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전통음악의 다문화 음악교육에 관한 고찰: 일본 북해도 청소년을 위한 한국 전통음악 교육 사례를 중심으로

        하경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1 음악교육공학 Vol.- No.12

        This study, based on the experience of educating Korean traditional music on 2010, studied about how to understand and suggest selected Korean traditional music as Japan's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Korean traditional music, as Japan's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has the ease of Japanese teenagers being able to have a closer and easier approach compared to other countries' music. Korean traditional music education arouse interest and systematic education effect through performance, viewing, and practice. In other words, field of performance and viewing can lead interest and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rough selecting different repertories such as dance with theme or singing with lyrics. Field of education and practice can enhance the educational effect through samulnori and kayagem experience. Also, by using various references, it will be a chance for Japanese teenagers' systematic and deep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is education example of Japan, provides bright future and directivity to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Due to this paper, the education of Korean traditional music is expected to become a successful case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by enforcing specialized education with more realistic and systematic form. 본 논문은 2010년 실시한 한국 전통음악 교육 사례를 토대로 일본의 다문화 음악교육으로서 한국전통음악을 어떻게 이해하고 선별하여 체계적으로 다룰 것인가에 대한 사례 연구이다. 일본의 다문화 음악교육으로서 한국 전통음악은 다른 나라의 음악에 비해 일본 청소년들에게 있어서 비교적 쉽고 가깝게 접근할 수 있는 용이함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한국 전통음악의 교육은 공연 및 감상을 통하여 흥미를 유발하고 교육 및 실습을 통하여 체계적인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다. 즉, 공연 및 감상 영역은 테마가 있는 무용과 가사가 담긴 병창 등 다양한 레퍼토리를 선정하여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관심과 이해를 유도할 수 있다. 교육 및 실습 영역은 사물놀이와 가야금 체험학습을 통하여 구체적이고 심도 있는 교육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일본 청소년들에게 보다 폭넓은 다문화 음악교육을 제시하게 될 것이다. 이러한 일본의 교육 사례는 한국 전통음악의 다문화 음악교육에 대한 밝은 미래와 방향성을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한국 전통음악교육은 앞으로 이와 같은 현장 교육 경험을 토대로 좀 더 실질적이고 체계적인 형태를 갖추어 전문적인 교육을 실시한다면 일본의 다문화 음악교육으로서 성공적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후보

        음악교과교육의 영역과 역할 탐색을 통한 음악과 교육과정 성격 항의 모의 제작

        윤성원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0 음악교육공학 Vol.- No.11

        Music subject education is a social substance that was originally mass produced while maintaining mutually supplementary relationships based on demand and supply between the consumption and production group. Thus it should provide implications for its uniqueness as a subject on the premise of the educational universality and suggestion of the music curriculum.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the areas and roles of music subject education, which cannot help being comprehensive due to demand and supply, and produce specific and implicative results called character items of the music curriculum. That is, its ultimate goal was to mock produce the character items of the music curriculum. It first built a theoretical background by exploring the areas and roles of music subject education as education by music, analyzed eight objectives or characters that concerned the character of the music curriculum according to the background, and provided the results. In the conclusion chapter, the character items of the music curriculum mock produced in the study represent the definition, need, and objective of music subject education in an essential sense rather than just something about music education. 음악교과교육은 소비 집단과 생산 집단의 수요와 공급에 의한 상호보완적 관계를 유지하며 유기적으로 양산된 사회적 실제이다. 따라서 음악교과교육은 교과 교육과정에 교육적 보편성과 교육적 시사성을 전제로 교과적 고유성을 함의해야 한다. 이 연구는 수요와 공급에 의해 광범위할 수밖에 없는 음악교과교육의 영역과 역할을 탐색하여,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격 항이라는 구체적이며 함축적인 결과물로 만들어 내고자 하는 의도를 가진다. 즉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음악과 교육과정 성격 항의 모의 제작에 있다. 이 연구는 음악에 의한 교육으로의 음악교과교육의 영역과 역할에 대해 탐색하여 이론적 배경을 쌓고, 이를 바탕으로 그동안의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격에 해당하는 8개의 목표 또는 성격을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하는 연구 방법을 취한다. 한편, 결과 장에서 모의 제작하여 제시한 음악과 교육과정의 성격 항은 음악교육에 대한 것이 아닌 본질적 의미에서의 음악교과교육의 정의, 필요성과 목적이라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의 음악교육활동 및 환경에 관한 실태조사

