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노인의 여가활동과 우울의 관계: 여가인식의 조절효과

        김형훈 ( Kim Hyung-hoon ),이지연 ( Lee Jiyeon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구 한국여가웰니스학회) 2018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Vol.9 No.1

        본 연구는 노인들의 여가활동유형과 여가인식 정신건강의 구조관계를 파악하여 노인여가와 심리적 특성에 대해 파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는 2016년 Sendex(노인 & 장애인 박람회)에 참여한 65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설문을 수거하여 본 연구에 적합한 총 193부의 설문을 연구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과 상관관계 분석, AMOS를 활용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여가활동유형 중 취미문화 활동과 사회활동이 모든 정신건강의 하위요인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정신건강과 여가인식의 관계를 확인한 결과 주관적 건강상태가 여가인식의 하위요인과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of leisure activity types, leisure cognitive and mental health. This study utilized random sampling on the subjects of residents in SENDEX 2016(12nd Senior & People with Disability Expo) who are over 65 years old, total 193 were used for this study. Data was analyzed by employing SPSS ver22.0 for Window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AMOS. The results showed that hobby·cultural activities and social activities of leisure activitiy types havs positive effects with all sub fectors of mental health. The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mental health and leisure cognitive, subjective health status were correlated with all sub fectors of leisure cognitive. with this results, leisure activity types, leisure cognitive and mental health.

      • KCI등재

        여가활용의 방안으로 레저스포츠 참여와 생활체육 활용의 이원적 고찰

        지민준(Min-Joon Ji)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2022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Vol.13 No.3

        현대사회가 여가를 사회 구성원이 누려야하는 보편적인 사회권리로 간주하여온 것이 마침내 2022.「국민여가활성화기본법」의 제정으로 실정법상「여가권」이 인정되어 선진국형의 문화국가로 발돋움하게 된 것은 국가의 발전이다. 다만 문화체육진흥법의 영역에 속하는 ’여가진흥법(가칭)‘의 입법이 미비한 것은 관련 학계에서 여럿 논의가 있는바’여가진흥법‘의 주요 입법사항이 ① 여가 산업의 진흥과 ②여가참여의 활성화 및 문화정책사항의 수립에 있음을 볼때(’여가진흥법‘제정의 필요성, 조광익 여가 학회연구 2010,8-4028)실정법상 권리로 인정된 「여가권」과 ’레저권‘이 그 존재와 행사가 內定化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권리 실천의 대상과 주변환경(레저스포츠시설 및 산업)이 원만히 조성되어야 권리 실현이 실효 될 수 있다. 이래야만 법과 문화의 본질을 들여다 볼 수 있는 것이다. Today, as Korea grows remarkably economically, the quality of life of the people is improved, and it is also developed into a five-day workweek, and furthermore, into leisure culture. In particular, as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leisure sports increases due to the natural environment surrounded by the sea on three sides, marine leisure sports are in the spotlight due to the good use of leisure activities. On the other hand, the state and local governments are legally encouraged and participation in sports for all is encouraged by the good use of leisure time that falls short of the area of leisure sports that requires some economic (leisure organization) and expertise (navigation). In this sense, this paper aims to promote national leisure activities and contribute to the creation of leisure culture by presenting a model that induces the participation of leisure sports as a professional leisure activity and promotes the use of sports for the good use of leisure by the general public.

      • 해양레저 비즈니스의 문화적 환경에 대한 연구

        옥성삼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2011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Vol.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ltural environment of marine leisure business. The study mainly has focused on the formation of cultural characteristics -maritime history, marine cultural infrastructure, marine cultural contents and today's leisure trends- in the living space of Korean social history as an influences of specific geopolitical characteristics, melting pots of the two social forces, the ocean and the continent. And as a consequences of the research changes of leisure environments also have examined. 본 연구는 해양레저 비즈니스의 바탕이 되는 문화적인 환경을 해양역사, 해양문화, 해양문화 인프라와 해양문화콘텐츠 그리고 여가 트렌드의 변화 등을 통하여 개괄적으로 살펴보았다. 대륙과 해양이 만나는 한반도의 지정학적 특성이 생활공간으로서 역사를 통하여 어떤 문화적 특성을 형성해왔는지, 그리고 오늘날 해양레저 비즈니스의 바탕이 되는 여가환경의 변화를 찾아보았다. 이를 통하여 우리의 역사 속에 잠재된 해양 문화적 동력이 오늘날 소극적이고 빈약한 해양 문화적 환경과 충돌 적으로 만나고 있으며, 이것이 해양레저 비즈니스의 기회인 동시에 장애요인이 되고있다는 것이 본 연구결과가 시사하는 바이다.

