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교사의 지속적 전문성 발달(CPD)이 아동중심 교수-학습 신념에 미치는 영향

        김미숙,Liang Yangling 한국아동교육학회 2022 아동교육 Vol.31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CP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child-centered teaching-learning beliefs in Korea. Data were analyzed by conducting questionnaires among 220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CP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resulting from the variation in experience and ag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Second, the level of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as not high, nevertheless, the beliefs of child-centered teaching-learning were found to be very high. Third, the sub-variables of early childhood teacher CPD and child-centered teaching-learning beliefs have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Finally, it was discovered that the CPD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ositively influences child-centered teaching-learning beliefs by 'self-development' and 'self-reflection through in-school and out-of-school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provides basic data necessary to consider in-service education methods for continuous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to establish teacher educ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the professional development of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지속적 전문성 발달(CPD)과 아동중심 교수-학습 신념과의 관계와 영향력을 탐구하기 위해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근무하는 유아교사 총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 교사의 경력, 연령에 따른 유아교사의 CPD 차이가 있었다. 둘째, 유아 교사의 지속적 전문성 발달 수준은 높지 않았으나, 아동중심 교수-학습 신념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아 교사 CPD의 하위변수(문헌을 통한 자기개발, 학교 내·외 교육을 통한 자기개발, 자기반성, 동료를 통한 자기반성, 동료와의 협력)와 아동중심 교수-학습 신념에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의 CPD 중 자기반성, 학교 내·외 교육을 통한 자기개발은 아동 중심 교수-학습 신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지속적 전문성 발달을 위한 현직 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교사교육 방법과 제도 구축에 필요한 기초데이터로 활용될 수 있다.

      • KCI등재

        일제 강점기 시의 교육 쟁점과 방법

        남민우(Nam Min-Woo) 한국시학회 2005 한국시학연구 Vol.- No.13

        Until now, the poems and the history of those in the colonialism period have kept the major status in teaching poetry curriculum. Especially, the concepts of modern poetry are induced from those and the example works selected from among those. This current educational systems are constructed for crucial aims and reasons. Say, it is taken for granted that the aim of teaching korean poetry is to render citizens with korean nationality. And because those poems, actually the traditional folky lyrics and the resistant poems seem to be representative of 'modern and national' consciousness, those poems may well being more prefered to others. Of course, this system has many merits and has devoted to teaching poetry. This system, however, needs to be reshaped and complemented by more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methods. First, we pay more attention to continuity-discontinuity between those and comtemporary ones. Actually, contemporary poems are different from those and explained by differnt paradigms. In this situations, students have difficulties in understanding contemporary poems based on the concepts only from among those. So, we are to teach the nature of poetry through the inclusive concepts. Secondly, the historical knowledges of poetry in the colonialism period are unconsistent among literary textbooks for students, especially about the division of period during those times. On the behalves of students, these contradictions are unefficient and confused. And most have unbalanced and biased contents speciall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male and female poems, between the traditional and modern poems, between purism and politic awareness in poetry, between adult and adolescent poems. Moreover, most of literary textbooks don't pay proper attention to poetic achivements in the late 1930, but those achivements are very important for understanding the history of korean modern poetry. Therefore, we need to reshape the educational contents and knowledge. Finally, the current methods of teaching poetry during the colonialism period are unfruitful in motivating students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historical knowledge for understanding those poems. So we need to develop the activating methods that permit student to write the history of poetry in colonialism period through their own's perspective and for their own's interests. This pedagogy are focused on the spontaneousness of students and the freely participant opportunitis for students. And this method is organized from basic works of co-reading the famous and unknown poems to write the his own's poetry history. This system is more efficient for activating student and evolving their interests in poems.

      • 토익 듣기전략 훈련을 위한 효율적인 교수학습 활동

        송정미 한국교통대학교 2018 한국교통대학교 논문집 Vol.53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to train TOEIC listening strategies.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TOEIC listening strategies, effective problem solving listening strategies and teaching & learning activities were selected. Then those strategies and activities were applied to the 11 students who registered for a TOEIC listening class for 15 weeks. Students' weekly reports, immediate retrospective self-reports, pre and post mock tests, pre and post surveys, and class evaluation sheets were used as the data analysi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ed that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used in this class were effective to improve student TOEIC listening scores and students' evaluation was positive. Among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students chose dictations and mock tests as the most effective activities to improve their listening abilities, then chose weekly quiz, question & answer activities , and shadowing. The appropriate activities, however, were different according to students' level and characteristics. On-line tests, VOD, and on-line homework had positive effects in that it gave more opportunities to practice taking tests; time and place to study can be controlled; it can be repeated many times. However, there were problems with too much distraction and lack of concentration. From students' class evaluation, research found that giving students self-confidence and continuous motivation to make efforts to improve their TOEIC score as well as letting them know how to study by themselves are very important

