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방기 남북한의 문해정치와 여성독본의 자리 - 박영애의 『여성독본』과 최화성의 『조선여성독본』을 중심으로 -

        임세화 성균관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2 人文科學 Vol.- No.85

        해방기 여성들에게 ‘해방’이란 무엇이었을까. 탈식민국가의 여성에게 ‘해방’이란 제국주의와 봉건 가부장제로부터의 “이중적 해방”으로 칭해졌다. 이 글은 해방 이후 ‘다시 해방’되어야 했던 ‘여성해방’ 운동의 특수한 성격과 의미를 해방기 ‘문해정치’와 여성독본을 통해 살펴보았다. 좌우의 이념 대립과 체제 경쟁이 격화되어가는 상황 속에서 남북은 통치의 정당성과 우월성을 확립하고 안정을 꾀하려는 목적 하에 문해정치를 펼치기 시작한다. 해방기 남북의 교육 정책은 외연적으로는 문맹퇴치를 위시한 민족교육, 민주주의, 남녀평등의 민족 사업으로 선언되었지만, 그 근저에는 통치 체제에 대한 인민대중의 지지를 확보하고 이념화를 꾀하려는 목적이 있었다. 문해의 영향력과 여파를 이념 정치의 문제로 해석하는 냉전적 사고는 결과적으로 교육에 대한 조선인들의 열망과 이해관계가 일치하게 되었지만, 남북 교육정책의 출발과 방향성은 조선인들의 이상과는 근본적으로 상이한 것이었다. 조선의 문맹퇴치와 민족교육은 이미 그 출발에서부터 양단의 이질적인 이념성을 내장하고 있었고, 교육의 방향성은 점차로 미국과 소련이라는 두 점령국가의 이념 대결의 성격을 담지하게 되었다. ‘문맹퇴치 운동’ 저간의 이중성에서 드러나듯 남북이 각자의 상이한 목적을 가지고도 동일한 구호 아래 민족운동으로서 문해정치를 펼쳤던 것처럼, ‘여성해방’ 역시 전혀 다른 이념적 목적으로부터 출발했음에도 외연적으로는 동일한 기치와 선언 하에 그 노선이 생성되었다. 남북 모두 여권 신장과 평등 실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위한 여성문해교육을 정치적으로 전유하는 가운데, 해방기의 여성은 다시 한 번 민족의 ‘정치적 진보성’과 ‘근대성의 정도’를 드러내는 표지로서 작동하게 되었다. 남북 공히 내걸었던 ‘남녀평등의 민주주의 질서 확립’이라는 정책 기조는 각각 자본주의/공산주의 사회로의 재편이라는 점령의 기본 목표를 관철시키는 과정에서 수반되는 정치적 문제 해결과 사회 안정을 꾀하기 위한 것이었다. 여성 권익을 옹호하고 지위를 향상시킨다는 방침은 정책 추진 과정에서 여성의 지지와 참여를 이끌어내고 민주주의 이념의 실체와 효능감을 가시화하는 데에 더 큰 목적이 있었던 것이다. 역사상 여성독본은 당대적 현실, 사상적 변화와 통치 이데올로기, 성 역할을 담지하고 재생산하는 제도적 구성물이자 정치 기획물로 기능해왔다. 박영애의 『여성독본』과 최화성의 『조선여성독본』은 여성 사회주의자가 쓴 여성독본으로서, 근대계몽기 이래 여성에게 이중의 주박이 되었던 ‘독본’이라는 형식을 빌어 역설적으로 ‘여성해방’을 위한 문해를 설파했다. 이 두 권의 독본은 여성이 직접 쓴 ‘해방기 여성의 이상’으로서 해방기 독본류 발행의 경향에서나 여성운동사의 흐름에서 특수한 위상을 점한다. 이들은 특히 ‘경제적 주체’로서 여성이 바로 서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고, 민족국가 건립과 혁명의 동지로서 소환되는 구도에서 벗어나 여성 스스로 해방의 주체가 되어야 함을 주장했다. 이 두 권의 책은 ‘여성해방’의 포문이 본격적으로 열리던 때에 통치 기획과 냉전 이념, 민족주의, 탈식민, 계몽이 결합되었던 근대여성운동의 상징적 사례이자 실체로서 주목을 요한다. 더불어 오랜 여성운동사에서 미완으로 머물던 이슈들을 현장 ... What did ‘liberation’ mean to Korean wome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For the women in post-colonial state, the ‘liberation’ meant the “dual liberation” from imperialism and feudal patriarchy. This article examined the special nature and meaning of the ‘liberation movement’ of Korean women, who had to be ‘liberated again’ after Korea’s liberation from Japanese colonial rule, through “literacy politics” and textbooks for Korean woman wome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In the situation where the ideological confrontation and the system competition between the left and the right were escalating, South and North Korea began to carry out literacy politics for the purpose of establishing the legitimacy and superiority of their ruling system and achieving stability. The education policy of the two Koreas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as outwardly declared as a national project for the eradication of illiteracy and the education of democracy and gender equality, but its underlying purpose was to secure public support for their ruling system and to seek for consolidating ideologies. The Cold War mode of thinking that interprets the influence and aftermath of literacy as a matter of ideological politics consequently became consistent with the aspirations of Koreans for education, but the start and direction of the education policy of the two Koreas was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ideals of the Koreans. From the beginning, illiteracy eradication and national education in Korea already had the nature of extremely heterogeneous ideology, and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gradually contained the nature of an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occupying countries of the United States and the Soviet Union. As revealed in the duality of the ‘illiteracy eradication movement’, the two Koreas carried out literacy politics as a national movement under the same slogan despite their different goals. In the same way, the ‘women’s liberation’ also started from a completely different ideological purpose, but outwardly it was carried out under the same slogan and declaration. Both South and North Korea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he extension of women’s rights and the realization of gender equality while using women’s literacy education for political purposes. Therefore, Korean woman in the liberation period once again acted as a mark to reveal the ‘political progressiveness’ and ‘degree of modernity’ of the nation. The purpose of the policy direction to ‘establish a democratic order based on gender equality’, which was put forward by both South and North Korea, was to solve the political problems that occurred in the process of accomplishing the basic goal of the occupation of the two Koreas, namely, reorganizing South and North Korea into a capitalist/Communist society, respectively, and to seek social stability. However, the policy to advocate women’s rights and improve their status had actually served a wider political purpose in drawing women’s support and participation in the policy implementation process and visualizing the reality and efficacy of the democratic ideology. Historically, textbooks for women have functioned as an institutional strategy and a political project that represent and reproduce the reality of the times, ideological changes, ruling ideology, and gender roles. Park Young-ae’s Textbook for Women(女性讀本) and Choi Hwa-sung’s Textbook for Joseon’s Women(朝鮮女性讀本) were written by female socialists, who paradoxically preached literacy for ‘women’s liberation’ using the form of ‘textbooks’, which have been a double shackle for women since the modern enlightenment period. These two textbooks, containing the ‘ideology of women in the liberation period’, were written by women themselves, and hold a special position in the trend of textbook publication in the liberation period or in the history of women’s liberation move...

