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민요 장단의 달고 맺는 구조에 관한 연구

        한윤이 한국음악교육학회 2011 음악교육연구 Vol.40 No.1

        Janggu's Jangdan accompanying a Minyo (Korean folk song) is played in a variety of ways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songs played. It is given consideration when many different forms are taught about each Jangdan in school. However, guidelines on the reasons and standards for teaching various Jangdans have not been sufficient, and educational research supporting the current practice has not been sufficiently conducted. Thus,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instructional systems appropraite to elementarch school students' level and suggest the principles of Minyo's accompaniment Jangdan being payed in Dalgo and Maeneun patterns. For the instructional content of Dalgo and Maetneun Jangdan, minimum requirements including paragraph structures of a music piece with a focus on lyrics or melodies, Dalgo and Maetneun Jangdan's structure, and rhythmic patterns of Jangdan are selected. Based on these selections, step-by-step instruction plans are presented in elementary school's music curriculum. First, students are asked to identify paragraphs of a musical piece in terms of continuation and ending structures and understand Dalgo and Maetneun Jangdan's structure by applying Jangdan's Dalgo and Maetneun functions. Next, students are supposed to lean rhythmic pattern of Jangdan from Maetneunhyung (the rhythmic pattern to function conclusion) to Daneunhyung (the rhythmic patterns to work continuation) and the accent of Maetneunhyung and then play the music piece in Dalgo and Maetneun Jangdan. This method of making students understand Dalgo and Maetneun Jangdan's structure and play in the Jangdan can promote students' accurate understanding and creative expressions.

      • KCI등재

        음악교과역량 함양을 위한 국악 수업 설계

        한윤이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7 敎員敎育 Vol.33 No.4

        It has been increasing the interest in subject competencies in music but studies on the subject competencies in Korean Music education are not enough for teach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devising practical measures about Korean Music classes based on subject competencies. For this aim, researcher examined the subject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 of music curriculum and then presented the direc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 to cultivate subject competencies in music. A specific design was started after it was invented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based on subject competencies in music. The process consisted of four phases. There are ‘Identification of Achievement Standard, Selection of Contents based on Competency, Selection of Methods Based on Competency, Selection of Teaching-learning Activities’. According to this process, researcher have made instructional design for Korean Music education based on subject competencies enough to use in school practically. Instructional designs for Korean Music education based on subject competencies were focused on activities of expression, integrated activities of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nd music in daily life. The first topic is ‘Singing Nilliriya along to Gutgeori Jangdan’. the second topic is ‘Appreciating Talchum and Creative expression’. the third topic is ‘Investigating and introducing Pungmulnori in our region’. This research shows that competencies is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the process of reviewing the subject competencies reflec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 Consequently, it was found that teachers can combine and instruct various competencies at once and that most of all, Korean Music is very suitable to cultivate Cultural Community Competency Creative and Convergent Thinking Competency in music. 본 연구는 음악교과역량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국악교육에서 역량 기반 국악 수업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실질적인 방안을 마련하고자 이루어졌다. 이를 위해 먼저,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 반영된 역량을 영역별로 살펴보았고, 음악교과역량 함양을 위해 국악교육은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할 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구체적인 수업설계에 앞서 역량 기반 수업 설계 과정도 개발하여 제안하였는데, 역량중심 수업 설계 과정으로 ‘성취기준 파악, 역량에 근거한 내용 선정, 역량에 근거한 방법 선정, 단계별 교수・학습 활동 선정’ 등 4단계를 설정하였다. 이 4단계 과정에 따라 실제로 학교에서 적용 가능한 역량 기반 국악수업을 설계해 보았다. 역량 함양을 위한 국악 수업 설계는 표현 활동, 표현과 감상 통합 활동, 생활화를 중심으로 한 3가지 형태로 구안하였으며, 각각 ‘굿거리장단에 맞추어 노래 부르기’, ‘탈춤 감상하고 창의적 표현하기’, ‘우리 지역 풍물놀이 소개하기’를 주제로 수업을 설계하여 보았다. 그 결과, 역량은 서로 긴밀한 관련성이 있기 때문에 역량이 통합적으로 다양하게 반영되어 나타나고, 특정 성취기준이나 내용에 여러 가지의 역량을 통합하여 교육할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또한 국악은 문화유산이면서 본질적으로 통합적이고 융합적인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문화적 공동체 역량’과 ‘음악적 창의・융합 사고 역량’ 함양 교육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