        송주승,정혜명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0 음악교육공학 Vol.- No.11

        The systematical education and appropriate education environments are very important for a ment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so that they can grow to harmonized persons with creative thinking and excellent imagination and expression abilities. This study aims to help enlightenment of musical capabilities for the early child through systemization of musical education contents and improvement of musical education environments by identifying musical education contents such as musical education activities, status of musical instruments and songs preferred by the early child, etc. The results shows that the deficiency of teaching tools, materials, facilities and space of the institutes and the laked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al music for the teachers have been caused sufficiently not to give more creative and interesting experiences for their musical abilities and talent and that homes and education institutes are necessary to provide for the early child with education environments to allow them to feel various musical experiences and interests in order to develop their musical capabilities. 본 논문은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의 음악교육환경을 개선하고 좋은 음악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제공하는 음악교육 활동내용ㆍ악기 보유현황, 음악활동에 대한 교육적 효과에 대한 인식, 유아들이 선호하는 음악활동, 전통음악교육 등의 현황에 대한 실태조사를 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유아기의 음악교육은 유아의 전인적인 성장 발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 모두 깊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 행해지고 있는 음악활동이 노래 부르기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른 음악활동들은 형식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유아들에게 더 많은 관심과 사랑을 갖고 유아 개개인의 음악적성과 음악적 능력을 파악하여 유아의 성장. 발달에 맞는 적절한 음악활동이 체계적이며 다양하게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유아들의 음악적 잠재력을 개발하기 위해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좀 더 다양하고 체계적인 음악활동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를 위해 상호 간에 협력하고 지원하면 유아들을 위한 바람직한 음악교육환경 조성에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가정과 유아교육기관의 음악교육 활동과 환경 실태를 파악하여 문제점을 개선하고 유아들의 음악교육 활동에 적절한 좋은 음악교육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를 두었다.

      • KCI등재

        유아교사의 유아음악 관련 직전교육과 교사 재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

        윤영배,강보라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6 음악교육공학 Vol.- No.26

        This study set out to investigat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s and needs for per-service education related to music for young children, the actual state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and reeducation. For that purpose,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with 242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an experience of taking a course in a subject of music for young children(79.9%) and in a subject of instrumental music(68.2%) through pre-service education, with difference found according to their career and type of institution. They perceived the biggest shortage in music education-related coping measures applicable to the field of education in terms of pre-service education content and showed the greatest need for practice experiences with mock lessons to teach actual music. Secondly, they found the biggest difficulty in giving a lesson with lack or absence of music education materials needed for the implementation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t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young children. The music activity they taught most was singing, and the music activity they had difficulties with teaching was "music drama." They also raised a need for body expression programs for the activation of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Finally, they had a high perception of need for reeducation on early childhood music education and expected that their efficacy in music teaching would increase through reeducation. They requested for methods to utilize music teaching materials or media for the content of reeducation and wanted methods of progress based on lesson videos and materials for reeducation.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유아음악 관련 직전교육,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음악교육 실태, 재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유아교사 24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유아교사들은 직전교육을 통해 유아음악교육 관련 과목은 79.9%, 기악 관련 과목은 68.2%를 이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교사의 교육경력 및 기관유형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은 직전교육 내용으로 교육현장에 활용 가능한 음악교육 관련 대처방안이 가장 부족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실제적 음악을 가르칠 수 있는 모의수업 실습 경험을 가장 많이 요구하였다. 둘째, 유아교사의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음악교육 실행 시 필요한 음악교육 자료가 부족하거나 없는 상태에서 수업을 하는 일이 가장 큰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유아교사들이 가장 많이 지도하는 음악활동은 노래 부르기이며, 지도하기 어려운 음악활동은 ‘음악극’으로 나타났다. 유아음악교육 활성화를 위해 신체표현하기 프로그램을 요구하였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유아음악교육의 재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높게 인식하고 있으며, 재교육을 통해 음악교수 효능감이 증진될 것으로 기대했다. 재교육 내용으로는 음악교수자료 또는 매체 활용방법을 요구하였으며, 수업 동영상과 수업자료를 바탕으로 한 재교육 진행방식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스마트교육에 관한 예비음악교사 인식 및 경험 연구

