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초등학교 음악전담교사 양성을 위한 교육대학교의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임미경 ( Mi Kyung Rim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07 이화음악논집 Vol.1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에서 음악교과를 전담하여 제대로 가르칠 수 있는 교사를 교육대학에서 양성하는 방안을 제시하고 그에 따른 음악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교과전담제에 관한 초등교사의 의견을 설문 조사하였고 초등교과 전담교사 양성제도에 관한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교과전담교사 양성 방안을 구안하였으며 제1회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초등교과 전담교사 양성방안을 수정하였다. 또한 음악교사로서 필요한 자질을 검토하였고 한국과 미국의 초등음악교사 양성 프로그램을 분석하였으며 수정한 전담교사 양성방안과 프로그램에 대하여 교육대학교 음악교육과 교수들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제2회 전문가 협의회를 거쳐 최종적으로 초등교과 전담교사 양성 방안과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구안한 초등교과 전담교사 양성방안은 3가지인데 모두 교사자격증에 전담교과명을 병기하는 것이 공통점이다. 제1안은 교육대학교의 기존 심화과정을 통해 교과전담교사를 양성하는 방안이고 제2안은 제1안의 시행을 전제로 하면서 전담 교과에 한하여 심화과정의 학점을 6학점 ~ 9학점 정도 늘리는 방안이며 제3안은 교과전담 (음악, 미술, 체육, 영어 교육과) 학생에 한하여 국어, 수학, 사회, 과학, 윤리, 실과 교과의 각과교육을 모두 필수로 이수하면서 체육, 음악, 미술, 영어의 각과교육 중에서 하나만을 선택하는 방안이다. 3가지 양성방안에 따른 음악교사 양성 프로그램은 교과교육학과 교과내용학을 3가지 방안 모두에서 고루 배정하여 필수 과목을 동결시키고 심화과정의 학점수가 증가할수록 음악실기 같은 교과내용학의 비율을 확대하여 음악적 능력 배양에 중점을 두었다. 음악프로그램의 교과목들은 3가지 방안에서 거의 비슷하게 제시하였는데 이는 프로그램을 현실적으로 더 쉽게 적용하기 위해서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the education program for the elementary music teacher training. The procedure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urveyed the current status of the subject specialist system to the elementary teacher; 2) reviewed the related literatures of the subject system in order to devise the educational system for the subject specialist; 3)revised the educational system through the first educational specialist council; 4) reviewed the musical competences for the music teacher and analyzed the Korean and American music education curriculum; 5) surveyed the revised educational system to the music education professors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6) consulted the revised educational system to the educational specialist council; 7) developed the music programs for the elementary music teacher training based on the three plans of the devised educational systems. The three plans are step by step and required the prescribed certificate as the subject specialist The first plan is the same credit as intensified program in the university of education, the second plan is the expanded first plan, and the third plan is the enlarged plan because the credits for the specialist program are biggest among the others. Since music education majors do not take the other subject education courses such as physical education, art eduction, English education, the whole credits for the specialist program are 33. The devised music programs for the elementary music teacher training offer the same required music courses comprised of all areas of music performance, music theory, music education, Korean music. As the credits increase, the selective music courses are augmented.

      • KCI등재

        Enhancement of Understanding East Asian Music through Technical Innovation of the EMDB(Ewha Music Database) : 동아시아 근·현대 음악 데이터베이스와 두 가지의 혁신적인 검색 방법

        Hyun Kyung Chae,Kyeung J. Lee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5 이화음악논집 Vol.19 No.3

