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등 예비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에 대한 귀납적 분석

        한선영 대한수학교육학회 2015 수학교육학연구 Vol.25 No.4

        Teachers’ philosophies have not been emphasized enough in the current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even though teacher’s philosophy palys a critical role in schools and classrooms. The examination on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hilosophies is necessary to improv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so that teaching philosophies are often discussed in the courses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s well as ‘general education.’ Therefore,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44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hilosophies, their sub domains, and relationships among the sub domains. The previous studies regarding mathematics teacher’s teaching philosophy were more about ‘teacher’s belief’ and employed deductive inference approach using surveys or questionnaires. These studies commonly pointed out that there were three major domains of ‘belief on mathematics itself,’ ‘belief on teaching mathematics,’ and ‘belief on learning mathematics.’ As these three domains of teacher’s philosophy has been strengthened, there were very few studies examining the other potential domains of teacher’s teaching philosophy. According to the findings of the present study, which employed inductive inference approach and pre-service teachers’ free essay writing assignment, ‘belief on teacher’s role in mathematics classroom,’ ‘belief on the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motivation to be a mathematics teacher’ were additionally illuminated as sub domains of teacher’s teaching philosophy. Moreover, the interrelationship among the sub-areas of teacher’s teaching philosophy was disclosed. Specifically, ‘belief on the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motivation to be a mathematics teacher’ influenced the other sub domains. This implies that the relationships among the sub domains of teacher’s teaching philosophy were more likely to be causal and vertical relationships rather than independent and parallel relationships. Finally, the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provide implications indicating how pre-service teachers’ teaching philosophies might be established in mathematics education courses for future research and education. 교사의 교육철학은 학교 현장의 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함에도 불구하고, 현 교사 양성 교육과정에서는 교사의 교육철학이 소홀하게 다뤄지고 있다. 교직과목에서 뿐만 아니라 교과교육학 과목에서도 교사의 교육철학이 비중 있게 다뤄질 수 있도록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우선 예비 교사들의 교육적 신념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학 예비 교사의 교육 철학과 그것의 하위 영역을 살펴본 후 그 영역들 간의 관계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수학 교사의 교육철학과 관련한 기존의 연구들은 주로 ‘교사의 신념’에 대한 것이었으며 연구 방법으로는 설문이나 질문지를 통한 연역적 접근이 대부분이었다. 이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수학 교사의 신념을 ‘수학 본질에 대한 신념’, ‘수학 교수 방법에 대한 신념’, 그리고 ‘수학 학습 방법에 대한 신념’의 세 가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이렇듯 교사 신념에 대한 세 가지 영역의 구분이 점차 고착화되었고 그 외의 다른 영역이 존재하는가에 대한 연구는 미미하였다. 수학 예비 교사들의 자유 글쓰기를 귀납적인 질적 분석을 통하여 살펴본 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지적되었던 세 가지 영역 외에 ‘수학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신념’과 ‘수학 교육의 목적에 대한 신념’, 그리고 ‘교직(수학 교사)에 대한 직무 동기’ 등이 추가적으로 드러났다. 또한 이 영역들 간에는 유기적인 연관성이 나타났으며 특히 ‘수학 교육의 목적에 대한 신념’과 ‘교직의 직무 동기’ 영역이 다른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수학 예비 교사들이 가지는 교육 신념의 하위 영역들 간에 독립적·병렬적 관계 외에 원인·결과의 수직적 관계 또한 존재함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앞으로 수학 교과 교육학의 과목에서 예비 수학 교사들을 위한 교육철학이 어떻게 다뤄져야 할지에 대해 연구적·교육적 함의를 제공하고 있다.