        신혜경(Hae-Kyung Shin)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8 음악교육공학 Vol.- No.37

        본 연구는 예비음악교사들의 스마트교육에 관한 인식 및 경험 고찰을 목적으로 한다. 중등 예비음악교사 144인을 대상으로 스마트기기 일상 활용, 스마트교육 일반, 전공 및 음악교과의 스마트교육에 대한 인식과 경험을 알아보기 위하여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예비음악교사들의 스마트기기 소지는 스마트폰의 비중이 우세했으며, 강의 중 스마트기기 활용도는 개인 학습에 비하여 낮게 나타났다. 둘째, 예비음악교사들이 경험한 대학 스마트교육의 장점은 학습 및 과제 부담 감소, 문제해결능력 개발과 시·공간적 편리성이었으며, 단점은 학습 몰입 방해로 나타났다. 학교 스마트교육에 관한 예비교사들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이었으나 이해의 정도는 개략적이었다. 스마트교육의 공유와 연결 측면에 가장 긍정적인 반면, 학습자의 자기 주도 및 조절 능력 향상에 대해서는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예비교사들은 음악교과 고유의 스마트교육 가능성과 스마트교육을 통한 학교 음악교육의 활성화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반면 실제 경험은 낮게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이 응답한 스마트 음악교육의 장점은 접근성과 편리성, 학습자의 흥미, 수업 참여도 향상, 실음 학습을 통한 성취감, 연주 능력 제한의 문제 해결로 나타났다. 난점으로는 음악 수업의 예술적 질 저하가 크게 부각되었으며, 이외에도 관련 교수 역량 부족, 학생 통제, 스마트기기 앱의 한정적 기능 등이 제기되었다. 이상에 근거하여 음악교과의 스마트교육 활성화를 위한 교사교육 측면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and experiences that pre-service music teachers have regarding smart education. A questionnaire survey, covering areas including daily usage of smart devices, general smart education, smart education specified in music education, was administered to 144 pre-service music teachers, and it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showed that smartphones definitely dominated pre-service music teachers possession of smart devices. They implemented smart devices less frequently in classes than in their privatestudy sessions. Second, they considered that smart education in college would help reduce learning- and task-burden, develop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overcome limitations of time and space, while they perceived distractions caused by smart devices to be drawbacks.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smart education were generally positive, but their understanding was superficial. They considered the elements of sharing and connection in smart education to be its most positive aspects, and decrease in learner s self-control ability to be a negative aspect. Third, pre-service music teachers were positive about the potential present in the development of music education via the implementation of smart education, but they had few actual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stated that the advantages of smart music education were accessibility and convenience, increase in learners’ interests, active class participation, achievements based on experiencing real sounds, and overcoming the limitation of performance ability. In terms of drawbacks, the artistic quality of music lessons was greatly emphasized. Lack of teaching ability in smart education, student control, and the limited functionality of smart device applications were also mentioned. Implications for reducing the gaps between perceptions an dexperiences regarding smart education in music-teacher education were suggested.