        이 논문은 두 가지의 혁신적인 검색 방법이, 대용량의 자료들에서 특정한 자료를 찾아내는데, 얼마나 유용한지를 밝히고자 한다, 특히 방대한 음악자료에서 유사한 음악패턴을 찾아내어 그 유사성의 특질을 연구하거나, 또는 곡의 고유성을 알려주는 첫머리(incipit) 검색이 유사한 곡들을 찾아내어 역사적으로는 하나의 큰 문화권을 이루어 온 동아시아 지역을 이해하는데 특히 유용하다. 동아사의 근대는 지정학적으로나 문화적으로 서로 얽혀 있지만, 서로 다른 문화를 형성해 온 지역이다. 두 가지 검색 방법을 통해 이 지역의 음악의 보급과 경로를 살펴볼 수 있는 심층적인 연구는 동아시와 유사한 지역 연구에 특히 유용하다. 2011년 11월부터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는 EMDB라는 명칭의 동아시아 근·현대 음악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왔다. 첫 번째 결과물은 근대 동아시아 근대 음악교육 자료였으며, 이 자료들을 검색하는 효율적인 방법을 개발하였으며, 그 첫 번째 결과물이 곡의 고유성과 유사성을 검색할 수 있는 <첫머리 선율을 이용한 음악검색 방법 및 시스템>으로 2013년 국내 특허를 출원하였다. 또 다른 유사검색 방법인 <멜로디에 기반한 음악분류 방법 및 음악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멜로디 라인을 추천하는 방법>이 2015년 국내에서 특허로 출원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음악검색 방법을 통해 대 용량의 데이터베이스에서 자료들을 분석하고 해석하는 과정은 음악교육과 음악문화 연구에 새로운 지평을 열어, 동아시아 학자들 간의 상호교류를 결성하고 지역 연구의 발화 지점을 수용자의 시각으로 보게 한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고 본다.

      • KCI등재

        동화(同化)와 이화(異化)의 문화정치, 1925년의 음악계

        김은영 ( Kim Eun Young ),신혜승 ( Shin Hye Seung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이화음악논집 Vol.25 No.4

        본고는 1920년대 문화통치기의 음악사회를 고찰하였다. 3.1운동 이후 일제는 식민통치의 방식을 무단통치에서 문화정치로 바꾸었고 조선어 신문의 발행을 허용했다. 민족주의자들은 신문 및 잡지를 정치적 담론의 공간으로 활용하는 한편, 일제에 의해 허용된 범위 내에서 문화운동을 전개하였다. 1920년대의 문화운동은 특히 일본 유학생 출신의 지식인들이 주도하였고 서구 근대예술을 모델로 하는 신문화운동의 전개와 사회주의의 영향을 받은 예술 활동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식민지 지식인들의 문화운동에 김영환, 홍난파, 윤심덕, 한기주 등 동경 유학파 출신 음악가들의 참여도 있었다. 본고에서는 1925년의 음악회를 중심으로 1920년대의 음악사회를 고찰하였다. 1925년은 최초의 음악전문잡지 『음악계』가 출판된 해로, 홍난파는 전문음악회를 표방하였다. 그가 생각하는 “음악회다운 음악회”는 동정음악회나 자선음악회와 같은 사회구제 성격의 음악회가 아닌 ‘음악을 위한 음악회’, 다시 말해 서구음악을 주요 레퍼토리로 하는 음악회였다. 그러나 1925년의 대홍수로 한반도는 엄청난 피해를 입었고 이 사건으로 일제의 동화정책의 허구와 민족차별의 실체가 드러나게 된다. 수해구제를 위한 음악회는 경성을 넘어 전국에 걸쳐 개최되었으며 당국은 수해구제를 명시하는 음악회를 금지함으로써 음악회는 민족 공동체의 일체감을 형성하는 중요한 매개체가 된다. 1920년대 음악회의 또 다른 양상으로 음악무도의 유행이 있었다. 천도교 소년회에서 시작된 어린이/소년운동은 사회주의의 영향으로 건강한 신체의 단련을 표방했고 음악무도는 이 시대를 특징짓는 하나의 음악현상이 되었다. 음악무도의 유행은 1925년의 음악회에도 반영되어 당대의 대표적 음악가들이 참여한 가운데 어린이 및 소년회, 각 교회의 주일학교, 유치원 등에서 주최하는 경우가 많았다. 1925년의 음악회를 통해 문화통치기 일제의 동화주의 정책의 이면에는 배제와 차별의 이화(異化)가 존재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일제가 문화통치를 위해 노린 것은 민족주의 내부의 분열과 이를 통한 친일파의 양성에 있었고 음악계도 문화통치의 영향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This paper examines the music society under the cultural rule during 1920s. After the March 1st Movement, the Japanese changed the way of colonial rule to cultural politics and allowed the publication of Korean newspapers. Nationalists used newspapers and magazines as spaces for political discourse, while carrying out cultural movements within the limits allowed by the Japanese. The cultural movement of the 1920s was especially led by intellectuals who studied in Japan, and was characterized by the development of a new cultural movement modeled on Western modern art and artistic activities influenced by socialism. Musicians from Tokyo, such as Kim Young-hwan, Hong Nan-pa, Yoon Shim-deok, and Han Ki-joo, also participated in the cultural movement led by colonial intellectuals. This paper examines the music society during 1920s, mainly focusing on music concerts in 1925. 1925 was the year when the first music magazine ‘The Musical World (Um-Ak-Gye)’ was published, and Hong Nan-pa advocated a professional music concert. He thought of “concert-like concerts” as “concerts for music,” in other words, a concert with Western music as its main repertoire, not a concert of social relief such as sympathetic concerts or charity concerts. However, it was also the year when the great flood in 1925 that caused tremendous damage to the Korean Peninsula, revealing unsubstantiality of imperialism’s assimilation policy and national discrimination of Japan. Concerts about flood relief took place across the country beyond Gyeongseong, and by banning concerts specifying flood relief, concerts become an important medium for forming a sense of unity in the national community. There was a trend of music and dance, as another aspect of music concerts during 1920s. The children’s/boys movement, which began at the Cheondogyo Juvenile Association, advocated the training of a healthy body, and music and dance became a musical phenomenon characterizing this era. Music concerts in 1925 were hosted by children’s and juvenile associations, Sunday schools of each church, and kindergartens. The participation of all musicians active at the time stands out. Through the concert in 1925,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a politics of exclusion and discrimination behind the assimilationist policy of the Japanese colonial rule. What the Japanese imperialism aimed at for cultural rule was the division within nationalism and was to make pro- Japanese group through it, and the music community could not escape from the influence of cultural rule. History proves this.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교육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탐색