      • KCI등재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의 원리와 방법

        송륜진,문종은,주미경 대한수학교육학회 2010 학교수학 Vol.12 No.4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ek for principles and methods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It began with an overview of theori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of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in order to address the questions of what is the goal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what constitutes the competence of multicultural teachers. Then, cases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were reviewed. Based on that, this research identified three domains of teacher competence: domains of affect, of cognition, and of behavior. This paper also presented what constitutes each domains of competence and how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each type of teachers' multicultural competence. This paper discussed implications to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in Korean society. 최근 국내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논의의 확산과 더불어 다원화된 사회에서 요구되는 공존을 위한 삶의 태도 함양과 교육적 기회 평등 보장을 위한 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교사 양성이 교사교육의 주요 과제로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 및 다문화수학교육 관련 이론, 그리고 다문화수학교사교육 사례 검토에 기초하여 다문화수학교사교육의 원리와 방법을 모색하였다. 연구결과, 본 논문에서는 다문화적 수학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을 ‘정의적 영역’, ‘인지적 영역’, ‘행동적 영역’으로 범주화하였다. 이들 영역에 공통적으로 등장하는 내용적 요소로서 ‘문화성’, ‘다양성’, ‘평등성’, ‘자기정체성’, 그리고 지도원리로서 ‘반성’, ‘참여’, ‘실행’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다문화수학교사교육에 제공하는 시사점 논의를 통해 다문화적 역량을 갖춘 수학교사양성을 위한 초석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변화 방향 탐색

        최인선,이세형,문두열,백승주 대한수학교육학회 2023 학교수학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changes in the mathematics area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to seek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mathematical evaluation. To this end, the contents of the 2022 and 2023 CSAT items, where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as applied, were analyzed based on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e number of elective subject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content area between subjects was reorganized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content area were changed. Second, changes in curriculum terms and preferences have been confirmed to cause changes in various details, such as changes in terms available in the CSAT, as well as changes in the content area, evaluation goals, and complexity of item calcula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some of the CSAT items under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may weaken the evaluation factors or limit the evaluation of mathematical thinking of related concepts due to changes in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uld be useful data for the 2028 CSAT by reviewing changes in the application of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presenting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evaluation of high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본 연구는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이하 2022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인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 에서의 변화를 예측하고, 수학 평가에서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2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과목에 대한 내용 및 용어와 기호를 중심으로 변화된 내용을 살펴보고,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이하 2015 교육과정)이 적용된 2022,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항의 내용 영역을 2022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교육과정에서는 2015 교육과정 대비 선택과목이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과목들 사이의 내용 영역들이 재구조화되고 각 내용 영역에 대한 성취기준들이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육과정 용어와 기호의 변화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사용 가능한 용어의 변화를 유발하는 것은 물론, 관련 성취기준의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문항들의 내용 영역, 및 평가 목표, 문항의 계산의 복잡도 등 여러 세부사항들의 변화 역시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2015 교육과정을 근거로 출제된 대학수학 능력시험 문항들 중 일부는 2022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의 변화로 인해 평가 요소가 약화되거나 관련된 개념의 수학적 사고력에 대한 평가에 제약이 있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2022 교육과정에서의 변화를 수능 수학 영역의 내용 영역, 문항 유형 등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2028학년도 수능 수학 영역의 출제 범위, 체제 및 평가방식과 고교학점제 하에서 수능 선택과목의 유불리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우리나라 수학교사의 다문화역량 실태 연구 : 다문화수학교사교육 방안 탐색을 위한 제언

        송륜진,노선숙,주미경 대한수학교육학회 2013 수학교육학연구 Vol.23 No.3

        In this research, the researchers constructed a survey questionnaire for measuring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of Korean mathematics teachers and administered the survey to 309 mathematics teachers. The analysis indicates that Korean mathematics teachers’ level of multicultural competence is rather low (the mean is 2.636 and the standard deviation .290). In particular, the mean of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related to mathematics was lower than the mean of the multicultural competence in general.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according to the length of teaching experience, the participation into the course in multicultural teacher education, and the experience of indirect exposure to people of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On the contrary, the experience of direct exposure to people of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 and teachers’ major led t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within group comparison. Moreover, the analysis showed that mathematics teachers’ level of competence in subject matter had significant impact on their teaching practice responsive to students’ backgrounds. Based on the results, the researchers presented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multicultural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to enhance mathematics teachers’ competence required for their teaching in culturally diverse school. 본 연구는 초·중등 수학교사의 ‘다문화역량’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수학교과에서 다문화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역량 함양을 위한 다문화교사교육의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론적 검토 및 통계적 검증을 거쳐 5점 척도의 ‘수학교사의 다문화역량 측정도구’를 구성하고 서울, 경기, 인천 지역의 초·중등 수학교사 30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수학교사들의 다문화역량 평균은 2.636(표준편차 .290)로 조사되었고 다문화와 관련한 일반적인 지식 및 신념을 묻는 범주A와 비교하여 수학교과의 특성이 반영된 범주 B, C, D의 평균이 낮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집단별 비교를 위한 분산분석 결과 ‘교사의 경력’, ‘다문화교사교육 이수 여부’, ‘다양한 배경의 사람들에 대한 간접 접촉 경험 여부’에 따른 집단별 차이가 없는 반면, ‘다양한 문화적 배경의 사람들과 직접 접촉 경험 여부’, ‘교사의 전공’에 따라 다문화역량이 집단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수학교과를 통해 다문화교육을 수행할 수 있도록 실천적 맥락의 다문화교사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수학 교과에서 계산적 사고(Computational Thinking)교육