        전래동요의 말붙임새 고찰 및 지도 방안-중중모리장단에 해당하는 악곡을 중심으로-

        한윤이 한국민요학회 2013 한국민요학 Vol.38 No.-

        The basic principle of composition is to decide melody and rhythmic pattern according to the lyrics. For this reason, we teach the lyrics in the music classes and evince it in the music curriculum. Often there are studies about the Mal-butchimsae beforehand. But it is not almost to exist analysis about the any particular Jangdan precisely. Therefore in this study I research an appropriate plan to teach Mal-butchimsae of Jungjungmori-Jangdan within in traditional children songs. I analysed 20 Traditional Children songs to be formed Jungjungmori-Jangdan. As a result, I found some facts as follows. Firstly, Mal-butchimsae of Jungjungmori-Jangdan within in traditional children songs is many various types. One is to repeat a Mal-butchimsae pattern and the other one is to repeat two or three patterns. Another one is to use many patterns intricately and repeatedly. Secondly, it is used • • • , • • • frequently in the Mal-butchimsae consisted of three syllables and is used • • • • , • • • • frequently in the Mal-butchimsae consisted of four syllables. Also • • • • • , • • • • • occasionally come out in the Mal-butchimsae consisted of four syllables. Consequently it is characterized that the Mal-butchimsae of Jungjungmori-Jangdan appeared in traditional children songs is used • • and this is the same as the general pattern of Janggu-Jangdan. Through this fact we can know that Mal-butchimsae is closely related to the pattern of Jangdan. Furthermore, I selected teaching contents and designed the system of it to be needed when we teach Mal-butchimsae in the traditional music classes. The teaching contents is selected on the basis of the 2009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by considering relation to Jangdan. And I presented teaching plan about the Mal-butchimsae of Jungjungmori-Jangdan. This will be able to help to stimulate the teaching of Mal-butchimsae in the traditional music classes. 노랫말은 국악의 중요한 개념인 장단과 밀접한 관련이 있고 노랫말을 붙이는 방법 즉 말붙임새의 형성 원리는 국악 작창의 기본 원리이기 때문에 학교 교육에서 말붙임새에 대한 지도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원형태 성악곡인 전래동요를 대상으로 하여 중중모리장단의 말붙임새에 대해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말붙임새 지도 내용 체계와 중중모리장단으로 된 전래동요의 지도방안을 마련하였다. 중중모리장단으로 된 전래동요 20곡을 분석한 결과, 중중모리장단으로 된 전래동요의 말붙임새는 주로 3음절과 4음절을 사용한 말붙임새 형태가 나타났으며 주요 말붙임새는 중중모리 반주 장단과도 관련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자는 말붙임새 지도의 활성화를 기하고자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의 체제에 맞추어 말붙임새의 지도 내용을 선정하여 제시하였고 나아가 중중모리장단의 말붙임새 지도 방안을 구체적으로 구안하여 이를 전래동요에 적용해보았다.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국악 교수법 고찰

        한윤이 한국음악교육학회 2012 음악교육연구 Vol.41 No.1

        국악을 지도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국악의 특성과 어법을 고려한 지도 방법을 국악 교수법으로 명명하고 분류한 연구는 매우 드물다. 본 연구는 국악의 어법에 맞는 국악 교수법의 유형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3~6학년 음악 교과서와 지도서에 제시된 국악 교수법을 분석하여 국악 교수법의 활용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활동 영역에서 적용한 국악 교수법을 분석한 결과, 노래 부르기 활동에는 가락선보 활용 교수법, 한배 감지 교수법(상체 활용 교수법, 하체 활용 교수법), 무릎 장단 교수법, 손시김 교수법, 구전심수법, 놀이 활용 교수법, 가무악 통합 교수법 등이 적용되었고, 악기 연주하기 활동에는 구음 활용 교수법, 율명 활용 교수법, 무릎 장단 교수법, 한배 감지 교수법, 총보 활용 교수법, 말장단 교수법 등이 적용되었다. 또한 음악 만들기 활동에서는 손시김 교수법, 가락선보 활용 교수법, 가무악 통합 교수법, 한배 감지 교수법, 구음 활용 교수법 등을 적용하였고 감상하기 활동에서는 한배 감지 교수법, 손시김 교수법, 추임새 활용 교수법, 구음 활용 교수법, 무릎 장단 교수법, 가무악 통합 교수법 등을 적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렇듯 적용한 국악 교수법의 종류가 다양하지만 노래 부르기와 감상하기에서는 여러 교수법을 고루 활용한 반면 악기 연주하기와 음악 만들기에서는 두세 가지 교수법만 집중적으로 적용하였다.