        문경숙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09 이화음악논집 Vol.13 No.1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음악교육은 학급담임교사에 의존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담임교사의 비중은 거의 절대적이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비중이 큰 학급담임교사를 대상으로 하여 초등학교 음악교육의 문제를 심도 깊게 다루는 연구는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학급담임교사에 초점을 두고 초등학교 음악교육을 담임교사에게 의존하는 데에는 문제가 없는지, 교육 일선에서 이들이 직면하는 환경적 제도적 어려움이나 문제점은 없는지, 또한 양성 프로그램에는 문제가 없는지 등을 조사 해 봄으로써 초등학교 음악교육의 문제점을 총체적으로 짚어보고 이에 대한 다양한 개선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된 문제점과 개선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급담임교사가 차지하는 큰 비중을 고려해 교육대학교 교육과정을 재조정할 필요가 있다. 둘째, 부교재 개발을 통해 학급담임교사가 지니는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셋째, 음악실 및 악기 구비 등 음악시설 및 장비에 관한 지침서를 개발하여 관계자들이 참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천박한 음악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각계각층을 대상으로 새롭게 바꾸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이상과 같은 제언들은 음악교육 종사자들이 현재 우리나라 초등학교 음악교육이 안고 있는 갖가지 문제점을 함께 느끼고 그것을 개선하기 위해 앞장설 때만 가능하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music education, to investigate existing problems, and to explore alternativ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lementary music education in Republic of Korea. For this study, the author examined the current curriculum of music education department in national universities of teacher education. Also the author analyzed survey results collected from 375 classroom teachers and examined current status of elementary music education.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rom this study: First of all, more advanced and stronger additional training music program designed for pre-service classroom teachers should be implemented. Secondly, various music teaching resource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help them to supplement their limitations in performance skills. Thirdly, guidelines for music facilities and equipment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a high-quality music education program in school should be developed. Finally, it is the most urgent to bring about changes in school administrators, ‘teachers’, and ‘parents’ attitudes toward the importance of music education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music education program in elementary schools.