      • KCI등재

        1920년대 박원희의 여성해방운동과 여성해방사상

        안미경 한국민족운동사학회 2013 한국민족운동사연구 Vol.0 No.74

        본고는 1920년대 사회주의를 지향하면서 여성해방운동을 전개한 박원희의 생애를 조명하였다. 본고의 목적은 박원희가 전개한 여성해방운동을 통해, 박원희의 여성해방사상이 지닌 의미를 규명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박원희가 소속된 서울파의 여성해방운동이 추구한 이상과 그 가치를 이해하게 될 것이다. 1898년, 충남 대전에서 출생한 박원희는 경성여자고등보통학교와 그 부설 사범과를 졸업한 여성이었다. 졸업 후 박원희는 철원공립보통학교의 교원으로 4년간 재직하였지만, 이는 의무복무기간을 이행한 것이었다. 3ㆍ1운동을 계기로 민족적 각성을 하였던 박원희는 오빠인 박광희의 조선노동공제회 활동과 당시 언론 등을 통하여 민족문제와 사회문제에 관심을 가지면서, 사회주의사상을 이해하게 되었다. 김사국과의 결혼 후, 일본으로 건너간 박원희는 양복직공일과 학업을 병행하면서 노동자의 처지를 인식하고, 여성문제에 대한 고민을 하였다. 일본 유학 생활을 통해, 박원희는 사회주의 사상과 함께 당시 일본사회에서 유행하던 엘렌케이를 비롯한 여성해방담론을 적극 수용하였다. 1923년, 일본에서 귀국한 박원희는 남편이 있는 북간도로 건너가 동양학원의 영어강사로 활동하였다. 그러나 ‘동양학원사건’에 연루되어 옥고를 겪으면서도, 엘렌케이의 저작을 번역하였다. 서울로 돌아온 박원희는 여성해방운동을 실천하면서 민족해방운동에도 꾸준히 참여하였다. 박원희의 여성해방운동은 여성단체를 조직하거나 그 활동에 참여하면서 강연과 언론기고를 통해 여성해방사상을 선전하는 방식이었다. 박원희가 활동한 여성단체로는 광진부인회, 조선여성동우회, 경성여자청년회, 중앙여자청년동맹이 대표적이다. 또한 민족협동전선의 요구에 따라 창립된 근우회와 신간회에도 참여하였다. 뿐만 아니라 박원희는 서울청년회의 집행위원이자 서울청년회 내의 비밀공산주의 그룹인 ‘고려공산동맹’의 조직원으로서 여성ㆍ노동ㆍ아동부문과 관련된 활동을 실천하였다. 특히, 조선사회단체중앙협의회에서의 활동이 주목받았는데, 이는 민족운동의 방법론에 대한 서울파의 의견을 대변하는 것이었다. 박원희는 경성여자청년회의 강령을 통해 여성해방사상에 대한 자신의 주장을 구체화시켰다. 그 내용은 여성의 독립과 자유, 남녀평등, 모성보호를 위한 제도적 실천이었다. 박원희의 주장은 모성보호를 강조하는 것이 핵심이며, 이는 여성문제에 대한 인식에서 비롯되었다. 박원희는 식민지 조선의 여성들이 받는 고통은 민족적ㆍ계급적ㆍ인간적 압박이라고 보았으며, 식민지 조선의 현실은 인간사회의 도덕이 아니기에 여성들은 비합리적인 인간사회에서 합리적인 인간사회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즉, 그녀는 여성이 인간으로서 자각할 것을 주장한 것이다. 이에 따라 모성보호를 인간으로서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로 인식하였으며, 동시대 러시아에서 실현되고 있는 모성보호를 위한 여성정책은 실현가능한 것이라고 인지하였던 것이다. 이와 같은 박원희의 여성문제 인식은 당시 다른 사회주의자 여성들이 식민지 조선사회의 전통적인 특수성에 주목한 것과 비교된다. 박원희는 식민지 조선사회의 전통으로 인한 폐단을 특수가 아닌 일반으로 이해하였던 것이다. 박원희의 이러한 생각은 사회주의자들이 민족운동에 대한 논쟁에서 조선사회의 특수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있... This paper illustrats Park Won-hee’s life who developed women’s liberation movement that pointed to the socialism in the 1920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larify the meanings of the Park Won-hee’s feminism through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Park Won-hee developed. Through this, it will help understand the value and ideal pursued by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of Seoul Alliance of which Park Won-hee was a member. Born in Daejeon in 1898, Park Won-hee was a woman who graduated from Gyeongseong Girls’ High School and its affiliated department of education. After graduating, Park Won-hee had worked for 4 years at Cheorwon Public Primary School as a teacher but it was to fulfill her compulsory duty period. With the outburst of the Samil Independence Movement, she had national awakening and became interested in national and social issues and understood the socialist ideology through her elder brother, Park GWang-hee’s activities in the Korean Workers Beneficial Association (Chosun Nodong Kongjehoe) and the press. After marriage to Kim Sa-guk, she moved to Japan. She studied and worked there as a worker for a clothes factory at the same time. During the times she recognized the laborer’s status and agonized female issues. Through the overseas studies life in Japan, Park Won-hee actively adopted the socialist ideology along with the Ellen Key’s ideology, ranging over women’s liberation discussions, popular in Japan at the time. In 1923, after she came back to Korea, she moved to Northern Gando where her husband stayed and worked as an English instructor for Dongyang Institute. Around the time she was involved in ‘Dongyang Institute Plot’ and imprisoned but translated Ellen Key’s books. When she came back to Seoul, she practiced women’s liberation movement and consistently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liberation movement. Her activities for women’s liberation movement were to propagandize women’s rights through organizing female groups and participation in their activities like lecturing, contributions to the press. The representative female groups she participated are Gwangjin Women’s Association, Chosun Female Friendship Association, Gyeongseong Young Female Association and Central Young Female Union. In addition, she participated in Geunuhoe and Shinganhoe established by the demand of the National Cooperation Front. Furthermore, Park Won-hee practiced activities related to female labor and children parts as a member of ‘Goryeo Community Alliance’, the secret communism group within Seoul Young Men’s Association as well as a member of the executive committee of Seoul Young Men’s Association. In particular, her activities for the Korean Central Council of Social Associations drew attention and spoke for the opinion of the Seoul Alliance about the methodology of the racial movement. Park Won-hee concretized her claim on feminism through the main principles of Gyeongseong Young Female Association. The content of the main pinciples was the systematic practice for female independence, freedom, gender equality and maternal protection. Her claim is to emphasize maternal protection which was caused by the recognition on female issues. She considered that the female sufferings under the colonized Chosun were the national, hierarchical and human supression. She claimed that the oppressive reality of the colonized Chosun was not the result from morality of an ideal society so that women should move forward from an irrational society to a rational one. Namely, she insisted that women should had self-awareness as human beings and maternal protection had to be recognized as a human right. Suprisingly the female policy for maternal protection was feasible in Russia at that time. The Park Won-hee’s recognition on the female issues is a little different from the attention to the traditional specialties of the colonized Chosun society paid by other socialist female activists at that tim...