      • KCI등재

        세시 놀이요의 생활화 영역 중심 교과 통합 지도 방안

        한윤이 한국예술교육학회 2019 예술교육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election of instructional contents and a teaching method, with a focus on traditional play songs of seasonal festivals, that can be used in the area of music in daily life centering on teaching methods of integrated subjects emphasized in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More specifically, it seeks measures of integrated education aimed at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proposes ways of teaching the educational elements presented in the area of music in daily life under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in more various ways. To this end, the study analyzes elementary school music textbooks for 3rd-6th grades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2015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examines contents related to traditional play songs of seasonal festivals. Based on that examination, it selects instructional contents for play songs of seasonal festivals and then sets up a teaching stages for the teaching methods of integrated subjects on traditional play songs of seasonal festivals focusing on the area of music in daily life. The process was established by dividing it into the exploration stage and the utilization stage. They are carried out activities to investigate, present, and appreciate in the exploration stage and activities to experience and share their feelings in the utilization stage. Following this stages, a practical example of teaching is designed with a focus on ‘juldarigi(tug-of-war),’ one of play songs of seasonal festivals. Two suitable class plans for 3rd~4th graders and 5th~6th graders were designed and presented. The findings of the study reveal that the play songs of seasonal festivals presented in the music textbooks are mostly composed of 'Ganggangsullae,' so the utilization of play songs of seasonal festivals in various ways is needed. Also, it is confirmed that play songs of seasonal festivals, a combination of play and song, are suitable learning materials for integrated education and the area of music in daily life in the music curriculum. 본 연구는 세시 놀이요를 주제로 선정하여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교과 통합으로 생활화 영역에서 지도할 수 있는 내용 선정과 방법을 구안하여 제시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통합 교육의 방안을 모색하고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의 생활화 영역을 보다 통합적이고 다양하게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초등학교 3~6학년 음악 교과서를 분석하여 세시 놀이요과 관련된 내용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세시 놀이요의 지도 내용을 선정한 다음 생활화 영역 중심의 교과 통합 지도 단계와 과정을 설정하였다. 생활화 영역에서 세시 놀이요를 지도하는 지도 단계로 탐색 단계와 활용 단계를 설정하였으며, 탐색 단계는 조사, 발표, 감상의 활동을 실시하고 활용 단계는 체험, 소감 나누기 활동을 하도록 세분하였다. 설정한 지도 단계에따라 세시 놀이요 중 ‘줄다리기’를 중심으로 실질적인 수업을 설계하여 학년군별로 구분하여 예시하였다. 연구결과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세시 놀이요는 ‘강강술래’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보다 다양한 세시 놀이요의활용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고, 놀이와 노래가 통합된 세시 놀이요는 교과 통합 교육과 음악 교과의 생활화 영역에 매우 적합한 제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양상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20 국악교육연구 Vol.14 No.1