        장경윤 대한수학교육학회 2017 학교수학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gain insights into investigating the feasibility on integrating computational thinking(CT) into school mathematics. Definitions and the components of CT were varied among studies. In this study, CT in mathematics was focused on thinking related with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under ICT supportive environment where computing tools are available to students to solve problems and verify their answers. The focus is not given on the computing environment itself but on CT in mathematics education. For integrating CT into mathematical problem solving, providing computing environment, understanding of tools and supportive curriculum revisions for integration are essential. Coding with language specially developed for mathematics education such as LOGO, and solving realistic mathematical problems using S/W such as Excel in mathematics classrooms, or integrating CT into math under STEAM contexts are suggested for integration CT into math education. Several conditions for the integration were discussed in this paper. 본 연구는 21세기 필수 능력으로 거론되는 계산적 사고의 의미를 살펴보고, 수학교과에서 CT 교육의 가능성 여부와 그 선행 조건을 탐색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선행연구를 통해 컴퓨터, 학교교육, 수학교육에서의 CT의 정의와 구성 요소를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수학교과에서 CT를 수학적 문제해결 관련 사고로 보았다. CT-컴퓨팅(컴퓨터활용)-수학교육 세 영역 사이의 관계 고찰에서 컴퓨팅환경에서 유용한 CT이나 수학교육에는 포함되지 않는 영역에 주목하였다. CT와 수학교육의 통합논의에서는 컴퓨터가 전통적 수학교육의 보조 수단으로 허용되는 우리나라 수학교육 현황을 고려할 때, ‘컴퓨팅 환경에서의 수학적 문제해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수학교육에서 CT 교육은 컴퓨팅 환경 조성을 전제로 수학교과에서 수학 관련 과제에 해결을 위한 코딩, 문제해결, STEAM 교육 맥락에서 수학과 CT의 통합을 제시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CT 통합을 지원하는 수학교육과정 마련 등 제반 조건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수학 교육과정 국제 비교 분석 연구 - 미국, 싱가포르, 영국, 일본, 호주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

        정영옥,장경윤,탁병주,강현영,서동엽,박선화,남진영,김구연,고호경,김진호,권나영 대한수학교육학회 2016 수학교육학연구 Vol.26 No.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ompare mathematics curriculum among the United States, Singapore, England, Japan, Australia and Korea and offer suggestions to improve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in the future. In order to attain these purposes, the analysis was conducted in many aspects including mathematics education system, mathematics courses, mathematics contents, assessment syllabus for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and the construction principles of mathematics curriculum. In the light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our suggestions for improving mathematics curriculum of Korea are as follows: revising the contents of analysis, geometry, probability and statistics strands; organizing curriculum based on spiral construction principle; providing various opportunities to select mathematics courses according to students’career; reflecting the contents of their courses in university entrance examination. 본 연구는 최근 개정된 교육과정과 관련하여 우리나라와 미국, 싱가포르, 영국, 일본, 호주의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수학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 싱가포르, 영국, 일본, 호주의 학교 체계와 교육과정, 대학입학시험의 특징과 중학교와 고등학교 내용 체계의 특징을 간단히 살펴보고, 우리나라와 외국 교육과정의 성취기준과 교과서 및 대학입학을 위한 평가 요목을 중심으로 중학교와 고등학교의 수학 내용 요소, 이수 계열, 나선형 구성 방식 여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런 비교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후의 우리나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으로 해석, 기하, 통계와 확률 영역에서의 내용 요소에 대한 재고. 나선형 구성 방식에 대한 재고, 개인의 진로에 대한 다양한 선택권과 평가에의 반영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비판적 수학교육 관점에 따른 수학교과서 분석준거 개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중심으로