      • KCI등재

        이화여전 글리클럽 연구: 1927-1935년의 활동을 중심으로

        김은영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이화음악논집 Vol.23 No.1

        This study will be mainly focused on the Glee Club at Ewha College from 1927 to 1935. Ewha Hakdang, established by Mary F. Scranton in 1886, was reorganized as the first women's specialized college with the Liberal Arts Department and the Music Department in 1925. As Choseon’s folksongs were recognized as an essential element of Choseon’s traditional culture, traditional music research and the Glee Club were introduced as a curriculum for the Music Department. Since 1927, Ehwa College, led by Mary E. Young and Gi-Yong Ahn, published Choseonminyohabchanggogjib as record albums, which was a modern act. Moreover, the concert, which toured the country by arranging Choseon folk songs in chorus, generated a syndrome so-called ‘the Folksong Choir of the Joseon New Women,’ drawing a huge public response. However, these acts of Glee-Club were criticised and condemned by patriarchal society and the Christian community. It is possible that behind the criticism has been the response of discipline authorities who have been wary of girls producing social meaning through music. Nevertheless, as of 1935, when Ewha College was relocated to Sinchon, the Glee club’s activities have turned around to reproduce and imitate Western choir music. Also, by the end of the 1930s, when the energy of war was at its peak, it was mobilized for state-led music events such as ‘National Music Night’ and ‘The Night of the Feast’ and joined the ranks of the Empire’s faithful people. Although it’s been less than 10 years, Glee Club’s movement distinguished themselves from the ‘Western music-centred community’ as they tried to achieve their goals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criticism and condemnation by the conservative society were possibly made by their fear of Glee Club’s liberal movement. Thus, the success of the glee club project in this period and the resistance of the institutional community to this period are also signs of colonial modernity, which was once again in conflict and confusion, such as ‘traditional society’ and ‘modern society,’ ‘traditional music’ and ‘western (Christian) music,’ ‘women’s social advancement’ and ‘resistance of paternal discipline power.’ 본 논문은 1927-1935년 사이 이화여자전문학교(梨花女子專門學校) 글리클럽(Glee Club)에 대한 연구이다. 1886년 스크랜턴(Mary F. Scranton)에 의해 설립된 이화학당은 1925년, 문과와 음악과를 갖춘 여성 최초의 전문학교로 재정비한 후 조선민요를 조선 전통문화의 요체로 인식하면서 국악연구 및 글리클럽을 음악과의 커리큘럼으로 도입하였다. 1927년 이후, 이화여전 음악과는 선교사 메리 영과 안기영의 합작(collaboration)으로 『조선민요합창곡집』을 출판하고 레코드로도 전곡을 취입하는 등 매우 근대적인 행보를 이뤄내었다. 또한 전국순회 연주회를 통해 ‘조선 신여성의 민요합창’이라는 신드롬을 일으키며 대중으로부터 큰 호응을 이끌어 내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글리클럽의 음악활동은 음악계 및 기독교계 모두로부터 비난과 공격을 받았다. 음악계에서는 조선 재래음악을 오선보로 만들고 합창음악으로 편곡하여 서구화하였다는 이유로, 기독교계로부터는 미션스쿨 여학생들의 민요합창이 기생을 연상시킨다는 이유 때문이었다. 결국 1935년 이후 글리클럽은 서구 합창음악을 재현하고 모방하는 레퍼토리로 전환하고 1930년대 말에 이르면 ‘국민음악의 밤’이나 ‘기원절봉축의 밤’ 등 관주도의 음악행사에 동원되면서 제국의 충실한 국민이 되어가는 대열에 합류하게 된다. 비록 10년이 채 못 되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이 시기 글리클럽의 활동은 서구음악의 일방적 수용자를 넘어 한국의 전통음악을 통해 선교지 현장을 반영하려고 시도했던 음악적 성취였다. 당시 제도권 사회의 공격과 반발은 글리클럽의 사회적 행보에 불편함과 위기의식을 느낀 가부장제 사회의 반발이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이 시기 글리클럽 프로젝트의 대중적 성공과 이에 대한 제도권 사회의 저항은 ‘전통사회’와 ‘근대사회’, ‘전통음악’과 ‘서구(기독교)음악’, ‘여성의 사회진출’과 ‘가부장제 규율권력의 저항’ 등 갈등과 혼돈을 거듭하던 식민지 근대성의 징후로 해석될 수 있다.