      • KCI등재

        해방기 펄 벅 수용과 남한여성의 입지

        류진희 한국여성문학학회 2012 여성문학연구 Vol.28 No.-

        How does the Joseon(朝鮮) women under the colonial and imperial regime become the South Korea(南韓) women in the international and regional system. This article studies the political movement of women in the liberation period(1945~1948), centered on the reference and translation of 'Ladies of the World'. Especially, Pearl S. Buck of this period is mentioned most frequently more than anybody else. However, the works referred here are not her famous Nobel Prize-winning novels such as The Good Earth, but her short stories that are unfamiliar to the world,both in earlier and in later times. Also, here, the point of discussion is at the liberation of people of a small and weak power and the solution for Joseon issue in the post-World War Ⅱ period, instead of the Oriental world, which marks as the characteristic of Pearl S. Buck. Interestingly, although Pearl S. Buck stands for the Asian values in her struggle against the US nationalism, as for the Joseon issue,she stands against the trusteeship in conformity with the rightist insistence on the establishment of an independent South Korea government. Her claim on the prevention of World War through a substantial aid, based on humanitarianism instead of an antagonistic anticommunism, was also adopted as the initiative logic for rightist women’s movement, which lapsed into silence for a while right after Korea's liberation. Here exists the situation of Korean Peninsula, in which the North Korea(北朝鮮) and South Korea(南韓) becomes separated with the demarcation of 38th parallel. At this point, the South Korean women took notice of certain famous women who were active internationally, such as the wife of Roosevelt, Eleanor and the wife of Chiang Kai Shek, Soong May Ling, instead of some unknown revolutionary women of the Soviet Union or China, introduced right after the liberation. And at the root of their identity, there was the American Humanitarianism based on the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the UN, rather than the women's liberation theory of socialism such as Kollontay, Bebel and Engels. This is physically due to the assistance of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and the influence by American civilization. Despite the fact that Pearl S. Buck suffered from a suspicion of leftist communist sympathizer in the US, she was considered as the model of rightist women in South Korea. As the fever from the liberation wave passed away and people's livelihood aggravated, these South Korean women started to carry out the policies of enlightenment for the women. In addition, these women, who were from a region still without a legal qualification as a proper nation, were able to demonstrate a similar equal relationship with the wives of the world-famous public figures on the international stage. Of course, the international standard of women's equality, brought up under the influence of UN at this time still creates a positive effect. On the other hand, the acknowledgement and acceptance of Pearl S. Buck in South Korea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reveals the moment, in which the socialist theory is displaced by the humanitarianism policy. The principal agent of this procedure was the women, and as its content claims not to support any ideology, Pearl S. Buch settles again as the author of 『The Good Earth』 in the Republic of Korea afterwards. The critical statements and problematic work piece referred to and translat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vanished from our memory in an instant. 제국/식민지 체제 내의 조선여성이 어떻게 국제/지역 구도 속의 남한여성이 되는가. 이 글은 펄 벅(Pearl S. Buck)의 참조 및 번역을 통해서 해방기여성의 정치적 행보를 더듬고자 한다. 새로운 세계여성 모델이라는 측면에서다른 누구보다 빈번히 언급되고 있는 펄 벅이, 해방기에는 노벨문학상 수상작 『대지(The good earth)』를 비롯한 유명한 장편소설들이 아니라, 그 이전혹은 그 이후에도 찾아볼 수 없는 낯선 단편소설들 중심으로 수용되고 있었다. 또한 동양적 세계가 아니라,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약소민족을 어떻게 처리해야할 지와 관련되어 언급되었다는 것이다. 흥미롭게도 이때 펄 벅은 미국 내에서는 국수주의에 대항하여 아시아의 입장과 동서화합의 주장을 대변하고 있었지만, 조선에서는 신탁통치 반대의 입장에서 남한만의 정부를 수립하자는 우익의 주장과 더불어 언급되고 있다. 그리고 적대적 반공이 아니라 실질적 지원으로 세계대전을 방지하자는 펄 벅의인도주의도, 해방직후 한동안 침묵했던 우익 남한여성들이 다시 활동을 시작하는 논리가 되었다. 여기에는 물론 38선의 실정화에 따라, 북조선과 남한이구분되기 시작한 한반도의 정황이 존재한다. 이때 남한여성은 해방직후 소개되었던 소련과 중국의 이름 없는 혁명여성들이 아니라, 국제무대에서 활약하는 몇몇 유명여성들, 즉 루즈벨트의 부인 엘리노어, 장개석의 부인 송미령 등에 주목했다. 이에 따라 콜론타이, 베벨, 엥겔스 등의 사회주의 여성해방이론이 아니라, UN의 성립과 활동을 배경으로 하는 아메리카 인도주의에 접근하게 된다. 이는 물론 물리적으로 미군의 지원과 미국의 영향에서 비롯한 것이었다. 다시 말해 펄 벅은 미국에서는 좌파 공산주의 동조자의 혐의에 시달렸지만, 남한에서는 우익 남한여성의 모델로 받아들여졌다는 것이다. 그리고 해방의 열기가 지나가고 생활의 문제가 대두하자, 이들 남한여성은여성을 대상으로 계몽적인 정책들을 실현해나갔다. 그리고 아직 국가의 자격을 갖추지 못한 남한에서, 그들은 당시 국제무대에서 세계여성들과 평등을 전시하며 유사 독립을 느끼게 했다. 물론 이때 UN의 영향 하에서 제기된 여성평등의 국제적 표준은 여전히 현재까지 긍정적 효과를 창출하고 있다. 그러나해방기 남한에서 펄 벅의 수용은, 해방기 사회주의 이론이 인도주의 정책으로전치되는 그 순간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해방기 남한에서 특출한 아시아관계 여성명사로 받아들여지던 펄 벅은, 다시 대한민국(R.O.K)에서 가장 널리 읽혀지는 대표적인 서구의 여류, 즉 『대지』의 작가로 낙착될 것이었다. 이글은 기억에서 사라진 해방기 참조되고 번역되었던 펄 벅의 비판적 발언과문제적 작품을 더듬어 보고자 했다.

