exotic music and various music curricula. The Campbell’s literatures have been seriously considered as the precedent study on the roles and methods for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due to their unique accomplishment and reality for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e following books which are related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lso describe the methods and approaches for teaching Korean music as the part of East Asian Music. In this study, based on the above literature, we examine the method for explanation of Korean music and the approaches for teaching Korean music which have been established in the U.S.A. For this research, the literature is examined by the following three standards. Firstly, we investigate the repertoires for Korean music in the books since the early 20th century, Japan and Western culture have influenced on Korean music and culture. For the second, the approaches which were already established for teaching Korean music are explored. Lastly, the information, notation, and illustration for Korea and Korean music in the literature are examined. We may need to consider that these materials are appropriate to represent and understand Korean music correctly. Consequently, this study investigate that the Korean musical characteristics and the knowledge of Korean culture are properly understood by the multicultural music textbooks which are used for teaching Korean music in the U.S.A.

      • KCI등재

        국악 중심 융합교육의 유형과 내용에 관한 연구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5 국악교육연구 Vol.9 No.1

        Convergence education was introduced as one of the National Education Policies in2011. It’s center of operation focuses on science, technology, and engineering. However,some are of the opinion that we also need impartial studies about convergence education,which focuses on the arts in various fields. As such,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triedto select contents and to present types of convergence education, which focus on Koreanmusic. Korean music is closely related to dance (plays), arts, language, literature, history, ideas,and so on. Thus, I selected factors associated with these for teaching the elements ofconvergence education as focused on Korean music. These are divided into three groups:music, concepts, and tasks. I presented three types of convergence education focused onKorean music based on these three groups. These types are threefold: convergenceeducation focused on music theme, convergence education focused on concepts, andconvergence education focused on tasks. In addition, I examined elementary school textbooks. As a result, I found that thefollowing subjects integrated Korean music well: Korean, Society, Ethics, PhysicalEducation, and Arts. This is because Korean music is the connecting point between cultureand art forms. Also, Korean music contains language, literature, history, culture,philosophy, dance, painting, craft, and so on. Through these, I can say that convergenceeducation focused on Korean music is also focused on the Humanities and Arts. It is hard to put into practice convergence education focused on Korean music usingthe existing STEAM teaching elements and methods. For this reason, I developed two new types of convergence education focused on traditional Korean music called KAKESand KAKEPS. These are types according to convergence elements fused with Koreanmusic. KAKES stands for Korean Art, Korean, Ethics, and Society. KAKEPS is to addPractical Arts to KAKES. 2011년 우리나라에 도입된 융합교육은 주요 교육정책으로 제안되었고 학교와 학계에서 지대한 관심을 받으며 활발하게 연구가 이루어져왔다. 하지만 최근에는 기존의 과학이나 기술,공학 중심 융합교육에서 벗어나 인문․예술 분야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융합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견해가 설득력을 얻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방안의 하나로 국악 중심융합교육의 유형과 내용을 선정하여 제시해 보았다. 국악 중심 융합교육의 유형은 기존의 융합교육 방법을 토대로 하여 악곡을 중심으로 내용을 융합한 주제 중심 융합교육, 국악과 관련된 개념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한 개념 중심 융합교육, 국악을 활용하여 과제나 문제를 학생들이 스스로 탐구하고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문제 해결중심 융합교육 등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이에 따라 국악 중심 융합교육 내용을 선정하였다. 초등학교 교과서의 내용을 분석한 결과 국어, 사회, 도덕, 체육, 미술교과 등이 국악과 잘융합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는 국악이 언어, 문학, 역사, 사상, 문화, 춤, 회화, 공예분야의 내용이 혼재된 문화예술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의 융합교육이 이공계 중심인 것과는 다르게 국악 중심 융합교육은 인문학 중심 융합교육이 되어야 한다. 특히 국악은 여러 요소 중 춤(놀이), 미술, 문학, 언어, 사상, 역사 등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 때문에이를 중심으로 한 융합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융합요소에 따른 국악 중심 융합교육으로 KAKES 융합교육과KAKEPS 융합교육 등 두 가지 유형을 제안하였다. KAKES 융합교육은 음악, 춤, 미술에 해당하는 ‘한국 예술(Korean Art)’, 문학과 언어에 해당하는 ‘국어(Korean)’, 사상에 해당하는‘도덕(Ethics)’, 역사에 해당하는 ‘사회(Society)’의 영어 첫 글자를 따서 만든 것이고,KAKEPS 융합교육은 KAKES 융합교육에 실과(Practical Arts)를 더 융합한 유형으로 이․공학 분야 중 국악과 융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는 요소를 포함한 것이다. 국악을 중심으로 한 융합교육은 여러 학문의 융합체인 국악을 제대로 이해하는데 적합한교육 방법이며, 과학 교과 중심에서 벗어난 새로운 융합교육 방안이다. 학교교육에서 융합교육이 보다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중․고등학교 수준에 알맞은 주제 및 내용 선정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고 이에 따른 구체적인 융합교육 프로그램도 지속적으로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회예술교육을 통한 장애인들의 ‘국악하기’ 연구