      • 한국무용에 참여하는 주부들의 여가 몰입 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분석

        진가영 ( Jin Ga-young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2016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주부둘이 한국무용을 참여하면서 그들의 삶에 어떤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현재 한국무용체험에 관한 많은 국내 연구들이 이뤄지고 있지만 한국무용 몰입 경험에 관한 선행 연구들은 양적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고 질적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한국무용을 수행하고 있는 주부들을 대상으로 하여 한국무용을 시작하게 된 동기, 몰입경험을 통한 체험의 의미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얻는 신체적, 심리적 효과는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에 맞는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기 위해 문화센터에서 한국무용에 참여하고 있는 주부 9명을 대상으로 6개월에 걸쳐 심층면접, 내용분석, 참여관찰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주제별 약호와, 의미범주화, 의미개념화 등 3단계 분석을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무용에 참여하게 된 동기는 다양하였지만 자발적인 참여 성향이 강하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의 한국무용에 대한 열정적 참여 성향이 나타났고 이러한 성향은 몰입으로 이어졌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한국무용에 참여하여 긍정적인 신체적, 심리적 효과를 얻었다. 넷째, 연구 참여자들이 한국무용에 참여하면서 체약적인 상황이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explore the flow experience for house wives who are participating on Korean dance. Even though there are numerous studies conducted similar topic in quantitativ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are limited. Therefore, the study was to analysis on leisure flow for house wives participating on Korean dance by phenomenological analysi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at local culture center, after 6 months of interview, contents analysis, and observation process, the results shown as follow. First, the motivation of participating Korean dance was voluntary. Second, mos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strong passion on participating Korean dance which leads to flow. Third,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d positivity on physical and psychological effects. Fourth, even though there are positive effects on participating Korean dance, they also experience constraints.

      • KCI등재

        스포츠 기록 교육을 위한 기초연구

        천보근(Bo-Geun Cheon),임재구(Jae-Goo Lim)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2024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Vol.15 No.1

        학교체육에서 스포츠 기록을 교육함은 숫자, 글자, 모양 및 초상을 비롯하여 그 기록을 도출하기 위한 고유하면서도창의적이고, 다양한 노력 즉, 저작권이 함께 교육되어야 한다. 이는 스포츠가 결과보다 과정이 더 중요함을 교육함이더욱 타당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스포츠 기록에 대한 저작권의 이론적 개념은 정리된 바 없어, 스포츠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이론적 기틀이 매우 미비한 상황이다. 이 연구는 스포츠 저작권 교육을 위한 기초연구로, 스포츠기록을 중심으로 하여 그 내용을 정리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스포츠 기록, 스포츠 정책, 스포츠법 등의 다양한 선행연구 및 문헌들에 기초한 문헌고찰 방법을 채택하여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한 것은 다음과같다. 첫째로 스포츠 선수 기록의 기록은 그 성격에 따라서 개인정보, 경기기록, 초상 그리고 기타 기록으로 구분된다. 둘째, 스포츠 선수의 기록에 대한 선수 본인의 저작권은 저작권법에서 정의한 요건상 제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다. Educating about sports records in school physical education should encompass not only numbers, letters, shapes, and portraits but also the unique, creative, and diverse efforts involved in producing those records. Copyright should be an integral part of this education. This is because emphasizing the process rather than the outcome in sports education is more valid. However, in the current situation in South Korea, the theoretical concepts of copyright regarding sports records have not been systematically organized, leading to a significant lack of theoretical foundations for nurturing sports talents. Therefore, this study serves as a foundational research for sports copyright education, with the aim of organizing the content of education centered around sports records. The research employed a literature review method based on various prior studies and documents related to sports records, sports policies, and sports law. In summar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records of sports athletes' achievements ar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nature, including personal information, game records, portraits, and other records. Secondly, the copyright for a player's records is conditionally recognized based on the criteria defined in copyright law.