      • KCI등재

        근우회와 조선여성해방통일전선

        장원아 역사문제연구소 2019 역사문제연구 Vol.23 No.2

        This article examines the background and organization of the ‘united front’ for ‘liberation of Korean women’, focusing on the Geunuhoe(association) movement. Geunuhoe was built as a women's mass organization under the influence of ‘united front’ theory in the late 1920s. This resulted from the historical experience and theoretical formulation of Korean Women's Liberation Movement. In the wave of the global women's movement, the Korean women's movement established its position and made clear the necessity of women's own organization in the reality of Korean women. The women's movement tried to develop in relation to the whole movement in the national reality. But when the general society looked at the women's movement, the media in particular satirized and disregarded the women's movement and activists. It has emphasized the failure of the united front due to the withdrawal of Christian due to socialist. However, a lot of Christian women kept close to the united front and continued in various human networks. In the reality of the Korean Women's Liberation Front, several layers of oppression intersected. Looking at the Geunuhoe as the Women's Liberation Front, many streams that participated the group continued to advocate for women's liberation, which can be explained by differentiation, not dissolution. 이 글은 ‘조선여성해방’을 목표로 한 ‘통일전선’이라는 측면에서 근우회 운동을 살펴보며 창립과 지속, 분화에 주목하여 이 ‘전선’의 배경과 재편을 살폈다. 근우회는 1920년대 후반 협동전선론의 영향 속에서 여성대중조직으로 건설되었다. 이는 조선 여성해방운동의 역사적 경험과 이론적 정립을 통해서 생겨난 것이었다. 세계 여성운동의 보편적 물결 속에서 조선 여성운동은 자신의 위치를 자리매김했으며, '조선의 특수한 현실' 속에서 여성들만의 조직이 필요함을 분명히 했다. 기존 연구는 사회주의적 편향에 따른 기독교계의 탈퇴로 협동전선의 실패를 강조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근우회를 마지막까지 지킨 것은 평양 기독교 여성들이었다. 여러 인적 네트워크 속에서 '조선여성해방'을 위한 ‘통일전선’은 지속되었다. 여성운동은 민족적 현실 속에서 전체 운동과 관계를 맺으며 전개되고자 했다. 그러나 일반사회가 여성운동을 대한 태도를 보면, 특히 『별건곤』과 같은 언론은 여성운동과 운동가들을 풍자하고 경시했다. 조선여성해방전선이라는 현실에는 이처럼 여러 층위의 억압이 교차했고, 그러한 억압들 속에서 전선은 분화되었다. 여성과 여성운동 간의 차이는 기본적인 조건이었고, 통일전선은 여성계몽을 위한 '과도기'로 설정된 것이었다. 그러나 ‘조선여성해방전선’으로서 근우회를 바라볼 때, 근우회에 참여한 여러 흐름들은 계속해서 여성해방을 주창해 나갔으며, 이는 해체 아닌 분화로 설명될 수 있다.