        장윤희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9 국악교육연구 Vol.13 No.2

        My research explores a kind of traditional music education which focuses on disabled people, and discusses not their technical learning but the healing and feeling gained from the experience of traditional music. The paper explores current status of sociocultural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disable people answering the questions about how has the research o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the disabled people been conducted, What has happened among the disabled people with the traditional music learning? What is its meaning as in the sociocultural context? The sociocutural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disabled people is complicated combining ideas of musical learning, social interaction, and human nature. In this regard some data is collected through ethnography. The research figured out that the traditional music education for disable people raised their sense of belonging in the society, while at the same time helped them gain a sense of achievement and self-confidence because the traditional music gave them a sense of unity and ways to communicate with not only class mates but also people outside the classroom.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or aim of the education, its program should be designed carefully by policy among the professionals in governments, social welfare sector, and music teachers, so that it can support disabled people’s continuous sociocultural and musical activities. 국악교육의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는 시도와 노력 중 하나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하는 국악교육의 증대이다. 본 연구는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의 국악분야가 장애인들에게 왜 필요한지에 대한 근본적 이유와 개념, 의미를 논의하는 질적연구이다. 사회문화예술 국악교육을 통한 장애인들의 사회적 참여와 정서공유의 과정에 관해 살펴 무엇이 어떻게 장애인들이 문화예술을 향유하며 우리 사회에서 공동체 구성원으로 삶을 함께 구현하도록 돕는지를 논의한다.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제공되는 여러 국악 프로그램은 규칙적인 국악수업을 제공하면서 국악을 음악치료를 위한 부수 요소로 활용하거나 학습 전후의 변화에 중점을 두지 않았다.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국립국악원, 한국메세나협회 등 정부기관이 교육을 계획하고 후원하여 제공하던 주최였다면, 최근에는 장애인들이 주체가 되는 문화예술단체들이 결성되어 새로운 활로를 개척하는 추세이다. 선행연구들은 특수학교 교육내용 분석, 교육안 개발, 음악치료 활용수단 등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지만, 대부분 장애인의 특성을 이해하고 이들을 우리와 사회에서 함께 살아가는 구성원으로의 존재를 인정하는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 연구 필요성을 제기한다.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의 장애인 국악교육은 장애인이 국악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사회구성원으로 소통하고 공감하는 사회적 성숙 과정을 통해서 자신을 사회적 존재로 인식하는 기회이다. 나아가 성취감과 행복감을 경험하는 총체적 과정이다. 음악적 기능연마, 공동체 구성원으로의 소통, 일상과 사회의 적응 등을 바탕으로 생겨난 자아발현의 기회가 성취로 이어져 자발적 공연참여를 갈망하고 순환적으로 학습욕구로 되돌아오는 점이 여타 사회문화예술교육과 차별성을 만든다. 궁극적으로는 국악교육은 장애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음악적 잠재력을 발굴하고 향상할 수 있는 발판이 되어 이들이 주체적으로 예술적 활동을 지속하고 예술가로의 삶을 살아가는 ‘국악하기’의 시발점이 되어야 한다. 앞으로 국가적 지원정책은 물론, 다양한 교육안의 체계적 취합과 교구의 개발, 장애인 전담 국악교육자들의 양성에 필요한 구체적 교육프로그램개발이 필요하다. 장애인 교육 선진국의 자국문화 이용사례를 분석연구하는 것도 요구된다.