      • KCI등재

        남북한 음악과 교육과정 비교 -남한의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북한의 ‘2013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이경언(Kyung-eon Lee),김진숙(Jin-suk Kim),김민하(Min-ha Kim)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8 음악교육공학 Vol.- No.36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North and South and draw implications associated with curriculum integ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This study set out to compare North and South Korean music curriculums in organization, document system, and content by the item(character, goal, content, teaching and learning direction, evaluation direction, and writing direction for textbooks). The compariso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both the North and South Korean music curriculums set the definitions and roles of the music subject and its expression and appreciation domains as major areas, which suggests that both of them need to continue these basic items since they are common between their curriculums. Secondly, the North Korean music curriculum was different from its South Korean counterpart in offering the Music and Dance”subject, putting an emphasis on patriotism and ideology, providing specific achievement criteria, and setting directions for textbook writing in details. North and South Korea need to narrow a gap in important issues such as different views of roles of curriculums and textbooks and ideological aspects. These difference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n music curriculums can be resolved by doing research on North and South Korean music curriculums associated with the general introduction, basic research to overcome differences in musical term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follow-up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common music curriculums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and the review of their fitness. 본 연구는 남한의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북한의 2013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여 통일을 대비하여 남북한 음악과 교육과정 통합을 위해 해결해야 할 시사점을 도출함을 목적으로 한다. 남북한 음악과 교육과정 구성, 문서 체제, 항목별 내용(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향, 평가 방향, 교과서 집필 방향)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과의 정의와 역할의 진술 내용, 표현과 감상 영역을 주요한 내용 영역으로 설정하고 있는 점은 남북한 음악과 교육과정의 공통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는 교육과정을 구성하는 기본적인 항목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것이기 때문에 지속시켜 나갈 필요가 있다. 둘째, 북한 음악과 교육과정의 ‘음악무용’ 과목 제시, 애국주의와 사상의 강조, 성취기준의 구체적 제시, 교과서 집필 방향의 상세한 제시 등은 남한 교육과정과의 차이점이다.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역할에 대한 시각 차이와 사상적 측면은 앞으로 좁혀나가야 할 중요한 쟁점이다. 이러한 남북한 음악과 교육과정에서의 차이를 줄여 나가기 위해서는 총론과 연계한 남북한 음악과 교육과정 연구, 남북한 음악 용어 차이 극복을 위한 기초 연구, 남북한 공통 음악과 교육과정의 개발 및 적합성 검토가 후속 연구로 수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대중음악밴드를 활용한 음악교육프로그램 사례연구

        이수진,정주연,신지혜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7 음악교육공학 Vol.- No.33

        This study explored cases of popular music band education programs in Korea and abroad with an interest in the recent trend of application of popular music in public schools. First by defining key words including popular music and popular music band, and by discussing some characteristics of popular music education in general, researchers intended to propose the direction and range of this study. Case studies on popular music education in Korea and other countries including U.S. and Netherlands through literature review method finally yielded implications regarding popular music education in Korea. In Korea, popular music education took place mainly as after school program, extra-curricular club, or out of school program; and more interests and needs for popular music education were found. Reported results reported the program contents, educational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guitar ensemble at James Robinson Middle School and Rhythm Workshop at Harvard-Westlake in U.S., as well as Sound Check in Netherlands. Furthermore, Little Kids Rock, a non-profit organization supporting popular music education, and its school program Modern Band were examined. Through case analyzation, researchers suggested implications for continuing progress of popular music educations as need of financial supports, program development, and teacher education. 본 논문에서는 대중음악교육이 학교 교육에 적용되는 최근의 경향에 관심을 두고 대중음악밴드를 활용한 학교 음악교육프로그램의 국내외 사례들을 연구하였다. 사례 연구를 위해 먼저 대중음악과 대중음악밴드의 정의 및 대중음악교육의 일반적 특징에 대해 논의함으로써 연구의 방향과 범위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국내외의 대중음악교육 사례를 문헌연구를 통하여 짚어보고, 최종적으로 우리나라에서의 대중음악교육 활용을 위한 방향성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국내의 경우, 대중음악밴드 활용 교육은 대개 교육과정 안에서 보다는 방과후 학교, 동아리 활동이나 학교 밖의 음악교육 프로그램에서 이루어지고 있었고, 점점 관심과 수요가 늘어나고 있어 체계적인 프로그램의 개발의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국외는 미국의 제임스 로빈슨 중등학교의 기타 앙상블과 하버드-웨스트레이크 학교의 리듬 워크숍, 네덜란드의 사운드체크를 조사하여 프로그램의 내용, 교육적 특징과 효과를 살펴보았다. 또한 비영리단체로서 미국 학교의 대중음악밴드 교육을 지원하는 리틀키즈록(Little Kids Rock)이 제공하는 대중음악밴드 프로그램인 모던밴드(Modern Band)에 대해 연구하였다. 사례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대중음악교육의 발전을 위해서는 재정적인 지원, 대중음악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교사 교육의 필요가 있음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일반학교 음악과 교육과정과 특수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비교 및 분석