      • KCI등재

        여성선교사의 고등음악교육과 한국 여성의 새로운 정체성 찾기

        허지연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8 이화음악논집 Vol.22 No.1

        American missionaries had great effect on the education for early generations of Korean musicians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and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mong the mission schools, Soongsil and Yeonhui for boys and Ewha for girls produced many musicians. The music education of Soongsil and Yeonhui was conducted as extracurricular activities. But Ewha which was established by Woman’s Foreign Missionary Society of the Methodist Episcopal Church (WFMS) in 1886 was differentiated in that it developed a four-year curriculum as music conservatory. Music Department of Ewha Women’s Specialized College was launched in 1925 and became the first and only higher music education institution in colonial Korea.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contents and strategies of the higher music education at Ewha and to interpret its effects on colonial Korean society, focusing on the dual identity of Ewha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and a mission agency. First, I reveal how Ewha’s music education was closely related to the missionary work of WFMS, by looking into faculty members, curriculum, out-of-school activities, the careers of the graduates, etc. Second, I discuss how the education of woman missionaries motivated Korean women to construct a new female identity as educated women. Thus, I argue that although the women missionaries’ higher music education was a practical education for supporting the mission work, it provided, for the same reason, Korean Christian women with the opportunities to receive higher education and work in public sphere, imprinting the identity of “professional women” in Korean society. 1880년대 중엽 입국하기 시작한 미국인 선교사들은 구한말에서 대한제국 그리고 일제강점기에 걸쳐, 정부 주도의 체계적인 서양음악교육이 부재한 상황에서, 초창기 한국 음악가의 양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선교사들이 설립한 미션스쿨 중에서도 특히 남자학교인 숭실과 연희 그리고 여자학교인 이화가 다수의 음악가를 배출하였는데, 숭실과 연희의 음악교육이 과외활동으로 진행된 반면 이화의 음악교육은 전문교육으로 차별화되었다. 미국 북감리회 여성이 조직한 미감리여선교회가 세운 이화학당은 이미 ‘대학과’ 시절인 1920년에 한국에 온 최초의 음악 전공 선교사인 메리 영(Mary Young)을 영입하여 음악교육의 수준을 높였으며, 1925년에 이화학당의 ‘대학과’와 ‘대학예과’를 통합하여 이화여자전문학교 음악과를 설립하였다. 이를 계기로 이화의 음악교육은 식민지 내 최초이자 유일한 고등교육기관이자 제도권 음악학교로 획기적으로 발전하였다. 이 논문은 이화여전 음악과가 갖는 교육기관이자 선교기관이라는 이중의 정체성에 초점을 맞춰 음악과에서 이루어진 교육의 내용과 목표, 그리고 그것이 한국 사회에 미친 영향을 해석하고자 한다. 첫째, 이화여전 음악과 교육의 구체적인 실제 -교원 구성, 교과과정, 교외활동, 졸업생의 진로 등- 를 분석함으로써 이화의 고등음악교육이 WFMS가 벌이는 사업과 어떻게 결부되었는가를 밝힐 것이다. 둘째, 여성선교사들의 교육이 선교현장이라는 제한된 테두리를 넘어, 한국 여성들이 새로운 여성정체성을 상상 또는 구성하는데 영향을 미쳤음을 논할 것이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미국인 여성선교사들에 의한 고등음악교육이 선교사업에 기여하기 위한 실용적이고 방편적인 교육에 머물렀지만, 같은 이유에서 한국여성에게 고등교육을 받고 사회에 진출하는 기회를 제공하였으며 결과적으로 한국사회에 ‘전문직 여성’의 정체성을 각인시켰음을 밝히고자 한다.