        This study examin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Korean music appreciation presented in the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for elementary schools by each period of revision to identify current status and any change over time.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mited to the methodological aspect(how) while excluding teaching and learning contents (what) and includ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data. First, the study examined the types and guideline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music appreciation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music curricula for elementary schools. Based on the examination, it reviewe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music pieces centered on appreciation activities embodied in the elementary music textbooks of each period of revision. As a result, the changes i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ere identified as follow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music appreci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have drastically changed since the 2007 revised music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1st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their textbooks were limited to using physical expressions and integrated activities. However, the revised music curricula and textbooks since 2007 presented more diverse and specific methods such as inter-curricular teaching, linking learning and arts, use of chuimsae, use of jeongganbo and gueumbo, use of various materials, use of visual, auditory, and physical activities, and use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re was also a phenomenon of integrating and expanding various type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is trend was more prominent in the music textbooks than in the music curriculum, and the textbooks used more diverse types of teaching methods for Korean music appreciation than the curriculum. Besides these positive changes, a need for improvement is recognized as there is a tendency to lean too much towards the use of physical expression and materials. These changes are the result of actively implementing the demand for the development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esented in the curricula of several periods of revision. The developmen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Korean music appreciation is expected to be achieved steadily. 본 연구는 국악 교수․학습 방법 중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화 양상을 알아보고자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을 개정 시기별로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무엇을’에 해당하는 교수․학습 내용은 제외하고 ‘어떻게’에 해당하는 방법적인 부분만 연구 내용으로 제한하였으며, 자료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은 포함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개정 시기별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활용 실태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양상을 파악하는 데 있다. 먼저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분석을 통해 개정 시기별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과 이에 대한 지침을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개정 시기별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구현된 감상 활동 중심 국악 제재곡의 교수․학습 방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고찰한 내용을 토대로 초등학교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양상을 파악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은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중심으로 많은 변화가 나타났다. 제1차에서 제7차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이 신체 표현을 활용하는 방법과 영역 또는 활동을 통합하여 지도하는 방법에 한정되어 있었으나 2007년 이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교과서는 교과 연계 지도, 예술 연계 지도, 추임새 활용, 정간보와 구음보의 활용, 다양한 자료의 활용, 시각적․청각적․신체적 활동 활용,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 등 보다 다양하고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었다. 또한 여러 유형의 교수․학습 방법을 통합하고 확대하여 활용하는 양상도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음악과 교육과정보다 음악 교과서에서 두드러졌으며 음악 교과서는 교육과정보다 더 다양한 유형의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이 활용되고 있었다. 하지만 이러한 긍정적인 변화뿐 아니라 신체 표현 활용과 다양한 자료의 활용에 편중되는 경향이 있어 이에 대한 개선이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이와 같은 국악 감상 교수․학습 방법의 변천 양상은 여러 시기의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의 개발이라는 요구를 적극적으로 실천한 결과라 판단하며 앞으로도 꾸준히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장단 학습활동 유형 분석

        한윤이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23

        This study analyzed the patterns of jangdan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in the music textbooks for the third to six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s, examined problems through the analysis, and presented measures for improvement. The analysis criteria and standards were prepared based on the music curriculum and analyzed accordingly. The result of the analysis indicated that the third and fourth grades were intensively engaged in activities related to ‘beat, jangdan, forms of jangdan, malbuchimsae(the rhythm of lyrics) and hanbae(tempo),’ while the fifth and sixth grades were focused on activities related to ‘jangdan, forms of jangdan, and changes in hanbae(tempo).’ The activities related to ‘the se(勢, accents) of jangdan’ were generally presented in the third and fifth grades but were rarely covered in the sixth grad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learning activities linked across grades for some concepts. The followings are the identified issues and measures for improvement in the elementary jangdan learning activities. Since there is inadequate instruction for the basic beat, instruction for that should be continued. Since there are not enough activities responding to the technique of discernment, activities related to that should be organized. It is necessary to, as a whole, secure the link of learning activities for each concept, which is being partially performed in some areas, to actively reflect on weak activities by grade, and to develop and utilize jangdan learning activities related to the real-life application domain. 본 연구는 초등학교 3~6학년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장단의 학습활동 유형을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점을 살펴보았으며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음악 교과서의 장단 학습활동을 분석한 결과 3~4학년군은 ‘박, 장단, 장단꼴, 말붙임새, 한배’와 관련된 활동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고, 5~6학년군은 ‘장단, 장단꼴, 한배의 변화’와 관련된 활동을 중점적으로 다루고 있었다. ‘장단의 세’와 관련된 활동은 3~5학년에서 보편적으로 제시되었지만 6학년에서는 거의 다루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일부 개념에서 연계적 학습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게 되었다. 초등학교 장단 학습활동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으로는 기본박의 지도가 미흡하므로 이에 대한 지속적인 지도가 이루어져야 하고, ‘구별하기’에 해당하는 활동이 빈약하므로 이와 관련된 활동 구성이 필요하며, 일부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개념별 학습활동의 연계성을 전체적으로 확보하고, 학년별로 빈약한 활동의 적극적 반영과 생활화 영역과 관련된 장단 학습활동을 개발하고 활용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후보