        최윤경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2 음악교육공학 Vol.- No.14

        In this research,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of 2007 and the revised special music curriculum of 2008 a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common compositional items of documental structure of subject matters curriculum such as 'nature's, 'goals and objectives',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s'. 'Natures' and 'goals and objectives' are very similar in the view points of contents of curriculum. In case of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s', music curriculum minutely and sequentially presents those of music education more than special music curriculum. However, special music curriculum has a tendency to be the guideline of general teaching methods and evaluations for other subjects. Particularly, special music curriculum has errors of contents, sequence problems, and problems of western music oriented education through the analysis of 'contents'To solve theses problems, special music curriculum should consider not only special educational aspects but also music and music educational aspects. I propose active academic communic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music education. 본 연구는 2007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과 2008 개정 특수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을 비교․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두 교육과정의 공통적인 구성 항목인 ‘성격,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의 다섯 가지 항목을 중심으로 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성격’ 항과 ‘목표’ 항은 두 교육과정의 내용이 거의 유사하였고,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항은 일반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이 특수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 비해 음악 교과 고유의 교육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 평가에 대한 내용이 비교적 상세하고 계열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특수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은 다른 교과에서도 해당될 수 있는 일반적인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에 대한 지침이 제시되는 경향이 많았다. 특히 특수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의 ‘내용’ 항의 분석을 통해 내용의 오류와 계열성 문제, 서양 음악 중심의 교육 내용이라는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수학교 음악과 교육과정에서 특수교육학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음악 및 음악교육학적인 측면이 고려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특수교육학과 음악교육학의 학문적 소통이 활발해지길 제안한다.