      • KCI등재

        메리 켈리(Mary Kelly)의 작품에 드러난 여성해방운동과 여성기록 연구

        이혜린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1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examines women’s records through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WLM) the appeared in the works of Mary Kelly(1941-). Mary Kelly has been actively involved in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since the 1970s, and has been at the forefront of promoting women’s human rights. From the late 1960s, women began to realize the inequality and discrimination they had suffered, which became an opportunity for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to be developed. Mary Kelly participated in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in the 1970s and has been at the forefront of advancing women’s rights. As an American but mainly active in Europe, like the feminist slogan that ‘the personal is the political’, she has broken down the boundaries between everyday life and art, connecting her daily life with women and art. Unlike other artists who reproduced or expressed the image of women formed in the patriarchal system, Mary Kelly records social discrimination inflicted on women as a topic of discussion. The artist uses images and texts to prove history, and has focused on conveying information rather than the visual aspect of the work. Paying attention to this point, the research method examines the women in Mary Kelly’s work, defines it as a women’s record that proves the women’s liberation movement, and examines its significa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works that dealt with women, including herself, since the 1970s, and works that pay homage to records produced in the 1970s after the 2000s. This scope includes <Post-Partum Document>, <Interim>, and <Love Songs>, her representative works, <Nightcleaners> in collaboration with other artists, and exhibition ≪Women & Work: A Document on the Division of Labor in Industry≫ It also includes <7 Days>, which exhibits a newspaper of the same name published in the 1970s. From that point of view, the works of Mary Kelly dealt with in this study can be found meaningful in that they are records of women marginalized in a male-dominated society and evidence of the struggle process. 이 연구는 메리 켈리(Mary Kelly, 1941-)의 작품에 나타난 여성해방운동(Women’s Liberation Movement, WLM)을 통해 여성기록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메리 켈리는 197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여성해방운동에 참여하였고, 여성 인권을 높이는 데 앞장서 왔다. 1960년대 후반부터 여성들은 자신이 겪어온 불평등과 차별을 깨달았고, 잘못된 현실을 각성하기 시작했다. 전 세계적으로 확대된 여성운동의 이념과 정체성은 메리 켈리의 예술 철학에도 큰 영향을 끼쳤다. 미국인이지만 주로유럽에서 활동한 작가는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인 것이다’라는 페미니즘 슬로건처럼, 일상과 미술의경계를 허물며 여성들의 삶을 작품의 주제로 선보였다. 가부장적 체계에서 형성된 여성의 이미지를 재현하거나 표현한 페미니즘 작가들과 달리, 메리 켈리는 여성에게 가해진 사회적 차별을 화두로 삼고이를 기록하였다. 작가는 작품에서 시각적 측면보다는 정보를 전달하는 데 주목해 당시의 여성들의 삶을 기록하고 이들을 설명하는 기록물을 수집하였다. 이런 점에 주목한 연구방법은 메리 켈리의 작품에나타난 여성을 살펴보고, 이를 여성해방운동을 증명하는 여성기록으로 정의해 의의를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1970년대부터 메리 켈리가 여성을 주제로 다룬 작품들과 이 시기에 생산된 기록을활용한 2000년대 작품들이다. 이 범위에는 작가의 대표작인 <Post-Partum Document>와<Interim>을 비롯해 여성 노동자들을 기록한 <Nightcleaners>, 전시 ≪Women & Work : A Document on the Division of Labour in Industry≫, 1970년대에 기록되거나 수집된 기록물을 이용한<Love Songs>와 <7 Days>를 포함한다. 그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에서 다룬 메리 켈리의 작업들은남성 중심의 사회에서 소외된 여성들의 기록이자, 투쟁 과정의 증거라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후보

        해방기 여성독본과 여성해방의 거리

        허윤(Yoon Heo) 근대서지학회 2022 근대서지 Vol.- No.25

        일제 강점기 교육자 이만규는 해방기 월북한 탓에 남한 사회에서 뒤늦게 조명받은 인물이다. 이만규의 교육자적 면모의 일부를 살펴볼 수 있는 것은 그가 저술한두 권의 여성독본으로, 『가정독본』(1941; 1946)과 『새 시대 가정여성훈』(1946)은 해방기 출간되어 여성교육을 위한 책으로 사용되었다. 이 두 권은 제목에서부터 확인할 수 있듯 여성을 가정 내 존재로 명명하고 현명한 아내이자 어머니로서 책임을다할 것을 강조한다. 이러한 이만규의 여성관은 남편과 아내 중심의 가족 질서를상상한다는 점에서는 근대적인 반면, 부모와 형제, 자매 등 확대가족을 강조한다는 점에서는 전근대적이다. 이는 이만규가 기독교인으로서 근대 사상을 받아들이기는 했지만, 자유연애나 결혼에 있어서는 보수적이었다는 점을 통해서도 확인할수 있다. 이러한 혼종성은 비슷한 시기 출간된 사회주의자 최화성의 『조선여성독본』(1948)과 비교할 때 확연히 드러난다. 최화성은 조선의 해방을 여성해방과동궤로 놓으면서, 사회주의 혁명을 통해 사회 체제를 변혁하고 여성해방을 이룩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한다. 그는 전세계의 여성운동사와 관련된 지식을 해방기 여성들의 독본으로 제시하였다. 이만규가 여성을 노동하지 않는 주체로 상정한데 반해, 최화성은 여성의 교육권 역시 노동권을 위해 존재한다는 방식으로 사회적존재로서의 여성을 강조한다. 월북한 기독교계 사회주의자라는 두 사람의 공통점에도 불구하고 성별과 세대 차이에 의해 여성해방론에 대한 입장이 완전히 달라지는 것이다. Lee Man-kyu, an educator and nationalis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as belatedly spotlighted in South Korea due to his defection to North Korea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Part of Lee Man-kyu’s educational aspects can be examined in two women’s readers he wrote, Home Reader (1941; 1946) and Women’s lesson in Family of New Era(1946) were published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and used as books for women’s education. As can be seen from the title, these two books emphasize naming women as beings in the home and fulfilling their responsibilities as wise wives and mothers. Lee Man-kyu’s view of women is modern in that it imagines a husband-wife-centered family order, while it emphasizes expanded families such as parents, brothers, and sisters. This can also be confirmed by the fact that Lee Man-kyu accepted modern ideas as a Christian, but was conservative in love or marriage. This hybridity is evident when compared to the socialist Choi Hwa-sung’s Joseon Women’s Reader(1948), which was published at a similar time. Choi Hwa-sung emphasizes the need to transform the social system and achieve women’s liberation through the socialist revolution, placing the liberation of Joseon on the same track as women’s liberation. She presented knowledge related to women’s movement history around the world as a reader of women during the liberation period. While Lee Man-kyu assumed women as non-working subjects, Choi Hwa-sung emphasizes women as social beings in a way that women’s right to education also exists for the right to work. Despite the commonalities between the two Christian socialists in North Korea, the position on the theory of women’s liberation is completely changed by gender and generation differences.