      • KCI등재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 행동과 수련 아동의 내적 동기 및 수련 지속 의도의 관계

        소영호(So, Young-Ho) 한국체육교육학회 2015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0 No.3

        이 연구는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행동과 수련아동이 지각하고 있는 내적동기 및 수련지속의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자료 수집은 편의표본추출법을 통해 350부의 표본을 수집하여 최종분석에는 305부의 자료가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5.0 프로그램을 이용한 상관관계분석과 단계입력방법을 이용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행동 중 긍정적 강화와 실수 후 기술지도는 재미노력의 내적동기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비 강화와 처벌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며, 유능감에는 비 강화가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긴장에는 실수무시와 일반적 격려가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긍정적 강화는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둘째,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행동 중 조직은 수련지속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비 강화는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셋째, 태권도 수련아동이 인식하는 재미노력은 수련지속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긴장은 부(-)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상의 결과는 태권도 지도자의 지도행동은 수련아동의 내적동기와 수련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고, 수련아동의 내적동기 또한 수련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teaching behavior, intrinsic motivation, and training intention to continue of Children’s Taekwondo participation. Methods: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selected 305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rom Taekwondo training children. With the collected data,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SPSS 15.0.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positive reinforcement and after accidentally technical guidance impacts positively(+), but non-reinforcement negatively(-) influence on enjoyment / effort, and the non-reinforcement impacts negatively(-) influence on competence. Moreover, the mistake disregard and general encouragement impacts positively(+), but positive reinforcement negatively(-) influence on tension. Second, the coordination impacts positively(+), but non-reinforcement negatively(-) influence on training intention to continue. Third, the enjoyment / effort impacts positively(+), but tension negatively(-) influence on training intention to continue. Conclusion: The teaching behavior of Taekwondo instructor had an influence on intrinsic motivation, and training intention to continue of Children’s Taekwondo participation, and the intrinsic motivation had an influence on training intention to continue.

      • KCI등재

        Continuous path control of a 5-DOF parallel-serial hybrid robot

        Takuma Uchiyama,Hidetsugu Terada,Hironori Mitsuya 대한기계학회 2010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24 No.1

        Using the 5-degree of freedom parallel-serial hybrid robot, to realize the de-burring, new forward and inverse kinematic calculation methods based on the “off-line teaching” method are proposed. This hybrid robot consists of a parallel stage section and a serial stage section. Considering this point, each section is calculated individually. And the continuous path control algorithm of this hybrid robot is proposed. To verify the usefulness, a prototype robot is tested which is controlled based on the proposed methods. This verification includes a positioning test and a pose test. The positioning test evaluates the continuous path of the tool center point. The pose test evaluates the pose on the tool center point. As the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is hybrid robot moves correctly using the proposed methods.

      • KCI등재

        함수의 연속성 개념의 역사적 발달 과정 분석- 직관적 지도의 보완을 중심으로 -

        정연준,김재홍 대한수학교육학회 2013 수학교육학연구 Vol.23 No.4

        In school mathematics, the concept of continuous functions has been intuitively taught. Many researches reported that many students identified the continuity of function with the connectedness of the graphs. Several researchers proposed some ideas which are enhancing the formal aspects of the definition as alternative. We analysed the historical developments of the concept of continuous functions and drew pedagogical implications for the intuitive teaching of continuous functions from the result of analysis. 함수의 연속성은 그래프를 이용하여 직관적으로 지도된다. 이는 일반적인 지도 방식이지만, 여러 연구자들이 이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형식적 측면이강화된 방안이 대안으로 제시하고 있다. 본 논문은 함수의 연속성의 역사적 발달 과정을 분석하고, 직관적 지도를 보완하기 위하여 고려해야 할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역사적 분석 결과, 세 가지 관점에서 연속적인 변화를 분석하여 함수의 연속성에 대한 개념적 이해의 토대를 풍부하게 하고, 함수의 연속성 정의의 기반이 되는 연속적인 변화에 대한 관점을, 다른 관점과 함수 관계의 여러 표현 방식과의관계를 종합하는 과정을 거치는 것을 직관적 지도를 위한 시사점으로 제안하였다.