      • KCI등재

        1930년대 여류악단(樂壇) 형성과 구성 원리: 이화여자전문학교와 신문·잡지를 중심으로

        송현민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9 이화음악논집 Vol.23 No.2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1930s, a musical scene was formed and a social organization of professional musicians were formed. This chapter distinguished ‘non-musical’ from ‘musical,’ and set a certain musical value. The principle of creation and maintenance of such a band played a similar role in the literary circle. In particular, newspapers and magazines have addressed various events that constitute the music industry of the colonial Joseon dynasty, examined the current status of musicians, suggested points of refl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music industry, and suggested that modern media through networking. I realized the logic of forming and maintaining a musical band while selecting ‘music’ and ‘not music.’ Over time, these bands were differentiated based on various criteria such as their academic background, taste, personal interests, and worldview. In early 1930s, the so-called ‘female music scene’ was one of them. The term ‘female music scene,’ which was formed and used at the time, was a sign of female artists who are going to be gradually performing. As time went on, the contents of the ‘female musicians’ and ‘female music scene’ gradually increased in the commentary area of ​​the music world. This means that the New Home(新家庭) And in February 1934 issue of New Home(新家庭), the “Total Evaluation of Womans Music,” and was used in the context of introducing and discussing female musicians in newspapers and magazines. In this study, I think that the formation and cause of female music scene are in the modern school education at Ewha Womans College, modern media such as newspaper and magazine. Modern media formed and spread the discourse and planned and imagined a chapter. School education was a system that realizes modern education. Therefore, the formation of female music scene is related to ① the influences of women’s literature in literary circles in early 1930s, ② the graduation of Ewha Womans College established in 1925, and the advancement of society. In addition, I asked the question, “Who made female music scene?” and discussed ③ The principle behind the composition of the female music scene is the discursive role of newspapers and magazines and the resulting community of imagination. 일제강점기 중 1930년대가 되면서 음악가들의 사회를 뜻하는 ‘악단’(樂壇)이 형성되며 직업적 음악가들의 사회적 조직이 만들어졌다. 이 장(場)은 비(非)음악적인 것으로부터 ‘음악적인 것’을 구분하고 일정한 음악적 가치를 설정하는 역할을 하였는데, 이러한 악단의 생성과 유지의 원리는 문학계의 문단과도 비슷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신문과 잡지는 식민지조선의 음악계 내부(악단)를 구성하는 여러 사건을 거론했고, 음악가들의 현황을 살폈으며, 음악계의 발전을 위한 반성의 지점과 제언을 하며, ‘근대 매체’와 ‘음악’이 상호공명적 네트워킹을 통해 ‘음악’과 ‘음악 아닌 것’을 선별하는 가운데 악단의 형성과 유지의 논리를 실현하였다. 당시 형성되어 사용하기 시작한 ‘여류문단’(文壇)이라는 말과 음악의 여류악단이라는 말은 서서히 진행될 여성예술가들의 활약을 암시하는 징후와도 같았다. 시간이 흐를수록 악단을 논평하는 지면에서도 ‘여류음악가’들과 ‘여류악단’에 대한 내용들이 점진적으로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여류악단의 형성 원인에 있어서 큰 역할을 한 것은 ‘이화여자전문학교’라는 근대식 학교교육과 ‘신문’과 ‘잡지’라는 근대 미디어에 있음을 밝힌다. 근대 미디어는 담론을 형성·전파하며 하나의 장을 기획하고 상상하게 하였으며, 학교교육은 근대적 교육을 현실화하는 제도였던 것이다. 따라서 ‘여류악단’의 성립은 ① 1930년대 초반 문단 내 여류문단의 영향 관계와 직·간접적인 관계에 놓여 있으며, ② 1925년 설립된 이화여전 음악과 졸업생들의 사회(음악계) 진출과 그 속에서의 활약과 맞물려 있음을 논한다. 이와 함께 ‘그렇다면 누가 여류악단을 만들었는가’라는 질문을 던져 ③ 여류악단의 구성 원리로서의 신문과 잡지의 담론적 역할을 논한다.

      • KCI등재

        이화여자전문학교의 『여류가곡집』(1932) 출간과 그 의미

        신혜승 ( Shin Hye Seung ),김은영 ( Kim Eun Young ),공애희 ( Kong Ai Heui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이화음악논집 Vol.25 No.1

        본 논문은 이화여자전문학교 졸업생들의 작품집 『여류가곡집』(1932)에 대한 고찰이다. 본고는 학교설립 초기부터 영어와 찬송을 강조했던 이화학교사(史)에서 1932년 『여류가곡집』 출판을 계기로 전문음악인으로서의 정체성을 표명한 사건이었다고 평가한다. 전체 여성 중 극소수에 불과했던 여학교 출신의 신여성들은 자신들이 동시대 여성들과 구분된 근대교육의 수혜자라는 자부심이 있었지만 스스로의 미래 앞에서는 전통적 여성상인 가족공양과 현모양처로서의 역할과 개인의 진로 사이에서 갈등하고 있었다. 1920년대까지 여성교육의 목표는 현모양처의 양성에 있었고 음악과 학생들은 스위트 홈을 구성하는 데 있어 최고의 ‘규수감’으로만 인식되던 상황이었다. 그러나 1930년대 들어 일간지에서는 여성의 사회진출을 놓고 사회적 논쟁이 일기 시작했고 이와 함께 이화 출신 여성음악가도 빠지지 않고 거론되고 있었다. 『여류가곡집』의 출간은 근대의 경향인 서양음악의 부각과 여성의 대두라는 시대상을 뚜렷하게 보여주는 구체적 사례로, 본 논문에서는 여성음악가의 사회적 의미와 함께 『여류가곡집』에 참여한 작곡자 개개인의 면모와 작품을 분석하고 향후 그들의 활동 및 역할을 조명해보았다. 1928년 이후 이화여전 음악과 학생들은 적극적이고 광범위한 대외활동을 통해 음악적 성취감을 맛보는 경험을 했지만 여전히 남성 중심의 주류음악계에서 이화여전의 새로운 시도는 단속과 규율의 담론 안에 갇히고 있었다. 그럼에도 ‘여류’라는 용어를 전면에 부각한 가곡집의 출간은 음악계뿐 아니라 이화의 학교사에 있어서도 큰 분기점을 이루는 ‘도전’이며 향후 여성음악가 성장의 중요한 견인차가 되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This paper is a review of The Collection of Femme Lieder (1932), a collection of works by graduates of Ewha College. The publication of The Collection of Femme Lieder is a concrete example of the emergence of Western music and the rise of women, which are a modern trend.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works of individual composers who participated in The Collection of Femme Lieder, and examine their activities and roles in the music field. Since 1928, Ewha’s students have experienced a sense of musical achievement through active and extensive external activities. However, in the male-centered mainstream music field, Ewha’s new attempt was trapped in the discourse of crackdown and discipline. Nevertheless, it can be said that the publication of the Song Collection composed by Ewha womans, which emphasized the term ‘woman,’ was a ‘challenge’ that constituted a major turning point not only in the music field but also in Ewha’s history. It can also be evaluated as an important driving force for the growth of women musicians.