      • KCI등재

        사회주의 운동과 여성 해방의 문제 -『현대부인』(1928), 『여성지우』(1929), 『여인』(1932)을 중심으로-

        이근화 ( Lee Geunhwa ) 우리어문학회 2021 우리어문연구 Vol.70 No.-

        조선의 여성은 봉건 사회를 타파하고 착취와 향락의 대상에서 벗어나 계급적 자유와 평등을 위하여 투쟁할 것을 강조한 글들이 근대 초기부터 해방기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여성잡지 지면에 발표되었다. 근대 조선 사회에 사회주의 운동이 소개되면서 여성성과 계급성의 문제는 보다 적극적으로 사유되기 시작하였다. 오랜 식민 통치의 문제를 해결하고 새로운 사회로 나아가기 위해 조선의 지식인들은 신여성의 정체성을 모색하기 위해 여성성과 계급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사유해 나갔으며, 이러한 면모는 1920년대 후반부터 1930년대 초반의 여성잡지 지면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이 시기 주요 여성잡지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아 사회주의 운동과 여성 해방 담론의 결합 양상을 살펴보았다. 『현대부인』(1928)에는 사회주의 사상과 현대 여성의 문제를 다룬 글들이 부분적으로 삭제되어 확인하기 어려운 한계와 문제점이 있지만 사회주의 운동의 기관지 『근우』와 함께 초기 운동의 선구적 입지를 점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여성지우』(1929)에는 부인 해방론과 관련된 논설들이 자주 게재되어 사회주의 운동과 성 평등 문제의 결합 양상을 보다 면밀하게 살펴볼 수 있었다. 조선 여성 스스로 역사적 현실의 내부를, 스스로의 위치를 되돌아보는 계기를 마련해야 함을 역설하는 글들이다. 특히 여성의 노동력 문제를 적극적으로 다루면서 조선 사회에 대한 비판과 전망을 사회주의 이념에 근거해 설득력 있게 제시하여 보여주었다. 『여인』(1932)에는 사회주의 운동의 주체로서 조선의 신여성의 양상을 적극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다양한 텍스트가 발견되었다. 인습과 관념에 마비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는 성찰의 태도가 계급해방 운동의 밑바탕이라는 인식을 보여준 글들이 다수 발표되었다. 근본적으로 노동계층 해방만이 여성에게 진정한 자유를 가져다준다는 입장을 견지하였다. 여성 해방을 주제로 한 다양한 문학 텍스트들이 활발하게 생산되었을 뿐만 아니라 교육적 측면에서의 여성의 활동과 중요성을 강조한 글들도 찾아볼 수 있었다. 위의 세 여성 잡지들은 사회주의 운동과 여성 해방 문제의 결합 양상을 비교적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 수록된 글을 통해 조선의 지식인들이 신여성의 정체성을 모색하기 위해 여성과 계급의 문제를 적극적으로 사유해 갔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issue of femininity and classification began to be more actively considered when the socialist movement was introduced to modern Chosun society.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long colonial rule and move toward a new society, intellectuals of Chosun actively considered the problems of gender and class in order to seek the identity of new women. This aspect is easily found in women's magazines from the late 1920s to the early 1930s. During this period, major women's magazines and magazines related to the socialist movement were studied to examine the combination of socialist movements and women's liberation discourse. In "Modern wife"(현대부인, 1928), articles on socialist ideas and contemporary women's issues were partially deleted. Limits and problems have been found that are difficult to identify specific discussions. However, this women's magazine, along with Geun-woo(근우), the organ of the early socialist movement, has a pioneering position in the women's socialist movement. In "Women's friend"(여성지우, 1929), articles related to the theory of women's liberation were often published. The combination of the socialist movement and the issue of gender equality could be examined more closely. These papers emphasized that Chosun women themselves should provid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inside and the position of historical reality. In particular, it actively dealt with the labor force of women and presented criticism and prospects of Chosun society in a convincing manner based on socialist ideology. “Women”(여인, 1932) contains various texts to actively examine the new women of Chosun as the main agents of the socialist movement. The magazine should be wary of being paralyzed by convention and ideas, and many articles have been published that show this reflection is the foundation of the liberation movement. Basically, they maintain that only the liberation of the working class brings true liberation to women. Not only were various literary texts on the theme of women's liberation actively produced, but there were also writings that emphasized women's activities and importance in terms of education. The three women's magazines above show relatively distinct aspects of the combination of socialist movements and women's liberation issues. The article confirmed that intellectuals in Joseon actively considered the issue of women's liberation and socialist class to seek the identity of new women.

      • KCI등재

        고정희 시의 카니발적 상상력과 다성적 발화의 양식

        김승희 ( Seung Hee Kim ) 국제비교한국학회 2011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Vol.19 No.3