      • KCI등재

        태권도 지도자의 통제적 지도행동이 태권도 겨루기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 및 운동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양홍석,이윤구,이형일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2023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Vol.1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태권도 지도자의 통제적 지도행동이 태권도 겨루기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 대상자는 현재 대한태권도협회 등록 선수 및 선수등록 예정자로 중·고등학교에재학 중이거나 입학 예정자인 태권도 겨루기선수를 모집단으로 365부의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본 연구는 태권도지도자의 통제적 지도 행동이 겨루기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운동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SPSS 26.0과 AMO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가설에 따라 연구모형 검증 및변수 간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통제적 지도행동은 운동스트레스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운동스트레스는 운동지속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통제적 지도 행동은 운동지속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통제적 지도행동과 운동지속관계에서 운동스트레스는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코치의 통제적 지도행동을 관리함으로써태권도 겨루기선수들의 운동스트레스 감소와 운동지속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수들의 운동 극대화 및훈련 효율성과 경기력 향상을 증대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how controlled leadership behavior affects exercise stress and exercise continuity, and to eliminate and reduce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stress and exercise continuity through various leaders' controlled leadership behavior. Questionnaire was conducted on middle and high school Taekwondo athletes to vrify the hypothesi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in this study. First, controlled leadership behavior had a positive (+) effect on exercise stress. Second, exercise stress had a negative effect on exercise continuity. Third, controlled leadership behavior had a negative impact on the continuation of the movement. Fourth, exercise stress ha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olled instructional behavior and exercise. The above conclusions were summarized to show that the controlled coaching behavior of Taekwondo athletes in middle and high school has a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xercise stress and exercise continuity.

      • KCI등재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 “교수, 학습 방법”의 개정 방향 : 유치원의 고유성과 초등학교와의 연계 강화를 위한

        정선아,김희연 한국유아교육학회 2011 유아교육연구 Vol.31 No.1

        유치원 교육은 현재 위상의 강화와 유치원 교육의 고유성인 놀이 중심 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세우는 비판적 논의가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현행 2007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의 놀이 중심 교육을 핵심으로 하는 ‘교수·학습 방법’ 편이 유치원 교육의 고유성 확보와 동시에 초등학교 교육과의 연계 측면에서 어떠한 문제점을 안고 있는지를 탐구하고자 하며, 이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의 개정 방향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분석 결과, 유치원 교육의 고유성과 유·초 연계 강화의 관점에서 볼 때 현 국가 수준 유치원 교육과정 ‘교수·학습 방법’의 문제점은 놀이 중심 교육 원칙이 놀이를 도구화한 교육활동 방법으로 전락하여 오히려 유치원의 학교화(schoolification)에 기여하고 있고,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교육 활동 원칙이 놀이 중심의 통합적 교육과정 운영 방안으로 천착되고 있으며, 나열식 교수·학습 원리와 ‘교수’와 ‘학습’의 용어 병치로 인해 오히려 놀이 중심 교육 방법이 약화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유치원 교육의 고유성은 교육 과정의 내용을 놀이라는 도구를 이용한 놀이 중심 교수·학습 방법에 있는 것이 아니라 유아의 학습 전략인 자발적, 창의적인 놀이에 있으며, 이를 유치원 교육의 원칙으로 하는 방향으로 교육과정은 개정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교수·학습 방법’보다는 유치원의 역할, 유아의 학습 전략, 이에 따른 교사의 역할, 유아의 상호작용, 놀이, 프로젝트를 원칙으로 하는 교육 전략으로 교수·학습방법이 대체되어야 할 것이다. 유치원 교육에서 ‘교수·학습 방법’이라는 용어의 사용에 대한 재고찰이 필요한 시점이다. As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heads towards its 2011 revision in order to promote the status of kindergarten within the national school system, it is time for us to critically review and discuss the meaning and value of children's play , long considered to embody the uniqueness and identity of kindergarten. Two principles will be applied in the revision: maintaining the uniqueness of kindergarten education and strengthening the continuity between kindergarten and primary school. In this study, we assume that children's learning through play-based projects characterizes kindergarten education rather than do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for operating unit and theme based integrated education.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problems of the "teaching-learning method" section in 2007 revision of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in terms of its current detrimental distortion of play-based curriculum as a vital preparation for primary school by using it as a method for managing integrated curriculum. We suggest that the National kindergarten curriculum should be revised to strengthen the uniqueness of kindergarten and it role in strengthening the partnership between kindergarten and primary school.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section should be converted to sections on teaching principles, the role of kindergarten, children's learning strategies and characteristics, teachers' roles and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center on children's interactions, play, and projects.