        송륜진,주미경 대한수학교육학회 2017 수학교육학연구 Vol.27 No.1

        The purpose of the research was to develop an analysis framework for Korean mathematics textbooks from a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perspective. For this, we conducted a comprehensive literature review regarding critical theory, critical education, and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we derived a preliminary framework for textbook analysis. To validate the preliminary framework delphi survey was carried out twice with 21 expert panelists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and multicultural education. The first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open-ended questions to investigate diverse opinions regarding educational goals, contents, and teaching methods of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The seco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with Likert-type scale and it was analyzed using Mean, Contents Validity Ratio, Degree of Consensus. As the result of the whole research procedures, the final analysis framework was developed consisting of four categories: classical knowledge, community knowledge, communicative knowledge, and political knowledge. A development of the analysis framework from a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perspective could gi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mathematics curriculum or mathematic teacher education in the Korea and a meaningful initial step for the effort of practicing critical mathematics educa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ould not only incite consideration for the better mathematics education but also expand the prospect of research and practice in mathematics education. This study would provide a new paradigm of future mathematics education with which to teach and guide students to become members of world civil society with mathematical power and critical competency. 본 연구는 비판적 수학교육의 관점에서 수학교과서를 분석하기 위한 분석준거 개발을 목표로 하여 이루어졌다. 이를 위한 첫 단계로서 비판적 수학교육의 이론적 근간이 되는 비판 이론과 비판적 교육이론에 대한 문헌분석을 통해 비판적 수학교육의 철학적, 인식론적 기저를 고찰하였다. 또한 비판적 수학교육에 대한 국내외 문헌을 분석하여 비판적 수학교육의 개념화 논의, 실제 수업사례 등을 종합하여 ‘비판적 수학교육 관점에 따른 수학교과서 분석준거 안’을 구성하였다. 이후 제시한 준거 안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델파이 조사 분석 결과에 따라 제시한 준거 안을 수정, 보완하여 ‘고전적 지식’, ‘공동체적 지식’, ‘대화적 지식’, ‘정치적 지식’ 네 범주로 이루어진 ‘비판적 수학교육의 관점에 따른 수학교과서 분석준거’를 최종적으로 개발하였다.

      • KCI등재

        실행식(Executable expression) 기반 SMART 스토리텔링 수학교육

        조한혁,송민호 대한수학교육학회 2014 수학교육학연구 Vol.24 No.2

        최근 수학교육 선진화 방안과 함께 3S 수학교육 (Storytelling 수학교육, SMART 수학교육, 그리고 STEAM 융합 수학교육)으로 수학교육 연구와 실천에 다이내믹한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연구된 스토리텔링 모델 교과서 연구(한국과학창의재단, 2013)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쌓기나무에 대한 실행식(executable expression) 기반 스마트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을 디자인하여 제안한다. 연구의 배경에서는 최근에 강조되는 SMART 수학교육과 Papert의 LOGO 마이크로월드를 기반으로 하는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에 대하여 살펴 본다. 그리고 이론적 배경으로 기호학, 체화된 인지이론 및 실행식(executable expression)에 관하여 알아 본다. 나아가 실행식 기반 스마트 스토리텔링 수학교육을 실제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일차함수, 확률 단원에서 어떻게 다루어질 수 있는지 살펴본다. 또한 실행식 기반 3D 프린터와 같은 공학 기기를 이용하여 가상 세계와 현실 세계 사이의 매개가 가능함을 보인다. Recently, 3S Mathematics Education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SMART mathematics education, and STEAM mathematics education) is emphasized. Based on recently published report on Storytelling mathematics textbook, we propose executable expression based SMART storytelling mathematics related to the elementary mathematic curriculum on 3D building blocks. We designed letters and expressions to represent three dimensional shape of 3D building blocks, and we compare its characteristics with that of LEGO blocks. We assert that text-based executable expressions not only construct what students want to make but also teachers can read students thinking process and can support educational help based on students needs. We also present linear function, quadratic function, and function variable concepts using executable expressions based on 3D building block as an example of SMART storytelling mathematics.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collaborated creativity mentoring project between Siheung City and college of education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We hope designed executable expressions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SMART storytelling mathematics education.