      • KCI등재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모형을 적용한 e스포츠 팬 시청의도 영향 요인 분석

        이민석(Minseok Lee),박찬민(Chanmin Park)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2024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Vol.15 No.1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intention to watch esports leagues among fans. The aim was to identify marketing factors for esports leagues and enhance the sustainability of the esports league. The study targeted adult fans who had experience watching Korean esports leagues. 349 datasets for the final analysis.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24 and AMOS 22 for Windows, and the methods included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path model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ttitude,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and frequency of past esports experienc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desire. Second, positive and negative anticipated emotions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desire. Thir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frequency of past esports experiences, and desire significantly influenced viewing intention.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d factors that can enhance esports league viewership, improving the sustainability of esports. 본 연구는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모형을 적용하여 e스포츠 팬들의 리그 시청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탐구하고자수행되었다. 이를 통해 e스포츠 리그 마케팅 요인을 파악하여 e스포츠리그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하였다. 한국 e스포츠 리그를 시청한 경험이 있는 성인 팬을 모집단으로 설정,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49개의데이터를 최종 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은 윈도우즈용 SPSS24와 AMOS22를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확인적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경로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과거 e스포츠 경험빈도는 열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긍정적 예기정서, 부정적 예기정서가 열망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셋째, 지각된 행동통제, 과거 e스포츠 경험빈도, 열망이 시청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를 통해 e스포츠 리그 시청을 향상시킬 수 있는 요인을 파악하여 e스포츠의 지속가능성을 향상시켰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의 통합적 태권도 수련프로그램 만족도가 자기효능감 및 운동지속에 미치는 영향

        장광재(Kwang-Jae Jang),김수연(Soo-Yeon Kim)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2024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Vol.15 No.1

        This study aims at examining the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an integrated Taekwondo training program on self-efficacy and exercise adherence factors among trainees practicing in a Taekwondo gym. For thi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449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ractice Taekwondo. For the validation of this study, SPSS/Windows 22.0 program was us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and analyze the influenc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ccording to the research hypothesis,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ractice satisfaction, self-efficacy and exercise adherence factors. First, practice satisfaction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elf-efficacy. Second, practice satisfaction show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exercise adherence. In conclusion, since satisfaction with an integrated Taekwondo training program has positive influences on self-efficacy and exercise adherence factors, Taekwondo instructors should plan and present more specific and diverse programs to increase self-efficacy and maximize exercise adherence. 본 연구는 태권도 체육관에서 수련하고 있는 수련생을 대상으로 통합적 태권도 수련프로그램 만족도가 자기효능감및 운동지속 요인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중・고 수련생 44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검증을 위해 SPSS/Window 22.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연구가설에 따라 연구모형 검증 및변수 간 영향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련만족도와 자기효능감, 운동 지속요인은 통계적으로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수련만족도는 자기효능감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련만족도는 운동지속 요인에 정(+)적인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통합적 태권도 수련프로그램의 만족도는 수련생의 자기효능감과 운동지속 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 태권도 지도자들은 보다 구체적이고 다양한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제시하여 수련생들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운동지속을 극대화하고자 노력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생존수영 참여 초등학생의 수상안전사고, 수중불안, 지속의도의 관계

        강하늘아름(Ha Neul A Reum Kang),홍미화(Mi-Hwa Hong)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2024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는 생존수영 실기교육에 참여한 초등학생들의 수상안전사고, 수중불안, 지속의도의 변인 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충청남도 지역의 생존수영 실기교육을 참여한 경험이 있는 초등학생 3~6학년 총 400명을설문조사 하였으며, 358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23.0와 AMOS 23.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을 사용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얻었다. 첫째, 수상안전사고는 수중불안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상안전사고는 지속의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수중불안은 지속의도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생존수영 참여 초등학생이 수중불안을 낮추고 생존수영을 지속하는 데 있어 수영장/워터파크, 배(선상), 수상안전 예방교육의 수상안전사고에 대한 예방이 사전에 교육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사전수영경험에따라 생존수영 교육 지속의도도 비교한다면 생존수영교육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purpose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water safety incidents, aquatic anxiety, and intention to continuous of elementary students participating in survival swimming. The study participants 358 elementary grades 3 to 6 experience participating in survival swimming. Statistical analysis using the SPSS, AMOS. The analysis included reliability, correlation, exploratory factor,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irst, aquatic safety incidents were found to be partially influenced by aquatic anxiety. Second, aquatic safety incidents were found to partially affect the intention to continue. Third, aquatic anxiety was found to partially influence the intention to continue. Conclusion, It can be understood that elementary school students participating in survival swimming should receive pre-education on water safety incidents related to swimming pools/water parks, boats, water safety education, in order to reduce underwater anxiety and sustain survival swimming. Comparing the intention to continuous in survival swimming based on pre-swimming experience, it would greatly contribute to the activation of survival swimming.