        The aim of this paper is to define the poet Goh Jung Hee`s Yeoseonghaebang chulsapyo (Memorial Concerning women`s liberation, 1990) as a text in polyphonic discourse manifesting a carnivalesque imagination, analyzing the carnivalesque, creative elements. In her Yeoseonghaebang Chulsapyo, Goh Jung Hee dreams of a space for women alone, a Utopia free of gender discrimination, and this text displays a carnivalesque quality through polyphony, eversion of existing ideologies, relative merriment, etc. According to Mikhail Bakhtin, the world of carnival is a world ruled by freedom and equality, a space overturning the hierachy of dichotomous oppositions such as male / female, sacred / secular, authority / people, reason / madness, noble / base, etc that postmodernism has brought to light, where everything is equal and pleasant, and absolute things become relative. So far as space, time, textual style, rhetorical form are concerned, Yeoseonghaebang Chulsapyo thus conceived strongly reveals carnivalesque aspects. In the first place, the poet summons four women who radically challenged the sexual repression the women of the middle Joseon Era must have experienced - Hwang Jini, Yi Ok-bong, Shin Saimdang, Heo Nanseolheon, into the space of the 1980s, when people`s liberation and feminism emerged as the spirit of the times, and develops a portrayal of a dreamed-off women`s liberation. In Part One, Hwang Jini and Yi Ok-Bong exchange correspondance; in Part Two, we find Shin Saimdang writing letters to Heo Nanseolheon, and Nanseolheon writing letters to the daughters of modern Korea. In a space where the boundaries between this world and that grow hazy, those between life and death are blurred, each individual woman deconstructs her symbolic value or her private myth using the terms of modern feminism while criticizing patriarchy. Romantic facts are reinterpreted, and their identities, venerated in Confucian society, are downgraded to mean quite the opposite. Second, time`s carnivalesque qualities emerge. The feudal period and the modern age are mixed, the age of Confucianism and the age of feminism are mixed. At the same time, there is a blending of discourses, of heterogeneous contexts, so that a carnivalesque mixture results. For example, the mythical symbol of good mother, chaste wife, Shin Saimdang belittles the patriarchal system as a culture of proxenetism. A carnivalesque blend of discourses arises, mocking other discourses, a cheerful relativity subverts absolute values by satire and humor. Third, the style`s variety and hybridity manifest a carnivalesque character. Yeoseonghaebang Chulsapyo, which includes elements of epistolary style, sijo, other classical forms, parody, shamanistic ceremony, protest demonstration, being both a work of vulgarization and a popular spectacle, is less a unified lyrical poem than a hybrid text combining multiple voices. The work`s carnivalesque polyphony or dialogic qualities are produced by collisions and blendings of differing speaking voices, their contexts and codes, and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ose aspects. Within the carnivalesque space and time of the first two parts of Yeoseonghaebang Chulsapyo, the four women employ heroic tones to criticize the Confucian society, the patriarchy and the oppression of women in the Joseon era, using the terms of modern feminism, and go on to urge modern women to ensure that their dream of women`s liberation becomes a reality. At the end of Part 2, the person leading the way declaring the war for women`s liberation is Heo Nanseolheon, who lived the most tragic life of them all and suffered most under the patriarchal system. In Parts 3 and 4, the female poetic voice, receiving the spirit of women`s liberation from Heo Nanseolheon and advancing toward reality, attempts to analyze realistically all that prevents the liberation of women today. Part 4 is a memorializing poem, a poem with a purpose, and mostly declaims loudly all that has to be done to liberate women, so that in parts 3 and 4 the carnivalesque elements of polyphony and dialogue are weaker, while the poetic narrator`s voice grows stronger in conviction in a solitary monologue. It may be wondered if the way the carnivalesque space produced by the Joseon-era women of parts 1 and 2 is abolished might not be the result of a realization by the solitary poetic voice advancing bearing the Memorial that here and now, in real space, the realization of women`s liberation is a difficult project. This work by Goh Jung Hee, expressing the dream of women`s liberation in a carnivalesque polyphony, should be seen as one of the outstanding feminist texts of Korea.

      • KCI등재

        식민지와 제국의 여성운동, 그 접점과 간극 - 경제적 해방과 모성 보호 문제를 중심으로 -

        김도경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9 石堂論叢 Vol.0 No.74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the thoughts of the Japanese women's movement during the colonial period of the 1920s with those of Japanese women's activists Oku and Smii, who visited Chosun in the mid-1920s The 1920s were a period of intense women's liberation movements around the world, and these global trends affected not only Japan but also colonial Korea. It was also emphasized in Chosun and Japan that the solidarity of the “Oriental woman” suffered by rapid capitalism while failing to escape the oppression of the patriarchal system. Against this backdrop, a Japanese women's activist visited Chosun to give a lecture and interacted with women's activists in Chosun. The Japanese women's movement, including Sumii and Oku, was focusing on the suffrage movement at that time, but the women's movement in Chosun was well aware of the Japanese women's activists and women's activists who visited them to see that they could not make such claims. Instead, the problem that was mainly emphasized in their lectures or interviews was the economic liberation of women, or the professional activities of women. As such, the issue of women's economic liberation in the Chosun and Japanese women's movements was commonly recognized as a very important issue, but the details showed a difference. The economic liberation of women was directly linked to the job problems of women, which were also deeply linked to maternal protection. In Japan, positions on motherhood protection were divided into pros and cons. The former was mainly claimed by Hiratsuka, and the latter was alleged by the feminists, represented by Yosano. In comparison with them, Park Won-hee, who was the strongest voice in Chosun on the issue of maternal protection, approached the issue from a more practical perspective. It was similar to Hiratsuka and Oku in that they were influenced by Ellen Kay's maternal protective discourse, but the way they approached the specific realization was different. Park Won-hee and other women's activists in Chosun were influenced by the Japanese women's movement, but they were desperately agonizing over how to approach women's liberation under the limited framework of colonization. 이 논문의 목적은 1920년대 중반 조선을 방문했던 일본 여성운동자 오쿠 무메오(奥むめお)와 스미이 미에(住井美江)의 강연록 및 방문 관련 기록을 통해 당대 식민지 조선과 제국 일본의 여성운동의 사상을 비교, 검토하는 것이다. 1920년대는 전세계적으로 여성 해방 운동의 흐름이 거센 시기였으며, 이러한 세계적 조류는 일본은 물론 식민지 조선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또한 가부장제의 억압을 벗어나지 못한 채 급격한 자본주의적 흐름에 휩쓸려 들어가게 된 “동양부인”의 연대가 강조되기도 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당시 일본 여성운동계의 저명 인사였던 오쿠와 스미이가 1925,6년 연이어 조선을 방문하여 연단에 오르고 조선의 여성운동자들과 교류를 이어갔다. 이들의 강연이나 인터뷰에서 주로 강조되었던 문제는 여성의 경제적 해방, 즉 여성의 직업 활동이었다. 이와 같은 경제적 해방의 문제는 조선의 여성운동계에서도 매우 긴요한 화두였다. 여성의 경제적 권리 획득을 위하여 여성의 직업 및 교육 문제, 여성의 노동 조건 개선 등 다양한 문제가 여성운동의 주제로 등장하게 되었다. 특히 교육의 권리는 경제적 해방의 문제와 연결되면서 전시대에 비해 더욱 절실한 문제로 제기되었다. 경제적 해방을 위한 여성의 직업 활동은 한편으로는 모성 보호와도 깊이 연결되어 있는 문제였다. 일본에서 모성 보호 담론에 대한 입장이 크게 히라쓰카 라이초(平塚らいてう)를 중심으로 한 입장과 요사노 아키코(与謝野晶子) 등의 여권론의 주장으로 나뉘었으며, 관련 논란은 1920년대 중반까지 지속되기도 하였다. 오쿠 역시 히라쓰카와 마찬가지로 ‘진정한 어머니’가 될 자유와 권리를 주장하며, 모성 보호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조선 여성운동계에서 모성의 보호를 가장 강력하게 주장했던 것은 박원희였다. 박원희는 모성 보호의 중요성을 강조하면서도 이를 좀 더 실용적인 관점에서 접근하였다. 엘렌 케이(Ellen Key)의 모성 보호 담론의 영향을 받았다는 점에서는 히라쓰카나 오쿠와 흡사했으나 그 구체적인 실현에 접근하는 방식도 주체도 달랐다. 박원희는 여성이 남성과 평등하게 경쟁하기 위해 모성 보호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그리고 박원희에게 이는 국가에 의해 자연스럽게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치열한 투쟁을 통해 획득해야 할 목표이자 운동의 강령이었다. 이렇듯 박원희를 비롯한 조선의 여성운동자들은 일본 여성운동계의 영향을 받았던 동시에 식민지라는 제한된 상황 속에서 여성 해방 문제에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를 절실하게 고민했던 것이다.