      • KCI등재

        국악 창작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 분석 및 국악 창작교육의 개선 방향 모색

        김민하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4 국악교육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국악 창작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인식을 분석하고, 이에 기초하여 국악 창작교육의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초등교사 5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면담 연구를 실행하였다. 면담은 ‘국악 창작교육의 필요성과 목표, 국악 창작 수업의 내용 및 방법, 국악 창작 수업의 평가, 국악 창작교육의 개선 방향’의 네 가지 범주에 따라 실시하였으며,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분석하여 국악 창작교육의 개선 방향을 다음과 같이 모색하였다. 첫째, 국악 창작 활동의 범주와 위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형태로 교육과정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국악 창작 지도의 접근성 및 효과를 높일 수 있는 교과서를 개발해야 한다. 셋째, 국악 창작 평가의 내실화를 위해 국악 창작 평가에 활용할 수 있는 평가도구를 개발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국악 창작 수업의 활성화를 위해 교사교육을 제공해야 한다. 다섯째, 국악 창작 수업 지원을 위한 매체 보급 및 환경을 조성해 나가야 한다. 본 연구는 국악 창작 수업이 학교 현장에서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이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면밀히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국악 창작교육의 개선 방향을 제시한 의의가 있다. 앞으로 국악 창작교육의 본질을 구현해 나갈 수 있도록 교수ㆍ학습과 평가의 구체적 단면에 대한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of Korean music creation classes and, based on this, to seek ways to improve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For this purpose, f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an interview study was conduct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four categories: ‘necessity and goals of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contents and methods of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evaluation of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and direction for improvement of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By analyzing teachers’ perceptions of these,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were sought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urriculum that includes information on the categories and hierarchies of Korean music creative activ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xtbooks that can increase the accessibility and effectiveness of Korean music creation instruction. Third, to ensure internal stability in the evaluation of Korean music creation, it is necessary to develop evaluation tools that can be used to evaluate Korean music creation. Fourth, teacher education must be provided to revitalize Korean music creation classes. Fifth, media distribution and an environment to support Korean music creation classes must be creat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losely analyzes how Korean music creative classes are conducted in schools 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i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In the future, it is hoped that multifaceted research will be conducted on specific aspects of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so that the essence of Korean music creative education can be realized.