        ‘장단의 세’에 대한 의미 고찰과 지도 방안

        한윤이 한국국악교육연구학회 2013 국악교육연구 Vol.7 No.1

        New terms in Korean Music have been presented since the Revised Curriculum of 2007 for raising Korean Music education qualitatively. In New terms of Korean Music there is a ‘Jangdankkoal’, ‘Se of Jangdan’, ‘Hanbae of Jangdan’, ‘Buchimsae’ connection with the words of a song. These help us correctly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 of Korean Music. Of these ‘Se of Jangda’ is not now well understood by teachers. Study on this must be conducted. Therefore, in this study I considered the concept of ‘Se of Jangd’. Also on the foundation of this concept, I inquired about the content relation to ‘Se of Jangdan’ and about the systematized teaching methods of relation to it. Jangdan becomes deferent in relationship to the position and strength of ‘Se of Jangdan’. ‘Se of Jangdan’ becomes deferent according to the role of Jangdan. ‘Se of Jangdan’ definitely plays the role of understanding the concept of Jangdan and is the bases for discovering its dynamics. When ‘Se’ is used in connection with Jangdan we say ‘Se of Jangdan’ which means an accent on a specific beat of Jangdan. The leaning contents of ‘Se of Jangdan’ are ‘Se of Jangdan in music’, ‘Se of Jangdan in instrumental accompaniment’, ‘Se of Pungmul Garak’, and ‘Change of Se’. The leaning of ‘Se of Jangdan’ begins with the general accent of Jangdan. Secondly we teach ‘Se of Jangdan’ according to the role of continuance-close and beat structure. Then the leaning of ‘Se of Jangdan in music’ is focused on the lyric and melody. The leaning of ‘Se of Jangdan’ ‘in instrumental accompaniment’ and ‘Se of Pungmul Garak’ must use ‘Gueum’.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음악과 교육과정은 국악 교육에 있어서 국악의 질적 제고를 위해 새로운 국악 용어의 도입을 시도하였다. 장단과 관련된 용어로써 장단꼴, 장단의 세(勢), 장단의 한배, 말붙임새 등을 제시한 것이다. 이러한 국악 용어는 국악의 특징을바르게 이해할 수 있게 한다. 하지만 현장 교사들은 여전히 국악 용어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그 중에서 ‘장단의 세(勢)’는 특히 심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장단의 세(勢)’에 대한 의미를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장단의 세(勢)’와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았으며, 나아가 ‘장단의 세(勢)’를 지도하기위한 방안을 마련해 보았다. ‘장단의 세(勢)’는 장단의 개념을 보다 명확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세(勢)에 따라 장단이 달라지고 장단에 따라 세(勢)의 위치가 달라지며 장단의 기능(역할)에 따라 세의 정도가 달라진다. 장단의 세(勢)는 장단을 다양하게 활용하고 여러 장단의 관계를 파악하게하며, 반주 장단만이 아니라 악곡 속에 나타나는 악곡 장단의 세(勢)를 파악함으로써 ‘셈여림’이라는 개념을 이해하는 기초가 된다. ‘세(勢)’와 ‘장단의 세(勢)’라는 말을 사용한 용례를 통해 ‘세’는 ‘강약’ 또는 ‘강세’의 의미로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세는 강약을 주개념으로 하는 다의적 개념이며 ‘장단의 세’ 와 같이 장단에 한정한다면 장단과 관련된 특정 부분의 세(특히 강세)를 뜻하는 국악 용어로 정리할수 있었다. 현행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내용을 고찰한 결과 장단의 세와 관련된 지도 내용은 악곡 장단의세, 반주 장단의 세, 풍물 가락의 세, 세의 변화 등이 있었다. 장단의 세는 현재 제시된 내용을 지도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에 따라 지도 내용별로 장단의 세에 대한 지도 방안을 마련해 본 결과, 악곡 장단의 세는 노랫말과 가락의 특징에 따라 나타나는 세를 중심으로 지도하고 반주 장단과 풍물가락의 세는 구음을 통해서 지도하며 세의 변화는 세의 보편적인 양상을 지도한 후 변하는 부분을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수심가토리 지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한윤이 한국국악교육학회 2020 국악교육 Vol.50 No.50