      • KCI등재

        8.15 해방과 ‘노라’ 이야기 - 최의순의 「노랭이집」, 정비석의 「안해의 항의문」을 중심으로

        전지니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55 No.-

        This thesis aims to examine ‘Nora’ narratives after the 8.15 liberation through <A Miser's House>(1946) by Choi Eui-soon and <A Wife's Protest>(1948) by Jung Bi-seok. Nora was the symbol of women's liberation in the 1920s, and she again appeared in literature after national liberation. These two novels had something in common. Both were based on <A Doll's House> by Ibsen and were written in an epistolary style, and juxtaposed national liberation and the escape of a wife. Chapter 2 looked into <A Miser's House>. In this novel, the process that the father who wasn't masculine enough were left out during national foundation and his sons who symbolized the future took his place instead was discussed. And it's also discussed that Nora who were symbolized as a wise mother who raised the fighters for national foundation didn't leave her family mentally though she left her house physically. Chapter 3 looked into <A Wife's Protest> that described a husband who was an anti-nationalist. In this novel, how women's sexual desire was contrasted with mission for national foundation and contemporary ethical consciousness during the era of liberation and how it was described in a negative way were discussed. The author stressed that the wife's leaving home didn't result from her sense of gender equity but was commitment to the nation, and he was wary of the novel's being interpreted as a story of women's liberation. Both of the works described that Nora discarded anti-nationalism, left her house and committed herself to the nation. During the era of liberation, the significance of human liberation emphasized by Ibsen was faded, and a new, Koreanized image of Nora was created as women's liberation was juxtaposed with national liberation. Likewise, the stories of Nora during the period served to reproduce the dichotomy of gender and the way of mobilizing women of the colonial period. The possibility of women's liberation that was presented by the 8·15 liberation was already rooted out in the texts. 본고는 해방기 「인형의 집」을 변주한 최의순의 「노랭이집」(1946)과 정비석의 「안해의 항의문」(1948)을 통해 해방 이후의 ‘노라’ 이야기를 살펴보려 한다. 8.15는 여성들에게 민족해방과 함께 여성해방이라는 가능성을 제시했지만, 실상 여성의 지위는 식민지 시기와 다를 바 없었고, 민족을 선도하는 역할은 징병 ․ 징용 나갔다 돌아온 남성들에게 맡겨졌다. 1920년대 여성해방의 표상이었던 노라는 해방 후 문학장에 다시 소환되는데, 두 소설은 노라 이야기를 소재로 하고 있으며 서간문 형식으로 쓰였다는 점, 그리고 8.15 해방과 아내의 탈출을 동궤에 놓고 있다는 점에서 공통점을 갖는다. 2장에서는 「노랭이집」에서 남성성이 부족한 아버지가 건국과업에서 축출당하고, 그 자리를 건국의 미래를 상징하는 아들들이 대신하는 양상을 짚어 본다. 또한 노라가 결국 가족의 테두리를 넘지 못하고, 건국의 전사를 양육하는 현모로 형상화되는 양상을 확인한다. 3장에서는 반민족주의자인 남편이 등장하는 「안해의 항의문」에서 여성의 성적 욕망이 건국에 대한 사명감과 대치되면서 부정적으로 치부되는 양상을 살핀다. 여기서 작가는 아내의 가출이 남녀평등 의식에서 비롯된 행위가 아니라 민족을 위한 투신임을 강조하면서 소설이 여성해방의 이야기로 독해되는 것을 경계한다. 본고에서 다룬 두 소설은 노라가 반민족주의와 결별하고 집을 뛰쳐나와 민족의 품으로 귀의하는 방식을 보여준다. 해방공간에서 입센이 극화한 인간해방의 의미는 퇴색하고, 여성해방과 조선해방이 병치되면서 국민화된 신생조선의 노라상이 형성됐던 것이다. 결국 해방기의 노라 이야기 안에서 노라의 탈출이 주는 근대적 의미는 퇴색하며, 소설은 올바른 민족국가를 건설해야 한다는 결론으로 나아간다. 또한 성별이 다른 두 작가는 집을 떠나는 순간까지 현모양처의 의무에 집착하는 아내의 모습을 통해 일제 말기의 젠더 이분구도를 재생산하며, 이전과 흡사한 여성 동원의 방식을 형상화한다. 8.15 해방이 제시한 가능성은 텍스트 내에서 이미 차단되어 있었던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