      • KCI등재

        수학적 연결성을 고려한 연속확률분포단원의 지도방안 연구

        황석근,윤정호 대한수학교육학회 2011 학교수학 Vol.13 No.3

        학교수학에서 정적분과 치환적분법의 개념은 확률밀도함수의 도입, 연속확률변수의 기댓값, 정규분포의 표준화와 관련하여 수학적 연결성을 가진다. 그러나 개정교육과정의 ‘미적분과 통계 기본’, ‘적분과 통계’ 과목의 교육과정해설서와 검인정 교과서 및 익힘책에서 적분단원과 통계단원 사이의 수학적 연결성 고려가 어려움을 발견하였다. 본연구는 학교수학에서 확률밀도함수의 도입, 연속확률변수의 기댓값, 정규분포의 표준화에 대하여 적분단원과의 수학적 연결성을 고려한 지도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한다. 세 개념에 대한 학생대상 실태조사와 개정교육과정의 교육과정해설서, 교과서, 익힘책, 그리고 국내‧외 통계학(확률론) 도서(국내 13종, 국외 22종)의 내용을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세 개념에 대한 지도내용을 개발하여 실제 수업에 적용해보았고, 교육과정개정이나 교과서의 내용구성 변화에 대한 시사점을 발견하여 그 결과를 제언하였다. In school mathematics, concepts of definite integral and integration by substitution have mathematical connection with introduction o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expectation of continuous random variable, and standardization of normal distribution. However, we have difficulty in finding mathematical connection between integration and continuous probability distribution in the curriculum manual, 13 kinds of 'Basic Calculus and Statistics' and 10 kinds of 'Integration and Statistics' authorized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applied to the revised curriculu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eaching method connected with mathematical concepts of integral in regard to three concepts in continuous probability distribution chapter-introduction of probability density function, expectation of continuous random variable, and standardization of normal distribution. To find mathematical connection between these three concepts and integral, we analyze a survey of student, the revised curriculum manual, authorized textbooks, and activity books as well as 13 domestic and 22 international statistics (or probability) books. Developed teaching method was applied to actual classes after discussion with a professional group. Through these steps, we propose the result by making suggestions to revise curriculum or change the contents of textbook.

      • KCI등재

        수학교육학과 수학 연구자들의 학술지 선호 경향에 대한 조사 연구

        박경미 대한수학교육학회 2013 수학교육학연구 Vol.23 No.4

        The journals provide an academic arena for researchers in specific academic field, and play a crucial role in the process of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the academic field.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familiarity, reputation, applicability, and preference of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s.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for mathematics educators. As a result, the three journals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in Mathematics>, <School Mathematics>, and <The Mathematical Education> were notably preferred by mathematics educators, and the scores of familiarity, reputation, applicability, and preference were almost synchronized. On the other hand, mutual preference of mathematics education, mathematics, and education journals is an indicator of the communication among related academic fields. However, mathematics education researchers showed little preference toward mathematics and education journals, and vice versa. 학술지는 해당 학문 분야에 대해 문제의식과 개념을 공유하는 연구자들이 학문적으로 교류하는 토대를 제공함으로써, 학문의 형성과 발전에 있어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본 연구의 일차적인 목적은 수학교육 연구자들의 수학교육 분야 학술지에 대한 친숙도, 평판도, 활용도, 선호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수학교육학연구>, <학교수학>, <수학교육>의 세 학술지에 대한 집중화 현상을 보였으며, 친숙도, 평판도, 활용도, 선호도 있어 동조화 현상도 나타났다. 한편 수학교육학, 수학, 교육학 연구자와 학술지 사이의 교차 선호 경향은 분야간 관심의 공유 정도와 소통의 긴밀성을 나타낸다. 수학과 교육학은 수학교육학이 학문적으로 형성되는 과정에서 지대한 영향을 미쳤지만, 수학교육 연구자들의 교육학과 수학 분야 학술지 선호 경향은 미미하고, 수학 연구자들의 수학교육학 학술지에 대한 관심 역시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