        Tori is one of the most critical instructional concepts in teaching Korean music melodies. After the 2007 Revised Curriculum, when the instruction on tori was in full swing, studies related to this have been conducted in various ways, but there are still problems in the real classroom. Thu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the instruction on susimga-tori among folk songs and present problems and improvement plans to help the tori education be properly implemented. To this end,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instructional contents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and methods of susimga-tori presented in curren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to examine the status of the instruction comprehensively.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instructional content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included the definition of terms, subtypes and constituent notes, sigimsae and singing styles, regions and their representative musical pieces, and the mood and impressions of the music. For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singing focused on the sigimsae instruction and music appreciation centered on understanding musical traits were embodied. Garakseonbo (melody line notation) and son-sigim (sigimsae expressed by hands) were suggested as a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The result of the examination identified the following problems of the susimga-tori instruction in the current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music textbooks: 1. inconsistency between the definition of the terms using the region name and the song titles used in the terms 2. disunity in the presentation of subtypes and constituent notes 3. a music piece that does not have the typical characteristics of susimga-tori is selected as a representative piece 4. inconsistency of symbols and notations of sigimsae 5. differences in music transcription of an identical music piece 6. standardiz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7. no present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 solve the problems, the study suggested the improvement plans in the following: 1. definition of terms using song titles 2. precise division of subtypes and unification of constituent notes 3. selection of sigimsae responding to expression methods and matching of notation 4. unification of major notes in the same piece 5. presentation of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r singing and appreciation activities 6. planning of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for susimga-tori in the area of playing musical instruments and making music 7. sugges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using apps and various materials. 토리는 국악 지도 개념 중 국악의 가락을 지도하는 주요 개념이다. 토리의 지도가 본격화된 2007년 개정 교육과정 이후 이와 관련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졌으나 여전히 지도에 있어서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민요 토리 중 수심가토리를 중심으로 지도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문제점과 개선 방안으로 제시함으로써 학교 교육에서 토리 지도가 올바르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먼저 현행 초․중학교 음악 교과서에 제시된 지도 내용과 교수․학습 활동 및 방법 등의 지도 현황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음악 교과서에는 지도 내용으로 용어 정의, 하위 유형과 구성음, 시김새와 창법, 해당 지역과 대표 악곡, 음악의 느낌 등이 실려 있음을 알게 되었다. 교수․학습 활동으로는 시김새 지도 중심의 노래 부르기와 음악적 특징 이해 중심의 감상하기 활동이 구현되어 있었다. 교수․학습 방법으로는 가락선보와 손시김을 활용하는 방법이 제시되어 있었다. 현행 초․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수심가토리 지도 시 문제점으로 지역명을 활용하여 용어를 정의한 점, 하위 유형의 제시와 구성음의 제시가 통일되지 않은 점, 전형적인 수심가토리의 특징을 지니지 않은 악곡을 대표 악곡으로 선정한 점, 시김새의 기호와 표기가 일치하지 않은 점. 동일 악곡의 음 채보가 다른 점, 획일된 교수․학습 활동, 교수․학습 방법의 미제시 등을 지적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개선 방안으로는 악곡명을 활용한 용어 정의의 필요, 하위 유형의 정확한 구분과 구성음의 통일, 표현법에 따른 시김새 기호 선정과 표기의 일치, 동일 악곡의 주요 음의 통일, 노래 부르기와 감상하기 활동에서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의 선정, 악기 연주하기 활동과 음악 만들기 활동의 구안, 앱과 다양한 자료를 활용한 교수․학습 방법의 제시 등을 개선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