      • KCI등재

        고령화 시대와 독일의 노인음악교육

        김은애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7 음악교육공학 Vol.- No.30

        Because of the advancement of science and medicine and economic society, etc. the whole world is facing the age of aging, and the importance of elderly education is increasing day by day. Among fields of elderly education, the role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is not insignificant; music education is an important part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Nevertheless, we still have a long way to go to formulate systematic theories of music education for the elderly or to indicate a direction for the very future. The only role of music for the elderly that has been found to date is a therapeutic function at the public level, such as 'a music therapy for the elderly'. But the Korean society, which is turning into a super-aged society at a rapid pace - not a mere aged-society anymore - should be new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senior education and music education for the elderly (a major part of senior education). Furthermore, the meaning of such music education for the elderly should not be merely 'a music therapy' for the elderly at the public level showing several symptoms caused by aging, but should be expanded to another level - systematic, continued music education should be delivered even to the elderly in a more active, pre-emptive response. In recognition that music can influence positively the elderly who are entering the twilight of their lives, it is necessary to conduct research on systematic theories of music education for the elderly first. This thesis intends to look at examples of elderly education in Germany, which began to be active in taking academic awareness of aged-society and in conducting research on it much earlier than Republic of Korea;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exploration of the examples a new paradigm for music education for the elderly will be presented. 과학과 의술의 발달, 산업과 경제의 발달 등으로 인해 현재 전 세계는 고령화 시대를 맞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노인교육의 중요성은 날로 증가추세에 있다. 노인교육 가운데에서도 문화예술교육의 역할은 적지 않고, 그 중에서도 음악교육은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인의 음악교육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의 정립이나 나아갈 방향 제시는 아직도 요원하다.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음악의 역할은 현재까지 ‘노인을 위한 음악치료’와 같은 대증적 차원에서의 치료적인 기능이 전부인 상황이다. 그러나 이미 ‘고령화 사회’를 넘어서서 빠른 속도로 초고령 사회로 진입하고 있는 우리 사회는 노년교육과 그 중요한 일부분을 차지하는 노인 음악교육의 중요성을 새롭게 인식해야 한다. 그리고 그러한 노인 대상의 음악교육의 의미는 인간의 노화현상에 따른 여러 증상들에 대한 대증적 차원에서의 ‘음악치료’ 수준에 머물 것이 아니라, 좀 더 적극적이고 선제적인 대응 하에 노인에게도 체계적이고도 지속적인 음악교육을 실시해야 한다는 차원까지 확대되어야 한다. 인생의 황혼기를 맞는 노인에게 음악이 긍정적인 효과를 미칠 수 있다는 인식 하에 노인 대상의 음악교육을 위한 체계전인 이론이 먼저 연구되고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보다 훨씬 앞서 고령사회에 대한 학문적 인식과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진 독일의 노인교육 사례를 살펴보고, 그를 바탕으로 노인음악교육에 있어서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 KCI등재

        연구방법론을 통해 본 음악교육학 연구의 현황과 과제

        최진호 한국음악교육공학회 2011 음악교육공학 Vol.- No.1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status of research methodology of music education in Korea and presume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music educational research. In order to accomplish the goal, this study categorized scientific research methodology in music education and classified research articles(N=112) published in Journal of Music Education Science (JMES) of Korea by the research methodological category since 2001.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most of Korean publications in JMES were review articles (n=96; 85.7%), and the small numbers of articles took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 (n=16; 14.3%) relatively, while majority of American music education studies in Journal of Research in Music Education(JRME) produced results by quantitative research methodology(78.3%). In conclusion, studies in Korean music education needs to balance research methodological procedure with producing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more for the future of Korean music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교육에 관련된 학술적 연구들의 유형을 과학적 연구방법론에 따라 분류하고, 현재 한국과 미국의 음악교육과 관련한 연구들의 유형을 비교분석하여 한국음악교육의 현황을 밝히는 것이다. 또한 보다 나은 한국 음악교육의 미래를 위하여 음악연구의 방법론적 과제를 제시해 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방법론에 따른 음악과 관련한 연구방법에 대한 유형을 분석하였으며, 현재 음악교육과 관련한 연구들의 현황을 알기위하여, 음악교육 공학회에서 발간하는 음악교육공학에 출간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삼아 유형을 분석하여(N=112) 미국의 JRME에 출간된 음악교육연구유형(Yarbrough 1996)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미국의 음악교육 관련 연구가 대부분 양적연구방법인 실험연구와 조사연구(78.3%)인데 반해, 한국의 음악교육 관련 연구는 대부분 질적연구방식에 속하는 메타분석(Meta-Analysis)을 사용한 문헌연구(Review Article) 방식(85.7%)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미국에서 양적연구에 치우친 음악교육계가 질적 연구의 필요성을 자각하고 연구방법의 균형을 이루도록 노력하는 것처럼, 한국의 경우 상대적으로 매우 취약한 현장중심의 양적연구들이 많이 나와서 한국의 음악교육이 발전하는 데 기여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