      • KCI등재

        허난성 정주시 도시민의 홈트레이닝 소비환경이 소비욕구 및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신펑쥔(Fengjun Shen),김상유(Sangyoo Kim)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2024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생태학 이론과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여 도시민의 홈트레이닝 소비환경이 소비욕구 및홈트레이닝행위의 지속가능성에의 영향을 탐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도시의 성인 주민을 대상으로 중국 허난성정주시를 지역 범위로 총 750부의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그중 유효한 설문은 706부이다. 본 연구에서는 SPSS 26.0을이용하여 설문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사람들이 정기적으로 체육 활동에 참여하도록 장려하기 위해서는 최신 홈트레이닝장비와 쾌적한 환경이 필요하다. 둘째, 대면 욕구는 대인관계의 새로운 형태의 교류를촉진하고 있다. 셋째, 홈트레이닝 소비환경만으로는 홈트레이닝행위의 지속가능성을 제어할 수 없으며, 소비욕구만으로도 도시민의 홈트레이닝행위의 장기적인 발전을 해결할 수 없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home training consumption environment of citizen on consumption needs and the sustainability of home training behavior by using social ecology theory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this study, 750 questionnaires were conducted with citizen adult residents in Zhengzhou City, Henan Province, China, among which 706 were valid. In this study, the data of questionnaire survey were analyzed by using spss26.0.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are as follows. First of all, home training must establish a comfortable environment, with training facilities and equipment needed to encourage people to participate in sports activities. Secondly, face-to-face demand has promoted new forms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Thirdly, the sustainability of family training behavior cannot be controlled only by the consumption environment of family training, and the long-term development of citizen training behavior cannot be solved only by the consumption demand.

      • KCI등재

        VR을 활용한 바이크 게임 프로그램의 재미요인이 참여자의 운동지속력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홍선옥(Seon-Ok Hong),강현욱(Hyun-Wook Kang)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2024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 Vol.15 No.1

        본 연구의 목적은 VR을 활용한 바이크 게임 프로그램의 재미요인이 참여자의 운동지속력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충남지역 20대 VR바이크 게임 프로그램 참여자 200명에게 설문지를 배포하였고, 최종적으로 사용가능한 표본으로 190개의 데이터를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재미요인을 독립변인으로, 참여자의 운동지속력과 대인관계를 종속변인으로 설정하고 SPSS 28.0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처리하였다. 설문지의 타당도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 분석을 실시했으며, 변인 간 영향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VR을 활용한 바이크 게임 프로그램에서높은 재미요인을 지닌 참여자는 운동지속력에도 긍정적 영향을 받는다. 둘째, VR을 활용한 바이크 게임 프로그램에서 높은 재미요인은 대인관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마지막으로 VR을 활용한 바이크 게임 프로그램 참여자의운동지속력은 대인관계에도 부분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 따라서 VR을 활용한 바이크 게임 프로그램의 재미요인은 참여자의 운동지속력 및 대인관계에 어느 정도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첨단기술을 스포츠에 융합한 프로그램을 통해 참여자의 신체적, 정서적 발달의 기회를 장려하는데 본 연구결과가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act of fun factors in a VR-based bike game program on participants' exercise adher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 survey was distributed to 200 participants in 20s in the Chungcheongnam-do. Total 190 usable data were selected.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 28.0.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conducted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with high fun factors positively influenced exercise adherence. Second, high fun factors also had a positive impa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Lastly, the exercise adherence of participants has a partial positive effect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fun factors in the VR-based bike game program contribute to participants' exercise adher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o some ext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tilized in encouraging opportunities for participants'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through the integration of advanced technology into sports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