      • KCI등재

        음악교과서 국악 기보체계의 올바른 방향 모색

        황준연,성기련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0 국악교육연구 Vol.4 No.2

        우리나라 음악교육은 교수요목기를 거쳐 제1차에서 제7차 교육과정까지 개정을 거쳐 왔지만, 국악이 본격적으 로 가르쳐지기 시작한 것이 제6차 교육과정 이후이다. 또한 정간보, 율자보 등의 전통적인 기보체계가 음악교과 서에 주요 기보법의 하나로 등장한 것은 제7차 교육과정 이후의 일이다. 현재 제7차 교육과정에 기초해 쓰인 음악교과서에서는 학년별로 구성 비율상 차이는 있지만, 서양음악을 가장 비중 있게 가르치고 다음으로 국악(國樂)을 가르치며, 거기에 곁들여 다른 문화권의 음악을 가르치도록 구성되 어 있다. 세계화의 흐름 속에서 우리 고유문화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사회적 분위기를 감안할 때 앞으로 국악 교육의 비중은 더 높아질 것으로 여겨지고 그와 더불어 국악 교육의 질적 제고에 대한 현장의 고 민도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제재곡을 어떻게 기보해야 하느냐의 문제는 곧 학습목표와 학습활동이 무엇이냐의 문제로 직결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우리 음악은 정간보의 틀 속에서 제시할 때 그 음악적 특징을 명료하게 드러내기 쉽다. 특히 정악곡의 경우 우리 음악의 장단 구조와 선율적 흐름을 쉽고 명료하게 드러내주는 정간보가 이미 전승되어 내려오기 때문에 이러한 역사성과 정통성을 갖춘 기보법의 전통 위에서 음악교과서 수록 국악곡의 기보체계를 고민해야 할 것이다. 다만 민요와 같이 자연적인 발생과 구전심수의 전수 방식으로 인하여 정간보로 기보되지 않았던 장르의 음악일 경우 교과서 저자의 판단에 따라 오선보로 기보하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때에는 장단꼴 및 시김새의 특징이 왜곡 되지 않고 반영될 수 있도록 박자 표기 및 부호 등에 대해 통일된 기보 방식을 정립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교과서가 집필되고 있는 지금이 바로 국악계의 합의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판단된다.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한 음악교과서 중 단소 악보의 경우 가로 정간보에 한글 율명 위에 점을 찍어 높은 음역을 나타내는 기보법을 사용하고 있어서 문제가 되고 있다. 학생들이 청성(淸聲)으로 인식하지 못하고 스타카토처 럼 인식하는 경우가 있다는 현실적인 문제와 함께 여타 악기 및 악곡과 관련한 정간보는 물론 중학교에서 배우 는 세로 정간보와 율자보와 연계되지 못하기 때문이다. 정통성을 벗어난 현재의 단소 기보체계가 학생들의 이해 도 향상을 위해 필요하다는 주장은 학생들의 입장에서가 아니라 일부 교사들의 편의적이고 자의적인 사고의 결 과라고 할 수 있다. 새로운 학습내용을 접하게 되는 초등학생들은 교과서의 기보체계와 교사의 지도 내용이 국악곡 이해의 토대가 되고 첫걸음이 된다. 따라서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서의 국악 기보체계는 정통성에 바탕을 두어야 함은 물론 이 후 중고등학교에서의 음악 수업과 학교 밖에서의 생활 속에서의 음악 향유와도 연계성을 가져야만 할 것이다. 음악교과서의 국악 기보체계에 대한 논의는 분명히 학생을 중심으로 즉 수요자 중심에서 논의되어야 한다는 점 을 분명히 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현재 초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실린 단소 악보는 정통성과 역사성의 맥락에서 재고되어야 할 것이다. Since Korean National Curriculum was made under the U. 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in 1945, it had been revised 7 times from 1st to 7th. Korean music, however, could not be learned equally with Western music before the sixth curriculum. Moreover, Korean traditional notations like Jeongganbo and Yuljabo could be presented in music textbooks since the 7th curriculum. Western classical music occupies the major part of Korean music textbooks written by this curriculum, the next is Korean music and multicultural music despite of the gap of the component ratio by grade. In the today’s age of globalization, however, the social trend that Korean indigenous cultures are emphasized, caused to increase the importance of Korean music education. This interests expect to improve the pedagogical qualities of Korean music classes in schools. For this reason, this paper focuses on the notation of Korean music because the types of notations are important to effect the objectives and activities of lessons. The scores of the danso use horizontal Jeongganbo which indicates a high tone adding a spot upon a low tone. However, this notation can cause to misunderstand the high tone as the expression of staccato. Moreover, this horizontal system caused some problems to learn the original vertical Jeongganbo or Yuljabo in the secondary courses. Therefore, the opinions that this Jeongganbo of the danso can be useful for students to understand can be just the results of arbitary interpretation by some music teachers. The notation system and contents learned from the Korean music classes of elementary schools can be the first experience and foundation to students. For this reason, the notation of the music textbooks of elementary schools need to keep authenticity, and then this methods can be easily related to the music classes of the secondary schools and the music lives out of school. Consequently, the notation systems of the music textbooks in Korean elementary schools should be discussed in the focus of students, and a careful consideration needs to use the horizontal score of the dans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