      • KCI등재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 석·박사학위논문 연구현황과 과제

        곽은아 ( Eun Ah Kwak ),김희선 ( Hee-Sun Kim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21 이화음악논집 Vol.25 No.3

        이 연구는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의 석·박사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연구현황과 과제를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974년 설립된 국악과/한국음악과는 1978년 석사학위과정을, 1988년 대학 국악과 최초로 국악실기 박사학위과정을 개설하였다. 이 연구의 분석대상은 1976년부터 2021년 8월까지 발표된 378편의 석·박사학위논문이다. 석사학위논문은 1970-1980년대 고악보 연구, 정악기악(영산회상, 여민락, 취타 등), 정악성악(가곡, 십이가사), 가야금 산조, 대금산조 연구를 시작으로 1990년대 이후 줄풍류, 의궤 연구, 다양한 악기의 산조, 판소리, 가야금 병창, 민요, 잡가, 시나위, 봉장취, 연희 등으로 연구대상이 확장되었다. 1980년대 중반부터 시작된 창작곡 연구는 황병기 가야금 창작곡 분석연구를 시작으로 점차 다양한 작곡가의 창작곡, 창작곡을 위한 연주법 등으로 연구대상과 연구주제가 확장되었다. 1990년대부터 국악학계 전반의 흐름을 담은 고음반, 북한음악 악곡분석, 근현대 음악사 등의 연구와 시대적 흐름에 따른 실용적이며 현장 중심 연구인 마이킹, 국악정책 등도 발표되었다. 이러한 연구대상과 주제는 각각 101편, 126편으로 가장 많은 졸업생을 배출한 2000년대와 2010년대에도 지속되었다. 박사학위논문은 2002년 최초의 국악실기 박사학위논문 발표 이후 2021년 8월까지 48편의 연구가 발표되었다. 박사학위논문은 석사학위논문에 비해 포괄적인 대상과 주제로 확장되었으나 주요 연구방법은 선율, 조, 악장, 장단 등 음악내적구조 분석, 고악보 수록악곡비교를 통한 형성과정 고찰, 단일 악곡분석, 악기 간 선율비교, 성악과 기악반주선율비교 등으로 석사학위논문과 유사하다. 실기전공 최초의 석·박사학위과정 개설이라는 앞서가는 행보를 보여준 이화여자대학교 한국음악과는 기악과 성악 분야에서 최초의 학위논문이 다수 발표되고 창작음악 연구에서 두드러지는 성과를 보여주었다. 그러나 실기전공 중심의 연구의 한계를 넘어 한국음악학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주제와 확장된 연구시각을 확보하는 일은 중요한 미래의 과제라 하겠다. This paper examines the status of research for M.A. theses and Ph.D. dissertations in the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at Ewha Womans University and its prospects. Established in 1974 within the College of Music, the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began its M.A. degree program in 1978. The Department changed its name from Gugak-gwa (department of traditional music) to Hangukeumak-gwa (department of Korean music) in 1980, and its first Ph.D. degree program for majors in musical instruments or voice was established in 1988; most theses and dissertations were written by musicians rather than musicologists. This paper analyzes 378 theses and dissertations from 1976 to 2021. Research topics of early M.A. theses included old notation, analysis of individual pieces of court and literati music such as Yeongsanhoesang, Jongmyojeryeak, Yeomillak, Boheoja, the gagok classical song cycle, the twelve surviving gasa, and folk music such as gayageum sanjo, pansori, minyo folk songs, and gayageum byeongchang. Early analyses of individual contemporary compositions for traditional instruments have expanded to studies of composers, playing techniques for new compositions and playing techniques. From the 1990s, new topics including North Korean music, modern music history, recording techniques, traditional music-related policy, and others have appeared, paralleling changes in society. Major research methodologies are comparison, analysis of musical elements, and melodic analysis among various instruments in musical pieces. Since the first Ph.D. dissertation in 2002, a total of 48 dissertations have been published, the subjects and topics broader and expanded compared to M.A. theses. As the first M.A. and Ph.D. degree program offered by the Department of Korean Music at Ewha Womans University, numerous thesis and dissertation “firsts” in several major fields in instruments and voice were published; these were major achievements for the Department of Korean Traditional Music. Howev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maller numbers majoring in Korean musicology than instruments and voice majors, expansion of research topics and perspectives remains as imperative in contributing to the development of Korean musicology.