      • KCI등재

        대학에서 체계적 교수 활동을 위한 e-티칭 포트폴리오 활용 방안 연구

        박혜진(Hye-jin Park),차승봉(Seung-bong Cha)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8

        본 연구에서는 e-티칭 포트폴리오에 대한 교수자들의 전반적인 인식 분석을 토대로 e-티칭 포트폴리오의 확산 방안에 대해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K대학에서 사용 중인 e-티칭 포트폴리오 사용 경험이 있는 교수자 10명을 대상으로 e-티칭 포트폴리오 시스템의 화면구성, 상호작용, 내용구성, 기술지원, 교수평가 영역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또한 대학 내에서 e-티칭 포트폴리오의 활성화를 위해 e-티칭 포트폴리오의 기술적 측면과 지원 측면에서의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e-티칭 포트폴리오는 지속적인 교수(teaching) 자극을 통해 수업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노력과 과정을 되돌아 볼 수 있는 체계를 지원하는데 효과적인 도구로 활용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둘째, e-티칭 포트폴리오를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티칭 포트폴리오 개발(제작)을 위한 워크숍 등의 프로그램을 별도로 지원할 필요가 있다. 셋째, e-티칭 포트폴리오 작성 가이드를 제공하여 교수자들이 쉽게 작성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도울 필요가 있다. 넷째, 티칭 스타일 진단 결과에 따라 추가적인 도움을 요구할 수 있도록 e-티칭 포트폴리오 시스템 내에서 상호작용을 높일 필요성이 있다. 마지막으로, e-티칭 포트폴리오를 교수평가 측면에서 강의 평가 결과와 연동하고 지속적 개선 및 환류를 위해 CQI 보고서 양식을 제공하여 수업 개선에 대한 성찰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plored diffusion methods based on an analysis of professors’ perceptions of e-teaching portfolio. The research analyzed the perceptions of screen composition, interactions, content composition, technical support, and pedagogical evaluation of the system. In addition, in order to activate the e-teaching portfolio, the university derived improvement measures in technical and support aspects of the e-teaching portfolio.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e-teaching portfolio is used as an effective tool to support the system to reflect the specific efforts and processes for class execution through continuous teaching stimulation. Second, to activate the e-teaching portfolio,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support programs such as workshops for teaching portfolio development. Third, an e-teaching portfolio preparation guide needs to be provided to help faculty write easily and use portfolios. Fourth, there is a need to increase interactions in the e-teaching portfolio system, so additional help may be requir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a teaching style diagnosis. Finally, the e-teaching portfolio should be linked to the results of the lectures in terms of teaching evaluation.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CQI report form for continuous improvement and feedback to support reflection on class improvement.

      • KCI등재

        학점인정 K-MOOC 강좌의 학습지속의향 영향 변인 분석

        임유진(Lim, Eugene),정유진(Jung, Youjin) 부산대학교 교육발전연구소 2020 교육혁신연구 Vol.30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relationship among teaching presence, task value, time management skill an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learning in credit recognition K-MOOC and to research a method improving the intention of continuous learning. Method: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241 students who registered for the Big-data course, K-MOOC in E universit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final exam. The research was conducted analyz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teaching presence perceived by learners in K-MOOC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learning. Second, the task valu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learning. Third, time management didn t affected the intention of continuous learning. Conclusion: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at teaching presence and task value are influential variables on the intention of continuous learning in the K-MOOC learning environment and discussed effective K-MOOC management methods that improve a teaching presence and recognize the task value importantly based on the research founding. 연구목적: 본 연구는 대학생이 학점이 인정되는 K-MOOC 학습환경에서 학습자가 인식하는 교수실재감, 과제가치, 시간관리전략,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학습지속의향을 향상시키는 방안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E 대학의 빅데이터 관련 K-MOOC 강좌를 학점인정으로 이수하고 있는 재학생을 대상으로 오프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데이터 수집은 학기 말 기말고사 시간에 실시하였으며, 설문에 응답한 241명의 자료를 활용하여 구조방정식모델링 분석 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K-MOOC에서 학습자가 인지하는 교수실재감은 학습성과인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자가 인식하는 K-MOOC의 과제가치는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자의 시간관리전략은 학습지속의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에서는 K-MOOC 학습환경에서 교수실재감이 학습지속의향에 영향을 미치는 강력한 영향변인임을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K-MOOC학습지속의향을 증진시키기 위해 교수실재감을 높이고 과제가치를 중요하게 인식할 수 있는 K-MOOC 운영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