      • KCI등재

        하위주체 여성의 목소리 다시 생각하기

        채현경 ( Hyun Kyung Chae ) 이화여자대학교 음악연구소 2013 이화음악논집 Vol.17 No.2

        이 논문은 근대화 초기 조선/한국의 여성들의 음악교육을 통한 근대화 경험을 여성 즉 ``하위주체``의 목소리라는 측면에서 다시 생각해 보는 시도이다. 여성의 근대화 과정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친 서구선교사들과 자신들의 목적을 위해서 여성교육을 장려한 개혁파 남성들과의 관계에서, 과연 그들과 어떠한 만남을 가졌으며, 그 과정이 여성의 의식변화와 일상의 경험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으며, 가부장적인 문화에서 이러한 변화가 어떤 식으로 수용됐는지 등을 당시의 일차자료들을 탈식민주의와 여성주의 시각에서 면밀하게 분석/해석하여 근대화의 총체적인 그림을 다시 그려보는 것이 목적이다. 그 당시 한국의 서구화 또는 근대화 과정에서 여성과 서구(western) 또는 근대(modern) 음악이 중요한 촉매 역할을 담당했다는 것은 현재 우리가 호명하는 음악이 우리의 음악이 아닌 서양음악어법으로 된 음악이라는 사실로 충분히 설명된다고 본다. 이 시기 한국은 정치적으로나 사회문화적으로 주권을 잃은 절박하고 혼란스러운 위기 상황이었지만, 여성들은 아이러니하게도 개혁파들의 부국강병을 위한 여성교육과 기독교를 보급하고자 한 서구 여성선교사들의 노력으로 그 동안 활동영역을 집안으로 제한해 온 ``내외법``(內外法)의 억압에서 벗어나, 학교라는 공공기관에서 최초로 교육을 받는 것이 허용되는 상상할 수 없었던 일상이 뒤집히는 경험을 한다. 이 당시 받은 교육의 주요내용은 음악, 특히 찬송가 부르기였으며, 남성과 동등하게 목소리를 내어 노래를 부른 것이 초기 서구 선교사와 일부 여성학자들에 의해서 ``여성이 최초로 자신의 목소리``를 갖게 되는 것을 초래하여, 궁극적으로 의식의 변화가 일어나는 상징적인 의미로 해석하여 한국여성사의 큰 전환점이라고 본다. 본 연구자는 그 격동적인 변화의 시작 지점인,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까지의 서구선교사와 조선학생들 사이의 음악교육을 통한 교류(transactions)에서 실현 됐다고 주장되는 조선 여성들의 목소리가 "진정한 그들 자신들의 독립된 목소리인가"에 대해서 의문을 갖는다. 또한 여성 교육의 중요성을 주장한 남성개혁파들의 당시 근대교육을 받은 여성의 사고에 미친 영향역시 대표적인 여성의 글을 분석하여 살펴볼 것이다. 이 연구는 탈식민주의와 여성주의 담론에서 불균형한 권력 구도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는 제 3세계 여성과 제 1세계 여성의 교류(transactions)에서 또한 가부장적인 제 3세계의 사회에서 여성, 즉 하위주체의 경우, 그가 말을 하지 않은 것이라 그들의 말이 지배담론의 개념으로나 방법으로 해석이 될 수 없기에 말이 없는 것(mute)으로 간주된다는 스피박의 주장(Gayatri Chakravotry Spivak 1996, 287-308)을 구체적으로 적용해 볼 수 있는 계기를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